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307B1 - A vessel tank system - Google Patents
A vessel tan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0307B1 KR102130307B1 KR1020157016511A KR20157016511A KR102130307B1 KR 102130307 B1 KR102130307 B1 KR 102130307B1 KR 1020157016511 A KR1020157016511 A KR 1020157016511A KR 20157016511 A KR20157016511 A KR 20157016511A KR 102130307 B1 KR102130307 B1 KR 102130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tank system
- tank
- compartments
- tank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1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고, 복수개의 제1 구획공간들(21; 31, 21'; 21")이 중심 구조물(11; 11'; 11")과 2개 이상의 제2 구획공간들(22a; 22a'; 22a") 사이에 배열되고, 2개의 인접한 제1 구획공간들이 상기 중심 구조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선체 측부(hull side)(13)를 향해 연장되는 제1 벌크헤드(bulkhead)(211; 211'; 211")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선체(hull)(1; 1'; 1")의 탱크 시스템(2)에서 있어서, 제3 구획공간(22b; 22b'; 22b")이 2개의 인접한 제1 구획공간들(21)에 대향하여 그리고 인접한 제2 구획공간들(22a; 22a'; 22a")에 대향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3 구획공간이 선체(1)의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dimensioning,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의 연장(radial extension)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시스템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111,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spaces (21; 31, 21'; 21") and the central structure (11; 11'; 11") and two or more agents It is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artments 22a; 22a'; 22a", and two adjacent first compartments extend outward from the center structure in a substantially radial direction toward the hull side 13 In the tank system 2 of a hull 1; 1'; 1"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first bulkhead 211; 211'; 211", the third compartment 22b; 22b'; 22b") is divided into two adjacent first compartments 21 and opposite second compartments 22a; 22a'; 22a", the third compartment being the hull Disclosed is a tank system characterized by exhibiting a radial extension greater than the dimensioned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 of (1).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심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선체의 탱크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이 탱크 시스템에는 여러개의 제1 탱크들(primary tanks)이 중심 구조물과 2개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들(ballast tanks) 사이에 배열되고, 두 개의 인접한 제1 탱크들이 상기 중심 구조물로부터 그리고 선측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실질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벌크헤드(primary bulkhead)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ank system of a hull that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about a central axis, in which several primary tanks are arranged between the central structure and two or more ballast tanks. The two adjacent first tank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rimary bulkhead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entral structure and outward towards the ship.
선체의 가장자리(들)에 인접하게 배열되는 거대한 유체 탱크를 갖춘 선박 선체(hull)가 선측(hull side)에서 손상이 발생하면, 유체가 심각한 손실되고 그 결과 주위의 바닷물과 해안지대에 심각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해양 오일 산업현장에서,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이고(예를 들어 실린더형 또는 다각형 선체) 다른 부유 드릴링 플랫폼, 생산, 및 저장 시설 중에 사용되는 선체가, 주위의 바닷물에 가능한 적은 양으로 배출되어야만 하는 난용성 및/또는 독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결점이라 할 수 있다. If a ship hull with a huge fluid tank arranged adjacent to the edge(s) of the hull is damaged on the hull side, the fluid is severely lost and consequently serious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seawater and coastal zones. Can occur. This is largely symmetrical (eg cylindrical or polygonal hulls) about the vertical central axis, especially in the offshore oil industry, where the amount of hull used in othe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ies is as small as possible in the surrounding sea water. This is a drawback in that it may contain poorly soluble and/or toxic substances that must be released.
