KR102136676B1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6676B1 KR102136676B1 KR1020180121059A KR20180121059A KR102136676B1 KR 102136676 B1 KR102136676 B1 KR 102136676B1 KR 1020180121059 A KR1020180121059 A KR 1020180121059A KR 20180121059 A KR20180121059 A KR 20180121059A KR 102136676 B1 KR102136676 B1 KR 1021366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rning device
- dangerous
- detection unit
- illumination
- laser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은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레이저 감지부;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판독부;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비추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으로 구성된 경고장치; 및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includes a laser detection unit for monitoring an object invading a safety line and a track of the platform; An image reading unit that analyzes a 3D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aser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 danger has occurred; A warning device composed of array-type lights arranged radially to illuminate the extracted danger occurrence poi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arn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nd method.
철도분야에서 승객의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서 철도안전이 집중 관리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열차선로 추락사고, 화재 사고, 출퇴근 혼잡 시간대에 자주 발생하는 문틈끼임 사고 등으로 인해 많은 인적 및 물적 손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철도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Passenger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railroad sector, and despite the fact that railroad safety is being managed intensively, many human and material damages are still occurring due to train track crash, fire accidents, and door jams that often occur during commute times. However, this is emerging as the most urgent problem to be solved in the railway field.
최근, 정보기술(IT)의 발전과 함께 철도환경에서 CCTV나 다양한 형태의 비전 센서를 이용한 응용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승강장 주변에 설치된 CCTV는 열차운전의 확인 및 승객의 이동, 승하차 등을 감시할 목적으로 각 역의 승강장 또는 승객 밀집지역에 설치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차량 및 선로상태를 비롯한 철도 인프라의 유지보수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센서가 적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n application system using a CCTV or various types of vision sensors in a railway environment has been attempted. Currently, CCTV installed around the platform is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platform or passenger dense area of each station for the purpose of checking train operation, monitoring passenger movement, and getting on and off, and maintaining the railway infrastructure including vehicle and track conditions. As a result, various types of camera sensors are applied.
종래의 CCTV가 단순히 수동적으로 영상 정보를 기관사나 지역 사령실에 전송하는데 반하여, 사람이나 기타 장애물의 위치 및 동작을 감지하여 스스로 지능적으로 위험 상황을 판단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관련 근무자에게 알려주는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While conventional CCTV simply transmits video information to an engineer or local command room passively, it detects the location and motion of people or other obstacles and intelligently judges the dangerous situation by itself and informs the relevant workers to respond quickly. The system is in demand.
이와 같이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순히 감시하고자 하는 장소에 아날로그 방식의 CCTV를 설치하여 화면으로 보이는 상황(CCTV 개수에 따라 여러 분할 화면을 순차적으로 보여줌)을 항시 근무자가 모니터링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파악 및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the conventional monitoring system is realistically quick and accurate because the CCTV system must be monitored at all times by simply installing an analog CCTV at the place to be monitored (sequentially showing multiple split screen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CTV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ituation and respond quickl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철도 승강장을 모니터링하는 레이저 감지부를 통해 검출한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상황(위험지역 경계 침범)이 인식된 경우 위험 발생 지점에 조명 스팟을 형성하여 대상체(승객)가 위험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경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3D image detected through a laser detector that monitors a railway platform, and when a dangerous situation (dangerous boundary boundary violation) is recognized, an illumination spot is generated at a dangerous place. The purpose of this is to alert the subject (passenger) to quickly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은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레이저 감지부;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판독부;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비추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으로 구성된 경고장치; 및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includes a laser detection unit for monitoring an object invading a safety line and a track of a platform; An image reading unit that analyzes a 3D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aser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 danger has occurred; A warning device composed of array-type lights arranged radially to illuminate the extracted danger occurrence poi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rning devic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방법은 레이저 감지부를 통해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영상판독부를 통해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으로 구성된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method includes monitoring an object invading a safety line and a line of a platform through a laser detection unit; Analyzing a 3D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aser detection unit through the image read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danger has occurred; And controlling a warning device composed of array-type lights arranged radially at the danger occurrence point extra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존 대비 적은 개수의 스캐닝 모듈 적용으로 시스템 구성 간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ystem configuration by applying a smaller number of scanning modules than the existing one.
