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2408B1 - 진공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408B1
KR102132408B1 KR1020180086691A KR20180086691A KR102132408B1 KR 102132408 B1 KR102132408 B1 KR 102132408B1 KR 1020180086691 A KR1020180086691 A KR 1020180086691A KR 20180086691 A KR20180086691 A KR 20180086691A KR 102132408 B1 KR102132408 B1 KR 10213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ort
flow path
vacuum chuck
g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793A (ko
Inventor
백송철
Original Assignee
백송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송철 filed Critical 백송철
Priority to KR102018008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4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4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vacuum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5/00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 F04C25/02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for producing high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8Pump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04D19/04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to the production of a high vacuum, e.g. molecula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진공척; 공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 1 포트 및 상기 진공척와 연결되는 제 2 포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공압에 의하여 상기 진공척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를 포함하는, 진공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척 시스템{VACUUM CHUCK SYSTEM}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을 진공압에 의해 고정시키는 진공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계공작에서 재료를 바이스(vice)에 물려서 고정시키거나 콜릿척(colldt chuk)에 물려서 고정시키는 것과 같이, 어떤 재료나 대상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가공물을 정확하게 고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공물 고정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가 있다.
이러한 가공물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진공척에 진공 펌프를 부착시키고, 진공 펌프를 구동하여 흡착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진공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고정하는 "진공척"에 대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7037호(공고일: 2002년 8월 30일)로 등록실용신안공보(Y1)에 공개되어 있다. 이 진공척은 공작물을 고정하는 상판에 진공홈과 흡입홀이 형성되고, 이 진공홈과 흡입홀은 밸브블록의 진공밸브에 연결되고, 이 밸브블록에 진공호스연결구가 연결되어 진공호스를 통한 진공이 진공밸브를 통해 흡입홀로 작용하여 진공홈에 공작물이 흡착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고가의 진공 펌프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 비용이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계 공작에 많이 사용되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진공척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고가의 진공 펌프가 불필요하게 하여 제작 단가를 낮추는, 진공척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발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척 시스템은,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진공척; 공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 1 포트 및 상기 진공척와 연결되는 제 2 포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공압에 의하여 상기 진공척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 발생기는,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제 1 측에는 상기 제 1 포트 및 제 3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제 2측에는 상기 제 2 포트가 형성됨;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되어서, 상기 진공척내의 흡입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 1 유로; 및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포트와 연결되어서, 상기 공압에 의한 토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유로의 일단과 유통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진공 발생기는, 제 3 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 1 유로의 흡입압을 측정하는 공압 측정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유로의 개방/폐쇄를 조작하는 조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조작 모듈의 일부를 수용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바디의 외부에 형성되어서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저면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에 수용되며, 투과홀을 구비하는 플랜저를 포함하여, 상기 홀더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유로가 개방/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상기 제 1 유로가 형성되는 제 1 서브 바디; 및 상기 제 1 서브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 모듈이 형성되는 제 2 서브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 발생기는, 상기 제 2 유로 중 상기 제 1 유로와 만나는 위치에 설치된 이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포트는 제 2 유로의 끝단에 형성되어서, 흡입공기와 토출 공기가 이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삭제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를 포함하는 진공 펌프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 없이, 대부분의 기계 공작소에서 가지고 있는 콤프레샤(압축기)를 이용하여 진공척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압을 측정하는 흡입압 게이지를 바디의 외부에 설치하여 바디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서 제조 단가를 낮추고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유로와 제 2 유로사이에 이젝터를 설치하여, 진공 발생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 시스템 중 진공척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의 개념 단면도로서,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의 단면도로서 진공 발생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 중 제 2 바디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발생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척 시스템(A)은 진공척(10), 압축기(20), 그리고 진공 발생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진공척(10)은 가공 대상물을 흡입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 진공척(10)에 대하여서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압축기(20)는 소위 콤프레샤라고 한다. 압축기(20)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체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이는 기계적 장치를 말한다. 압축 방법에 따라 일정 용적을 내뿜는 용적형 압축기, 공기에 운동을 주어 그 운동 에너지를 압력으로 바꾸는 원심 압축기와 축류 압축기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압축기(20)는 공압을 발생시켜서 진공 발생기(30)로 고압의 토출 공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압축기(20)가 이용될 수 있다.