정부 기관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오염 유체의 해양 이송에 사용되는 탱크들과 선박 주변부 사이에 2중 벌크헤드(double bulkhead)를 사용할 것을 산업계에 요구한다. 2중 벌크헤드들 사이에 형성된 용적(volume)은 종종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로서 사용된다. 그로 인해 밸러스트 탱크들은 일반적으로 선체의 주변부 쪽으로 배열된다. 만약 가득 적재한 선체가, 이 경우 밸러스트 탱크는 비어 있게 되는데, 선측에서 손상을 입게 되면, 거대한 밸러스트 탱크 용적으로의 바닷물의 유입 또는 그 용적으로부터의 바닷물의 유출이 선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가능성 있는 손상이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는 선체 내 깊이가 얼마인지, 그리고 이러한 손상이 어디서 발생할 것인지에 대한 요건들도 종종 수반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부 선박에 사용되는 MARPOL-요건에서는, 선박이 선측을 따라 어떤 위치에서도 선체 내에 11.5 미터까지 연장되는 손상을 견뎌야만 할 것을 요구한다. 선박 또는 선박 유사 구조물에 대하여, 이 요건은 선박의 선측을 따라 밸러스트 탱크와 화물 탱크 모두의 더 미세한 분할에 의해 종종 보완되었다.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인 선체에 대한 이러한 원칙을 따르는 것은 선체가 많은 양의 탱크로 분할되어야만 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Government agencies generally require the industry to use a double bulkhead between tanks used for the marine transportation of contaminated fluids such as oil and the periphery of the vessel. The volume formed between the double bulkheads is often used as a ballast tank. As a result, the ballast tanks are generally arranged towards the periphery of the hull. If a full-loaded hull, in this case, the ballast tank becomes empty and is damaged on the ship's side, the inflow of seawater into or out of a large ballast tank volume can make the hull unstable. Requirements have often been entailed as to what depth in the hull the potential damage can be assumed to extend and where this damage will occur. For example, MARPOL requirements for some vessels require that the vessel must withstand damage extending up to 11.5 meters in the hull at any position along the side. For ships or ship-like structures, this requirement is often compensated for by the finer division of both ballast and cargo tanks along the ship's side. Following this principle for a hull that is generally symmetric about the vertical central axis will result in the hull having to be divided into a large number of tanks.
2개의 탱크를 분할하는 벌크헤드의 영역에서 손상이 발생할 경우, 선측에서의 손상은 특히 심각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오염 유체가 유출되거나 또는 2개의 인접한 탱크로의 바닷물의 유입 또는 그 탱크로부터 바닷물의 유출이 발생한다. When damage occurs in the area of the bulkhead dividing the two tanks, the damage on the side becomes particularly serious, in which case contaminant fluid is leaked or the inflow of seawater into or out of two adjacent tanks or seawater from the tank This happen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결점을 완화 또는 저감하거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eviate or reduce at least one drawback of the prior art or to provide a useful alternative to the prior art.
상기 목적은 이하의 설명 및 다음의 청구항들에 기재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claims.
선박의 선체는 일반적으로 탱크들의 분할을 위하여 횡방향의 벌크헤드(bulkheads)와 종방향의 벌크헤드를 갖는다. 수직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인 선체에서, 횡방향 벌크헤드는 일반적으로 반지름 방향이거나 대략 반지름 방향일 것이며, 그리고 종방향 벌크헤드는 일반적으로 접선 방향이거나 대략 접선 방향일 것이다. 접선 방향 벌크헤드는 결과적으로 직선형이나 곡선형이다. 반지름 방향의 벌크헤드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인접한 탱크들에 손상을 미치게 하기 위해서는, 그 손상이 반지름 방향 벌크헤드의 양 측에서 발생하여야만 한다. 외측의 탱크들에 있어서, 상기 손상은 외측의 선체 측부가 상기 반지름 방향 벌크헤드의 양 측에 관통되는 한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지름 방향 벌크헤드의 부근에서 충돌하는 선박이 갖는 충격은 아마 인접한 외측의 탱크들 모두에 최대의 손상을 야기할 것이다. 내측의 탱크들이 손상을 받기 위해서는, 그 손상은 외측의 탱크들의 반지름 방향의 연장(extension)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추정되는 최대의 손상 침투 값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의 연장을 갖는 외측 탱크들을 설계함으로써, 내측 탱크들에 미치는 손상의 가능성을 크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수단은, 충분한 화물 용적을 유지하기 위해 선체 사이즈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야기할 것이다. The hull of a ship generally has transverse bulkheads and longitudinal bulkheads for the division of the tanks. In a hull that is generally symmetric about the vertical central axis, the transverse bulkhead will generally be radial or approximately radial, and the longitudinal bulkhead will generally be tangential or approximately tangential. The tangential bulkhead is consequently straight or curved. In order to damage two adjacent tanks separated by a bulkhea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damage must occur on both sides of the radial bulkhead. In the outer tanks, the damage can occur as long as the outer hull side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radial bulkhead; As a result, the impact of a colliding vessel in the vicinity of the radial bulkhead will probably cause maximum damage to all adjacent outer tanks. In order for the inner tanks to be damaged, the damage must extend in a larger radial direction than the radial extensions of the outer tanks. By designing the outer tanks with an extension in the radial direction greater than the estimated maximum damage penetration valu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inner tanks can be greatly eliminated. However, this solution will cause the hull size to increase significantly to maintain a sufficient cargo volume.
