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861B1 - Robot hand - Google Patents
Robot h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2861B1 KR102132861B1 KR1020180143157A KR20180143157A KR102132861B1 KR 102132861 B1 KR102132861 B1 KR 102132861B1 KR 1020180143157 A KR1020180143157 A KR 1020180143157A KR 20180143157 A KR20180143157 A KR 20180143157A KR 102132861 B1 KR102132861 B1 KR 102132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robot hand
- coupler
- groove
- 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09—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comprising multi-articulated fingers, e.g. resembling a human ha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 B25J15/02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actuated by articulated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적인 구동부가 설치된 관절의 구성을 포함하는 로봇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손가락 기구로 이루어지는 로봇손으로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기구는 굴신 동작가능한 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굴신 동작가능한 관절은,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고정되는 관절 구동부와,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회전동작가능한 커플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인해 관절에 직접적으로 관절 구동부가 설치되어 관절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관절 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는 커플러가 체결홈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관절 구동부에 체결됨으로써 관절 구동부에 커플러가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타 링크로의 전달력이 확보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hand that includes a configuration of a joint provided with a direct drive uni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hand made of a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s, wherein the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s includes a flexible actionable joint, wherein the flexible actionable joint comprises: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robot hand comprising a joint driving part fixed to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coupler installed at an end of a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ing part and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joint configuration capable of direc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joint by installing a joint driving unit directly on the joint du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addition, 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upl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astening groove, the coupler is firmly fastened to the joint drive portion by being fastened to the joint drive portion,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transmission power to the other link.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의 손과 유사하게 작동가능한 로봇손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h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hand operable similarly to a human hand.
최근, 인간의 손을 모방하여 복수의 손가락 기구를 갖는 로봇손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Recently,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 robot hand having a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s imitating a human hand.
로봇손은 손바닥 및 손등을 갖는 손바닥와 인간의 손가락에 각각 대응하는 엄지 손가락 기구, 집게손가락 기구, 가운뎃손가락 기구, 약손가락 기구, 새끼손가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The robot hand is provided with a thumb mechanism, forefinger mechanism, middle finger mechanism, weak finger mechanism, and little finger mechanism corresponding to the palm of the palm and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human finger, respectively.
로봇손은 축회전이 가능한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관절을 통해 굴곡/신전(flexion/extension) 및 내전/외전(abduction/adduction)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robot h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joints capable of axial rotation, and is configured to allow flexion/extension and abduction/adduction through these joints.
로봇손에서 각 관절에서의 작동을 확보하기 위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를 통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secure the operation at each joint in the robot hand, 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rough a bevel gear, as shown in FIG. 8.
최근 로봇손의 관절에 있어서는 좀 더 정확한 관절동작의 제어를 위해 관절부에 직접 구동부를 설치하여 로봇손의 정확한 작동을 제어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in the joint of the robot hand, the need to control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robot hand is increasing by installing a driving unit directly in the joint to control the joint motion more accurately.
그런데, 종래기술에 개시된 관절부 구성에서는 단순히 관절작동을 위한 기구적인 구성만이 개시되어 있는 바, 구동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굴신동작 등을 하기 위한 구체적인 관절의 구성에 대해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However, in the articulation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prior art, only a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articulation is disclo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rticulation for performing a flexion operation or the like is provided while the driving unit is installed. .