또한, 사각 지대 최소화 및 위험상황 인식 속도 및 정확도 향상할 수 있으며,. 선로 상의 낙하물 검지하여 열차 제어에 활용 가능하며, 철도 역사외 타 위험지역(방파제, 공사현장 등)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minimize blind spots and improve the speed and accuracy of recognizing dangerous situations. It can be used to control trains by detecting falling objects on the track,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dangerous areas (breakwaters, construction sites, etc.) other than railway st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감지부에 의해 위험 대상체의 인식 및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장치에 구비된 조명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장치에 구비된 조명의 조사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장치에 의해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the recognition and location coordinates of a dangerous object by a laser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determining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 provided in th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light provided in th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by a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other elements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은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레이저 감지부(10), 레이저 감지부(10)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판독부(20),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비추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32)으로 구성된 경고장치(30) 및 경고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높은 해상도의 3차원 영상 측정이 가능한 라이더(LIDAR) 기술을 이용하여 승객의 위험지역 경계 침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에 시인성이 높은 고조도 조명 스팟 형성함으로써 위험 대상체(승객 등)에 경고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체가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assenger violates a boundary of a dangerous area using a rider (LIDAR) technology capable of measuring a high-resolution 3D image. In addition, a warning messag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a dangerous object (passenger, etc.) by forming a high-illumination lighting spot with high visibility at the extracted danger occurrence point, so that the object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감지부에 의해 위험 대상체의 인식 및 위치 좌표를 추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장치에 구비된 조명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장치에 구비된 조명의 조사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장치에 의해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the recognition and location coordinates of a dangerous object by a laser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determining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 provided in th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light provided in the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warning message by a war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은 레이저 감지부(10), 신호전송부(15), 영상 판독부(20), 안전상황실(25), 경고장치(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스탠드의 상단부에 구비된 경고장치(30)와 경고장치(30)의 하측의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레이저 감지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includes a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레이저 감지부(10)는 레이저 레이다(LIDAR)를 포함하며, 철도역사 승강장을 360도로 감시하도록 배치되어, 승강장의 위험 대상체를 스캔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레이저 감지부(10)는 신호 수집 및 처리부, 레이저 송신부, 레이저 검출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라이다 모듈(LIDAR module)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3(a), the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레이저 감지부(10)는 위험 대상체를 스캔한 3차원 영상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신호전송부(15)를 통해 영상판독부(20)로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b), the
영상판독부(20)는 레이저 감지부(10)로부터 검출한 3차원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대상체의 위험지역 경계 침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고장치(30)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안전상황실(25)로 침범 여부가 제공되어, 기관사 및 역내 관리자는 정상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31)는 위험 상황 정보를 추출하고, 위험 상황 정보를 안전상황실(25)로 송출하고, 경고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oundary of the dangerous area has not been violated, the
경고장치(30)는 조명 모듈(Light Module)을 의미하며, 스탠드를 관통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되되, 스탠드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32)과 개별 조명(32)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는 구동 모터(33), 조명(32)과 구동 모터(33)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는 조명(32)과 구동 모터(33)의 구동을 제어할 뿐 아니라, 3차원 영상 정보에 기초한 위험 상황 정보의 추출 및 경고장치(30)의 동작 연산도 수행할 수 있다.The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31)는 위험 대상체의 크기(R), 위험 발생 지점(P)의 정확한 x, y, z 좌표 및 위험대상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3,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1)는 3차원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P)의 좌표에 기초하여 x, y 평면 상에서 경고장치(30)의 방사각(θ)을 연산하고, 어레이형 조명(32)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32)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조명(32)이 결정된 경우, 방사각(θ)과 z 평면 상에서 조명(32)의 틸팅 각도(φ)를 연산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31)는 위험 대상체의 크기(R)에 기초하여 x, y 평면 상에서 경고장치(30)의 조사 범위를 연산하고, 조명(32)의 내부 렌즈의 전후방 위치(D)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경고장치(30)의 조사 범위에 기초하여 조명(32)의 세기(I)를 결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5, the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경고장치(30)는 