따라서, 수직 중심축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인 선체의 측부에서 상기 손상이 종래 기술의 선체 용적보다 더 적은 유입 또는 유출용 탱크 용적에 노출되는 탱크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은, 예를 들어 다른 선박과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선체 측부에서의 손상이 선체 내부까지는 거의 연장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이는 물론 선체 구조물의 침투 저항에 기인한다. 몇몇 영역에서, 관계기관은 또한 외부 공간에 대하여 제품 탱크들을 구획하는 벌크헤드와 외측의 선체 측부 사이의 거리에 관한 요건을 설정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내부 탱크(internal tanks)(‘제1 탱크(primary tanks)’라고도 함), 제품 탱크(product tanks) 또는 화물 탱크(cargo tanks)를 분리하는 반지름 방향 벌크헤드(제1 벌크헤드: primary bulkheads) 각각이, 알려진 방식으로, 보통의 반지름 방향의 연장을 갖는 제1 밸러스트 탱크(primary ballast tanks)(‘2차 탱크(secondary tanks)라고도 함)에 의해 선체 측부에 대향하여 구획되고, 제2 밸러스트 탱크(secondary ballast tanks)(‘제3 탱크(tertiary tank)’라고도 함)가 선체의 치수화 반지름 방향 손상 연장(dimensioning radial damage extension)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의 연장(radial extension)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에 기초한다. 이 제2 밸러스트 탱크는 일측 상에서 반지름 방향 벌크헤드에 의해 구획되거나, 또는 반지름 방향 벌크헤드의 연장선에 놓일 수 있다. 선체의 주변부 방향으로 제2 밸러스트 탱크의 연장은, 그것의 반지름 방향 연장과 유사하게, 선체가 설계되는 손상의 치수화 규모에 적합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 충돌의 경우에, 수평 방향으로의 손상 연장은 약 10미터를 거의 초과하지 않는다. 제2 밸러스트 탱크들의 반지름 방향 및 접선 방향 모두의 연장에 대하여, 치수 요건은 단지 최소한의 연장만을 나타내는데, 이는 두 경우의 치수 요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더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tank system in which the damage is exposed to a tank volume for inflow or outflow less than the prior art hull volume at the side of the hull which is generally symmetric about the vertical central axis. The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is based on the fact that, for example, damage on the hull side caused by collision with other ships hardly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hull. This is of course due to the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hull structure. In some areas, authorities have also established requirements regar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ulkhead that partitions product tanks relative to the outer space and the outer hull side.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dial bulkhead (first bulk) separating internal tanks (also called'primary tanks'), product tanks or cargo tanks. Heads: each of the primary bulkheads, in a known manner, is partitioned against the hull side by first ballast tanks (also called'secondary tanks') with normal radial extensions , Secondary ballast tanks (also called'tertiary tanks') provide greater radial extension than the dimensioning radial damage extension of the hull. Based on what is arranged. The second ballast tank may be partitioned by a radial bulkhead on one side, or may lie on an extension of the radial bulkhead. The extension of the second ballast tank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y of the hull, similar to its radial extension, must conform to the dimensioning scale of the damage to which the hull is designed. Generally, in the case of a ship crash, the damage ext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arely exceeds about 10 meters. For extensions in both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s of the second ballast tanks, the dimensional requirements represent only minimal extension, since the dimensional requirements in both cases can be further increa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렇게 함으로써, 충돌이나 또는 유사한 손상 상황에서, 2개의 제1 탱크들이 손상될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2개의 제1 탱크들 사이에서의 전이되는 손상이 전체 제2 밸러스트 탱크들의 주변부 방향 및/또는 반지름 방향 연장을 통하여 그리고 인접한 2개의 제1 탱크들 내부로, 가능하게는 제1 탱크, 제1 밸러스트 탱크, 및 제2 밸러스트 탱크 내부로 연장될 개연성이 낮기 때문이다. 기껏해야, 상기 손상은 단지 하나의 탱크(제1 탱크, 제1 밸러스트 탱크, 또는 제2 밸러스트 탱크)에만 영향을 미칠 것이다. By doing so, in a collision or similar damage situation, the likelihood of two first tanks being damaged is significantly reduced, which means that the transitional damage between the two first tanks is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y of the entire second ballast tanks and/or Or because the probability of extending through the radial extension and into the adjacent two first tanks, possibly into the first tank, the first ballast tank, and the second ballast tank is low. At best, the damage will only affect one tank (first tank, first ballast tank, or second ballast tank).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선체의 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제1 구획공간(primary compartments)이 중앙 구조물과 2개 이상의 제2 구획공간(secondary compartments) 사이에 배열되고, 2개의 인접한 제1 구획공간들이 상기 중앙 구조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선체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벌크헤드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제3 구획공간(tertiary compartment)이 2개의 인접한 제1 구획공간들에 대향하여 그리고 인접한 제2 구획공간들에 대향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3 구획공간이 선체의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dimensioning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의 연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tank system of a hull that is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wherein a plurality of primary compartments is arranged between the central structure and two or more secondary compartments. A tank system in which two adjacent first compartmen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first bulkhead extending from the central structure toward the hull side outwards in a substantially radial direction, wherein one third compartment ) Is divided into two adjacent first compartments and opposite second compartments, the third compartment being more than the dimensioning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 of the hull It is characterized by indicating an extension in a large radius direction.
