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646B1 - Exhaust heat storage system of vehicle - Google Patents
Exhaust heat storage system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5646B1 KR102135646B1 KR1020140091203A KR20140091203A KR102135646B1 KR 102135646 B1 KR102135646 B1 KR 102135646B1 KR 1020140091203 A KR1020140091203 A KR 1020140091203A KR 20140091203 A KR20140091203 A KR 20140091203A KR 102135646 B1 KR102135646 B1 KR 102135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water
- heat storage
- heat
- water pipe
- exha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heat accumula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수된 배기열을 축열하는 저장하는 축열기를 구비하고, 축열기에 저장된 열을 냉간시동시 사용함으로써 웜업이 빨라 연료가 절약되고, 오염 물질 배출이 감소되며, 엔진 시동 즉시 난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heat accumulator of a vehicle, having a heat accumulator for storing the heat of the recovered exhaust, and using heat stored in the heat accumulator during cold start to speed up warm-up to save fuel and reduce pollutant emissions. And heating is possible as soon as the engine star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열을 냉각수로 회수하여 축열기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엔진 냉간시동 및 실내난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heat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haust heat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s that can be used for cold starting of engines and indoor heating after storing the exhaust heat as cooling water and storing it in a heat storage device.
자동차의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드라이브라인을 통해 휠에 전달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동력 발생 장치이다.The engine of a vehicle is a power genera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enables driving by converting thermal energy generated by burning fuel into kinetic energy and transmitting it to a wheel through a drive line.
그러나 차량 구동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체 발생 에너지 중 일부에 그치며 대부분의 에너지는 엔진 및 배기계의 표면과 배기가스 배출에 의해 열에너지의 형태로 대기중으로 발산되어 소실된다.However, the energy used for driving the vehicle is only a part of the total generated energy, and most of the energy is dissipated and dissipated into the atmosphere in the form of thermal energy by exhausting the surfaces of the engine and exhaust system.
그 중 고온의 배기가스 배출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특히 크므로 배기열 회수 시스템(EHRS : Exhaust Heat Recovery System)을 적용하여 배기열의 일부를 회수하여 실내 난방에 이용하고 있다.Among them, the energy loss due to the exhaust of high-temperature exhaust gas is particularly large, so a part of exhaust heat is recovered and used for indoor heating by applying an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EHRS).
종래의 배기열 회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열교환기(3)를 설치하고, 엔진(1)과 열교환기(3) 및 실내 난방용 히터(4)를 순환하는 냉각수관(5)을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as shown in Figure 1,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3)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pipe (2), the engine (1) and the heat exchanger (3) and the heater for indoor heating (4) It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a circulating cooling water pipe (5) is installed.
따라서, 엔진(1)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배기관(2)에 설치된 열교환기(3)를 경유하면서 배기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고, 이 후 히터(4)를 통과하면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데워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엔진(1)에서 배출된 후 배기관(2)을 통해 대기중으로 그대로 배출되던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실내 난방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이용률을 향상시켰다.Therefore,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engine 1 absorbs and heats the exhaust gas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3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2, and then passes the heater 4 to supply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Warming is done. That is, the energy utilization rate is improved by recovering the heat of exhaust gas that has been discharged from the engine 1 and then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exhaust pipe 2 for use in indoor heating.
