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6112B1 -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112B1
KR102136112B1 KR1020200033934A KR20200033934A KR102136112B1 KR 102136112 B1 KR102136112 B1 KR 102136112B1 KR 1020200033934 A KR1020200033934 A KR 1020200033934A KR 20200033934 A KR20200033934 A KR 20200033934A KR 102136112 B1 KR102136112 B1 KR 102136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orting
weight
selection
scre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3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8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 G06M1/1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6M1/10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actuating the driv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electro-opt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8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s is changed at the station where they are sen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캐리어 감지부와,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하는 배출실패 감지부와,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상기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선별대상물의 선별 실적을 집계하도록 상기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를 전달하며, 상기 배출실패가 감지될 경우 상기 선별 실적을 차감하도록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선별대상물이 선별 배출되도록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배출구 번호를 역추적하여 상기 선별 실적을 차감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SORTING APPARATUS FOR SOLVING INACCURATE EXACT CALCULATION PROBLEM}
본 발명(Disclosure)은,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캐리어에 부여된 캐리어 고유번호에 동기화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참조하여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여 선별대상물을 각각 배출하는 중에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센싱하여 배출실패된 선별대상물의 배출구 번호와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사과, 배, 감 등의 농산물(또는 어패류 등)은 중량별로 구분하여 포장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되는데, 이러한 농산물들을 크기와 중량별로 선별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수작업, 천칭저울을 이용한 반자동식 측정,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컵에 농산물을 올려놓고 무게나 크기를 측정하는 선별 장치를 이용한 자동식 측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별 장치를 이용한 자동식 측정 방식은 농산물의 무게 측정기법에 따라 추를 이용한 기계식, 로드셀을 이용한 전자식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선별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물이 실린 캐리어(10)가 체인의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으며, 선별대상물이 무게감지부(A)를 통과하는 동안 로드셀(load-cell)에 작용된 물리적 변형들을 디지털 수치로 변환시켜 컨베이어레일의 중량 측정 지점을 통과한 캐리어(1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10)는 로드셀에 매달리거나 떠받쳐지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빈 캐리어의 경우 구동 감속모터를 포함하여 통상적으로 최소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선별대상물이 실리지 않은 캐리어(10)의 경우 각각 고유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선별 장치에서는 과일과 같은 선별대상물을 중량, 색상, 당도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는데, 선별 실적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선별 환료 후에 선별 실적에 따라 정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정산은 배출구별 분류된 선별대상물의 총 수량과 중량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별 실적이 정확하게 기록되어야만 올바른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산 결과는 농가 소득에 직결되는 매우 예민한 문제로, 정산이 부정확하게 될 경우 선별 장치의 성능은 불신되고, 민원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별 장치를 운용하다 보면, 기계적인 열화, 배출구 제어부의 타이밍 변경, 전기적 잡음에 의한 전송 데이터 왜곡 등으로 인해 선별대상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배출실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의 선별 장치에서는 중량 계측된 선별대상물은 모두 정상 배출된 것으로 간주되어 선별 실적에 반영되고 있는데, 배출실패가 다수 발생할 경우 정산 결과가 부정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배출실패에 수반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2800호
본 발명(Disclosure)은, 캐리어에 부여된 캐리어 고유번호에 동기화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참조하여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여 선별대상물을 각각 배출하는 중에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센싱하여 배출실패된 선별대상물의 배출구 번호와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Disclosure)은, 선별대상물의 선별 시 제어부에서 캐리어 고유번호 및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통신단말기에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 및 배출구 번호를 결정한 후에 배출구별 선별 실적을 집계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선별 중량에 따라 배출구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 실적을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 시 제어부에서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통신단말기에서 배출실패된 캐리어 고유번호를 역추적한 후에, 역추적한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서,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로 인한 부정확한 정산을 정확하게 바로잡아 선별 실적을 집계할 수 있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캐리어 감지부와,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하는 배출실패 감지부와,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상기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선별대상물의 선별 실적을 집계하도록 상기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를 전달하며, 상기 배출실패가 감지될 경우 상기 선별 실적을 차감하도록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선별대상물이 선별 배출되도록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배출구 번호를 역추적하여 상기 선별 실적을 