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30541B1 -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41B1
KR102130541B1 KR1020190065518A KR20190065518A KR102130541B1 KR 102130541 B1 KR102130541 B1 KR 102130541B1 KR 1020190065518 A KR1020190065518 A KR 1020190065518A KR 20190065518 A KR20190065518 A KR 20190065518A KR 102130541 B1 KR102130541 B1 KR 10213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ire
rope
towing
wire s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철기
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카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카코
Priority to KR102019006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53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for making a slit along the perimeter of the tunnel profile, the remaining core being removed subsequently, e.g. by bla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굴착 공법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터널 일부에 인공절리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절리에 의한 자유면 확보로 터널 굴착 발파에 의해 발생된 발파진동이 터널 주변에 존재하는 보안물건에 전파되는 것을 저감시키며, 와이어의 구동을 위한 대구경의 코어를 천공하는 작업과 대형지그의 삽입에 의한 구동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발파공과 동일한 천공경에 와이어의 설치만으로 절삭하여 경제성과 효율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은, 터널 굴착을 위한 절삭대상의 굴착면 안에 양쪽이 상기 노출면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통공에 견인로프를 관통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방부 밖에서 상기 견인로프의 일측에 와이어 쏘의 와이어를 연결한 후 상기 견인로프를 반대쪽으로 견인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관통공의 타측 개방부로 인출한 후 풀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인공 절리의 형성을 위한 절삭 대상을 감싸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구동으로 절삭 대상을 절삭하여 인공절리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The Multiple Artificial Joints Formation Method using Wire Saw and Wire Connection Device of Wire Saw and The Tunnel Excav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널 굴착 시 인공절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인공절리를 형성함으로써 자유면을 확보하여 발파를 이용한 터널 굴착 시 발생한 발파진동이 굴착터널 주위에 존재하는 보안물건에 전파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파쇄도 및 굴진효율을 향상시키는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굴착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도심지에서의 터널 굴착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일반 발파의 적용이 제한적이고, 소음 및 진동에 대한 저감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도심지의 터널 굴착에 적용되는 소음 및 진동의 저감대책으로 주로 적은 장약량으로 공 주위에 균열을 발생시켜 발파공과 발파공을 연결하는 파단면을 형성하는 스무스 발파(Smooth Blasting), 프리스플리팅(Pre-Splitting), 쿠션 발파(Cushion Blasting), 라인 드릴링(Line Drilling)과 같은 제어발파와 자동화된 기계를 사용하여 터널 전단면을 동시에 굴진해 나가는 굴착공법인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이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발파는 굴착단면의 분할발파, 굴진장 감소, 천공수의 증가 및 이에 따른 뇌관 사용량의 증가 등으로 인해 굴착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보인다. 또한 TBM공법은 암질의 변화에 대한 적용성이 떨어지며, 굴착 노선이 제한적이고, 기계장비가 고가이며, 이를 운영하기 위해 고배선 등 부대 설비비가 과대로 소요되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인다.
최근에는 터널 발파에서 굴착면에 와이어 쏘 등과 같은 기계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부분적인 자유면을 형성하고 제어발파와 병행함으로써 발파진동을 저감시키고, 파쇄도 및 굴진효율 증가를 위한 자유면 발파공법이 일부 국내외 현장에서 시험 적용되고 있다.
기존 터널에 시험 적용되고 있는 와이어 쏘 절삭방법은 역타방법으로 지그장치, 풀리, 가이드 풀리를 이용하여 막장면 앞면에서 절삭하는 방법이다.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역타방법은 절삭 깊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지그장치 및 풀리가 필요하며, 절삭 깊이까지 지그(Jig)장치 및 풀리(Pulley)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Figure 112019056956814-pat00001
380mm 이상의 코어(hole) 천공이 필요하다. 또한, 절삭 시 발생하는 암분과 슬러지로 인해 지그장치 하부 풀리가 파단 될 수 있으며, 지그의 설치로 인한 장력이 절삭면에 동일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채석장 등에서 적용하는 감쌈방법에 비해 절삭효율이 35~40%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인다.