진공 발생기(30)는 제 1 포트(311)와 제 2 포트(312)를 구비하여서 제 1 포트(311)로는 압축기(20)와 연결되고, 제 2 포트(312)로는 진공척(10)과 연결된다. 압축기(20)의 토출 공기를 이용하여 음압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진공척(10)의 진공 팔래트(11)에 대하여 음압을 형성시켜서 진공척(10)에 의해 가공 대상물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 진공 발생기(3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진공 펌프를 구비하지 않고 압축기(20)를 이용하여 진공을 발생시켜 진공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진공척(1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진공 시스템 중 진공척(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척(10)은 진공 팔래트(11)와 진공 팔래트(11)위에 부착되며, 그 위에 가공물이 고정되는 그리드 테이블(13)로 구성된다.
진공 팔래트(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면의 가장자리에는 밀폐구조의 압착을 위한 링(115)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메인 흡입홀(113)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진공 포트(111)가 형성되어서 전술한 진공 발생기(30)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진공 팔래트(11)위에 부착되는 그리드 테이블(13)의 그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형태의 그리드홈(131)과 랜덤하게 형성된 흡입홀(133)이 형성된다.
진공 팔래트(11)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고, 그 중공부와 진공 포트(111)가 연결되어 있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진공 포트(111)에서 음압이 발생되게 되면, 중공부의 공기가 진공 발생기(30)쪽으로 흡입되게 되고, 메인 흡입홀(113)에서 공기를 빨아드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공 팔래트(11)에 상기 그리드 테이블(13)이 부착되면, 그리드 테이블(13)은 메인 흡입홀(113)의 음압에 의해 고정이 된다. 그리고 그리드 테이블(13)의 하면과 진공 팔래트(11)의 상면이 형성하는 좁은 공간으로 음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그리드 테이블(13)의 흡입홀(133)에서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리드홈(131)에 고무링을 부착하고 그 다음 가공 대상물을 위에 올려놓으면 가공 대상물은 그리드 테이블(13)의 흡입홀(133)에서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그리드 테이블(13)에 고정이 되게 된다. 따라서, 가공물의 크기등을 고려하여 흡입홀(133)을 랜덤하게 형성하고 다양한 사이즈의 가공물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에서는 진공 팔래트와 그리드 테이블의 2개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진공척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구성요소 즉, 진공 팔래트와 그리드 테이블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진공척이 이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진공 발생기(30)의 외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3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발생기(30)는 바디(31), 제 1 내지 제 3 포트(311,312,313), 공압 측정 게이지(34), 그리고 조작 모듈(3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는 그 내부에 제 1 유로(32) 및 제 2 유로(33)를 형성하여 진공압(음압)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기밀 구조를 가지며 음압에 대하여 충분한 저항력을 갖도록 튼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통상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디(31)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상당히 무거워지게 된다.