한국공개특허 제10-2009-41474(공개일자 2009년 04월 29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41474 (published on April 29, 2009)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접적인 구동부가 설치된 관절의 구성을 포함하는 로봇손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a probl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robot hand that in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joint is provided with a direct drive unit.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손가락 기구로 이루어지는 로봇손으로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기구는 굴신 동작가능한 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굴신 동작가능한 관절은,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고정되는 관절 구동부와,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회전동작가능한 커플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hand made of a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s, wherein the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s includes a rollable movable joint, wherein the rollable movable joint includes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int driving unit fix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a coupl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ing unit and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abov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관절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이 상기 고정부의 타측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composed of a link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link portion, the joint driving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joint driving portion is the high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government.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커플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판 형상의 중앙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간홈과, 상기 중간홈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중간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er has a disc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an intermediate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plate shape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ing unit is inserted, an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made, and a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is formed.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중간홈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중심홈과, 상기 중심홈에서 직경방향으로 상기 커플러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중심홈에서 상기 체결홈과 반대 방향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단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groove, a central groove into which the drive shaft of the driving unit is inserted, a fastening groove formed to open to the outside of the coupler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groove, and the fastening groove in the central groov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lastic groove formed in an arc shape at the end whil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체결홈의 상부에서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ㄴ 형상의 수평부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sion is formed in a b shape from the top of the fastening groove, and a through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b shape.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중간홈의 하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부분에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formed to decrease in a certain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중간홈의 하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지 않은 스토퍼에는 상기 관통홈과 중심이 일치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in which the sliding groove is no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eaded portion coinciding with the through groove is formed.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커플러의 하방에는 위치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센서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둘레에 설치되는 위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on sensor part is installed below the coupler, and the position sensor part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and is fixed to the mounting part and is installed around the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nsor.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장착부는 위치 센서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위치 센서부 체결 부재는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부분으로 상방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art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art by a position sensor part fastening member, and the position sensor part fastening member is fixed so as to protrude upward to a portion where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mounting part. Is done.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상기 커플러에는 제2 동력전달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fixed to the coupler.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는 관절에 직접적으로 관절 구동부가 설치되어 관절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관절 구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driving unit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joint, and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joint configuration capable of direct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joint.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 굴신동작을 수행하는 관절부에서는 관절 구동부의 회전각도를 회전센서를 통해 로봇손의 제어하는 제어부로 송신함으로써 굴신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joint portion performing the flexion operation 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driv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hand through the rotation sensor, thereby accurately controlling the flexion angle.
또한,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는 커플러가 체결홈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관절 구동부에 체결됨으로써 관절 구동부에 커플러가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타 링크로의 전달력이 확보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upl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astening groove, the coupler is firmly fastened to the joint drive portion by being fastened to the joint drive portion,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transmission power to the other link.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 작용으로 인해 관절의 회전범위가 과도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안정성이 확보되고 연결된 배선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joint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 due to the stopper action, thereby securing stability and preventing the connected wiring from being damaged.
도 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엄지 손가락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엄지 손가락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커플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굴신동작가능한 관절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검지 손가락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검지 손가락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종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y view of a thumb mechanism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umb mechanism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upler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int capable of flexing motion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ed view of the index finger mechanism in the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ex finger mechanism in the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prior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10)은, 손바닥(100) 및 복수의 관절을 통해 굴신 가능하도록 상기 손바닥(100)에 연결된 복수의 손가락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로봇손이며, 상기 복수의 손가락 기구는, 엄지 손가락 기구(200) 및 복수의 손가락 기구(300, 400, 50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엄지 손가락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엄지 손가락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assembly diagram of a thumb mechanism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umb mechanism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엄지 손가락 기구(200)는, 지절간관절(interphalangeal joint, IP 관절, IP), 제1중수지절간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MCP1 관절, MCP1C1), 제1수근중수골관절(carpometacarpal joint, CMC1 관절, CMC1)을 구비하고, 각 관절마다 회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IP 관절(IP)은 굴곡/신전(flexion/extension)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IP joint IP of the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MCP1 관절(MCP1)도 굴곡/신전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IP 관절(IP)의 회전축과 상기 MCP1 관절(MCP1)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MCP1 joint (MCP1) of the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CMC1 관절(CMC1)은 2축 회동이 가능한 관절이며, CMC-1 관절(CMC1-1)과 CMC-2 관절(CMC1-2)이 조합된 관절이다. The CMC1 joint (CMC1) of the
CMC1-1 관절(CMC1-1)은 상기 IP 관절(IP) 및 MCP1 관절(MCP1)과 손바닥과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굴곡/신전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CMC1-1 joint (CMC1-1) is formed parallel to the IP joint (IP) and the MCP1 joint (MCP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same plane as the palm, so that one-axis rotation is possible to allow flexion/extension motion. It is composed.