차감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별대상물의 선별을 위해 가동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부재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결정된 상기 배출구 번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의 가동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캐리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배출구 번호에 따라 낙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선별라인의 종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 실패 시에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선별대상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강제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캐리어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와, 상기 캐리어 감지부 및 배출실패 감지부의 거리를 이용하여 배출실패된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배출실패된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로부터 상기 선별 중량 및 배출구 번호를 내부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상기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 총중량에서 상기 선별 중량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별 실적을 보정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이송부는, 선별 작업 공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상기 캐리어를 회전 이송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선별라인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선별대상물이 선별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선별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선별대상물의 낙하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선별대상물이 상기 캐리어에 안착되는 위치의 양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다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 양측에 접촉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캐리어 감지부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상기 배출실패 감지부는, 상기 선별다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중량 감지 방식 또는 광센싱 방식으로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에 부여된 캐리어 고유번호에 동기화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참조하여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여 선별대상물을 각각 배출하는 중에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센싱하여 배출실패된 선별대상물의 배출구 번호와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대상물의 선별 시 제어부에서 캐리어 고유번호 및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통신단말기에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 및 배출구 번호를 결정한 후에 배출구별 선별 실적을 집계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선별 중량에 따라 배출구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 실적을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 시 제어부에서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통신단말기에서 배출실패된 캐리어 고유번호를 역추적한 후에, 역추적한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서,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로 인한 부정확한 정산을 정확하게 바로잡아 선별 실적을 집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별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선별 실적을 보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선별 실적을 보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는 이송부(110), 중량측정부(120), 캐리어 감지부(130), 배출실패 감지부(140), 제어부(150), 통신단말기(160), 복수의 솔레노이드부재(160), 강제배출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10)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10)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무한궤도 방식의 체인컨베이어, 컨베이어레일, 체인구동모터 등을 구비하여 인버터를 통해 전동기의 속도 및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선별대상물(예를 들면, 농산물, 어패류 등)을 선별하기 위한 캐리어(10)에 선별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10)의 전단부에는 선별대상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선별대상물 투입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선별대상물의 투입속도에 대응하여 복수의 캐리어(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10)의 체인컨베이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20)는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캐리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복수의 캐리어(10)가 이송되는 컨베이어레일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캐리어(10)의 하부 양측이 접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캐리어(10) 각각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10) 또는 선별대상물이 상부에 안착된 캐리어(10)의 각 중량은 신호가 증폭된 후 선별대상물의 정확한 선별을 위해 제어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감지부(130)는 캐리어(10)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복수의 캐리어(10)가 선별라인 상의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캐리어(10) 별로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캐리어(10)가 빈 상태일 때의 기준 중량에 대응하여 캐리어 고유번호가 부여된 상태에서, 선별대상물이 상부에 안착된 캐리어(10)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여 해당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캐리어(10)를 부여된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영역에서 작동(즉, 한쪽 방향으로 기울임)시켜 해당 선별대상물의 중량별로 정해진 선별영역에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선별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해 제어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배출실패 감지부(140)는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하는 것으로,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영역의 후단(즉, 선별다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중량 감지 방식, 광센싱 방식 등의 감지 센서를 통해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실패 감지 정보는 제어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실적을 집계하도록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를 