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844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3844B1 KR102133844B1 KR1020130152110A KR20130152110A KR102133844B1 KR 102133844 B1 KR102133844 B1 KR 102133844B1 KR 1020130152110 A KR1020130152110 A KR 1020130152110A KR 20130152110 A KR20130152110 A KR 20130152110A KR 102133844 B1 KR102133844 B1 KR 102133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signal
- area
- region
- image
- invisible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22—Cr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편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따라 가변 영역의 이미지를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따라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된 가변 영역의 이미지를 비저블 상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텍트된 입력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편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인비저블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의 썸네일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편집이 완료된 이미지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 영역의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보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2020: 가변 영역
2030: 지속적 인비저블 상태
2040: 일시적 인비저블 상태
Claims (2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이미지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가변적 시인성(variable visibility)을 갖는 가변 영역(variable area)을 결정하고,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가변 영역을 인비저블(invisible)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가변 영역의 상기 인비저블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된 상기 가변 영역을 비저블 상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동일한 입력 신호로서 디텍트하여,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가변 영역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신호는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연속하여 디텍트되는 입력 신호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저블 상태는,
상기 가변 영역이 폴딩된 상태 또는 상기 가변 영역이 크로핑된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저블 상태는,
상기 가변 영역의 명암, 조도, 색, 투명도, 크기, 및 대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비저블 상태와 다르게 설정된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사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신호 및 상기 제 4 입력 신호는 상기 가변 영역에 대한 드래그 입력 신호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 신호는 상기 가변 영역을 상기 가변 영역에서 비가변(invariable) 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 신호이고, 상기 제 4 입력 신호는 상기 가변 영역을 상기 비가변 영역에서 상기 가변 영역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 신호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입력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에 대한 입력 신호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가변 영역을 상기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가변 영역을 보안 영역으로 설정하는 보안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가변 영역을 상기 보안 영역으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2 영역의 보안을 해제하는 보안 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가변 영역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썸네일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편집이 완료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가변 영역의 상태 정보를 포함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이미지를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이미지의 상기 제 2 영역을 일시적 인비저블(temporarily-invisible) 상태로 전환하고,
제 3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이미지를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으로 구분하되,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일시적 인비저블 상태인 상기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제 4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면 상기 제 3 영역을 지속적 인비저블(continuously-invisible) 상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 인비저블 상태는 폴딩 상태이고, 상기 지속적 인비저블 상태는 크롭핑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3 영역 및 상기 제 4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영역을 상기 일시적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한 경우,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사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일시적 인비저블 상태를 나타내는 일시적 인비저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영역을 상기 지속적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한 경우,
상기 제 3 영역 및 상기 제 4 영역 사이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영역의 지속적 인비저블 상태를 나타내는 지속적 인비저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영역을 상기 지속적 인비저블 상태로 전환한 후 제 5 입력 신호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영역을 비저블 상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2110A KR102133844B1 (ko) | 2013-12-09 | 2013-12-09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US14/163,658 US9304670B2 (en) | 2013-12-09 | 2014-01-24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14/000750 WO2015088101A1 (en) | 2013-12-09 | 2014-01-27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2110A KR102133844B1 (ko) | 2013-12-09 | 2013-12-09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6727A KR20150066727A (ko) | 2015-06-17 |
KR102133844B1 true KR102133844B1 (ko) | 2020-07-14 |
Family
ID=5327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2110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3844B1 (ko) | 2013-12-09 | 2013-12-09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304670B2 (ko) |
KR (1) | KR102133844B1 (ko) |
WO (1) | WO20150881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2468B1 (ko) * | 2014-07-24 | 2021-11-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20170086801A (ko) * | 2016-01-19 | 2017-07-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KR102516590B1 (ko) | 2016-01-29 | 2023-04-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따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
WO2019023386A2 (en) * | 2017-07-27 | 2019-01-31 |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 DISPLAY BETWEEN ARM CONNECTIONS IN A MEDICAL DEVICE |
KR20200067567A (ko) | 2018-12-04 | 2020-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KR20220076165A (ko) * | 2020-11-30 | 2022-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에 따라 변경된 가시도를 가지는 화면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18101965A (zh) * | 2022-11-25 | 2024-05-2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视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显示装置和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86040A1 (en) | 2010-05-18 | 2011-11-24 | Satoshi Seto |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18730B2 (en) * | 2002-06-27 | 2011-04-05 | Igt | Trajectory-based 3-D games of chance for video gaming machines |
US20040177325A1 (en) | 2003-03-07 | 2004-09-09 | Keane Robert S. | Edit location indicator |
US8325398B2 (en) | 2005-12-22 | 2012-12-04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editing system,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image editing program |
KR20070120403A (ko) | 2006-06-19 | 2007-1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편집장치 및 방법 |
US8005316B1 (en) | 2007-05-16 | 2011-08-23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data for media repurposing |
US8587614B2 (en) | 2007-12-10 | 2013-11-19 | Vistaprint Schweiz Gmbh | System and method for image editing of electronic product design |
KR20090065919A (ko) * | 2007-12-18 | 2009-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뉴 조작 시스템 및 방법 |
EP2418865A3 (en) * | 2010-08-09 | 2014-08-06 | LG Electronics Inc. | 3D viewing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EP2600316A1 (en) * | 2011-11-29 | 2013-06-05 | Inria Institut National de Recherche en Informatique et en Automatique |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shooting and editing a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image of a 3D computer-generated animation |
-
2013
- 2013-12-09 KR KR1020130152110A patent/KR10213384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1-24 US US14/163,658 patent/US930467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1-27 WO PCT/KR2014/000750 patent/WO201508810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86040A1 (en) | 2010-05-18 | 2011-11-24 | Satoshi Seto |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304670B2 (en) | 2016-04-05 |
WO2015088101A1 (en) | 2015-06-18 |
US20150160840A1 (en) | 2015-06-11 |
KR20150066727A (ko) | 2015-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3844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87099B1 (ko) |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
EP2887238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114618B1 (ko)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12010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8964091B2 (en) |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50010432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50234569A1 (en) | Vehicle user interface unit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 |
US10108643B2 (en) | Graphical interface device, graphical interface method and medium | |
JP2006059359A5 (ko) | ||
EP2905745A1 (en) |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 |
WO2007066488A1 (ja) | 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操作制御方法 | |
KR20150096952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55274B1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바이스 | |
KR2014013447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50063785A1 (en) | Method of overlappingly displaying visual object on video,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50106330A (ko) |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 |
CN105632453A (zh) | 显示装置、显示控制方法和显示系统 | |
CN107526505B (zh) | 一种数据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 |
CN104185829A (zh) |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方法和程序 | |
JP5219926B2 (ja) | データ選択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21979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20160054885A1 (en) |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Multichannel Touch Control of All-in-One Machine | |
US201500426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3d object | |
KR10213536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