또한, 발파에 의한 암석의 파쇄도는 적재, 운반과 2차 파쇄로 이어지는 후속공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굴진효율은 공사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파쇄도의 조절 및 굴진효율의 증대는 발파 효율성과 전체적인 경제성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요소이다.
등록특허 제10-1508205호, 등록특허 제10-1594882호, 등록특허 제10-1649328호, 등록특허 제10-1634119호는 와이어 쏘의 역타방법을 이용한 암벽 및 터널 굴착면을 절삭하는 장치 및 절삭방법에 대한 것이며, 등록특허 제10-1774439호는 와이어 쏘를 터널의 발파 굴착에 적용한 것이지만, 적용된 와이어 쏘의 절삭 방식이 역타방법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508205호 등록특허 제10-1594882호 등록특허 제10-1649328호 등록특허 제10-1634119호 등록특허 제10-177443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쏘를 이용하여 터널 굴착면 일부에 인공절리를 형성함으로써 인공절리에 의한 자유면 확보로 터널 굴착 발파에 의해 발생된 발파진동이 터널 주변에 존재하는 보안물건에 전파되는 것을 저감시키며, 와이어의 구동을 위한 대구경의 코어를 천공하는 작업과 대형지그의 삽입에 의한 구동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소구경(발파공과 동일 가능)의 관통공에 와이어의 설치만으로 절삭이 가능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굴착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은, 터널 굴착을 위한 절삭대상의 굴착면에 안에 양쪽이 상기 노출면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통공에 견인로프를 관통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방부 밖에서 상기 견인로프의 일측에 와이어 쏘의 와이어를 연결한 후 상기 견인로프를 반대쪽으로 견인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관통공의 타측 개방부로 인출한 후 풀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인공 절리의 형성을 위한 절삭 대상을 감싸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구동으로 절삭 대상을 절삭하여 인공절리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널 굴착 공법에 의하면, 장약이 집중된 심발부와 보안 물건의 존재로 발파 진동 전파가 차단되어야 하는 터널 부분에 다중의 인공절리를 형성하여 터널 굴착 발파 시 발생되는 발파진동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키고 또한, 장약 집중도가 높은 심발부 영역에 보안물건의 위치 발파진동 허용기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인공절리의 크기, 수를 달리하여 인공절리를 형성함으로써, 현재 적용되는 터널 발파진동 저감 기술과 대비하여 높은 발파진동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절삭대상 안에 소구경(발파공과 동일 가능)의 관통공만 천공하고 이 관통공 안에 와이어만 설치하여 절삭함으로써 인공절리 형성 작업이 매우 용이하므로 경제적이면서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대구경 코어 천공을 위한 장비와 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절삭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성된 다중의 인공절리로 인해 대괴발생을 억제하고 암석파쇄물을 일정한 크기 이하로 조절하여 파쇄효율을 높여 암석파쇄물의 적재와 운반 시 대형 암괴를 분리시키는 추가적인 2차 소할발파 및 브레이커 작업을 감소시켜 작업 능률 향상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형성된 다중 인공절리는 인공 자유면으로 작용하여 발파효율 확보로 인한 굴진율의 증대로 공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공정을 보인 순서도와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을 위하여 와이어 쏘의 와이어가 절삭대상에 설치된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에 따라 인공절리가 형성된 예를 보인 터널 발파 굴착 패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을 위해 적용된 견인수단의 예시도.
도 6은 도 3의 견인수단에 의한 견인로프의 설치 공정도.
도 7은 종래 와이어 쏘에 의한 절삭을 보인 개념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은, 관통공 형성 - 견인로프 설치 - 와이어 쏘의 와이어 견인 설치 - 와이어 쏘 구동으로 인공절리 형성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의 구체적인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다.
1. 관통공 형성.
절삭대상의 내부에 관통공(1)을 형성한다. 이 관통공(1)은 와이어 쏘(20)의 와이어(21)를 설치, 특히 와이어(21)가 절삭대상을 감싸도록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관통공(1)은 제1관통로(1-1)와 제2관통로(1-2)가 연결된 형태로서 평면에서 볼 때 "V"의 형태이다.
