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41B1 -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 Google Patents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5141B1 KR102135141B1 KR1020190176834A KR20190176834A KR102135141B1 KR 102135141 B1 KR102135141 B1 KR 102135141B1 KR 1020190176834 A KR1020190176834 A KR 1020190176834A KR 20190176834 A KR20190176834 A KR 20190176834A KR 102135141 B1 KR102135141 B1 KR 102135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car
- elevator
- air
- housing
- fine d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abstract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4—Ventil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24F3/1603—
-
- F24F3/16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 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다수의 사람들이 탑승하고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병원균 및 바이러스 감염자가 탑승할 경우 좁고 밀폐된 공간에 사람들이 밀집되어 병원균을 옮기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비해 미세먼지 및 병원균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탁해지고, 다량의 미세먼지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더욱 답답하게 느껴지며, 감염의 위험 또한 증가하고,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아 엘리베이터 내부가 쾌적하지 못하며, 관리자가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해주기 어려워 고장이 잦고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 어플리케이션 서버, 메인 단말 모듈로 구성됨으로써,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내에 쾌적한 온도을 유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이동시 승강로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먼지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고 내리며 내부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병원균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구조를 형성하여 잠시동안 엘리베이터를 타더라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관리자가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existing elevator car, fine dust contained in the hoistway in which the elevator car moves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r fine dust generated in the course of a large number of people boarding and unloading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pathogens and virus infected persons can board. In this case, compared to creating a good environment for people to move pathogens due to crowded people in a small and confined space, the air inside the elevator becomes cloudy because the discharge of fine dust and pathogens does not occur smoothly, and the elevator feels more frustrating due to the large amount of fine dust. In addition, the risk of infection increases, and the inside of the elevator is not comfortable due to seasonal external temperature, and it is difficult for administrators to manage and manage multiple elevators in real time, making it difficult to understand and manage each elevator information in real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vehicle, it is composed of an elevator car module unit, an application server, and a main terminal module, so that a comfortable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in an elevator regardless of a change in extern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ason. It prevents a large amount of fine dust generated from entering the elevator, and a number of people board and unload in the elevator car, discharge fine dust and pathogens generated inside, and form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flows in fresh air for a whi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that can maintain a pleasant environment even while riding an elevator, and provides a comfortable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in which a manager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of multiple elevators in real time and respond quick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필터링되어 청정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며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순환구조를 형성하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여 조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내부를 항상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고,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카 내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to continuously supply clean air, forms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that discharges air containing fin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o control the inside of the elevator car, making it always comfortable It relates to an elevator that can be maintained as an environment and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inside a plurality of elevator cars in real time, thereby forming a pleasant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that can quickly respond.
기존의 엘리베이터 카 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승강로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다수의 사람들이 탑승하고 내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병원균 및 바이러스 감염자가 탑승할 경우 좁고 밀폐된 공간에 사람들이 밀집되어 병원균을 옮기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데 비해 미세먼지 및 병원균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엘리베이터 내부의 공기가 탁해지고, 다량의 미세먼지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더욱 답답하게 느껴지며, 감염의 위험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inside of an existing elevator car is narrow and sealed when fine dust contained in the hoistway in which the elevator car moves is accumulated or fine dus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a large number of people boarding and unloading is continuously accumulated. Compared to the fact that people are concentrated in a confined space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moving pathogens, the discharge of fine dust and pathogens does not occur smoothly, and the air inside the elevator becomes turbid, and due to the large amount of fine dust, the elevator feels more frustrating and infected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risk.
또한, 무더운 여름철에 엘리베이터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하여 후덥지근해지고 불쾌지수가 높아지며, 추운 겨울철에 엘리베이터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여 손·발이 시려운 등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아 엘리베이터 내부가 쾌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elevator rises in a hot summer season, and it becomes warm and unpleasant,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vator decreases in cold winter, and the inside of the elevator is not affected by the seasonal external temperature such as itching hands and feet. There was an unsuccessful problem.