상기와 같이 냉각수로 배기열을 회수하는 배기열 회수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0867호(자동차부품연구원, 배기열을 이용한 냉각수 예열장치)와, 공개특허공보 10-2012-0133487호(디젠스(주)/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배기열 회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n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for recovering exhaust heat with cooling wat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2-0080867 (Automotive Components Research Institute, Cooling Water Preheating Device Using Exhaust Heat),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33487 (Disense ( Note)/Gongju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utomotiv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그러나, 종래의 배기열 회수장치는 시동 직후 즉, 배기가스와 배기관(2)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한 경우, 냉각수 승온량이 작아 엔진 웜업 성능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또한 같은 이유에 의해 겨울철 시동 직후 실내 난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immediately after starting,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nd the exhaust pipe 2 is not sufficiently increased, the amount of cooling water is small, so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engine warm-up performance is small, and immediately after starting in winter for the same reason There was a problem that indoor heating was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간시동시 조기 웜업을 이룸으로써 연비를 저감하고, 오염물질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엔진 시동 즉시 난방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배기열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duces the fuel consumption, reduces the generation of contaminants, and reduces the generation of pollutants by achieving an early warm-up during cold star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된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와 실내 난방용 히터를 연결하는 배출 냉각수관에 이중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바이패스 냉각수관과, 상기 배출 냉각수관과 바이패스 냉각수관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냉각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냉각수관에 설치된 축열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ypass cooling water pipe installed to form a dual path in the exhaust cooling water pipe connecting the heat exchanger for exhaust heat recovery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of the engine and the heater for indoor heating, and the exhaust cooling water pipe and the bypass It is installed at the branch point of the pass cooling water pipe and includes a flow path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cooling water flow path and a heat accumulator installed in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본 발명은, 상기 배출 냉각수관에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냉각수온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냉각수관에 축열기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냉각수온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1냉각수온센서와 제2냉각수온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유로조절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를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r for exhaust heat recovery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regenerator 2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and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path control valve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제1냉각수온센서의 측정값이 제2냉각수온센서의 측정값 보다 작을 때 엔진 웜업단계로 판단하고,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여 배출 냉각수관을 차단하고 바이패스 냉각수관을 개방하여 모든 냉각수가 축열기를 경유하도록 한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is smaller tha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rmines the engine warm-up stage, controls the flow path control valve to shut off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and opens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So that all the coolant goes through the heat accumulator.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제1냉각수온센서의 측정값이 제2냉각수온센서의 측정값 이상일 때 웜업후단계로 판단하고,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여 배출 냉각수관을 개방하고 바이패스 냉각수관을 차단하여 모든 냉각수가 축열기를 경유하지 않고 실내 난방용 히터를 경유하도록 한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it is a warm-up step, and controls the flow path control valve to open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and block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Make sure that all coolant goes through the heater for indoor heating, not through the heat accumulator.
상기 전자제어유니트는 제1냉각수온센서의 측정값이 설정된 서모스탯 개방온도 이상일 때 주행단계로 판단하고,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여 배출 냉각수관과 바이패스 냉각수관을 모두 개방하여 냉각수가 축열기를 경유하지 않는 경로와 축열기를 경유하는 경로 모두를 통해 흐르도록 한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judges the driving step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is higher than the set thermostat opening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flow path control valve to open both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and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to open the cooling water accumulator. Make sure that it flows through both the non-via path and the path via the heat accumulator.
상기 축열기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축열용 열교환기와, 축열용 열교환기가 내장되는 내측케이스와, 내측케이스가 내장되는 외측케이스 및 축열용 열교환기와 내측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충진된 열저장물질을 포함한다.The regenerator includes a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passes, an inner case in which a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is built, an outer case in which an inner case is built, and a heat storage material filled in a space between the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and the inner case.
상기 내측케이스와 외측케이스의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된다.An insul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상기 단열공간은 진공으로 형성된다.The insulation space is formed by vacuum.
상기 단열공간에 단열재가 설치된다.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insulating space.
상기 축열용 열교환기의 냉각수 유입구와 배출구가 외측케이스의 커버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The cooling water inlet and outlet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protrude through the cover of the outer case.
상기 내측케이스에 형성된 열저장물질 주입구가 외측케이스의 커버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The heat storage material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inner case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of the outer case.
상기 외측케이스의 내측케이스 내장을 위한 개구부 상단에 실링이 설치되어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의 사이 틈새가 밀폐된다.
A sealing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opening for the interior of the inner case of the outer case to seal the gap between the cover covering the open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동 직후 축열기에 저장된 열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가열하여 엔진 웜업을 신속히 이룸으로써 시동 초기의 연료사용량을 감소시켜 연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heat stored in the accumulator immediately after start-up to heat the cooling water to quickly achieve engine warm-up, fuel consumption at the beginning of start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fuel efficiency.
또한, 엔진 웜업이 신속히 이루어짐으로써 시동 초기에 다량 발생되는 대기 오염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ngine warm-up is performed quickly, the amount of air pollutants generated in a large amount at the initial start-up can be reduced.