이와 같은 관통공(1)의 형태는 와이어(21)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형태로서, 제1,2관통로(1-1,1-2)는 각각 직선이고 각각 바깥쪽은 절삭대상의 외부와 통하고 반대의 안쪽은 절삭대상의 안에서 서로 통하도록 구성된다.
관통공(1)은 일반 터널 굴착을 위하여 발파공(장약공, 무장약공 등)을 천공하는 천공장비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를 사용하지 않은 이점이 있으며, 즉, 직경은 발파공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관통공(1)을 형성한 후 제1, 2관통로(1-1, 1-2)가 서로 통하는 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관통공(1)의 관통여부는 천공에 사용한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관통공(1) 한쪽에서 물과 공기를 주입한 후 반대편으로의 분출여부를 가지고 관통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직진성이 우수한 전등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 여부로 관통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2. 견인로프 설치.
와이어쏘(20)의 와이어(21)의 재질과 구조적 특성으로 관통공(1) 안에 와이어(21)를 직접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 관통공(1) 안에 와이어 쏘(20)의 와이어(21)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견인로프(10)를 선택한다.
견인로프(10)를 관통공(1)의 일측에 삽입한 후 타측으로 밀어 관통공(1)의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설치하며, 따라서, 견인로프(10)는 제1관통로(1-1)에서 제2관통로(1-2)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재질이나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고, 예를 들어 PE 재질의 로프이다.
3. 와이어 쏘의 와이어 견인 설치.
견인로프(10)의 타측(도면 기준 우측)은 절삭대상의 밖에 돌출되어 있으며, 이 타측에 와이어 쏘(20)의 와이어(21)의 단부를 연결(묶음 등)한다.
와이어(21)가 연결된 곳의 반대쪽에서 견인로프(10)의 일측(도면 기준 좌측)을 감거나 당겨 와이어(21)를 견인하면, 와이어(21)는 제1관통로(1-2) - 제1관통로(1-1)를 따라 견인되어 제1, 2관통로(1-1, 1-2) 안에 배선된다.
이 때, 와이어(21)를 가이드 풀리(22)에 통과시키고, 와이어 쏘(20)와 연결한다.
가이드 풀리(22)는 와이어(21)의 작동을 위하여 절삭대상의 노출면에 정착되는 앵커 등으로 고정 설치된다.
4. 와이어 쏘 구동으로 인공절리 형성.
와이어 쏘(20)의 메인풀리의 회전운동으로 와이어(21)를 구동시켜 절삭대상(암반)을 절삭함으로써 절삭대상 안에 인공절리(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인공절리(2)를 통해 절삭대상 안에 자유면을 확보한다.
도 5와 도 6는 견인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견인수단은 견인로프(10), 견인로프(10)를 수용하는 견인로프 수용관(11), 견인로프 수용관(11)에 수용된 견인로프(10)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로서 로프 견인관(12)으로 구성되며, 견인로프 수용관(11)에 수용된 견인로프(10)를 견인로프 수용관(11)에서 이송하기 위한 제1, 2자석(13, 14)이 포함된다.
견인로프 수용관(11)은 내부에 견인로프(10)가 삽입 배선되는 관의 형태이다.
견인로프 수용관(11)은 견인로프(1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견인로프(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다.
견인로프 수용관(11)은 관형의 경우 견인로프(10)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고 견인로프(10)의 외경에 비해 넓은 공간의 확보를 통해 견인로프(1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점에서 이점이 있으며, 즉, 견인로프(1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전제하에 관형 이외의 구조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견인로프(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예를 들어 견인로프 수용관(11)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15)이다.
다수의 볼트(15)는 바람직하게 3~4개{견인로프(10)가 관통하는 링을 갖는 1개도 가능}가 견인로프(10)의 둘레부를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각의 단부가 견인로프(10)의 둘레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견인로프(10)를 견인로프 수용관(11)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또한 견인로프(10)보다 큰 외경의 제1자석(13)이 내부로 이탈되는 것도 막아준다.