한편 바디(31)의 저면에는 자석(미도시)이 부착되어서, 진공 발생기(30)가 스틸재로 이루어지는 작업 테이블 위에 잘 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31)는 제 1 유로(32)가 형성되며, 제 1 및 제 3 포트(313)가 형성되는 제 1 서브 바디(310)와 조작모듈(35)이 형성되며 제1 서브 바디(310)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 2 서브 바디(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31)의 제 1 측에는 제 1 포트(311)와 제 3 포트(313)가 형성되고, 제 1 측에 대향하는 제 2 측에는 제 2 포트(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 해당하는 제 3 측에는 공압 측정 게이지(34)와 조작 모듈(35)이 위치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외관을 가지는 진공 발생기(30)에서의 유로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30)의 개념 단면도로서,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에는 제 1 포트(311)와 제 3 포트(313)가 형성되고, 제 2 측에는 제 2 포트(3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포트(312)는 압축기(20)와 연결되고, 제 1 포트(311)는 진공척(10)과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20)가 동작하게 되면, 압축기(20)의 토출 공기가 제 2 유로(33)를 거쳐서 제 3 포트(313)로 토출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유로(33)에서 고압의 토출 공기가 흘러나가면, 제 2 유로(33)와 제 1 유로(32)의 결합면에서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제 1 유로(32)릍 통해 진공척(10)내의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즉, 진공척(10)내에서 음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흡입 공기가 제 1 유로(32)를 통해서 제 3 포트(313)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유로(32)릍 통해 진공척(10)에서의 흡입 공기가 빠져나가므로, 진공척(10)에서 음압이 발생하여 가공물을 고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 2 유로(33)를 통해 고압, 고속의 토출공기가 제 3 포트(313)로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제 2 유로(33)와 제 1 유로(32)의 경계점서 저압부가 발생되어서, 제 1 유로(32)를 통해 흡입 공기가 제 1 포트(311)로 유입되어서 제 3 포트(313)로 토출공기와 함께 빠져 나가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진공발생기(3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30)의 단면도로서 진공 발생기(3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진공 발생기(30) 중 제 2 서브 바디(32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로(32)는 "ㄱ"자 유로로 형성되며, 제 2 유로(33)는 전체적으로 "ㅡ"자형으로 이루어져서 두 개의 유로(32,33)가 바디(31)의 중심부에서 만나게 된다. 이 만나는 점에는 이젝터(36)가 설치된다. 이젝터(36)는 일종의 노즐로서, 이측에서 고압 고속으로 공기가 분출되면, 그 주위를 저압부로 만들어 유체를 유인한다. 즉, 이젝터(36)는 제 2 유로(33) 중 제 1 유로(32)와 만나는 점에 형성되어서, 제 2 유로(33)에서의 고압의 토출 공기로 주변에 저압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제 1 유로(32) 중 일부에는 게이지(34)핀(321)이 설치되고, 이 게이지(34)핀으로 제 1 유로(32)의 흡입압이 측정되어서 공압 측정 게이지(34)에 이것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제 1 유로(32) 중 제 2 서브 바디(320)에는 실린더(331)가 형성되며, 이 실린더(331)에는 조작 모듈(35)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작 모듈(35)을 상하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제 2 유로(33)의 개방/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2 서브 바디(320)에는 실린더(3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린더(331)는 제 2 유로(33)의 일부로서, 조작 모듈(35)의 플랜저(353)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조작 모듈(35)은, 홀더(351), 로드(352), 그리고 투과홀(유로를 개방 폐쇄하는, 미도시됨)을 구비한 플랜저(3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3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서브 바디(320)의 외부에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홀더(351)의 상승 하강 동작에 의해 제 2 유로(33)가 개폐되게 된다.
홀더(351)의 저면 중심부에는 로드(352)가 부착되고, 로드(352)의 타단에는 플랜저(353)가 형성된다. 플랜저(353)에는 투과홀이 형성된다. 플랜저(353)는 홀더(351)의 상승 하강 동작에 따라 실린더(331)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투과홀과 제 2 포트(312)가 매칭되면 제 2 유로(33)가 개방되고, 플랜저(353)의 투과홀이 제 2 포트(312)와 매칭이 안되면 제 2 유로(33)가 폐쇄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를 포함하는 진공 펌프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 없이, 대부분의 기계 공작소에서 가지고 있는 콤프레샤(압축기)를 이용하여 진공척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입압을 측정하는 흡입압 게이지를 바디의 외부에 설치하여 바디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서 제조 단가를 낮추고 경량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유로와 제 2 유로사이에 이젝터를 설치하여, 진공 발생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진공척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발생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 : 진공척 시스템
10 : 진공척
11 : 진공 팔래트
111 : 진공 포트
113 : 메인 흡입홀
115 : 링
13 : 그리드 테이블
131 : 그리드홈
133 : 흡입홀
20 : 압축기
30 : 진공 발생기
31 : 바디
32 : 제 1 유로
33 : 제 2 유로
34 : 공압 측정 게이지
35 : 조작 모듈
36 : 이젝터

Claims (10)

  1. 가공 대상물을 고정하는 진공척;