또한, 소수의 관리자가 다수의 엘리베이터를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각각의 엘리베이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리해주기 어려워 고장이 잦고 소모품의 교체주기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small number of managers manage a large number of elevators as a whole,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and manage each elevator information in real tim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내에 쾌적한 온도을 유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이동시 승강로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먼지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고 내리며 내부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병원균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구조를 형성하여 잠시동안 엘리베이터를 타더라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관리자가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mfortable temperature in the elevator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season, and prevents a large amount of fine dust generated in the hoistway from moving into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car is moving. In order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even if you take an elevator for a while by forming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induces fresh air and discharges fine dust and pathogens generat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on and off, and administrators of multiple elevato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vator that forms a clean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asily grasped in real time for quick respon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vator that forms a pleasant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건물별·건물내 위치별 각각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온·습도, 미세먼지 농도, 내부 압력 측정정보에 대한 통합 측정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고, 측정 데이터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카 몸체가 그룹화되어 형성된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와,Stores and accumulates integ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data for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concentration, and internal pressure measurement inform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installed for each building and location in each building, and provides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to the manager in real time. An elevator car module unit formed by grouping elevator car bodies that control each elevator car according to control,
메인 단말 모듈과 엘리베이터 카 모듈을 서로 네트워크 연결시켜주며 모듈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도록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An application server that connects the main terminal module and the elevator car module to each other and supports two-way data communication to perform dynamic server contents between the modules.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식별코드별로 그룹화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제어하는 메인 단말 모듈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consisting of a main terminal module that collects, stores, and controls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body of an elevator car grouped by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n application server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설정온도를 제어하여 계절에 따른 외부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내부에 무더운 여름철에는 시원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추운 겨울철에는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사계절 내내 엘리베이터 내에 쾌적한 온도을 유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이동시 승강로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먼지가 엘리베이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고 내리며 내부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병원균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순환구조를 형성하여 잠시동안 엘리베이터를 타더라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관리자가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temperature inside the elevator is controlled so that cool air is introduced into the elevator during the hot summer season and warm air is introduced during the cold winter season regardless of the external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season. It can maintain a comfortable temperature in the elevator, prevents a large amount of fine dust from the hoistway from entering the elevator when the elevator car is moving, and boards and unloads a large number of people in the elevator car and sends out fine dust and pathogens generated inside. It has a good effect that it can maintain a pleasant environment even if you take the elevator for a while by forming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discharges and inflows fresh air, and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of multiple elevators in real time and respon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를 도시한 건물 내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방향에서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방향에서 도시하고,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도시한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를 도시하고, 구성요소를 표시한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 모듈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CD 터치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단말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mponents of an elevator forming a pleasant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inside the building showing the elevator car module par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elevator car bodies formed inside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elevator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elevator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elevator car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rom the front direc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direction, show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circulated therein,
Figure 7 shows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mponent of an air circul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LCD touch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main termina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100), 어플리케이션 서버(200), 메인 단말 모듈(300)로 구성된다.Figure 1 relates to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mponents of the elevator forming a comfortable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elevator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100)에 관해 설명한다.First, the elevator
상기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100)는 건물별·건물내 위치별 각각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온·습도, 미세먼지 농도, 내부 압력 측정정보에 대한 통합 측정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고, 측정 데이터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관리자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카 몸체(110)가 그룹화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The elevator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 몸체(110)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 공기청정부(112), 무정전 타일(113), 센서부(114), LCD 터치 제어부(11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Here, the
상기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은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각 층으로 이동되는 직사각 형상의 엘리베이터 카 형상으로 엘리베이터 카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공기청정부(112)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상단면 중앙 일측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좌·우측면 하단 일측과 내부 하단면 일측에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덕트가 형성되어 설정 압력을 유지하며 공기순환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공기순환 모듈(112a), 하단 이격부(112b), 제1 덕트관(112c), 제2 덕트관(112d)이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공기순환 모듈(112a)은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의 상단면 중앙 일측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측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양압을 형성하며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며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공기순환 하우징(112a-1), 프리 필터(112a-2), 팬 모터부(112a-3), 헤파 필터(112a-4), 냉난방 열원 공급부(112a-5)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공기순환 하우징(112a-1)은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며 공기순환 모듈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air circulation housing (112a-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elevator car in a rectangular box shape and serves to support the air circulation module as a whol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 하우징(112a-1)은 상단과 하단이 관통된 구조로, 상단면이 제1 덕트관의 상단 끝단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단면이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내부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The air circulation housing (112a-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penetrated, the upp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duct pi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body. .