볼트(15)는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견인로프(10)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외경의 견인로프(10)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재는 볼트(15) 대신 견인로프(10)가 통과하는 홀이 구비된 링도 가능하다.
견인로프 수용관(11)의 내부에는 견인로프(10)가 적은 마찰저항으로 이동하도록 롤러가 견인로프(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롤러를 대체하여 견인로프 수용관(11)의 내주면에 내주면보다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견인로프(10)와 점 접촉되는 돌기들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자석(13)은 견인로프(10)의 단부에 고정되며, 견인로프 수용관(11)의 단부{관통공(1)의 안쪽을 향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제2자석(14)이 부착되도록 견인로프 수용관(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자석(13)은 견인로프(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이 바람직하고, 견인로프(10)가 고정볼트(15)에 지지될 뿐 이동 가능하므로 제1자석(13)은 제2자석(14)과 근접될 때 자력에 의해 제2자석(14)쪽으로 이동하여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2자석(13, 14)은 작업자의 조작없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로프 견인관(12)과 견인로프(10)를 연결하는 점에서 이점이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로프 견인관(12)에 견인로프(10)의 단부를 클램핑하는 집게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2자석(13, 14)은 클램핑수단의 바람직한 예인 것이다.
로프 견인관(12)은 관통공 중에서 견인로프 수용관(11)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 설치되어 견인로프 수용관(11)에 수용된 견인로프(10)를 당기는 기능을 하며, 관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자석(14)은 로프 견인관(12)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로프 견인관(12)과 함께 이동하며, 제1자석(13)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로프 견인관(12)의 이동 시 제1자석(13)과 이에 고정된 견인로프(10)가 이동되도록 한다.
제2자석(14)은 제1자석(13)과 빠른 부착이 가능하면서도 부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자석(13)보다 큰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자석(13, 14)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도록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방법으로 어느 하나만 자석으로 하고 나머지를 철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견인로프 수용관(11)과 로프 견인관(12)은 관통공(1)의 다양한 제원에 공용하도록 2개 이상의 관이 연결(나사 체결이나 커플링)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견인수단을 이용한 견인로프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관통로(1-1) 안에 로프 견인관(12)을 삽입 설치하고 반대쪽의 제2관통로(1-2) 안에 견인로프 수용관(11)을 삽입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제1, 2자석(13, 14)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로프 견인관(12)과 견인로프(10)는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견인로프(10)가 없는 로프 견인관(12)을 제1관통로(1-1)의 외부로 인출하면 로프 견인관(11)과 함께 견인로프(10)가 당겨지게 되고, 따라서 견인로프(10)가 제1관통로(1-1) 안에 배선된다.
견인로프(10)를 제1관통로(1-1)밖으로 충분히 이동시키고, 제2관통로(1-2) 안에 남은 견인로프 수용관(11)을 외부로 인출한다.
이로써, 관통공(1) 안에는 견인로프(10)만 설치된다.
여기서, 견인로프 수용관(11)과 로프 견인관(12)은 그 설치 위치가 뒤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인공절리의 예를 보인 것이며, 인공절리는 심발부와 주변 등 터널 발파 굴착의 패턴에 따라 자유면이 필요한 모든 곳에 형성 가능하고 또한 그 크기와 수량은 터널의 크기와 암반 상태 등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굴착 공법은, 인공절리 형성으로 자유면 확보 - 발파공 천공과 화약 장약 - 발파 굴착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1. 인공절리 형성으로 자유면 확보.
인공절리 형성은 전술한 것처럼, 관통공(1) 형성 - 견인로프(10) 설치 - 견인로프(10)와 와이어 쏘(20)의 와이어(21) 연결 후 와이어(21) 견인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2. 발파.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발파공(장약공의 단독, 장약공과 무장약공의 조합 등 다양한 발파공)은 최적의 발파를 위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장약공에 화약을 장약한 후 전색하며, 상기 화약의 점화를 통해 발파한다. 인공절리(2)와 근접한 발파공의 발파 시 발파진동은 인공절리(2)에 의한 자유면을 통해 전파되는 것이 저감된다.