CMC1-2 관절(CMC1-2)은 엄지 손가락 기구의 자체의 롤링 동작을 위한 롤링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CMC1-2 관절(CMC1-2)의 회전축은 상기 CMC1-1 관절(CMC1-1)의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성된다. The CMC1-2 joint (CMC1-2)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ne-axis rotation to enable rotation in a rolling direction for the rolling motion of the thumb mechanism itself, a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CMC1-2 joint (CMC1-2) is the CMC1- It consists of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one joint (CMC1-1).
엄지 손가락 기구(200)는 IP 관절(IP), MCP1 관절(MCP1), CMC1-1 관절(CMC1-1)을 통해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굴곡/신전(flexion/extension)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CMC1-2 관절(CMC1-2)에 의해 엄지 손가락 기구(200) 는 엄지 손가락 기구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체적인 롤링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엄지손가락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humb will be described.
엄지 손가락 기구(200)에서 CMC1-1 관절 구동부(21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CMC1-1 하우징(211)에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된다.In the
CMC1-1 하우징(211)에 수용된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CMC1-2 하우징(212)이 CMC1-1 하우징(211)에 대해 상대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CMC1-2
CMC1-2 하우징(212)은 수평부(212A)와 수직부(212B)로 형성되어 수평부(212A)가 상기 CMC1-1 하우징(211)에 연결되고, 수직부(212B)의 일측에는 CMC1-2 구동부(213)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CMC1-1 구동부(210)와 CMC1-2 구동부(213)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The CMC1-2
CMC1-1 구동부(210)는 손바닥과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CMC1-2 구동부(213)는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The CMC1-1
CMC1-2 하우징(212)의 수직부(212B)의 타측에는 베어링(B)이 수용되어 이를 매개로 하여 MCP1 하우징(221)이 CMC1-2 하우징(212)에 대해 상대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side of the
MCP1 하우징(221)도 수평부(221A)와 수직부(221B)로 형성되어 수평부(221A)가 상기 CMC1-2 하우징(212)에 연결되고, 수직부(321B)의 일측에는 MCP1 구동부(220)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CMC1-2 구동부(213)와 MCP1 구동부(220)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The
MCP1 하우징(221)의 수직부(221B)의 타측에는 위치 센서부(600)가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된다.The
위치 센서부(600)는 장착부(610)와, 상기 장착부(610)에 고정되는 위치센서(620)로 이루어지며, 장착부(610) 및 상기 장착부(610)에 고정되는 위치센서(620)의 중앙에는 MCP1 구동부(220)의 구동축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The
장착부(620)의 일측에는 체결홀(6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 센서 체결 부재(630)가 이를 관통하여 MCP1 하우징(321)에 고정된다.A fastening hole 6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이때, 위치 센서 체결 부재(630)의 헤드부의 크기의 체결홀(6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위치 센서 체결 부재(630)가 체결된 후에도 장착부(610)의 표면보다 돌출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by being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astening hole 621 of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of the position
MCP1 구동부(220)의 구동축은 위치 센서부(600)를 관통하여 커플러(700)에 체결된다.The driving shaft of the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의 엄지 손가락 기구에서 커플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coupler in the thumb mechanism of the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커플러(700)는 전체적으로 원반 디스크 형상이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커플러(700)에는 중심을 관통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홈(710)이 형성되어 대략 커플러 상부 절반과 하부 절반이 나누어지도록 구성된다.The
커플러(700)의 상부 절반에 해당하는 상기 중간홈(710)의 상부에는 ㄴ 형상 절개부(7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절반에 해당하는 상기 중간홈(71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홈(730)이 형성되어 있다.A b-shaped
중간홈(710)은 구동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중심홈(711)과, 상기 중심홈(711)에서 직경방향으로 ㄴ 형상 절개부(720)으로 연장되어 커플러(700)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형상의 체결홈(712)와, 상기 중심홈(711)에서 직경방향으로 상기 체결홈(712)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면 단부에서 원호형상을 가지는 탄성홈(713)으로 이루어진다.The