통신단말기(1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배출실패가 감지될 경우 선별 실적을 차감하도록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통신단말기(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단말기(170)로부터 캐리어(10)별로 부여된 배출구 번호를 전달받아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영역별로 선별대상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선별대상물의 선별을 위해 가동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부재(160)를 제어하며, 솔레노이드부재(160)의 가동로드를 작동시켜 캐리어(1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선별대상물을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영역별로 낙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부재(160)는 선별영역에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되어 해당 영역별로 각각 가동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선별하거나, 혹은 복수의 캐리어(10)에 각각 구비되어 선별영역 중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해당 위치에서 가동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50)는 이송부(110)에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체인컨베이어의 회전을 통해 선별라인을 작동시키고, 선별라인의 컨베이어레일 상에서 선별대상물이 없는 빈 상태로 이송되는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을 측정하도록 중량측정부(120)로 측정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도록 캐리어 감지부(130)에 카운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중량측정부(120)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기준 중량과 캐리어 감지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복수의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를 통신단말기(170)로 제공하여 각각의 캐리어(10) 별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150)는 선별대상물 투입장치로부터 선별대상물이 투입될 경우 투입되는 선별대상물의 투입속도에 대응하여 체인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선별라인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10)에 선별대상물이 각각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면 중량측정부(120)에 측정 제어신호를 제공하면서 캐리어 감지부(130)에 카운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중량측정부(120)로부터 선별 중량을 전달받아, 캐리어 감지부(130)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캐리어(10)의 캐리어 고유번호와 함께 통신단말기(170)로 전달하고,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에 따라 통신단말기(170)를 통해 부여된 배출구 번호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선별영역별로 선별대상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배출실패 감지부(140)로부터 배출실패 감지 정보가 전달될 경우 선별 실적을 정산하기 위해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캐리어 고유번호 및 선별 중량과 함께 통신단말기(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50)는 배출실패된 캐리어(10)를 선별영역에 추가로 구비된 강제배출영역에 배출실패된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강제 배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부재(160)의 동작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에 따라 선별대상물이 선별 배출되도록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고,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에 따라 배출구 번호를 역추적하여 선별 실적을 차감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단말기(160)는 캐리어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캐리어 고유번호와, 캐리어 감지부(130) 및 배출실패 감지부(140)의 거리를 이용하여 배출실패된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160)는 배출실패된 캐리어(10)에 대응하는 캐리어 고유번호로부터 선별 중량 및 배출구 번호를 내부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 총중량에서 선별 중량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선별 실적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에서 선별 실적을 보정하는 것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별작업 초기화 과정에서 선별기에 전원이 투입되어 캐리어(10)가 이송되면 캐리어 감지부(130)를 통해 각 캐리어(10)에 가상의 캐리어 고유번호가 부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캐리어(10)의 수가 100개일 경우 0에서 99번까지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i번째 캐리어의 선별 정보를 설명하면, Wi는 i번째 캐리어에 실린 과일의 중량이고, Gi는 i번 캐리어에 지정된 배출구 번호이며, Wi와 Gi는 "Ki={Wi,Gi}라 하면, 여기서 i=0~n-1(n은 캐리어 수)"와 같은 집합으로 표시할 수 있고, n개의 캐리어가 있는 선별 장치가 선별을 진행할 경우 선별 정보는 K0, K1, K2, ....,Kn-1 순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통신단말기(17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배출실패 감지에 대해 설명하면, 캐리어 감지부(130)의 캐리어센서에서 배출실패 감지부(140)의 배출실패센서까지의 거리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캐리어 수로 표현할 수 있는데, n은 선별 장치의 총 캐리어 개수이고, i는 캐리어 감지부(130)에 감지된 캐리어 고유번호이며, Ln은 캐리어 감지부(130)의 캐리어센서에서 배출실패 감지부(140)의 배출실패센서까지의 거리이고, f는 배출실패된 캐리어 고유번호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Ln(캐리어 수로 환산한 거리)는 "L(mm로 환산한 거리)/P(캐리어 피치(mm))"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f=i-Ln(i>=Ln인 경우), f=n+1-Ln(i<Ln인 경우)"로 나타낼 수 있고, f로부터 선별정보 집합 Kf={Wf, Gf}를 내부 메모리에서 추출한 후에, 현재 배출구 Gf로 선별된 총중량(TWf)은 "TWf=TWf-Wf"로 보정될 수 있고, 총수량(TCf)은 "TCf=TCf-1"로 보정될 수 있다.
강제배출부(170)는 선별라인의 종단에 구비되어 선별대상물의 배출 실패 시에 캐리어(10)에서 선별대상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는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선별영역에 추가로 구비된 강제배출영역에 배출실패된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을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부(110)는 지지베이스(111), 체인컨베이어(112), 투입구(113), 선별다이(114), 보조다이(115) 등을 포함하여 캐리어(10)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베이스(111)는 선별 작업 공간에 지지 고정되는데, 선별라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의 긴 지지블록을 베이스로 하여 선별 장치의 각 구성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의 캐스터가 구비되어 이동 가능하고,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승강 가능한 복수의 안착부재가 구비되어 바닥면에 지지베이스(111)를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킬 수 있다.