이는 내부에 형성된 팬 모터부를 통해 상단면에 연결된 제1 덕트관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하단면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This serves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from the first duct pipe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through the fan motor formed therein to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car bod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프리 필터(112a-2)는 직사각 형상으로 공기순환 하우징의 내측 상단 끝단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부유물을 1차로 필터링해주는 역할을 한다.Here, the pre-filter (112a-2)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air circulation housing in a rectangular shape serves to primarily filter the fine dust and suspended matter in the air.
이는 공기순환 모듈의 상단 측방향 일측에 슬라이드 탈결합 방식으로 형성되어 간편한 방식으로 탈결합되어 필터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is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by a slide de-bonding method, which can be de-coupled in a convenient manner to facilitate filter cleaning and replacement.
여기서, 팬 모터부(112a-3)는 프리 필터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공기순환 하우징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덕트관, 제2 덕트관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흡입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상단 내측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강제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fan motor part (112a-3)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pre-filter and rotates to suck air by generating suction force to the first duct pipe and the second duct pip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housing, It serves to forcibly circulate by continuously supplying air to the upper inner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housing.
이는 메인 단말 모듈(300) 및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측에 형성된 LCD 터치 제어부(11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고, 양압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is is connected to the
여기서, 헤파 필터(112a-4)는 직사각 형상으로 팬 모터부의 하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평으로 삽입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부유물을 2차로 필터링해주는 역할을 한다.Here, the HEPA
이는 공기순환 모듈의 중앙 측방향 일측에 슬라이드 탈결합 방식으로 형성되어 간편한 방식으로 탈결합되어 필터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is is formed on a side of the central side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by a slide de-bonding method, which is de-coupled in a convenient manner to facilitate filter cleaning and replacement.
여기서, 냉난방 열원 공급부(112a-5)는 헤파 필터의 하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평으로 형성되고 메인 단말 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원을 조절하여 열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heating and cooling heat
이는 메인 단말 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할 경우 냉방 열원을 공급하여 팬 모터부를 통해 수직 하단방향으로 냉풍이 공급되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할 경우 난방 열원을 공급하여 팬 모터부를 통해 수직 하단방향으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의 온도를 조절한다.This is set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terminal module, so that a cooling heat source is supplied to supply cold air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fan motor unit, an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When set, a heating heat source is supplied to supply hot air in a vertically downward direction through a fan motor unit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vator car body.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부(112)는 공기순환 모듈(112a)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팬 모터부(112a-3)와, 제1 덕트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제1 덕트팬(112c-2), 제2 덕트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제2 덕트팬(112d-2)의 회전속도를 메인 단말 모듈(300) 및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의 LCD 터치 제어부(115)를 통해 단계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며, 양압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에 미세먼지가 많거나 온도 및 습도가 적정 온·습도에 비해 너무 높거나 낮은 등 사용환경에 따라 쾌적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회전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여 신속하게 미세먼지 농도 및 온·습도를 적정 온·습도에 맞출 수 있고, 쾌적한 상황에서는 회전 속도를 낮춰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의 환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a posi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body of the elevator, the pressure of the positive pressure can be adjusted, and there is a lot of fine dust inside the body of the elevator 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too high or low compared to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situation where it is not, the rotation speed can be increased relatively to quickly se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in a comfortable situation, the rotation speed can be reduced to save energy while maintaining the environment inside the elevator car body. have.
