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1768B1 -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68B1
KR102131768B1 KR1020190081482A KR20190081482A KR102131768B1 KR 102131768 B1 KR102131768 B1 KR 102131768B1 KR 1020190081482 A KR1020190081482 A KR 1020190081482A KR 20190081482 A KR20190081482 A KR 20190081482A KR 102131768 B1 KR102131768 B1 KR 10213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overlapping
waterproof
joint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현
Original Assignee
태인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인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인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2001/6818Joints with swell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관련되며, 이때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층에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함에 있어, 방수시트간의 이음부에 수팽창지수재가 구비되는 격실이 형성되어 접합구조의 파손으로 인한 수분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시트 겹침영역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가압 폐쇄시켜 누수의 추가 유입을 방지되도록 중첩띠부(100), 수팽창지수재(130), 방수시트 겹침영역(2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Seam joining structure of a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콘크리트 층에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함에 있어, 방수시트간의 이음부에 수팽창지수재가 구비되는 격실이 형성되어 접합구조의 파손으로 인한 수분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시트 겹침영역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가압 폐쇄시켜 누수의 추가 유입을 방지해주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 욕실, 정화조, 지하 주차장 바닥 등과 같이 수분의 접촉이 있는 부위의 경우 구조체를 통하여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체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수 공사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방수 공법들이 알려져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시공 편의성 및 공사 기간 단축 등의 관점에서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부착 설치하여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방식인 시트 방수 공법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 방수 공법은 신축성이 우수한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는 방수시트를 제작하고 이를 방수 공사면에 펼쳐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규격화된 다수 매의 단위 시트를 사용함에 따라 시트간의 연결 부위가 발생하므로 연결 부위의 마감처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누수가 발생하여 방수 상의 하자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20-0182242호에서 방수공사에 시공되는 루핑시트(방수시트)의 시공에 있어서, 제1,2루핑시트가 본딩재를 통하여 몰타르층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루핑시트가 겹쳐지는 선단 내부에 소정의 두께(두께 08∼12㎜)를 갖는 루핑테입을 장착하여 일체로 부착설치하며, 상기 제2루핑시트의 선단부에 실링재로 마감처리되어 루핑시트를 연결하는 실링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실링재가 파손되더라도 루핑시트 사이에 삽입된 루핑테입에 의해 접합부위의 체결력을 개선하고 기밀, 수밀에 대한 저항을 높여, 실링부가 파손되더라도 시트연결부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입수분의 부피팽창(수증기화)으로 인한 방수층 파손이 방지되는 연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시트사이의 루핑테입을 삽입한 뒤 롤러 등을 이용해 압착하여 접합력을 강화함으로써 파손을 감소시켜주는 것으로, 접합부 파손의 원인이 되는 시트 변형을 버틸 수 있도록 단순히 체결력을 강화하는 방식에 불과하므로 접합부에 시트간 체결력 이상의 변형(수축, 인장)이 가해지거나, 반복된 변형으로 피로가 누적되어 시트 간 접합력이 약화될 경우 접합부의 파손으로 이어져 방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층에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함에 있어, 방수시트간의 이음부에 수팽창지수재가 구비되는 격실이 형성되어 접합구조의 파손으로 인한 수분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시트 겹침영역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가압 폐쇄시켜 누수의 추가 유입을 방지해주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바닥면에 겹침영역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방수시트(1)의 일단부에 상향 절첩되어 접착라인(111)에 의해 내측에 격실(110)을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중첩띠부(100); 상기 중첩띠부(100)의 격실(110) 내부에 설치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수팽창지수재(130); 상기 방수시트(1)와 이웃하는 방수시트(1)의 중첩띠부(100)를 포함하도록 겹침 상태로 부착되어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이 형성되는 접합라인(211); 상기 방수시트(1) 상에 코팅되는 방수도막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라인(211)의 방수 파괴로 인해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으로 수분이 침투하면, 수팽창지수재(130)가 수분에 반응하여 팽창력에 의해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을 가압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첩띠부(100)는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의 하부 방수시트(1)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차수턱(140)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라인(111)은 방수시트(1)의 절첩면이 서로 접착되는 점착영역(111a)과, 점접착영역(111a) 사이에 형성되는 미접착영역(111b)이 반복 형성되고, 상기 미접착영역(111b)을 통하여 수분이 격실(110) 내부로 유입되어 수팽창지수재(130)와 반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1)는 겹침영역(200)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 받침다리(411)에 의해 지지되어 겹침영역(200)을 수용하는 공기유로(410)가 형성되는 보호케이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411)는 하부에 아치형 멀티다리(411a)가 형성되고, 상기 멀티다리(411a)의 양측 단부가 방수시트(1)에 접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지(400)의 공기유로(410)는 격판(420)에 의해 좌, 우측 유로(410a)(410b)로 분할되고, 상기 좌, 우측 유로(410a)(410b)는 격판(420)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통공(430)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좌, 우측 유로(410a)(410b)는 다른 일측 단부에 흡기구(440a) 및 배기구(440b)가 구비되어 내부 공기가 순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방수시트의 연결하는 겹칩영역의 접합이 파손되어 수분의 침투가 발생했을 때, 유입된 수분이 방수시트 겹침 영역에 구비된 격실내부의 수팽창지수재에 흡수되며, 수팽창지수재가 수분에 반응하여 팽창하며 방수시트 겹침 영역을 가압 폐쇄해주므로 겹침 영역에 배치된 방수시트가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누수의 유입경로를 차단시켜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수분 침투가 발생했을 때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의 접착라인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보호케이지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의 보호케이지에 공기순환구조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에 관련되며, 건축물의 콘크리트 층에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함에 있어, 방수시트간의 이음부에 수팽창지수재가 구비되는 격실이 형성되어 접합구조의 파손으로 인한 수분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시트 겹침영역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가압 폐쇄시켜 누수의 추가 유입을 방지되도록 중첩띠부(100), 수팽창지수재(130), 방수시트 겹침영역(2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1)는 방수처리가 필요한 건축물의 바닥면 등에 시공되는 것으로, 시공면적에 따라 복수의 방수시트(1)가 분산 배치되며, 방수시트(1) 사이의 틈새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인접한 방수시트(1)는 서로 겹침영역을 가지도록 시공된다.