체인컨베이어(112)는 지지베이스(111)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캐리어(10)를 회전 이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체인컨베이어(112)의 회전속도는 투입구(113)로부터 투입되는 선별대상물의 투입속도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투입구(113)는 선별라인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선별대상물이 투입되는데, 선별대상물 투입장치와 연결되어 선별대상물이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10도, 15도 등)에 따라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투입되는 선별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선별다이(114)는 선별대상물을 선별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선별라인의 종단에 측면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고,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에 따라 구획된 선별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에 따라 해당 선별영역에 위치하게 될 경우 솔레노이드부재(150)의 가동에 따라 캐리어(10)의 각도가 조절되어 선별다이(11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이 해당 선별영역에 안정적으로 낙하 선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선별다이(114)는 선별대상물이 낙하될 때 외부 손상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선별 배출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다양한 탄력재질(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우레탄, 스티로폼 등)의 안착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보조다이(115)는 선별대상물의 낙하를 대비하기 위해 선별대상물이 캐리어(10)에 안착되는 위치의 양측면 하부에 구비되는데, 투입구(113)를 통해 투입된 선별대상물이 캐리어(10)에 각각 안착된 후 선별라인의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이송되기 시작할 때 캐리어(10)에 안착된 선별대상물은 그 형태에 따라 불안정한 상태로 캐리어(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리어(10)의 상부에서 좌우로 낙하할 수 있어 이를 수집하기 위해 보조다이(115)가 구비될 수 있다.
중량측정부(120)는 캐리어(10)의 하부 양측에 접촉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캐리어(1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로드셀(load-cell)은 힘을 가하면 변형되어 스트레인게이지가 변형되고,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며,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값 변화에 비례하는 전압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힘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캐리어(10)의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량측정부(120)의 로드셀은 선별대상물과 캐리어(1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 감지부(130)는 체인컨베이어(1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캐리어(10)를 카운팅할 수 있는데, 포토센서(photo electronic sensor)는 광전센서라고도 하며, 빛을 이용한 센서로 레이저, 적외선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센서는 적외선(또는 레이저)을 조사하는 투광기와 적외선이 입사되는 수광기로 이루어져 수광기로의 입사 여부에 따라 대상물의 감지를 판단하는 투과형과, 적외선(또는 레이저)의 조사와 입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조사기와 적외선을 반사하는 미러를 구비하여 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적외선의 입사 여부에 따라 대상물의 감지를 판단하는 미러 반사형과, 적외선(또는 레이저)의 조사와 입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조사기만을 구비하여 대상물이 있을 경우에만 수광할 수 있는 확산 반사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의 종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캐리어에 부여된 캐리어 고유번호에 동기화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참조하여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여 선별대상물을 각각 배출하는 중에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센싱하여 배출실패된 선별대상물의 배출구 번호와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에 따른 부정확한 정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별대상물의 선별 시 제어부에서 캐리어 고유번호 및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을 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통신단말기에서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 및 배출구 번호를 결정한 후에 배출구별 선별 실적을 집계함으로써, 선별대상물을 캐리어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선별 중량에 따라 배출구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 실적을 정확하게 집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 시 제어부에서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대상물의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통신단말기에 제공하고, 통신단말기에서 배출실패된 캐리어 고유번호를 역추적한 후에, 역추적한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선별 실적에서 차감함으로서,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로 인한 부정확한 정산을 정확하게 바로잡아 선별 실적을 집계할 수 있다.