상기 하단 이격부(112b)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측 하단 바닥판과 하단방향으로 5~30cm 간격으로 이격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측 하단면에 형성된 내부공기 흡입구로 내부 공기,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덕트관의 하단 일측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spaced
상기 제1 덕트관(112c)은 공기순환 모듈의 상단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좌·우측면 일측을 연결하는 덕트관 형상으로, 내부 일측에 제1 덕트팬(112c-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기순환 모듈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력과, 제1 덕트팬의 흡입력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측면방향에서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duct pipe (112c) is a duct pipe shape connecting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one side of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he first duct fan (112c-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rough the suction force formed on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first duct fan, it serves to suck and transfer internal air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housing.
여기서 제1 덕트팬(112c-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제1 덕트관의 흡입구 일측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미세먼지 및 부유물을 측면방향으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형성한다.Here, the
이를 통해 팬 모터부의 흡입력을 배가시키며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 공기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킨다.This doubles the suction power of the fan motor and improves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상기 제2 덕트관(112d)은 공기순환 모듈의 상단과 연결된 제1 덕트관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 일측을 연결하는 덕트관 형상으로, 내부 일측에 제2 덕트팬(112d-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기순환 모듈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력과, 제2 덕트팬의 흡입력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하단면 방향에서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duct pipe (112d) is connected to the first duct pip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uct pipe shape connecting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he second duct fan on one side inside (112d-2) is formed is formed, through the suction force formed on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econd duct fan serves to suck and transmit internal air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여기서 제2 덕트팬(112d-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2 덕트관의 흡입구와 연결되는 내측 일측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미세먼지 및 부유물을 하단방향으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형성한다.Here, the second duct fan (112d-2) is formed on one side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of the second duct pip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s shown in Figure 6 to remove fine dust and floating matter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It forms suction power to suck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를 통해 팬 모터부의 흡입력을 배가시키며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 공기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킨다.This doubles the suction power of the fan motor and improves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air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상기 무정전 타일(113)은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설치되어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2중 덧댐구조로 형성된다.The
이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달라붙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측면 및 하단면에 형성된 제1 덕트관, 제2 덕트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한다.This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adhering to and stacking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is sucked through the first duct tube and the second duct tube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elevator car housing.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바닥판에 설치되어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융착되지 않도록 하는 2중구조로 이루어진다.Through this,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has a double structure that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fine dust from being fused.
상기 센서부(114)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와,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e
이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습도 및 압력,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 정보를 LCD 터치 제어부(115)와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제공하여, LCD 터치 제어부(115)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네트워크 연결된 메인 단말 모듈(300)을 통해 실시간으로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습도 및 압력,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is provides measurement information of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to the LCD
상기 LCD 터치 제어부(115)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센서부에서 센싱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설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온·습도 제어 모드(115a), 압력 제어 모드(115b), 통신 제어 모드(115c), 점검정보 디스플레이 모드(115d), 설정 제어 모드(115e), 비상 제어 모드(115f)가 포함되어 구성된다.The LCD
여기서, 온·습도 제어 모드(115a)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직접 온·습도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temperature/
여기서, 압력 제어 모드(115b)는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미세먼지 측정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엘리베이터 내부 압력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여기서, 통신 제어 모드(115c)는 엘리베이터 카의 네트워크 통신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무선 WiFI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여기서, 점검정보 디스플레이 모드(115d)는 엘리베이터 카의 고장 이력 및 점검사항, 소모품 교체 주기 등의 기록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inspection
여기서, 설정 제어 모드(115e)는 엘리베이터 카의 설정정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setting
여기서. 비상 제어 모드(115f)는 엘리베이터 카가 전체적으로 정전이 되거나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내부 보조전원을 연결하여 담당자 및 구조대에 고장신고를 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기능을 가동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메인 단말 모듈과 엘리베이터 카 모듈을 서로 네트워크 연결시켜주며 모듈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도록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는 데이터 저장 서버(210), 데이터 분석 서버(220), 안내 알림 서버(230)로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a
상기 데이터 저장 서버(210)는 건물별·건물내 위치별 각각 위치하여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식별 ID별로 실시간으로 측정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 측정정보 데이터를 저장 및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220)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식별 ID 별로 측정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메인 단말 모듈을 통해 설정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 설정 기준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안내 알림 서버(230)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설정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식별 ID 별로 분석된 데이터 측정 정보의 초과 또는미달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음성 및 문자 알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단말 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main
상기 메인 단말 모듈(30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식별코드별로 그룹화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이는 식별 ID 설정부(310), 측정 관리부(320), 관리자 설정부(330)기 포함되어 구성된다.This includes an identification
상기 식별 ID 설정부(310)는 건물별·건물내 위치별 각각 위치하여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에 각각 식별 ID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The identification
상기 측정 관리부(320)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에서 측정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 측정정보를 그룹화시켜 분류하고 관리자에게 측정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에 이상신호가 감지되면 관리자에게 음성 및 문자 알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통해 식별 ID가 설정된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고 다수의 엘리베이터 내부를 쾌적한 내부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grasp the information of the multiple elevators with the identification ID set in real time, so that a quick response can be made and the interior of the multiple elevators can be maintained as a comfortable internal environment.