체결홈(712)은 커플러(700)의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므로 체결홈(712)이 형성된 커플러(700)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Since the
ㄴ 형상 절개부(720)에서 수평부에는 관통홀(72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721)과 일치하도록 커플러(700)의 하부 절반에서 슬라이딩 홈(73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도 나사부(731)가 형성된다.A through-
슬라이딩 홈(730)은 커플러의 하부 절반에서 일정한 원호 길이만큼 두께방향으로 두께가 적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하부방향으로 개방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sliding
슬라이딩 홈(730)은 원호 방향으로 일부에만 형성되므로 슬라이딩 홈(73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일정한 두께가 유지되는 스토퍼(732)가 형성된다.Since the sliding
MCP1 구동부(220)의 구동축이 커플러(700)의 중심홈(711)에 삽입되고, 커플러 체결부재(750)가 관통홀(721) 및 나사부(731)에 체결된다.The driving shaft of the
이때, 커플러(700)에서 체결홈(712)이 형성된 부분은 개방된 체결홈(712)의 형상으로 인해 이격되어 있던 커플러(700)의 상부 절반 및 하부 절반이 변위되면서 체결된다.At this time, the portion where the
이로 인해 커플러(70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탄성홈(713)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커플러(700)의 구동축으로의 체결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Due to this, e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arc-shaped
커플러(700)에는 제1 MCP1 링크(231)가 체결되는 데, 제1 MCP1 링크(231)는 커버부(231A)와 상기 커버부(231A)에 연결되는 링크부(231B)로 이루어진다.The
제1 MCP1 링크(231)의 커버부(231A)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체결부재(T)가 삽입되어 커플러(700)에 형성된 체결홀(740)에 체결됨으로서 제1 MCP1 링크(231)가 커플러(700)에 고정된다.As the fastening member T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한편, 제1 MCP1 링크(231)는 링크부(231B)에 의해 제2 MCP1 링크(232)와 결합된다.Meanwhile, the
제2 MCP1 링크(232)는 커버부(232A), 상기 커버부(232A)에 연결되는 링크부(232A), 상기 링크부(232A)에 연결되는 고정부(232C)로 이루어진다.The
제2 MCP1 링크(232)의 커버부(232A)는 MCP1 구동부(220)의 후단을 덮으면서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The
제2 MCP1 링크(232)의 링크부(232A)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T)에 의해 제1 MCP1 링크(231)의 링크부(231B)와 결합된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제2 MCP1 링크(232)의 고정부(232C)에는 IP 구동부(240)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되며, IP 구동부(240)의 구동축이 위치센서(600)를 통과하여 커플러 체결부재(750)에 의해 커플러(700)에 고정된다.The
MCP1 구동부(220) 및 IP 구동부(240)는 CMC1-1 구동부(210)와 평행하게 손바닥에 횡방향으로 굴신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한편, 커플러(700)에는 체결부재(T)에 의해 제1 IP 링크(241)가 고정되고, 제1 IP 링크(24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241A)가 손가락 단부(E)에 고정된다.Meanwhile, the
한편, 제2 IP 링크(242)도 베어링(B)에 의해 IP 구동부(240)의 후단을 덮으면서 상대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 IP 링크(24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242A)가 손가락 단부(E)에 고정된다.Meanwhile, the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굴신동작가능한 관절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joint portion capable of flexing motion in a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커플러(700)에 의해 굴신동작이 가능한 관절부로서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경우 IP 관절(IP) 및 MCP1 관절(MCP1)이 이에 해당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예를 들어, IP 관절(IP)의 경우를 살펴보면. 제2 MCP1 링크(232)의 고정부(232C)에 IP 구동부(240)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되며, IP 구동부(240)의 구동축이 위치센서(600)를 통과하여 커플러 체결부재(750)에 의해 커플러(700)에 고정된다.For example, consider the case of IP joint (IP). The
따라서, IP 구동부(240)가 구동하여 구동축이 회전하는 경우 이를 회전센서(620)가 감지하여 링크의 내부를 통해 연결되는 배선(미도시)을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함으로써 IP 구동부(240)에 의해 IP 관절(IP)이 얼마나 굴신동작을 수행하였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로봇손에서는 커플러(700)를 IP 구동부(240)의 구동축의 단부에 체결하기 위해 커플러 체결 부재(750)를 관통홀(721) 및 나사부(731)에 체결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robot h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체결홈(712)은 간극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바, 커플러(700)의 상부 절반은 탄성변형하게 되고 이러한 탄성변형은 탄성홈(713)의 탄성변형에 의해 더욱 증가되어 커플러 체결 부재(750)의 체결력을 배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커플러(700)는 제2 MCP1 링크(232)의 고정부(232C)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므로 IP 구동부(240)의 구동축이 회전하면 커플러(700)는 제2 MCP1 링크(232)의 고정부(232C)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커플러(700)에는 제1 IP 링크(241)가 고정되므로 커플러(700)의 회전에 의해 제1 IP 링크(241)가 회전하여 굴신동작을 하게 된다.Since the