또한, 축열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냉각수가 실내 난방용 히터를 경유함으로써 시동 직후부터 실내 난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accumulator passes through the heater for indoor heating, thereby enabling indoor heating immediately after start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엔진 웜업단계의 본 발명의 작동 설명도.
도 4는 엔진 웜엄 후 라디에이터에 의한 냉각수 냉각 실시 전 단계의 본 발명의 작동 설명도.
도 5는 라디에이터에 의한 냉각수 냉각이 이루어지는 주행 단계의 본 발명의 작동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축열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I-I선 단면도로서, 축열기의 개략 종단면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n exhaust heat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gine warm-up phase.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oling of the cooling water by the radiator after the engine wormham.
5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veling step in which cooling water is cooled by a radiator.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accumulator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in Fig. 6, and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regenerato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ecedent.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엔진(10)의 배기관(20)에 설치된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와 실내 난방용 히터(40)를 연결하는 배출 냉각수관(22)에 이중 경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바이패스 냉각수관(24)과,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냉각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50) 및 바이패스 냉각수관(24)에 설치된 축열기(60)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xhaust heat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는 엔진(10)에 연결된 배기관(20)의 외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배기관(20)의 끝에는 머플러가 설치된다.The
엔진(10)과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 사이에는 유입 냉각수관(21)이 연결되고,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와 실내 난방용 히터(40)의 사이에는 배출 냉각수관(22)이 연결되며, 실내 난방용 히터(40)와 엔진(10)의 사이에는 복귀 냉각수관(23)이 연결된다. 따라서, 엔진(10)에서 배출된 냉각수는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와 실내 난방용 히터(40)를 경유하여 엔진(10)으로 복귀하며, 이에 냉각수는 실내 난방에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할 수 있다.The inlet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은 양 단부가 배출 냉각수관(22)의 일측부와 그 보다 하류의 타측부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 난방용 히터(4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경로를 2개의 경로로 형성한다.The bypass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의 분기점에는 유로조절밸브(50)가 설치된다. 유로조절밸브(50)는 전자제어유니트(7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데, 작동 상태에 따라 배출 냉각수관(22)만을 개방하거나, 바이패스 냉각수관(24)만을 개방하거나,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모두 개방한다.A flow
배출 냉각수관(21)의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 후단부와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의 축열기(60) 후단부에는 각각 제1냉각수온센서(81)와 제2냉각수온센서(82)가 설치된다. 제1냉각수온센서(81)와 제2냉각수온센서(82)는 측정된 냉각수 온도값을 전자제어유니트(70)에 전달한다.The first cooling
전자제어유니트(70)는 엔진의 운전을 제어하는 엔진제어유니트일 수 있으며, 제1냉각수온센서(81)와 제2냉각수온센서(82)에서 측정된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의 배출 냉각수 온도값과 축열기(60)의 배출 냉각수 온도값을 유로조절밸브(50)의 제어에 이용한다.The
전자제어유니트(70)는 엔진 웜업단계와, 웜업후단계와, 주행단계로 나누어 유로조절밸브(50)를 제어한다.The
전자제어유니트(70)는 엔진 시동 직후의 웜업단계에서는 유로조절밸브(50)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제어하고(도 3 참조), 웜업후단계에서는 유로조절밸브(50)를 배출 냉각수관(22)쪽으로만 개방되도록 제어하며(도 4 참조), 이후의 주행단계에서는 유로조절밸브(50)를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 양쪽 모두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도 5 참조).The
전자제어유니트(70)는 엔진시동스위치 on신호에 의해 엔진 시동을 인지하고, 제1냉각수온센서(81)에서 측정된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출구 온도값이 제2냉각수온센서(82)에서 측정된 축열기 출구 온도값보다 작을 때 엔진 웜업단계로 판단한다.The
그리고, 제1냉각수온센서(81)의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출구 온도값이 제2냉각수온센서(82)의 축열기 출구 온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는 엔진 웜업후단계로 판단한다.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exhaust heat from the first cooling