일 실시예는, 상기 제3 구획공간이 선체의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보다 더 큰 주변 연장을 나타내고, 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mpartment represents a peripheral extension greater than the dimensioned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 of the hull,
몇몇 기본 탱크들이 중심 구조물과 2개 이상의 밸러스트 탱크들 사이에 배열되고, 2개의 인접한 제1 탱크들이 상기 중심 구조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선체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벌크헤드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선박 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제2 밸러스트 탱크가 2개의 인접한 제1 탱크들에 대향하여 그리고 인접한 제1 밸러스트 탱크들에 대향하여 제2 밸러스트 탱크구획되고, 상기 제2 밸러스트 탱크가 선체의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의 연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everal basic tanks are arranged between the central structure and two or more ballast tanks, and two adjacent first tank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first bulkhea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enter structure substantially radially outwards to the hull side. In the vessel tank system, one second ballast tank is divided into two adjacent first tanks and a second ballast tank opposite the first adjacent ballast tanks, and the second ballast tank is the dimensions of the hull. It is characterized by exhibiting an extension in the radial direction greater than the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
상기 제2 밸러스트 탱크들은 선체의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보다 더 큰 주변부 방향의 연장을 나타낼 수 있다. The second ballast tanks may exhibit an extension in the peripheral direction that is greater than the dimensioned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 of the hull.
상기 선체에 대한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은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의 요건을 따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선체에 대한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은 10.50미터일 수 있다. The maximum dimensioned damage depth extension for the hull may follow the requirements of the'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 Alternatively, the dimensioned maximum damage depth extension for the hull may be 10.50 meters.
상기 제1벌크헤드는 인접한 제1 구획공간들 중 하나에 대향하여 2차 탱크를 구획할 수 있다.The first bulkhead may partition the secondary tank against one of the adjacent first compartments.
일 실시예에서, 제1 구획공간들 중 하나 이상은 화물 탱크들이다.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first compartments are cargo tanks.
상기 제2 구획공간들은 바람직하게는 밸러스트 탱크들이다. 상기 제3 구획공간들은 밸러스트 탱크들 또는 화물 탱크들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구획공간들은 응축수 탱크이다. 상기 제2 구획공간들은 선체 주변을 따라 배열된다. The second compartments are preferably ballast tanks. The third compartments are ballast tanks or cargo tanks. In one embodiment, the third compartments are condensate tanks. The second compartments are arrang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hull.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탱크 시스템이 구비된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박은 해양 탄화수소 분야에 대한 서비스 시설, 프로세스 시설, 또는 저장 시설, 해양 풍력 단지에 대한 서비스 시설, 또는 에너지 변환 시설이거나, 또는 숙박 시설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comprising a hull equipped with a tank system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ship is a service facility, process facility, or storage facility for the marine hydrocarbon sector, a service facility for a marine wind farm, or energy conversion. Facilities, or accommod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형태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시스템을 갖는 선체의 횡단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선체 상에 3개의 다른 손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선체의 하부 부분을 둘러싸는 안정화 변두리(stabilization skirt)를 구비하는 20개 코너를 갖는 선체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선체의 하부 부분을 둘러싸는 안정화 변두리를 구비하는 선체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선체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선체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referred for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ross section of a hull with a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 is a view similar to Fig. 1, showing a plan view showing three different damages on the hull.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ull with 20 corners with a stabilization skirt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hull.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hull with a stabilizing edge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hull.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ull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a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ull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a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pplied.