상기 관리자 설정부(330)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의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의 설정 기준치를 설정하고, 고장 및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표출되는 영상 및 음성안내를 설정하고, 관리자 및 구조대에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된 메인 단말 모듈을 통해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에 식별 ID를 부여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의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의 설정 기준치를 설정하고, 고장 및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표출되는 영상 및 음성안내를 설정한다.First, an identification ID is given to each elevator car body through a main terminal module networked with an application server, and set reference values for temperature, humidity, internal press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inside each elevator car body, and Set the video and audio guidance displayed when an emergency occurs.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식별 ID 별로 측정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 정보와, 메인 단말 모듈을 통해 설정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 설정 기준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몸체의 설정 기준정보를 기준으로 식별 ID 별로 분석된 데이터 측정 정보의 초과 또는 미달 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음성 및 문자 알림을 제공한다.Next, compare and analyze temperature and humidity, internal press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measured for each identification ID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reference information for set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ternal press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set through the main terminal module. Based on the setting standard information of each elevator car bod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measurement information analyzed by identification ID is exceeded or not, and a voice and text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manager.
다음으로, 관리자가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정보를 확인한 후 자동 및 수동으로 온·습도, 내부 압력, 미세먼지 농도를 제어한다.Next, the administrator checks the information inside each elevator car housing and automatically and manually controls the temperature, humidity, internal press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이때,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 또는 습도가 높은 경우 공기청정부의 팬 모터부 및 제1 덕트팬, 제2 덕트팬의 회전속도가 상승하여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하단 측면과 하단면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단의 프리필터, 헤파필터를 거쳐 필터링된 클린공기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상단방향으로 배출한다.At this tim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or humidity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is high,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fan motor part of the air cleaning unit, the first duct fan, and the second duct fan rise to increase the air on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Suction and discharge the clean air filtered through the upper pre-filter and HEPA filter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housing.
이때,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냉난방 열원 공급부의 냉방 열원을 형성하여 냉풍이 공급되도록 하고, 온도가 낮은 경우 냉난방 열원 공급부의 난방 열원을 형성하여 열풍이 공급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is high, a cooling heat source is formed to form a cooling heat source of the heating and cooling heat source supply unit, and when a temperature is low, a heating heat source of the heating and cooling heat source supply unit is formed to supply the hot air.
여기서, 식별 ID가 부여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에 고장 및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에 탑승한 사람들에게 설정된 영상 및 음성안내를 실시하고, 관리자 및 구조대에 실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Here,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emergency in the elevator car body to which the identification ID has been assigned, set video and voice guidance is provided to those who are in the elevator car body, and real-ti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and the rescue team so that rapid response can be achieved. do.