산출된 x, y 평면 상의 방사각(θ), z 평면 상의 조명(32)의 틸팅 각도(φ), 조명(32)의 내부 렌즈의 전후방 위치(D) 및 조명(32)의 세기(I)에 따라, 위험 대상체(타겟A, B)에게 고조도 조명 스팟을 제공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ure 6, th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의 구성 중 동일한 구성의 내용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a railway station platfor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of FIGS. 1 to 6, the contents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방법은 레이저 감지부를 통해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10), 영상판독부를 통해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및 제어부를 통해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으로 구성된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method includes monitoring an object invading a safety line and a line of a platform through a laser detection unit (S110 ),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laser detection unit through an image reading unit 3 It includes analyzing the dimensional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a danger has occurred (S120) and controlling a warning device composed of array-type lights arranged radially at the danger occurrence point extra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S130).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10)는 레이저 감지부(10)를 통해 대상체를 스캔하고(S111), 신호 수집 및 처리부에 의해 검출된 3차원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2). The step of monitoring the object (S110) may scan the object through the laser detection unit 10 (S111), and transmit 3D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ignal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S112).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는 레이저 감지부(10)로부터 검출한 3차원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S121), 위험 대상체의 위험지역 경계 침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2). 이때,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고장치(30)의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S122-1), 안전상황실(25)로 침범 여부(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지 않음)를 제공할 수 있다(S122-2).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a danger occurs (S120), the 3D imag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단계(S130)는 위험 상황 정보를 추출하고(S131), 위험 상황 정보를 안전상황실로 송출하고(S132), 경고장치(30)의 동작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33).Step (S130) of controlling the warning device may extract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S131), send th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safety situation room (S132), and perform operation calculation and control of the warning device 30 (S133). ).
구체적으로, S131단계에서, 레이저 감지부(10)로부터 검출한 위험 대상체의 크기(R)와 위험 발생 지점(P)의 x, y, z 좌표를 추출하는 단계, 위험 발생 지점(P)의 좌표에 기초하여 x, y 평면 상에서 경고장치(30)의 방사각(θ)을 연산하고, 어레이형 조명(32)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32)을 결정하는 단계, 하나의 조명(32)이 결정된 경우, 방사각(θ)과 z 평면 상에서 조명(32)의 틸팅 각도(φ)를 연산하는 단계, 위험 대상체의 크기(R)에 기초하여 x, y 평면 상에서 경고장치(30)의 조사 범위를 연산하고, 조명(32)의 내부 렌즈의 전후방 위치(D)를 조절하는 단계 및 경고장치(30)의 조사 범위에 기초하여 조명(32)의 세기(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step S131, the size (R)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from the
S132단계에서, 경고장치(30) 및 안전상황실(24)로 위험 상황 정보를 전송하며, 위험 상황 정보를 수신한 기관사 및 역내 관리자는 안전 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S132-1).In step S132, the danger situ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133단계에서, 산출된 x, y 평면 상의 방사각(θ), z 평면 상의 조명(32)의 틸팅 각도(φ), 조명(32)의 내부 렌즈의 전후방 위치(D) 및 조명(32)의 세기(I)에 따라, 위험 대상체(타겟A, B)에게 고조도의 조명 스팟을 제공하도록 경고장치(30)를 작동(ON)할 수 있다.In step S133, the calculated radiation angle θ on the x and y planes, the tilting angle φ of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레이저 감지부 15: 신호전송부
20: 영상판독부 25: 안전상황실
30: 경고장치 31: 제어부
32: 조명 33:조명각 구동모터10: laser detection unit 15: signal transmission unit
20: image reading unit 25: safety situation room
30: warning device 31: control unit
32: Lighting 33: Lighting angle drive motor
Claims (12)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레이저 감지부;
상기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판독부;
스탠드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탠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되, 상기 스탠드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으로 구성된 경고장치; 및
상기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감지부는 철도역사 승강장을 360도로 감시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되, 상기 경고장치의 하측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가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 안전상황실로 정상 상태인 침범 여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대상체가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는 경우, 위험 대상체의 크기, 위험 발생 지점 및 위험 대상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위험 대상체의 크기와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의 x, y, z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x, y 평면 상에서 상기 경고장치의 방사각을 연산하고, 상기 어레이형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의 조명이 결정된 경우, 상기 방사각과 상기 z 평면 상에서 상기 조명의 틸팅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위험 대상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x, y 평면 상에서 상기 경고장치의 조사 범위를 연산하고, 상기 조명의 내부 렌즈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경고장치의 조사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의 세기를 결정하여,
상기 경고장치가 상기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비추도록 제어하는 것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시스템.In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A laser detection unit monitoring an object invading a safety line and a track of a platform;