상기 방수시트(1)에 형성되는 중첩띠부(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건축물 바닥면에 겹침영역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방수시트(1)의 일단부에 상향 절첩되어 접착라인(111)에 의해 내측에 격실(110)을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중첩띠부(100)의 격실(110) 내부에는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수팽창지수재(130) 설치되고, 중첩띠부(100) 맞은편 단부에는 접합라인(211)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방수시트(1)의 중첩띠부(100)를 포함하도록 겹침 상태로 부착되는 것으로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을 형성하게 되며, 겹침시공된 방수시트(1) 상에 우레탄 등의 방수도막층(300)이 코팅되어 방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 겹침영역(200)은 중첩띠부(100)가 형성된 일측 방수시트(1a)와 중첩띠부(100)에 겹침 상태로 부착되는 인접 방수시트(1b)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접합되는 이중의 차단구조가 형성되어 수분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외부로 노출된 접합라인(211)이 시트부재(1)에 인장, 수축에 의해 분리 또는 파손되더라도 내측에 배치된 중첩띠부(100)가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의 하부 방수시트(1)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차수턱(140)을 형성하게 되므로 수분이 바닥면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가로막아 주게 된다.
이처럼, 차수턱(140)에 가로막힌 유입 수분은 중첩띠부(100)를 형성하는 접착라인(111)을 통해 격실(110) 내측으로 유입되어 수팽창지수재(130)에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수팽창지수재(130)는 물과 접촉하면 수화반응에 의하여 체적이 팽창하는 소재로 벤토나이트나 각종 폴리머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분과 접촉된 수팽창지수재(130)가 팽창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띠부(100)가 부풀어 오르며, 겹침영역(200)에 방수시트(1b) 저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를 완전히 차단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라인(111)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방수시트(1)의 절첩면이 서로 접착되는 점착영역(111a)과, 점접착영역(111a) 사이에 형성되는 미접착영역(111b)이 반복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차수턱(140)에 가로막힌 유입수분이 상기 미접착영역(111b)을 통하여 격실(110)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입된 수분이 겹침영역(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쪽으로 흘러가기 전에 미접착영역(111b)을 통해 격실(110) 내부의 수팽창지수재(130)와 접촉되어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누수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에서 겹침영역(200)의 신속한 차단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되며, 누수와 관계없는 구간의 수팽창지수재(130)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므로 사후 유지보수과정에서 누수 발생위치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참고로, 그리고, 유입된 수분에 의해 수팽창지수재(130)가 부풀어 오르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수시트(1b) 및 방수도막층(300)까지 함께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작은 크랙이나 파손도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방수시트(1)상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겹침영역(200)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 받침다리(411)에 의해 지지되어 겹침영역(200)을 수용하는 공기유로(410)가 형성되는 보호케이지(40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케이지(400)는 상술한 겹침영역(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겹침영역(200)을 연결하는 접합라인(211)이 외부 수분이나 습기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주어 접착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해주며, 작업중이나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접촉으로 접합라인(211)이 찢기거나 분리되는 것도 방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보호케이지(400)는 겹침영역(200) 상측면에 밀착되는 받침다리(411)에 의해 지지되어 내측에 겹침영역(200)으로부터 이격된 공기유로(410)가 확보되므로 바닥면이나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공기순환에 의해 자연건조가 이루어져 습도증가로 인한 접합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도 개선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때, 상술한 보호케이지(400)를 지지하는 받침다리(411)는 하부에 아치형 멀티다리(411a)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다리(411) 하부에 멀티다리(411a)가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보호케이지(400)를 밟거나 물건을 올려놓는 등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므로 접촉면의 방수시트(1)가 파손되는 것을 감소시켜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상기 보호케이지(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보호케이지(400)에 공기유로(410)는 격판(420)에 의해 좌, 우측 유로(410a)(410b)로 분할되고, 상기 좌, 우측 유로(410a)(410b)는 격판(420)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통공(430)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좌, 우측 유로(410a)(410b)는 다른 일측 단부에 흡기구(440a) 및 배기구(440b)가 구비되어 내부 공기가 순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로(410)는 격판(420)의 의해 좌,우측 유로(410a)(410b)로 분할되는데, 각각의 공기유로는 격판(420)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통공(430)에 의해 서로 연통되므로, 상술한 흡기구(440a) 및 배기구(440b)에 펌프(P)등을 연결하여 공기를 강제순환시켜주면 도 6(b)와 같이 내부공기가 좌, 우측 유로(410a)(410b)를 따라 순환되므로 내부 습기의 건조가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1 : 방수시트 100 : 중첩띠부