마지막으로, 제1냉각수온센서(81)의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출구 온도값이 서모스탯 개방온도 이상일 때는 주행단계로 판단한다. 서모스탯 개방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85℃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조금 상회하는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여 주행단계를 판단(즉, 잉여열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이용한다.Finally, when the exi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exhaust heat from the first cooling
축열기(6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가 경유하는 축열용 열교환기(61)와, 축열용 열교환기(61)를 공간을 두고 둘러싸는 내측케이스(62)와, 내측케이스(62)를 공간을 두고 둘러싸는 외측케이스(63)로 이루어진다.The
축열용 열교환기(61)는 상면의 양측에 유입구(61a)와 배출구(61b)가 형성된다. 유입구(61a)와 배출구(61b)는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의 축열기(60) 양단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축열용 열교환기(61)를 경유하는 냉각수 경로를 형성한다.The heat exchanger for
내측케이스(62)의 상면 중앙에는 열저장물질 주입구(62a)가 형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외측케이스(63)는 상면을 덮는 커버(63a)를 구비하며, 커버(63a)에는 축열용 열교환기(61)의 유입구(61a)와 배출구(61b) 및 내측케이스(62)의 열저장물질 주입구(62a)의 대응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유입구(61a)와 배출구(61b) 및 열저장물질 주입구(62a)가 커버(63a)의 상측으로 돌출된다.The
외측케이스(63)의 상단 테두리 부분에는 고무재질의 실링(66)이 장착되어 외측케이스(63)와 커버(63a)의 사이를 밀폐한다.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축열용 열교환기(61)와 내측케이스(62)의 사이 공간에는 열저장물질(64)이 충진된다. 열저장물질(64)은 열저장물질 주입구(62a)를 통해 내측케이스(62) 내부 공간으로 주입된다. 열저장물질로는 PCM(Phase change material)으로 지칭되는 상변화물질이나 용융염(molten salt) 등이 이용될 수 있다.A
상기와 같이, 축열용 열교환기(61)를 열저장물질(64)이 감싸고 있으므로,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에서 배출된 냉각수가 축열용 열교환기(61)를 경유할 때 냉각수의 열이 열저장물질(64)로 전달되어 열저장물질(64)에 열이 저장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내측케이스(62)와 외측케이스(63) 사이의 공간은 단열공간(65)으로서, 이 단열공간(65)은 단순한 빈 공간 또는 진공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로서는 신소재 단열재인 에어로겔을 충진하거나 또는 진공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을 설치할 수 있다.The space between the
단열재를 구비한 단열공간(65)에 의해 내측케이스(62)와 외측케이스(63) 사이의 열전달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열저장물질(64)에 저장된 열이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게 된다.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축열기(60)는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를 경유하면서 배기열을 회수한 냉각수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축열 저장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엔진이 시동되고, 제1냉각수온센서(81)에서 측정된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출구 온도값이 제2냉각수온센서(82)에서 측정된 축열기 출구 온도값보다 작으면 엔진 웜업단계로서, 전자제어유니트(70)는 유로조절밸브(50)를 작동시켜, 도 3과 같이, 배출 냉각수관(22)은 폐쇄하고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개방한다.If the engine is started and the outle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exhaust heat measured by the first cooling
이때 축열기(60)에는 이전의 주행단계에서 축열된 열이 저장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heat accumulating in the previous driving step is stored i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냉각수 경로를 제어하면,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에서 배출된 냉각수는 축열기(60)를 거치면서 축열기(60)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다시 한 번 가열될 수 있다. 축열기(60)를 통과하여 가열된 냉각수는 실내 난방용 히터(40)를 경유하고 복귀 냉각수관(23)을 통해서 엔진(10)으로 복귀한다.Therefore, when the cooling water path is controlled as described above,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상기와 같이 냉각수가 엔진(10)과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 뿐만 아니라 축열기(60)에 의해 가열되어 그 승온 속도가 향상되므로 엔진 웜업이 조기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동 초기 냉간 운전시, 신속한 웜업을 위해 엔진 제어 로직에 의해 연료공급량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엔진회전수를 증가시키던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연료 소비량이 감소됨으로써 연비가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oling water is heated by the
또한, 냉각수가 축열기(60)의 열을 흡수한 후 실내 난방용 히터(40)를 경유하면서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시동 직후에도 실내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겨울철에도 시동과 더불어 즉시 난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fter cooling water absorbs the heat of the
엔진 가동이 지속되어 냉각수온이 향상됨으로써 제1냉각수온센서(81)의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출구 온도값이 제2냉각수온센서(82)의 축열기 출구 온도값 보다 크거나 같을 때는 엔진의 웜업이 종료된 웜업후단계로 판단한다.When the engine is continuously operated and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is improved, the engine warms up when the outle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the exhaust heat of the first cooling