본 발명은 인공절리(2)에 의해 자유면을 확보하였기 때문에 이 자유면에 맞는 발파패턴이 가능함은 물론 기존 터널발파의 발파패턴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따라서 추가적인 설계변경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 및 시공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1 : 관통공,
1-1 : 제1관통로, 1-2 : 제2관통로
2 : 인공절리,
10 : 견인로프, 11 : 견인로프 수용관
12 : 로프 견인관, 13,14 : 제1, 2자석
15 : 볼트,
20 : 와이어 쏘, 21 : 와이어
22 : 가이드풀리,

Claims (6)

  1. 터널 굴착을 위한 절삭대상의 굴착면 안에 양쪽이 노출면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관통공에 견인로프를 관통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방부 밖에서 상기 견인로프의 일측에 와이어 쏘의 와이어를 연결한 후 상기 견인로프를 반대쪽으로 견인하여 상기 와이어를 상기 관통공의 타측 개방부로 인출한 후 풀리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가 인공 절리의 형성을 위한 절삭 대상을 감싸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구동으로 절삭 대상을 절삭하여 인공절리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는 절삭대상에 평면에서 볼 때 안쪽으로 가면서 모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2관통로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방부에서 물과 공기와 빛 중 하나 이상을 조사한 후 반대쪽의 개방부에서 확인하여 상기 관통공의 관통을 검증하며,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방부에서, 내부에 상기 견인로프가 삽입되며 다수의 볼트를 통해 상기 견인로프를 중앙에 지지하는 견인로프 수용관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견인로프의 단부에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1자석을 고정하여 준비하고,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을 상기 관통공의 일측 개방부에서부터 상기 관통공의 안쪽을 향해 삽입 설치하는 제3-1단계,
    단부에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의 제1자석이 부착되도록 상기 제1자석보다 큰 단면적의 제2자석이 구비된 견인로프 견인부재를, 상기 관통공의 타측 개방부에서 상기 관통공의 안쪽을 향해 삽입 설치하여 상기 제1,2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에 수용된 견인로프와 상기 로프 견인부재를 부착하는 제3-2단계,
    로프 견인관을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제1,2자석과 함께 상기 견인로프를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견인하는 제3-3단계,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남은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을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인출하는 제3-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절삭대상 안에 양쪽에 개방부가 있으면서 안쪽에서 서로 통하는 경사형태의 관통공에 와이어 쏘의 와이어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의 양쪽의 개방부 중에서 일측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반대쪽의 개방부로 돌출된 후 와이어 쏘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견인로프와;
    상기 견인로프를 일측의 개방부에서 당겨 상기 견인로프에 의해 상기 와이어 쏘의 와이어가 상기 관통공을 따라 견인되도록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수단은 내부에 상기 견인로프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견인로프 수용관,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견인로프를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의 중앙에 정렬하는 다수의 볼트, 상기 견인로프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로프의 단부에 상기 견인로프 수용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자석, 단부에 상기 제1자석보다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자석과 흡착되는 제2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의 타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상기 관통공의 타측으로 빠지면서 상기 견인로프를 인출하는 로프 견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6. 청구항 1에 의한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으로 절삭대상에 인공절리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절삭대상에 터널 굴착을 위한 발파공을 천공하고 1개 이상의 발파공에 화약을 장약한 후 폭발시켜 발파 굴착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을 포함하는 터널 굴착 공법.