100 : 엘리베이터 카 모듈부 110 : 엘리베이터 카 몸체
111 :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112 : 공기청정부
113 : 무정전 타일 114 : 센서부
115 : LCD 터치 제어부 200 : 어플리케이션 서버
210 : 데이터 저장 서버 220 : 데이터 분석 서버
230 : 안내 알림 서버 300 : 메인 단말 모듈
310 : 식별 ID 설정부 320 : 측정 관리부
330 : 관리자 설정부100: elevator car module 110: elevator car body
111: elevator car housing 112: air cleaning
113: uninterrupted tile 114: sensor unit
115: LCD touch control unit 200: application server
210: data storage server 220: data analysis server
230: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er 300: Main terminal module
310: identification ID setting unit 320: measurement management unit
330: administrator setting unit
Claims (8)
메인 단말 모듈과 엘리베이터 카 모듈을 서로 네트워크 연결시켜주며 모듈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도록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식별코드별로 그룹화된 엘리베이터 카 몸체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제어하는 메인 단말 모듈(300)로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몸체(1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따라 각 층으로 이동되는 직사각 형상의 엘리베이터 카 형상으로 엘리베이터 카 몸체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상단면 중앙 일측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좌·우측면 하단 일측과 내부 하단면 일측에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덕트가 형성되어 설정 압력을 유지하며 공기순환구조를 형성하는 공기청정부(112)와,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설치되어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2중 덧댐구조로 형성된 무정전 타일(113)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가 형성된 센서부(114)와,
엘리베이터 카 도어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센서부에서 센싱된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설정을 제어하는 LCD 터치 제어부(115)가 포함되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부(112)는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의 상단면 중앙 일측에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 내측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양압을 형성하며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며 필터링하는 공기순환 모듈(112a)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측 하단 바닥판과 하단방향으로 5~30cm 간격으로 이격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측 하단면에 형성된 내부공기 흡입구로 내부 공기, 미세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 덕트관의 하단 일측을 수용하는 하단 이격부(112b)와,
공기순환 모듈의 상단과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좌·우측면 일측을 연결하는 덕트관 형상으로, 내부 일측에 제1 덕트팬(112c-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기순환 모듈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력과, 제1 덕트팬의 흡입력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측면방향에서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전달하는 제1 덕트관(112c)과,
공기순환 모듈의 상단과 연결된 제1 덕트관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 일측을 연결하는 덕트관 형상으로, 내부 일측에 제2 덕트팬(112d-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공기순환 모듈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력과, 제2 덕트팬의 흡입력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하단면 방향에서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전달하는 제2 덕트관(112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Stores and accumulates integrated measurement information data for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concentration, and internal pressure measurement inform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installed for each building and location in each building, and provides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to the manager in real time. The elevator car body 110 that controls each elevator car according to control is grouped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by an elevator car module unit 100,
An application server 200 that connects the main terminal module and the elevator car module to each other and supports two-way data communication to perform dynamic server contents between the modules;
It is composed of a main terminal module (300) that collects and stores and controls informa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body grouped by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n application server and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elevator car body 110 is
An elevator car housing 111 that supports the entire body of the elevator car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elevator car that is moved to each floor along the elevator hoistway,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continuously supplies filtered air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o form positive pressure inside, and the elevator on one side of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A duct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car housing is formed to maintain the set pressure and to form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112),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fine particles from being fused to the uninterrupted tile 113 formed of a double padding structure,
The sensor unit 114 is formed with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elevator car, and a fine dust det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elevator car. Wow,
In the elevator to form a clean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car door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s the settings, the LCD touch control unit 115 is included.