Claims (10)

  1.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선별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와,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여 캐리어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캐리어 감지부와,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하는 배출실패 감지부와,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저장한 후에,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중에 상기 선별라인 상으로 이송되는 선별 캐리어의 선별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선별대상물의 선별 실적을 집계하도록 상기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를 전달하며, 상기 배출실패가 감지될 경우 상기 선별 실적을 차감하도록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선별 중량 및 캐리어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선별대상물이 선별 배출되도록 배출구 번호를 결정하고,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 선별 중량 및 배출실패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배출구 번호를 역추적하여 상기 선별 실적을 차감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캐리어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와, 상기 캐리어 감지부 및 배출실패 감지부의 거리를 이용하여 배출실패된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를 추출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별대상물의 선별을 위해 가동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부재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결정된 상기 배출구 번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의 가동로드를 작동시켜 상기 캐리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별대상물을 상기 배출구 번호에 따라 낙하시키도록 제어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는,
    상기 선별라인의 종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 실패 시에 상기 캐리어에서 상기 선별대상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강제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배출실패된 상기 캐리어에 대응하는 상기 캐리어 고유번호로부터 상기 선별 중량 및 배출구 번호를 내부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상기 배출구 번호에 대응하는 선별 총중량에서 상기 선별 중량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별 실적을 보정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선별 작업 공간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컨베이어레일을 따라 상기 캐리어를 회전 이송하는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선별라인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선별대상물이 선별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선별다이
    를 포함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선별대상물의 낙하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선별대상물이 상기 캐리어에 안착되는 위치의 양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보조다이
    를 더 포함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는, 상기 캐리어의 하부 양측에 접촉되는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의 중량을 측정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감지부는, 상기 체인컨베이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캐리어를 카운팅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실패 감지부는, 상기 선별다이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중량 감지 방식 또는 광센싱 방식으로 상기 선별대상물의 배출실패를 감지하는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KR1020200033934A 2020-03-19 2020-03-19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Active KR10213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934A KR102136112B1 (ko) 2020-03-19 2020-03-19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934A KR102136112B1 (ko) 2020-03-19 2020-03-19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112B1 true KR102136112B1 (ko) 2020-07-22

Family

ID=7189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934A Active KR102136112B1 (ko) 2020-03-19 2020-03-19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33846A (zh) * 2024-02-01 2024-04-26 杭州聚萤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技术的电商智慧化物流配送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855B2 (ja) * 1988-06-21 1999-02-03 株式会社 マキ製作所 青果物選別機の定数定量仕分け搬出方法
KR100307930B1 (ko) * 1998-09-24 2001-11-30 김배호 과일선별기
KR20040062800A (ko) 2003-01-03 2004-07-09 이완재 중량감지식 자동 선과 장치
KR101951412B1 (ko) * 2018-07-30 2019-02-22 주식회사 아이오네틱스 중량 선별 자동 보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855B2 (ja) * 1988-06-21 1999-02-03 株式会社 マキ製作所 青果物選別機の定数定量仕分け搬出方法
KR100307930B1 (ko) * 1998-09-24 2001-11-30 김배호 과일선별기
KR20040062800A (ko) 2003-01-03 2004-07-09 이완재 중량감지식 자동 선과 장치
KR101951412B1 (ko) * 2018-07-30 2019-02-22 주식회사 아이오네틱스 중량 선별 자동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33846A (zh) * 2024-02-01 2024-04-26 杭州聚萤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技术的电商智慧化物流配送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6800A (en) Weight and color classifier for fruit
US4231439A (en) Automatic check weigher
US45507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the weight of a moving article
US9599503B2 (en) Checkweig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52858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KR102136112B1 (ko) 부정확한 정산 문제 해결을 위한 선별 장치
NO331421B1 (no) Porsjonering med tilbakemeldingskorreksjon
GB2214646A (en) High speed weighing apparatus
KR102171867B1 (ko) 캐리어 파손 감소를 위한 선별 장치
US6408223B1 (en) Weighing system of the dynamic type
KR20010038018A (ko) 컨베이어 배출위치의 변이를 자동감지하는 컵형과일선별기 및 선별방법
JPS6327649B2 (ko)
JP2706838B2 (ja) 重量選別装置
JPS5951357B2 (ja) 自動選別装置
KR20120021769A (ko) 센서를 이용한 과실 자동 선별장치
JPS6330566B2 (ko)
FR2591334A1 (fr) Balance de combinaison
US2833408A (en) Egg separating machine
JP3714326B2 (ja) 青果物の選別装置
JPH0263583A (ja) 電子秤を用いた選別装置
CN115839754A (zh) 物品重量检测方法
US5359544A (en) Monitor for continuous feeding of collated articles
CN216262066U (zh) 智能在线检重装置
JP4864361B2 (ja) 重量式選別装置及びその選別方法
EP0044731A2 (en) Conveyor weighing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