한편, 여러 가지 내외부적 요인에 의해 제1 IP 링크(241)가 과도하게 회전할 경우, 커플러(700)의 스토퍼(730)가 장착부(6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위치 센서 체결 부재(630)에 의해 스톱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러한 스토퍼(730) 작용으로 인해 관절의 회전범위가 과도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안정성이 확보되고 회전센서 등에 연결된 배선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Due to the action of the
상기 내용은 IP 관절(IP)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된 것이나 MCP1 관절(MCP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above is described based on the IP joint (IP), but the same applies to the MCP1 joint (MCP1).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검지 손가락 기구의 조립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손에서 검지 손가락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assembly diagram of the index finger mechanism in the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ex finger mechanism in the robot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손가락 기구(300, 400, 500)는 검지 손가락 기구(300), 중지손가락 기구(400), 새끼손가락 기구(50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는 엄지 손가락 기구(200), 검지 손가락 기구(300), 중지손가락 기구(400), 새끼손가락 기구(500)로 구성된 4지형 로봇손에 대해 예시하지만, 새끼손가락 기구가 추가로 구성된 5지형 로봇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our-type robotic hand composed of 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 중지손가락 기구(400), 새끼손가락 기구(500)는 손끝측으로부터 차례로, 원위지절간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 DIP 관절(IP), DIP), 근위지절간관절(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PIP 관절(IP), PIP), 제2중수지절간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MCP2 관절, MCP2), 및 제2수근중수골관절(carpometacarpal joint, CMC2 관절(CMC2))을 구비하고, 각 관절마다 회동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 중지손가락 기구(400), 새끼손가락 기구(500)는 모두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관절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관절 구성을 대표로 하여 설명 한다.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DIP 관절(DIP)은 굴곡/신전(flexion/extension)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DIP joint (DIP) of 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PIP 관절(PIP)도 굴곡/신전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DIP 관절(DIP)의 회전축과 상기 PIP 관절(PIP)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PIP joint (PIP) of 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MCP2 관절(MCP2)은 2축 회동이 가능한 관절이며, MCP2-1 관절(MCP2-1)과 MCP2-2 관절(MCP2-2)이 조합된 관절이다. The MCP2 joint (MCP2) of the
MCP2-1 관절(MCP2-1)은 상기 DIP 관절(DIP) 및 PIP 관절(PIP)과 마찬가지로 굴곡/신전 동작이 가능할 수 있게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DIP 관절(DIP) 및 PIP 관절(PIP)과 마찬가지로 손바닥과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The MCP2-1 joint (MCP2-1)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ne-axis rotation to allow flexion/extension movement, as in the DIP joint (DIP) and PIP joint (PIP), and the DIP joint (DIP) and PIP joint ( Like PIP), it is formed parallel to the pal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CP2-2 관절(MCP2-2)의 회전축은 상기 MCP2-1 관절(MCP2-1)의 회전축에 대해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데, 손바닥 평면에 대해 수직한 종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The rotational axis of the MCP2-2 joint (MCP2-2) is formed to intersect wi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MCP2-1 joint (MCP2-1), and is formed to interse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lm plane.