An image reading unit that analyzes a 3D imag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aser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 danger has occurred;
A warning devic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and, the housing penetrating the stand, the housing being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consisting of an array-type light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stand;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rning device;
The laser detection unit is provided on the stand to monitor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360 degrees,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warning device,
The control unit
If the subject has not violated the boundary of the dangerous area, the safety situation room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he violation is normal,
When the subject invades the boundary of the dangerous area, extract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of the dangerous object,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image of the dangerous object,
The size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from the laser detection unit and the x, y, z coordinates of the dangerous occurrence point are extracted,
Calculate the radiation angle of the warning device on the x, y plane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danger point, and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array-type lighting,
When the one illumination is determined, the tilt angle of the illumination on the z-plane and the radiation angle is calculated,
Calculate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warning device on the x, y plane based on the size of the dangerous object,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inner lens of the illumination,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warning device,
The warning device is to control to illuminate the extracted danger point,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레이저 감지부를 통해 승강장의 안전선 및 선로를 침범하는 대상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영상판독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을 분석하고 위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스탠드의 상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스탠드를 관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되, 상기 스탠드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어레이형 조명으로 구성된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감지부는 철도역사 승강장을 360도로 감시하도록 상기 스탠드에 구비되되, 상기 경고장치의 하측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경고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가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 안전상황실로 정상 상태인 침범 여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대상체가 위험지역 경계를 침범하는 경우, 위험 대상체의 크기, 위험 발생 지점 및 위험 대상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레이저 감지부로부터 검출한 위험 대상체의 크기와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의 x, y, z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x, y 평면 상에서 상기 경고장치의 방사각을 연산하고, 상기 어레이형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의 조명이 결정된 경우, 상기 방사각과 상기 z 평면 상에서 상기 조명의 틸팅 각도를 연산하고,
상기 위험 대상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x, y 평면 상에서 상기 경고장치의 조사 범위를 연산하고, 상기 조명의 내부 렌즈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경고장치의 조사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의 세기를 결정하여,
상기 경고장치가 상기 추출된 위험 발생 지점을 비추도록 제어하는 것인,
철도역사 승강장 감시 및 경고 방법.In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method,
Monitoring an object invading a safety line and a track of a platform through a laser detection unit;
Analyzing a 3D image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aser detection unit through an image read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 danger has occurred; An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tand through the control unit, a housing penetrating the stan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a warning device consisting of an array-type light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stand,
The laser detection unit is provided on the stand to monitor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360 degrees,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warning device,
Controlling the warning device,
If the subject has not violated the boundary of the dangerous area, the safety situation room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he violation is normal,
When the subject invades the boundary of the dangerous area, extract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ize of the dangerous object,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image of the dangerous object,
The size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from the laser detection unit and the x, y, z coordinates of the dangerous occurrence point are extracted,
Calculate the radiation angle of the warning device on the x, y plane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danger point, and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array-type lighting,
When the one illumination is determined, the tilt angle of the illumination on the z-plane and the radiation angle is calculated,