이 단계에서 전자제어유니트(70)는 유로조절밸브(50)를 작동시켜, 도 4와 같이, 배출 냉각수관(22)을 개방하고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폐쇄한다. 이 단계는 축열기(60)가 더 이상 냉각수를 가열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축열기(60) 쪽으로의 냉각수 흐름은 차단하여 모든 냉각수가 배출 냉각수관(22)을 통해 실내 난방용 히터(40)로 흐르게 함으로써 엔진(10)과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에서 승온된 냉각수의 열을 모두 실내 난방에 사용한다.In this step, the
이후, 시간이 더 경과하면 냉각수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서모스탯이 개방되고 냉각수는 위에 설명한 난방용 순환경로 뿐만 아니라 엔진과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는 냉각수 냉각용 순환경로(도시하지 않음)를 순환하게 된다. 이 단계는 일반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는 주행단계로서 냉각수 냉각이 필요한 즉, 냉각수에 잉여열이 발생하는 단계로서 그 잉여열을 축열기(60)에 저장할 수 있는 단계이다.Subsequently, when the time elaps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rises further, and the thermostat is opened, and the coolant circulates not only the heating circulation path described above, but also a circulation path for cooling water cooling (not shown) circulating through the engine and the radiator. This step is a driving step in which normal running is performed, and cooling of cooling water is required, that is, a step in which excess heat is generated in the cooling water, and the excess heat is stored in the
따라서, 제1냉각수온센서(81)의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출구 온도값이 서모스탯 개방온도 이상일 때, 전자제어유니트(70)는 주행단계로 판단하고, 도 5와 같이, 유로조절밸브(50)를 작동시켜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를 모두 개방한다.Therefore, when the outle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exhaust heat of the first cooling
따라서, 냉각수가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모두 경유하여 흐르게 되므로 엔진(10) 및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에서 흡수한 열을 실내 난방에 이용함과 더불어 축열기(60)의 축열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both the exhaust cooling
상기 주행단계에서 축열기(60)에 축열 저장된 열은 차량 운행 정지(엔진 정지) 상태에서 축열기(60)내에 보관되며, 이후 차량 운행 개시를 위해 엔진이 시동될 때 엔진의 조속한 웜업과 실내 즉시 난방에 이용된다.In the driving step, the heat stored in the
한편, 축열기(60)는 내측케이스(61)와 외측케이스(62)로 이루어진 이중 케이스 구조, 열저장물질(64)의 열저장 성능, 단열공간(65)의 단열 성능에 의하여 냉각수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열을 오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축열기(60)의 구성 설명 부분에서 이미 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대기중으로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저장하여 필요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겨울철 냉간 시동시 연료 소모량을 줄일 수 있고, 오염물질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동 즉시 실내 난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el consumption during cold start in winter can be reduced, pollutant emissions can be reduced, and indoor heating is possible immediately after start-up by storing heat energy that is wasted into the air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can be used when necessary.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pertains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 엔진 20 : 배기관
21 : 유입 냉각수관 22 : 배출 냉각수관
23 : 복귀 냉각수관 24 : 바이패스 냉각수관
30 :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40 : 실내 난방용 히터
50 : 유로조절밸브 60 : 축열기
70 : 전자제어유니트 81 : 제1냉각수온센서
82 : 제2냉각수온센서10: engine 20: exhaust pipe
21: inlet cooling water pipe 22: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23: return cooling water pipe 24: bypass cooling water pipe
30: heat exchanger for exhaust heat recovery 40: heater for indoor heating
50: flow control valve 60: heat storage
70: electronic control unit 81: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2: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Claims (12)
상기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냉각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50) 및