The air cleaning unit 112 is
An air circulation module (11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111 to continuously supply air inside the elevator car housing to form a positive pressure and forcibly circulate and filter the air,
The bottom side of the second duct pipe which is spaced at a distance of 5 to 30 cm in the bottom direction from the inner bottom floor plat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sucks inside air, fin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inner air intak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the lower separation portion (112b) for receiving,
It is a duct pipe shape connecting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one of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he first duct fan 112c-2 is formed on one inner side, and the suction force formed on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 A first duct pipe (112c) to suck the internal air from the side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hrough the suction force of the first duct fan to deliver,
The first duct pip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is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a duct pipe shape that connects one side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the second duct fan 112d-2 is formed on one side. It is composed of a second duct tube 112d that sucks and delivers internal air from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or car housing through the suction force formed at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modul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econd duct fan. An elevator that forms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clean room.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며 공기순환 모듈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공기순환 하우징(112a-1)과,
직사각 형상으로 공기순환 하우징의 내측 상단 끝단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부유물을 1차로 필터링해주는 프리 필터(112a-2)와,
프리 필터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공기순환 하우징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 덕트관, 제2 덕트관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를 흡입하고,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의 상단 내측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강제순환시키는 팬 모터부(112a-3)와,
직사각 형상으로 팬 모터부의 하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평으로 삽입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부유물을 2차로 필터링해주는 헤파 필터(112a-4)와,
헤파 필터의 하단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평으로 형성되고 메인 단말 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열원을 조절하여 열원을 공급하는 냉난방 열원 공급부(112a-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The air circulation module (112a) according to claim 1
A rectangular box-shaped air circulation housing (112a-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elevator car and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air circulation module as a whole,
A pre-filter (112a-2) that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inside of the air circulation housing in a rectangular shape to primarily filter fine dust and suspended solids in the air,
It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pre-filter and rotates to generate suction power to the first duct pipe and the second duct pip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ir circulation housing to suck air, and continuously air in the upper inner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housing And a fan motor unit 112a-3 for forced circulation by supplying
A hepa filter (112a-4) that is horizontally inserted at a certain distance at the bottom of the fan motor part to filter the fine dust and suspended solids in the air, and
Pleasant internal environment and clean room, which is formed horizontally with a certain distance at the bottom of the HEPA filter, and consists of an air conditioning heat source supply unit (112a-5) that supplies a heat source by adjusting the heat sour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terminal module. Forming an elevator.
공기순환 모듈(112a)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공기를 강제순환시키는 팬 모터부(112a-3)와, 제1 덕트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제1 덕트팬(112c-2), 제2 덕트관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제2 덕트팬(112d-2)의 회전속도를 메인 단말 모듈(300) 및 엘리베이터 카 몸체 내부의 LCD 터치 제어부(115)를 통해 단계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 하우징(11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The air cleaning system (112) according to claim 1,
The fan motor unit 112a-3 is formed inside the air circulation module 112a to forcibly circulate ai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first duct fan 112c-2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duct pipe. 2 The elevator car housing 111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cond duct fan 112d-2 formed on one side of the duct tube through the main terminal module 300 and the LCD touch control unit 115 inside the elevator car body. An elevator that forms a pleasant interior environment and a clean room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pressure inside.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직접 온·습도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온·습도 제어 모드(115a)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미세먼지 측정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엘리베이터 내부 압력을 설정하여 제어하는 압력 제어 모드(115b)와,
엘리베이터 카의 네트워크 통신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무선 WiFI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제어 모드(115c)와,
엘리베이터 카의 고장 이력 및 점검사항, 소모품 교체 주기 등의 기록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정보 디스플레이 모드(115d)와,
엘리베이터 카의 설정정보를 제어하는 설정 제어 모드(115e)와,
엘리베이터 카가 전체적으로 정전이 되거나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내부 보조전원을 연결하여 담당자 및 구조대에 고장신고를 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기능을 가동하는 비상 제어 모드(115f)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적한 내부환경 및 클린룸을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The LCD touch control unit 115 of claim 1,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115a) for provi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and setting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irectly by the user,