    공압을 발생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 1 포트 및 상기 진공척와 연결되는 제 2 포트를 구비하여서 상기 공압에 의하여 상기 진공척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척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와 상기 진공 발생기를 연결하는 진공포트가 형성되는 진공팔래트; 및
    상기 진공팔래트 위에 부착되는 그리드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드 테이블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가공 대상물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그리드 테이블의 상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그리드홈; 및
    상기 가공 대상물의 다양한 크기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그리드홈에 의해 규정되어지는 복수의 사각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에 랜덤하게 형성되는 흡입홀; 및
    상기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그리드홈에 끼워지는 고무링; 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팔래트는,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진공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상기 진공압을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그리드 테이블에 전달하는 메인 흡입홀; 및
    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진공압 발생 시 상기 그리드 테이블을 흡착하기 위한 링;을 포함하는, 진공척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기는,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제 1 측에는 상기 제 1 포트 및 제 3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제 2측에는 상기 제 2 포트가 형성됨;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포트와 연결되어서, 상기 진공척내의 흡입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제 1 유로; 및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포트와 연결되어서, 상기 공압에 의한 토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유로의 일단과 유통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진공척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 발생기를 스틸재인 작업 테이블과 자성 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진공척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6691A 2018-07-25 2018-07-25 진공척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213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91A KR102132408B1 (ko) 2018-07-25 2018-07-25 진공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91A KR102132408B1 (ko) 2018-07-25 2018-07-25 진공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93A KR20200011793A (ko) 2020-02-04
KR102132408B1 true KR102132408B1 (ko) 2020-07-09

Family

ID=6957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9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32408B1 (ko) 2018-07-25 2018-07-25 진공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256A (ko) 2020-11-17 2022-05-24 (주)와이텍 금속판재 절삭가공용 진공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23B1 (ko) * 2007-03-15 2007-06-19 한국뉴매틱(주)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진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556A (ja) * 1991-12-26 1993-07-20 Kiyoshi Takahashi 真空ピンセット装置
JPH06155211A (ja) * 1992-11-30 1994-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真空吸着テーブル
KR20150098470A (ko) * 2014-02-20 2015-08-28 이종기 진공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23B1 (ko) * 2007-03-15 2007-06-19 한국뉴매틱(주) 필터 카트리지를 이용한 진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256A (ko) 2020-11-17 2022-05-24 (주)와이텍 금속판재 절삭가공용 진공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93A (ko)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09243U (zh) 面吸附夹具
US7093624B2 (en) Liquid pumping device
US10767662B2 (en) Multi-stage vacuum ejector with molded nozzle having integral valve elements
WO2007129804A3 (en) Compressor
JP2012062903A5 (ko)
US20120097730A1 (en) Nail-pushing rod restoring apparatus for pneumatic nail gun
US20150316074A1 (en) Vacuum Ejector With Tripped Diverging Exit Flow
KR102132408B1 (ko) 진공척 시스템
CN206493329U (zh) 一种fpc贴合机的吸料盘
CN102367824B (zh) 气控阀式振动冲击装置
CN216372032U (zh) 动力紧固件驱动器
CA2491775A1 (en) Positive pressure actuated aerator valve assembly
KR20230016926A (ko) 진공척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발생기
JP5820672B2 (ja) 真空チャック装置
KR101828860B1 (ko) 펀칭기에 적용된 석션 장치
CN105546309B (zh) 打钉机枪头润滑结构
US6409482B1 (en) Double-force type pressure cylinder structure
EP3163080A3 (en) Cylinder head assembly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CN209579214U (zh) 非磁性真空逻辑吸盘
CN105537493B (zh) 便携式钣金铆接装置
CN101429935A (zh) 空气压缩机的活塞体结构
CN208734637U (zh) 一种小型双层气缸
TWI623363B (zh) Hydraulic drive device for machine tool chuck
CN109028670B (zh) 制冷剂充注枪
CN111906729A (zh) 气动工具的压力显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