KR1020190065518A 2019-06-03 2019-06-03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Active KR10213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18A KR102130541B1 (ko) 2019-06-03 2019-06-03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518A KR102130541B1 (ko) 2019-06-03 2019-06-03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541B1 true KR102130541B1 (ko) 2020-07-06

Family

ID=7157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518A Active KR102130541B1 (ko) 2019-06-03 2019-06-03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560B1 (ko) * 2020-09-03 2021-03-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성형폭약과 와이어쏘우를 이용한 암반절삭방법 및 터널굴착방법
KR102514700B1 (ko) * 2022-05-04 2023-03-29 엄태영 석재 채취 방법 및 석재 채취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72A (ja) * 1997-01-21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トンネルの構築方法及びその拡幅方法
US20100078220A1 (en) * 2006-01-12 2010-04-01 Coleman Ii James K Drilling and opening reservoirs using an oriented fissure
KR101508205B1 (ko) 2014-05-07 2015-04-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고정식 지그장치
KR101594882B1 (ko) 2014-06-03 2016-03-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전진 방식 지그장치
KR101634119B1 (ko) 2014-08-19 2016-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발파진동 저감을 위해 터널 외주면 일부를 절삭하는 터널 굴착공법
KR101649328B1 (ko) 2015-06-11 2016-08-18 김효성 암벽 굴착기와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KR101774439B1 (ko) 2017-01-18 2017-09-19 (주)하경엔지니어링 방진 절삭선 및 심발부 방진구를 이용한 발파진동 저감 굴착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72A (ja) * 1997-01-21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トンネルの構築方法及びその拡幅方法
US20100078220A1 (en) * 2006-01-12 2010-04-01 Coleman Ii James K Drilling and opening reservoirs using an oriented fissure
KR101508205B1 (ko) 2014-05-07 2015-04-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고정식 지그장치
KR101594882B1 (ko) 2014-06-03 2016-03-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와이어 쏘를 이용한 터널 굴착을 위한 전진 방식 지그장치
KR101634119B1 (ko) 2014-08-19 2016-06-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발파진동 저감을 위해 터널 외주면 일부를 절삭하는 터널 굴착공법
KR101649328B1 (ko) 2015-06-11 2016-08-18 김효성 암벽 굴착기와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KR101774439B1 (ko) 2017-01-18 2017-09-19 (주)하경엔지니어링 방진 절삭선 및 심발부 방진구를 이용한 발파진동 저감 굴착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560B1 (ko) * 2020-09-03 2021-03-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성형폭약과 와이어쏘우를 이용한 암반절삭방법 및 터널굴착방법
KR102514700B1 (ko) * 2022-05-04 2023-03-29 엄태영 석재 채취 방법 및 석재 채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541B1 (ko) 와이어 쏘를 이용한 인공절리 형성 방법과 이를 위한 와이어 쏘의 와이어 설치 장치 및 터널 굴착 공법
CA2604717A1 (en) Method for the trenchless laying of pipes
ES2239755T3 (es) Instalacion de conductos para cables.
BRPI0711069A2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instalação sem valas de tubulações
JPH05503745A (ja) 地中パイプラインの設置方法
KR101714907B1 (ko) 시트파일 시공장치
CN114320313B (zh) 一种空推拖拉式顶管机脱困施工方法
US6261027B1 (en) Portable pulling apparatus
CN100523435C (zh) 安装地下套管的方法
KR101815480B1 (ko) 선대구경을 이용한 수직구의 굴착공법
KR102508847B1 (ko) 와이어쏘 방식의 자유면 형성을 통한 터널 시공방법
JP4253801B2 (ja) トンネル構築工法
EP2000627A2 (en) Directional boring machine for drilling underground ducts
EA017789B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бурения сквозь неплотно утрамбованные материалы
KR20060012840A (ko) 채널바가 부착된 강관
JP2000145396A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のリングケーブル挿入装置
JP2001182496A (ja) トンネルの漏水対策方法
KR101772276B1 (ko) 비개착식 터널굴착용 선단구조체
JPS6354117B2 (ko)
KR20190025583A (ko) 방향제어시추와 줄톱절단을 조합하여 응용한 암반절단 굴착공법
FI80924B (fi) Foerfarande foer montering av ett skyddsroer.
RU769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траншейной про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230038963A (ko) 에어해머를 이용한 수평굴착장치
JP2004162256A (ja) 撤去可能な埋設管
JPH01207595A (ja) パイプくい打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11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8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723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521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1

Request date: 201912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0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12

Effective date: 202005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5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1212

Decision date: 20200521

Appeal identifier: 2019101004091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