도면(특히 도 1 및 도 2)에서 부재 번호 1은 중심축(1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바다(4)에 부유하는 선체를 나타낸다. 선체(1)는 중심 공간(centre space)(11)의 형태로 중심 구조물(centre structure)을 둘러싸는 탱크 시스템(2)을 구비하고, 중심 공간은 그 자체로 선체(1)와 바다(4) 또는 해저(미도시) 사이에, 예를 들어 파이프나 호스와 같은 통과 장비(미도시)를 위한 선체(1)를 관통하는 수직의 개방 통로가 될 수 있다. 중심 공간(11)은 중심 벌크헤드(12)에 의해 탱크 시스템(2)에 대향하여 구획된다. 대안적으로, 중심 공간(11)은 화물 탱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s (particularly FIGS. 1 and 2 ),
선체(1)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정화 변두리(stabilizing skirt)(14)를 구비하는데, 이 안정화 변두리는 선체 측부(13)의 하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The
도 1을 참조하면, 탱크 시스템(2)은 복수개의 밸러스트 탱크들(22)에 의해 선체 측부(13)에 대향하여 구획된 화물 탱크 형태의 복수개의 제1 탱크들(21)을 포함한다. 제1 탱크들(21)은 실질적으로 선체(1)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벌크헤드(211)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제1 벌크헤드(211)의 적어도 일부는 중심 벌크헤드(12)와 선체 측부(13) 사이에서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tank system 2 includes a plurality of
중심 벌크헤드(12)를 갖는 중심 공간(11)에 의해 형성되는 중심 구조물, 및 각각의 제1 벌크헤드(211)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탱크(21)는 선체의 사용 범위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중심 공간(11) 및 제1 탱크들(21)의 하나 이상은 본 발명의 개념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용적, 예를 들어 프로세스 시설들로 대체될 수 있다. The central structure formed by the
선체 측부(13)에 의해 반지름 방향으로 구획되는 밸러스트 탱크들(22)은 복수개의 제1 밸러스트 탱크들(22a)로 형성되는데, 그 반지름 방향의 연장은 선체(1)의 밸러스트 용적의 전체 수요량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되고; 그리고 선체 측부(1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벌크헤드들(221)에 의해, 또한 이러한 유형의 선체의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 연장을 갖는, 예를 들어 2012년 11월 1일자에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10.50미터보다 큰 제2 밸러스트 탱크들(22b)에 의해, 제1 탱크들(21)에 대향하여 구획된다. The
각각의 반지름 방향의 제1 벌크헤드(211)와 연관된, 그리고 정규 치수를 갖는 제1 밸러스트 탱크(22a)와 연관된 하나의 제2 밸러스트 탱크(22b)가 배열되고, 그 제2 밸러스트 탱크들(22b)은 인접한 제1 탱크(21) 내부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한다. On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 밸러스트 탱크(22b)는 제1 벌크헤드(211)의 일 부분(211a), 선체 측부(13)의 일 부분(13a), 및 제3 벌크헤드(231)에 의해 구획되는데, 대안적으로, 만약 도 1에 도시된 중심 공간(11)의 제2 밸러스트 탱크(22b')와 같이, 제1 벌크헤드(211)가 제3 벌크헤드(231)의 반지름 방향으로 내측 부분에 연결되도록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것과 같이, 제2 밸러스트 탱크(22b)가 2개의 인접한 제1 탱크들(21) 내부로 돌출한다면, 제2 밸러스트 탱크(22b)는 선체 측부(13)의 일 부분(13a) 및 제3 벌크헤드(231)에 의해 구획된다. 1 and 2, each
제2 밸러스트 탱크들(22b)은 제1 탱크들(21)의 수직방향 연장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수직방향 연장을 갖는다. The
중심 벌크헤드(12), 제1 벌크헤드들(211), 제2 벌크헤드들(221), 제3 벌크헤드들(231), 및 선체 측부(13)는, 예를 들어 그 자체가 수평 및/또는 수직 리브(rib)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보강 요소들을 구비하는 알려진 방식이다. The
예를 들어 한 선박이 선체(1)와 충돌하는 가능한 손상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기본적으로 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possible damage situation in which one ship collides with the
a) 제1 밸러스트 탱크(22a)를 구획하는 선체 측부(13), 및 제1 밸러스트 탱크(22a)의 벌크헤드(221)에 구멍이 뚫리는 상황으로, 이는 도 2의 제1 선체 손상(3a)으로 도시된다.a) a situation in which a hole is drilled in the