110 : 격실 200 : 방수시트 겹침영역
211 : 접합라인 300 : 방수 도막층

Claims (6)

  1. 바닥면에 겹침영역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방수시트(1)의 일단부에 상향 절첩되어 접착라인(111)에 의해 내측에 격실(110)을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중첩띠부(100);
    상기 중첩띠부(100)의 격실(110) 내부에 설치되어, 수분에 노출시 팽창되도록 구비되는 수팽창지수재(130);
    상기 방수시트(1)와 이웃하는 방수시트(1)의 중첩띠부(100)를 포함하도록 겹침 상태로 부착되어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이 형성되는 접합라인(211);
    상기 방수시트(1) 상에 코팅되는 방수도막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라인(211)의 방수 파괴로 인해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으로 수분이 침투하면, 수팽창지수재(130)가 수분에 반응하여 팽창력에 의해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을 가압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띠부(100)는 방수시트 겹침 영역(200)의 하부 방수시트(1)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차수턱(140)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라인(111)은 방수시트(1)의 절첩면이 서로 접착되는 점착영역(111a)과, 점접착영역(111a) 사이에 형성되는 미접착영역(111b)이 반복 형성되고, 상기 미접착영역(111b)을 통하여 수분이 격실(110) 내부로 유입되어 수팽창지수재(130)와 반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1)는 겹침영역(200)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측 받침다리(411)에 의해 지지되어 겹침영역(200)을 수용하는 공기유로(410)가 형성되는 보호케이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411)는 하부에 아치형 멀티다리(411a)가 형성되고, 상기 멀티다리(411a)의 양측 단부가 방수시트(1)에 접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지(400)의 공기유로(410)는 격판(420)에 의해 좌, 우측 유로(410a)(410b)로 분할되고, 상기 좌, 우측 유로(410a)(410b)는 격판(420)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통공(430)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좌, 우측 유로(410a)(410b)는 다른 일측 단부에 흡기구(440a) 및 배기구(440b)가 구비되어 내부 공기가 순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KR1020190081482A 2019-07-05 2019-07-05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Active KR10213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82A KR102131768B1 (ko) 2019-07-05 2019-07-05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482A KR102131768B1 (ko) 2019-07-05 2019-07-05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768B1 true KR102131768B1 (ko) 2020-07-08

Family

ID=7160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482A Active KR102131768B1 (ko) 2019-07-05 2019-07-05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7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599U (ko) * 1985-01-23 1986-08-07
KR20010003039A (ko) * 1999-06-21 2001-01-15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JP2012012883A (ja) * 2010-07-02 2012-01-19 Toyota Home Kk 防水構造体
JP7045797B2 (ja) * 2016-01-29 2022-04-01 東日本メディコム株式会社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599U (ko) * 1985-01-23 1986-08-07
KR20010003039A (ko) * 1999-06-21 2001-01-15 장혁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JP2012012883A (ja) * 2010-07-02 2012-01-19 Toyota Home Kk 防水構造体
JP7045797B2 (ja) * 2016-01-29 2022-04-01 東日本メディコム株式会社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610B2 (en) Window seal construction
US8104245B2 (en) Method for waterproofing a structural surface
US6546687B2 (en) Waterproofing method by using plastic panels
CN212641850U (zh) 具有防水功能的石材幕墙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110079578A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31768B1 (ko)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100710432B1 (ko)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100706190B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101162010B1 (ko) 체결형 방수시트
KR200424206Y1 (ko) 벽체형 탈기관
JP2019070234A (ja) 目地ジョイナー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構造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CN208803496U (zh) 一种汽车坡道与地下室主体交接缝节点结构
JP4107404B2 (ja) フロントサッシ下部の防水構造
KR20060134754A (ko) 부분 도막방수 터널 및 그 시공방법
CN207863322U (zh) 一种屋面防水结构
KR200362798Y1 (ko) 방수시트 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CN218521852U (zh) 地下室外墙变形缝防渗漏构造
KR100331506B1 (ko) 콘크리트건물 옥상의 방수시공 방법
KR102680275B1 (ko) 콘크리트층 내에 배열된 잔여수 흐름용 이중 배수파이프
KR102473708B1 (ko) 개량형 콘크리트 조인트 수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