CMC2 관절(CMC2)은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롤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손가락 기구의 길이방향의 롤링 운동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에 1축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CMC2 joint (CMC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uniaxially on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rolling mo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mechanism to enable rolling motion of the
CMC2 관절(CMC2)의 회전축은 상기 MCP2-1 관절(MCP2-1)의 회전축 및 MCP2-2 관절(MCP2-2)의 회전축에 대해 모두 교차하도록 설치된다.The rotational axis of the CMC2 joint (CMC2) is installed to intersect bo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MCP2-1 joint (MCP2-1) a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MCP2-2 joint (MCP2-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중지 손가락 기구(400) 및 새끼 손가락 기구(500)도 검지 손가락 기구(30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데, 새끼 손가락 기구(500)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새끼 손가락 기구(500)에서만 CMC2 관절(CMC2)의 중심축을 MCP2-2 관절(MCP2-2)의 중심축에서 손바닥 내측으로 오프셋(o)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Only in 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는 DIP 관절(DIP), PIP 관절(PIP), MCP2-1 관절(MCP2-1)을 통해 굴곡/신전(flexion/extension)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MCP2-2 관절(MCP2-2)에 의해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요잉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또한, CMC2 관절(CMC2)에 의해 검지 손가락 기구(300) 자체가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롤링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MC2 joint (CMC2) enables the
구체적인 검지손가락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dex finger will be described.
검지 손가락 기구(300), 중지손가락 기구(400), 새끼손가락 기구(500)는 모두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관절을 갖도록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검지 손가락 기구(300)의 세부적인 기구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The
검지 손가락 기구(300)에서 CMC2 관절 구동부(310)는 프레임(101)에 고정되는 CMC2 하우징(311)에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된다.In the
CMC2 하우징(311)에 수용된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MCP2-2 하우징(312)이 CMC2 하우징(311)에 대해 상대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MCP2-2
MCP2-2 하우징(312)은 수평부(312A)와 수직부(312B)로 형성되어 수평부(312A)가 상기 CMC2 하우징(311)에 연결되고, 수직부(312B)의 일측에는 MCP2-2 구동부(313)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CMC2 구동부(310)와 MCP2-2 구동부(313)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The MCP2-2
MCP2-2 하우징(312)의 수직부(312B)의 타측에 수용된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MCP2-1 하우징(321)이 MCP2-2 하우징(312)에 대해 상대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MCP2-1
MCP2-1 하우징(321)도 수평부(321A)와 수직부(321B)로 형성되어 수평부(321A)가 상기 MCP2-2 하우징(312)에 연결되고, 수직부(321B)의 일측에는 MCP2-1 구동부(320)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MCP2-2 구동부(313)와 MCP2-1 구동부(320)가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The MCP2-1
따라서, MCP2-1 하우징(321)에서 MCP2-2 구동부(313), MCP2-1 구동부(320), 및 CMC2 구동부(310)의 중심축이 모두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central axes of the MCP2-2
MCP2-1 하우징(321)의 수직부(321B)의 타측에는 위치 센서부(600)가 위치 센서 체결 부재(63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위치 센서(60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MCP2-1 구동부(320)의 단부에 커플러(700)가 커플러 체결 부재(750)에 의해 고정된다.On the other side of the
커플러(700)에는 제1 MCP2-1 링크(331)가 체결되는 데, 제1 MCP2-1 링크(331)는 커버부(331A)와 상기 커버부(331A)에 연결되는 링크부(331B)로 이루어진다.A first MCP2-1
제1 MCP2-1 링크(331)의 커버부(331A)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체결부재(T)가 삽입되어 커플러(700)에 형성된 체결홀(740)에 체결됨으로서 제1 MCP2-1 링크(331)가 커플러(700)에 고정된다.The first MCP2-1 link (1) by being fastened to the
한편, 제1 MCP2-1 링크(331)는 링크부(331B)에 의해 제2 MCP2-1 링크(332)와 결합된다.Meanwhile, the first MCP2-1
제2 MCP2-1 링크(332)는 커버부(332A), 상기 커버부(32A)에 연결되는 링크부(332A), 상기 링크부(332A)에 연결되는 고정부(332C)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MCP2-1
제2 MCP2-1 링크(332)의 커버부(332A)는 MCP2-1 구동부(320)의 후단을 덮으면서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The