b) 제2 밸러스트 탱크(22b)를 구획하는 선체 측부(13)에 구멍이 뚫리는 상황으로, 이는 도 2의 제2 선체 손상(3b)으로 도시된다. b) A situation in which a hole is drilled in the
c) 제1 탱크(21) 및 제2 밸러스트 탱크(22b)를 구획하는 선체 측부(13), 그리고 인접한 제1 밸러스트 탱크(22a)에 대향하여 제2 밸러스트 탱크(22b)를 구획하는 제1 벌크헤드 부분(211a)에 구멍이 뚫리는 상황으로, 이는 도 2의 제3 선체 손상(3c)으로 도시된다.c) the
d) 제1 밸러스트 탱크(22a)와 제2 밸러스트 탱크(22b) 사이 영역에 있는 선체 측부(13)에 구멍이 뚫리는 상황으로, 이는 도 2의 제4 선체 손상(3d)으로 도시된다.d) A situation in which a hole is drilled in the
손상 상황 a)에서, 유입되는 물로 채워질 수 있는 탱크 용적은 하나의 제1 탱크(21) 및 손상을 입은 제1 밸러스트 탱크(22a)로 제한될 것이다. 제1 탱크(21)의 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탱크에 대응하는 용적보다 더 작은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시스템(2)에서 제1 탱크(21)가 인접한 제2 밸러스트 탱크(22b)에 의해 점유되는 용적만큼 용적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손상 상황에서의 영향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탱크 시스템보다 더 적다. In the damage situation a), the tank volume that can be filled with incoming water will be limited to one
손상 상황 b)에서, 유입되는 물로 채워질 수 있는 탱크 용적은 하나의 제2 밸러스트 탱크(22b)로 제한될 것이다. 제2 밸러스트 탱크(2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1 탱크 및 인접한 제1 밸러스트 탱크(22a)에 비하여 현저히 작은 용적을 갖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시스템에서 제2 밸러스트 탱크(22b)가 선체 측부(13) 및 2개의 인접한 제1 벌크헤드들(211)에 의해 구획되는 작은 용적 부분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손상 상황에서의 영향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탱크 시스템보다 현저히 적다. In the damage situation b), the tank volume that can be filled with incoming water will be limited to one
최악의 손상 시나리오인, 손상 상황 c)에서, 유입되는 물로 채워질 수 있는 탱크 용적은 제1 및 제2 밸러스트 탱크(22a, 22b), 그리고, 제1 탱크(21)로 제한될 것이다. 손상 영향을 받은 탱크 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 및 더 멀리 배열된 제1 탱크의 용적과 동일하다. 이러한 손상 상황에서의 영향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탱크 시스템에서 제1 탱크가 받는 손상과 동일하다. In the worst case damage scenario, damage situation c), the tank volume that can be filled with incoming water will be limited to the first and
손상 상황 c)와 규모가 동일한 데미지 상황 d)에서, 탱크 볼륨이 영향을 받을 때, 손상은 제1 밸러스트 탱크(22a) 및 제2 밸러스트 탱크(22b) 그리고 제1 탱크(21)로 제한된다. In the damage situation d) of the same magnitude as the damage situation c), when the tank volume is affected, the damage is limited to the
제2 밸러스트 탱크(22b)의 주변 방향 및 반지름 방향으로의 수평 연장은 2개의 제1 탱크들(21)에 구멍을 뚫는 충돌의 리스크를 현저히 저감시킨다. 따라서 선체 측부(13)가 손상을 받고 탱크 시스템의 부분, 즉 최대 하나의 제1 탱크(21) 및 하나 또는 몇몇의 밸러스트 탱크(22a, 22b)가 다른 선박과의 충돌로 인해 물로 채워질 때, 더 큰 안정성을 유지하는 탱크 시스템(2)이 본 발명에서 제공된다. The horizontal exten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도 4는 중심축(1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선체(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선체(1')는 지지대(15)에 의해 지지되고, 선체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 안정화 변두리(14')를 구비한다.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5에 도시된 탱크 구성은, 선체를 관통하는 수직적이고, 개방된 통로이거나, 화물 또는 설비를 위한 폐쇄형 구획공간(예: 탱크)일 수 있는 중심 공간(11')을 포함한다. The tank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includes a central space 11', which may be a vertical, open passage through the hull or a closed compartment (eg tank) for cargo or equipment.