상기 바이패스 냉각수관(24)에 설치된 축열기(6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냉각수관(22)에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30)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냉각수온센서(81)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냉각수관(24)에 축열기(60)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냉각수온센서(82)가 설치되며, 상기 제1냉각수온센서(81)와 제2냉각수온센서(82)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유로조절밸브(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냉각수온센서(81)의 측정값이 제2냉각수온센서(82)의 측정값 이상일 때 웜업후단계로 판단하고, 유로조절밸브(50)를 제어하여 배출 냉각수관(22)을 개방하고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차단하여 모든 냉각수가 축열기(60)를 경유하지 않고 실내 난방용 히터(40)를 경유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A bypass cooling water pipe (24) installed to form a dual path in the exhaust cooling water pipe (22) connecting the heat exchanger (30) for exhaust heat recovery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20) of the engine (10) and the heater (40) for indoor heating ,
A flow path control valve (50) is installed at the branch points of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22) and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24) to control the cooling water flow path, and
It includes a heat storage (60) installed in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24),
A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1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r 30 for recovering exhaust hea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22, and a heat accumulator 60 is installed in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24. ) Is installed a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flow control valve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1 and the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2 ( 50)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2, it is determined as a warm-up step, and the discharge cooling water pipe 22 is opened by controlling the flow path control valve 50. And by blocking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24, the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the vehicle so that all the cooling water is passed through the heater 40 for indoor heating without going through the heat storage (60).
상기 전자제어유니트(70)는 제1냉각수온센서(81)의 측정값이 제2냉각수온센서(82)의 측정값 보다 작을 때 엔진 웜업단계로 판단하고, 유로조절밸브(50)를 제어하여 배출 냉각수관(22)을 차단하고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개방하여 모든 냉각수가 축열기(60)를 경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engine warm-up step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1 is smaller than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2, and controls the flow control valve 50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block the exhaust cooling water pipe (22) and open the bypass cooling water pipe (24) so that all cooling water passes through the heat storage (60).
상기 전자제어유니트(70)는 제1냉각수온센서(81)의 측정값이 설정된 서모스탯 개방온도 이상일 때 주행단계로 판단하고, 유로조절밸브(50)를 제어하여 배출 냉각수관(22)과 바이패스 냉각수관(24)을 모두 개방하여 냉각수가 축열기(60)를 경유하지 않는 경로와 축열기(60)를 경유하는 경로 모두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70 determines the driving step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81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et thermostat opening temperature, and controls the flow control valve 50 to discharge the cooling water pipe 22 and the bi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by opening all of the pass cooling water pipe (24), the cooling water flows through both the path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heat accumulator (60) and the path that passes through the heat accumulator (60).
상기 축열기(60)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축열용 열교환기(61)와, 축열용 열교환기(61)가 내장되는 내측케이스(62)와, 내측케이스(62)가 내장되는 외측케이스(63) 및 축열용 열교환기(61)와 내측케이스(62)의 사이 공간에 충진된 열저장물질(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accumulator 60 is a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61 through which cooling water passes, an inner case 62 in which a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61 is built, and an outer case 63 in which an inner case 62 is built. And a heat storage material (64) filled in a space between the heat exchanger (61) for heat storage and the inner case (62).
상기 내측케이스(62)와 외측케이스(63)의 사이에 단열공간(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on space 65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62) and the outer case (63).
상기 단열공간(65)이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space 65 is a vacuum.
상기 단열공간(65)에 단열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on is installed in the heat insulation space (65).