제2 MCP2-1 링크(332)의 링크부(332B)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T)에 의해 제1 MCP2-1 링크(331)의 링크부(331B)와 결합된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제2 MCP2-1 링크(332)의 고정부(332C)의 일측는 PIP 구동부(340)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부(332c)의 타측에는 위치 센서부(600)가 고정된다.On one side of the fixing
IP 구동부(340)의 구동축이 위치 센서부(600)를 통과하여 커플러 체결부재(750)에 의해 커플러(700)에 고정된다.The driving shaft of the
커플러(700)에는 제1 PIP 링크(341)가 체결되는 데, 제1 PIP 링크(341)는 커버부(341A)와 상기 커버부(341A)에 연결되는 링크부(341B)로 이루어진다.A
제1 PIP 링크(341)의 커버부(341A)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체결부재(T)가 삽입되어 커플러(700)에 형성된 체결홀(740)에 체결됨으로서 제1 PIP 링크(341)가 커플러(700)에 고정된다.The
제1 PIP 링크(341)는 링크부(341B)에 의해 제2 PIP 링크(342)와 결합된다.The
제2 PIP 링크(342)는 커버부(342A), 상기 커버부(342A)에 연결되는 링크부(342A), 상기 링크부(342A)에 연결되는 링크부(342B)와, 상기 링크부(342B)에 연결되는 고정부(342C)로 이루어진다.The
제2 PIP 링크(342)의 커버부(342A)는 PIP 구동부(340)의 후단을 덮으면서 베어링(B)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The
제2 PIP 링크(342)의 링크부(342B)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체결부재(T)에 의해 제1 PIP 링크(341)의 링크부(341B)와 결합된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제2 PIP 링크(342)의 고정부(342C)의 일측에는 DIP 구동부(350)가 체결부재(T)에 의해 고정되며, DIP 구동부(350)의 구동축이 고정부(342C)의 타측에 고정된 위치센서(600)를 통과하여 커플러 체결부재(750)에 의해 커플러(700)에 고정된다.The
커플러(700)에는 체결부재(T)에 의해 제1 DIP 링크(351)가 고정되고, 제1 DIP 링크(351)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351A)가 손가락 단부(E)에 고정된다.The
한편, 제2 DIP 링크(352)도 베어링(B)에 의해 DIP 구동부(350)의 후단을 덮으면서 상대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 DIP 링크(35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352A)가 손가락 단부(E)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P 구동부(340) 및 DIP 구동부(350)는 MCP2-1 구동부(320)와 평행하게 손바닥에 횡방향으로 굴신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검지 손가락기구(300)에 설치된 커플러(700)도 엄지 손가락기구(200)에서와 마찬가지로 굴신운동가능한 관절부에 설치되어 엄지 손가락기구(200)에서의 커플러(700)와 동일하게 작용한다.The
검지손가락기구(300)에서 구체적으로는 굴신동작이 가능한 관절부로서 DIP 관절(DIP), PIP 관절(PIP), MCP2-1 관절(MCP2-1)에서 커플러의 작용이 엄지 손가락 기구(200)의 경우 IP 관절(IP) 및 MCP1 관절(MCP1)의 경우와 동일하게 발휘된다.I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of these modifications.
100:손바닥 200:엄지 손가락 기구
300:검지 손가락 기구 400:중지손가락 기구
500:새끼손가락 기구 DIP:원위지절간관절
PIP:근위지절간관절 MCP:중수지절간관절
IP:지절간관절 CMC:수근중수골관절100: palm 200: thumb mechanism
300: index finger mechanism 400: middle finger mechanism
500: little finger mechanism DIP: distal limb joint
PIP: Proximal joint joint MCP: Metacarpophalangeal joint
IP: metatarsal joint CMC: carpal metacarpal joint
Claims (11)
상기 복수의 손가락 기구는 굴신 동작가능한 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굴신 동작가능한 관절은,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고정되는 관절 구동부와,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회전동작가능한 커플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기 관절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이 상기 고정부의 타측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플러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판 형상의 중앙에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간홈과,
상기 중간홈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중간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A robot h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s,
The plurality of finger mechanism includes a joint capable of flexing,
The flexible movable joint,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A joint driving part fix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t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e unit is made of a coupler that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The coupler,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abov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composed of a link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link portion,
The joint driv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unit,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joint driving un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unit,
The coupler,
It has a disc shape with a certain thickness,
And an intermediate groov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of the plate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e unit is inserted,
An incision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A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a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is formed.