A pressure control mode (115b) for displaying fine dust measurement information inside the elevator car and setting and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elevator,
A communication control mode 115c that checks the network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of the elevator car and provides a wireless WiFI communication function,
Inspection information display mode (115d)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history of the elevator car's failure history, check items, and consumable replacement cycles, and
A setting control mode 115e for controlling setting information of the elevator car,
A comfortable internal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mergency control mode (115f) that can report failures to personnel and rescue teams by connecting internal auxiliary power when the elevator car is completely out of power or when power is cut off. And an elevator forming a clean ro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6834A KR102135141B1 (en) | 2019-12-27 | 2019-12-27 |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6834A KR102135141B1 (en) | 2019-12-27 | 2019-12-27 |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5141B1 true KR102135141B1 (en) | 2020-07-17 |
Family
ID=7183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6834A Active KR102135141B1 (en) | 2019-12-27 | 2019-12-27 |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514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25097A (en) * | 2020-09-17 | 2020-12-25 | 华蒂电梯科技股份有限公司 | Elevator car purifier |
KR102299000B1 (en) * | 2021-03-17 | 2021-09-07 | (주)킴스프로젝트 | Elevator sterilization system |
CN114408712A (en) * | 2022-03-02 | 2022-04-29 | 智联信通科技股份有限公司 | Accura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overs of digital elevator car |
CN114636220A (en) * | 2022-04-02 | 2022-06-17 |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 Control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elevator air conditioner |
KR20230016130A (en) * | 2021-07-23 | 2023-02-01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
ES2994233A1 (en) * | 2023-07-14 | 2025-01-21 | Univ Valladolid |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8780A (en) * | 2000-05-22 | 2001-11-27 | Daiichi Shisetsu Kogyo Kk | Vertical clean conveyer |
KR200437981Y1 (en) * | 2007-05-16 | 2008-01-10 |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 Clean room elevator with excellent cleanliness |
KR20120078340A (en) * | 2010-12-31 | 2012-07-10 | 주식회사 맥스포 | Elevator management system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6834A patent/KR1021351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28780A (en) * | 2000-05-22 | 2001-11-27 | Daiichi Shisetsu Kogyo Kk | Vertical clean conveyer |
KR200437981Y1 (en) * | 2007-05-16 | 2008-01-10 | 주식회사 신한엘리베이타 | Clean room elevator with excellent cleanliness |
KR20120078340A (en) * | 2010-12-31 | 2012-07-10 | 주식회사 맥스포 | Elevator management system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25097A (en) * | 2020-09-17 | 2020-12-25 | 华蒂电梯科技股份有限公司 | Elevator car purifier |
KR102299000B1 (en) * | 2021-03-17 | 2021-09-07 | (주)킴스프로젝트 | Elevator sterilization system |
KR20230016130A (en) * | 2021-07-23 | 2023-02-01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
KR102573199B1 (en) * | 2021-07-23 | 2023-09-04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
CN114408712A (en) * | 2022-03-02 | 2022-04-29 | 智联信通科技股份有限公司 | Accura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covers of digital elevator car |
CN114636220A (en) * | 2022-04-02 | 2022-06-17 |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 Control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elevator air conditioner |
CN114636220B (en) * | 2022-04-02 | 2023-08-25 |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evator air conditioner,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ES2994233A1 (en) * | 2023-07-14 | 2025-01-21 | Univ Valladolid |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5141B1 (en) | Elevator that creates a pleasant interior and clean room | |
KR101599634B1 (en) | The air cleaner of pottery type to equip a humidifing function | |
CN206468252U (en) | Window ventilating system with heat exchange and air-cleaning function | |
CN105202646B (en) | The cabinet type fresh air ventilator of Intelligent purifying | |
US20170284694A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008625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outside air type fresh air unit for an affix ceiling | |
WO2020174800A1 (en) | Contamination information estimation system and air treatment device | |
KR102573199B1 (en) |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levator | |
KR101495481B1 (en) |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saving energy using information to the number of indoor-people | |
JP2011220665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CN210465381U (en) | Indoor air detection device | |
CN107560024A (en) | High-precision high evenness Cleanroom system | |
JP2010230210A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 |
KR20110111641A (en) | Indoor Air Ventilation and Ventilation Method Using Window and Ventilation System | |
JPWO2016181849A1 (en) | Bedding vacuum cleaner | |
KR20200097833A (en) | Pet house | |
KR102149632B1 (en) | Hybrid clean room system | |
KR102108356B1 (en) |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 |
JP6423596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blower | |
JPH064125B2 (en) | Clean bench | |
KR102165311B1 (en) | Smar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reof | |
KR100782175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JP2010094138A (en) | Device for controlling animal-rearing chamber and method therefor | |
KR20210024817A (en) | Air purifier suitable for mandatory ventilation | |
KR102434033B1 (en) |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