상기 축열용 열교환기(61)의 냉각수 유입구(61a)와 배출구(61b)가 외측케이스(63)의 커버(63a)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ooling water inlet (61a) and the outlet (61b) of the heat exchanger for heat storage (61) passes through the cover (63a) of the outer case (63) protruding outside the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상기 내측케이스(62)에 형성된 열저장물질 주입구(62a)가 외측케이스(63)의 커버(63a)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storage material injection hole (62a) formed in the inner case (62) penetrates the cover (63a) of the outer case (63)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상기 외측케이스(63)의 내측케이스(62) 내장을 위한 개구부 상단에 실링(66)이 설치되어, 개구부를 덮는 커버(63a)와의 사이 틈새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열 축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xhaust heat storage devic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eal (66)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opening for the interior of the inner case (62) of the outer case (63), and the gap between the cover (63a) covering the opening is sealed.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203A KR102135646B1 (en) | 2014-07-18 | 2014-07-18 | Exhaust heat storage system of vehicle |
EP15821457.7A EP3170998B1 (en) | 2014-07-18 | 2015-06-15 | Automobile exhaust heat storage device |
PCT/KR2015/006032 WO2016010266A1 (en) | 2014-07-18 | 2015-06-15 | Automobile exhaust heat storage device |
US15/327,132 US10309364B2 (en) | 2014-07-18 | 2015-06-15 | Exhaust heat regenerator for vehicle |
CN201580039296.0A CN106536884B (en) | 2014-07-18 | 2015-06-15 | The exhaust gas heat regenerative apparatus of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1203A KR102135646B1 (en) | 2014-07-18 | 2014-07-18 | Exhaust heat storage system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0167A KR20160010167A (en) | 2016-01-27 |
KR102135646B1 true KR102135646B1 (en) | 2020-07-21 |
Family
ID=5530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1203A Active KR102135646B1 (en) | 2014-07-18 | 2014-07-18 | Exhaust heat storage system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64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4463A (en) | 2017-08-31 | 2019-03-08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Heat Regenerator of Vehicle |
DE102018202257A1 (en) * | 2018-02-14 | 2019-08-14 | Hanon Systems | Heat storage for a car |
KR102458675B1 (en) * | 2020-12-23 | 2022-10-26 | 한국기계연구원 | Engine Preheat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for Small Ship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8827A (en) * | 2006-08-09 | 2008-02-21 | Calsonic Kansei Corp | Method of controlling rapid heating system for engine |
JP2009073430A (en) * | 2007-09-24 | 2009-04-09 | Denso Corp | In-vehicle assembled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5199B1 (en) * | 2011-12-09 | 2013-09-12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Heat storage device of vehicle |
-
2014
- 2014-07-18 KR KR1020140091203A patent/KR1021356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8827A (en) * | 2006-08-09 | 2008-02-21 | Calsonic Kansei Corp | Method of controlling rapid heating system for engine |
JP2009073430A (en) * | 2007-09-24 | 2009-04-09 | Denso Corp | In-vehicle assembled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0167A (en) | 2016-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26322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battery control | |
JP2008038827A (en) | Method of controlling rapid heating system for engine | |
KR101637680B1 (en) | Thereof controlling method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 | |
CN201486636U (en) | Cooling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43636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n automobile cabin | |
US20090229543A1 (en) | Cooling device for engine | |
US20090229649A1 (en) | Thermal management for improved engine operation | |
JP6096492B2 (en) | Engine cooling system | |
JP5403171B2 (en) | Engine cooling system | |
JP6090138B2 (en) | Engine cooling system | |
CN104989548A (en) | Engine coolant waste heat utilization engine warming system adopting solid-liquid phase change heat reservoir and method of engine coolant waste heat utilization engine warming system | |
CN110792501B (en) | Control method of cooling system for vehicle | |
CN109630246A (en) | A kind of automotive residual heat recycling and reusing system | |
KR102135646B1 (en) | Exhaust heat storage system of vehicle | |
CN104948373A (en) | Engine waste heat utilization heat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adopting solid liquid phase change heat reservoir | |
JP2004060652A (en) | Method for operating cooling and heating circulation passage for automobile and cooling and heating circulation passage | |
KR20120094567A (en) | Heat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ing waste heat | |
JP5801593B2 (en) | Thermal storage heating system for vehicles | |
JP2011052662A (en) | Waste heat recovery device for vehicle | |
JP6254822B2 (en) | Engine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 |
JP2005351173A (en) | Heat storage system | |
JP2012127323A (en) | Thermal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JP4034010B2 (en) | Vehicle heat storage system | |
US11181036B2 (en) | Cooling water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19031923A (en) | Engine temperature adjus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