Calculate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warning device on the x, y plane based on the size of the dangerous object,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inner lens of the illumination,
The intensity of the light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warning device,
The warning device is to control to illuminate the extracted danger point,
Railway station platform monitoring and warn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1059A KR102136676B1 (en) | 2018-10-11 | 2018-10-11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1059A KR102136676B1 (en) | 2018-10-11 | 2018-10-11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1078A KR20200041078A (en) | 2020-04-21 |
KR102136676B1 true KR102136676B1 (en) | 2020-07-22 |
Family
ID=7045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1059A Active KR102136676B1 (en) | 2018-10-11 | 2018-10-11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667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7325A (en) | 2021-04-27 | 2022-11-03 |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 Control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KR102484818B1 (en) | 2022-10-25 | 2023-01-09 | 제온시스 주식회사 | Modular device and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method for hazard warning for entering the hazardous area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56821A (en) * | 2022-05-26 | 2022-09-16 | 温州大学 | Big data-based rail transit early warning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9484A (en) * | 2000-02-16 | 2001-08-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Road monitoring device |
JP2009182617A (en) * | 2008-01-30 | 2009-08-13 | Nippon Seiki Co Ltd | Omnidirectional imaging apparatus |
KR100932442B1 (en) * | 2009-07-24 | 2009-12-17 | 이화랑 | Security warning lamp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9266A (en) * | 2014-06-03 | 2015-12-1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Detection system on railroad crossing |
KR20180032017A (en) * | 2016-09-21 | 2018-03-29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Light Control Apparatus for Sensing Driver's Dangerous Objec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8
- 2018-10-11 KR KR1020180121059A patent/KR10213667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9484A (en) * | 2000-02-16 | 2001-08-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Road monitoring device |
JP2009182617A (en) * | 2008-01-30 | 2009-08-13 | Nippon Seiki Co Ltd | Omnidirectional imaging apparatus |
KR100932442B1 (en) * | 2009-07-24 | 2009-12-17 | 이화랑 | Security warning lamp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47325A (en) | 2021-04-27 | 2022-11-03 |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 Control system for platform screen door |
KR102484818B1 (en) | 2022-10-25 | 2023-01-09 | 제온시스 주식회사 | Modular device and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method for hazard warning for entering the hazardous are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1078A (en) | 2020-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43027C (en) | Railroad car coupler gap analyzer | |
KR101760312B1 (en) | A detecting system for the over loaded vehicles for the service of the road traffic safety | |
KR101731050B1 (en) | Automatic incident detection apparatus using composite sensor of acoustic sensor, radar sensor and image sensor, and method for the same | |
KR10213667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warning railway platform | |
US20130030685A1 (en) | Method for detecting and evaluating a plane | |
JP2017536277A (en) | Door system with sensor unit and communication element | |
KR101140658B1 (en) | Obstacle Detection System on Railway Crossing using 3D Laserrader and Method Thereof | |
CN112268515B (en) | Platform door gap anti-pinch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sensor fusion technology | |
CN109910955A (en) | Rail transit tunnel obstac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transponder information transmission | |
KR20200059755A (en) | LiDAR sensor verification test simulation device | |
CN112193957A (en) | Elevator door detection method based on TOF light field equipment | |
KR102008966B1 (en) | Response System For a Fall From Railroad Platform | |
KR101266015B1 (en) |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Line and railroad track of platform | |
KR20100010734A (en) | Monitoring system in railway station stereo camera and thermal camera and method thereof | |
KR101339456B1 (en) | In tunnel that use scanner accident is observation system | |
JP2004210045A (en) | Monitoring device | |
KR102688965B1 (en) | Monitoring system of railroad and method for control of that | |
KR101937791B1 (en) | Screen door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2022032611A (en) | Station platform monitoring system | |
KR100661264B1 (en) | Railroad crossing danger prevention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 |
KR100690279B1 (en) | Multi-purpose Video Detection System | |
KR100444929B1 (en) | Image processing alarm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nsing unexpected accident at train platform | |
KR101063912B1 (en) |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stop of train using platform image information | |
KR100699596B1 (en) | Automatic detection image processing alarm device of railway crossing | |
KR20200042670A (en) | Accident Vehicle Monitor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