중심 공간(11') 주위에 배열된 것들은 제1 구획공간들(예: 화물 탱크들)인데, 이들은 1차 제1 구획공간들(21') 및 2차 제1 구획공간들(31)이 2개의 동심 그룹으로 배열된 구성이다. The ones arranged around the central space 11' are first compartments (eg, cargo tanks), where the primary first compartments 21' and the secondary
선체 측부(13)에 의해 구획되는 반지름 방향의 밸러스트 구획공간들(예: 탱크들)(22a', 22b')은 반지름 방향의 연장이 선체의 밸러스트 용적에 대한 전체 수요량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되는 몇몇 제1 밸러스트 탱크들(22a')(앞에서는 "2차 탱크들"로도 언급됨)로 형성되고, 이는 선체 측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벌크헤드(221')에 의해,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선체에 대한 치수화된 최대 손상 깊이 연장보다 더 큰, 예들 들어 2012년 11월 1일자의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협약(MARPOL)’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10.50미터보다 더 큰 반지름 방향의 연장을 갖는 제2 밸러스트 탱크들(22b')에 의해 제1 탱크들(21')에 대향하여 구획된다. The ballast compartments in the radial direction (e.g., tanks) 22a', 22b' partitioned by the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제2 밸러스트 탱크(22b')는 각각 반지름 방향의 제1 벌크헤드(211), 그리고 정규 치수의 제1 밸러스트 탱크(22a')와 관련되고, 제2 밸러스트 탱크들(22b')은 인접한 제1 탱크들(21') 내부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한다.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e
도 6은 중심축(1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인 선체(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탱크 구성은, 수직적이고, 선체를 관통하여 개방된 통로이거나, 화물 또는 설비를 위한 폐쇄형 구획공간(예: 탱크)일 수 있는 중심 공간(11")을 포함한다. 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중심 공간(11") 주위에 배열된 것들은 제1 구획공간들(예: 화물 탱크들)(21")이다. 이러한 구획공간들은 또한 "제1 구획공간들"로 지칭된다. The ones arranged around the
제1 밸러스트 탱크들(22a")(또한 "제1 구획공간들"로 지칭됨)은 선체 주변부 주위에 배열된다. 제2 밸러스트 탱크들(22b")(또한 "제3 구획공간들"로 지칭됨)은 제2 구획공간들(22a") 안쪽에 반지름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제3 구획공간(22b")은 각각 반지름 방향의 제1 벌크헤드(211")와 관련되고 인접한 제1 구획공간(21") 안쪽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 구획공간(21a")은 선창(cargo hold)(예를 들어 LNG를 위한)일 수 있고; 상기 제2 구획공간들(22a")은 제1 밸러스트 탱크일 수 있고; 제3 구획공간(22b")은 제2 밸러스트 탱크 또는 선창(예를 들어 응축수를 위한)일 수 있다. The
Claims (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NO20121371 | 2012-11-19 | ||
NO20121371A NO335964B1 (en) | 2012-11-19 | 2012-11-19 | Tank system for vessels |
PCT/NO2013/050199 WO2014077699A1 (en) | 2012-11-19 | 2013-11-18 | A vessel tank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6540A KR20150086540A (en) | 2015-07-28 |
KR102130307B1 true KR102130307B1 (en) | 2020-07-09 |
Family
ID=4988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6511A Active KR102130307B1 (en) | 2012-11-19 | 2013-11-18 | A vessel tank system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0307B1 (en) |
CN (1) | CN104936858B (en) |
GB (1) | GB2522166B (en) |
NO (2) | NO335964B1 (en) |
WO (1) | WO201407769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51227B (en) * | 2015-09-28 | 2017-09-01 | 南通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structure arrangement of cylinder type FPSO hull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24685A1 (en) | 2008-08-25 | 2010-03-04 | Dr. Tech. Olav Olsen As | Floating structure of concret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67890A (en) * | 1981-04-10 | 1982-10-15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Liquefied gas tanker |
NO319971B1 (en) * | 2001-05-10 | 2005-10-03 | Sevan Marine As | Offshore platform for drilling for or producing hydrocarbons |
NO320663B1 (en) * | 2003-03-14 | 2006-01-16 | Sevan Marine As | Liquid storage tanks |