상기 중간홈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중심홈과,
상기 중심홈에서 직경방향으로 상기 커플러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중심홈에서 상기 체결홈과 반대 방향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단부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groove,
A central groove into which the drive shaft of the driving unit is inserted,
A fastening groove form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er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groove,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elastic groove formed in an arc shape at the end whil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astening groove from the central groove.
상기 절개부는,
상기 체결홈의 상부에서 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ㄴ 형상의 수평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incision,
It is formed in a b shape at the top of the fastening groove,
A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b shape.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중간홈의 하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부분에 두께가 감소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liding groove,
The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formed to decrease in a certain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intermediate groove.
상기 중간홈의 하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지 않은 스토퍼에는 상기 관통홈과 중심이 일치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a screw portion having a center coincident with the through groove is formed in the stopper in which the sliding groove is no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groove.
상기 커플러의 하방에는 위치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센서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관절 구동부의 구동축의 둘레에 설치되는 위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 position sensor unit is installed below the coupler,
The position sensor unit,
And the mounting portion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Robot hand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sition sensor installed around the drive shaft of the joint drive.
상기 장착부는 위치 센서부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위치 센서부 체결 부재는 상기 장착부에서 상기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부분으로 상방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mounting portion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by a position sensor portion fastening member,
The position sensor portion fastening member is fixed to the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jected upward to the portion where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상기 커플러에는 제2 동력전달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A robot hand,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fixed to the coup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157A KR102132861B1 (en) | 2018-11-20 | 2018-11-20 | Robot h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157A KR102132861B1 (en) | 2018-11-20 | 2018-11-20 | Robot h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9337A KR20200059337A (en) | 2020-05-29 |
KR102132861B1 true KR102132861B1 (en) | 2020-07-14 |
Family
ID=7091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3157A Active KR102132861B1 (en) | 2018-11-20 | 2018-11-20 | Robot h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286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681951B (en) * | 2025-02-24 | 2025-04-25 | 深圳市正运动技术有限公司 | An industrial robot manipulator that is easy to contro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5221Y1 (en) * | 1996-07-30 | 1999-06-15 | 윤종용 | The stopper of robot ar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1474A (en) | 2007-10-24 | 2009-04-29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Robot finger and robot hand including the same |
KR101907536B1 (en) * | 2017-03-16 | 2018-12-06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Humanoid robot hand and robot having the same |
-
2018
- 2018-11-20 KR KR1020180143157A patent/KR1021328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5221Y1 (en) * | 1996-07-30 | 1999-06-15 | 윤종용 | The stopper of robot a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9337A (en) | 2020-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7372B1 (en) | Robot hand | |
US20200375046A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JP6756166B2 (en) | Force sensor unit and robot | |
US9829069B2 (en) | Display apparatus | |
US7795832B2 (en) | Robot hand | |
US4821594A (en) | Robot joints | |
TWI520719B (en) | Greifeinrichtung | |
US10571975B2 (en) | Hinge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 |
US9752718B1 (en) | Two-axis joint | |
JP2017164831A (en) | Hand mechanism | |
KR102271362B1 (en) | Finger apparatus being close to humman finger and robot hand having the finger apparatus | |
KR102132861B1 (en) | Robot hand | |
KR101907536B1 (en) | Humanoid robot hand and robot having the same | |
TWI603825B (en) | Rotary drive mechanism of robot | |
KR102188407B1 (en) | Rotation locking device and 2 degree of freedom rotary arm comprising same | |
US20170336835A1 (en) | Pivot structur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WO2015063523A2 (en) | Robotic hand | |
US20200180145A1 (en) | Robot and leg assembly thereof | |
US11752060B2 (en) | Link assembly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08087105A (en) | Robot hand | |
US20220176569A1 (en) | A robotic hand | |
WO2019216293A1 (en) | Joint structure and robot hand | |
JP3996093B2 (en) | Robot hand | |
JP2007216332A (en) | Actuator, finger unit using it, and gripping hand | |
JP6543901B2 (en) | DRIVE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