US20070214805A1 (en) * | 2006-03-15 | 2007-09-20 | Macmillan Adrian Armstrong | Onboard Regasification of LNG Using Ambient Air |
BRPI0601273B1 (en) * | 2006-04-17 | 2019-02-12 | Petróleo Brasileiro S.A. - Petrobras | MONO-COLUMN FPSO |
US7958835B2 (en) * | 2007-01-01 | 2011-06-14 | Nagan Srinivasan | Offshore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use in ice-covered and clear water applications |
NO329738B1 (en) * | 2007-10-23 | 2010-12-13 | Sevan Marine Asa | Liquid gas storage and storage tank |
NO329009B1 (en) * | 2007-11-21 | 2010-07-19 | Sevan Marine Asa | Cylinder tank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cooled liquid gas on a liquid unit |
CN201143980Y (en) * | 2007-12-26 | 2008-11-05 | 李哲平 | Independent spaced oil storage chamber structure of oil ship |
KR101129633B1 (en) * | 2009-04-29 | 2012-03-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loating offshore structure |
-
2012
- 2012-11-19 NO NO20121371A patent/NO335964B1/en unknown
-
2013
- 2013-11-18 WO PCT/NO2013/050199 patent/WO201407769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18 GB GB1509273.7A patent/GB2522166B/en active Active
- 2013-11-18 KR KR1020157016511A patent/KR102130307B1/en active Active
- 2013-11-18 CN CN201380060181.0A patent/CN104936858B/en active Active
-
2015
- 2015-05-21 NO NO20150644A patent/NO20150644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24685A1 (en) | 2008-08-25 | 2010-03-04 | Dr. Tech. Olav Olsen As | Floating structure of concre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O20121371A1 (en) | 2014-05-20 |
GB2522166B (en) | 2019-04-17 |
CN104936858B (en) | 2017-07-28 |
WO2014077699A1 (en) | 2014-05-22 |
NO335964B1 (en) | 2015-03-30 |
GB2522166A (en) | 2015-07-15 |
NO20150644A1 (en) | 2015-05-21 |
KR20150086540A (en) | 2015-07-28 |
CN104936858A (en) | 2015-09-23 |
GB201509273D0 (en) | 2015-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222110A (en) | Ship | |
KR20160009010A (en) | Navicular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navicular structure | |
JP7133331B2 (en) | vessel | |
KR102130307B1 (en) | A vessel tank system | |
KR100242605B1 (en) | Tanks for transporting liquids | |
KR100802584B1 (en) | Ships with fuel oil storage tanks on upper deck | |
US9227702B2 (en) |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 |
JPH09502941A (en) | Tanker with water control bulkhead | |
KR101784913B1 (en) | Liquid storage tank for ship | |
KR102456766B1 (en) | Ship | |
KR20130005890U (en) | Liquid cargo carrier | |
KR101263247B1 (en) | Mobile harbor | |
KR20170032574A (en) | Ship having sinking prevention structure | |
KR20160098547A (en) | Hatch structure and drillship including the same | |
WO2018043591A1 (en) | Floating production/storage/off-loading facility | |
JP5963685B2 (en) | Tanker oil tank | |
JP5148834B2 (en) | Open bulker cargo ship | |
KR20170113959A (en) | Anti rolling tank and Rolling decreasing type ship having the same | |
JP5120693B2 (en) | Method for forming floating roof of storage tank and floating roof of storage tank | |
KR20120014633A (en) | Cargo Structure of Oil Tanker | |
KR101291247B1 (en) | Solid Ballast Unit | |
KR101801947B1 (en) | Offshore structure | |
KR101605118B1 (en) | A Ship Having Floating Type Freight Loading Strucutre | |
KR20140023162A (en) | Vessel for carrying liquid cargo | |
JP2017052311A (en) | S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10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