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8942B1 -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942B1
KR102128942B1 KR1020190021764A KR20190021764A KR102128942B1 KR 102128942 B1 KR102128942 B1 KR 102128942B1 KR 1020190021764 A KR1020190021764 A KR 1020190021764A KR 20190021764 A KR20190021764 A KR 20190021764A KR 102128942 B1 KR102128942 B1 KR 10212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mass
unit
driving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김영선
변준호
박영식
박병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9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44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with stirrers performing an oscillatory, vibratory or shaking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부; 구동부; 및 상기 교반부와 구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강성 k1의 제1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교반부 및 상기 구동부는 강성 k2의 제2 탄성체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교반부는 강성 k3의 제3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에 있어서, (a) 가진 주파수에 의해 교반부가 공진되는 조건 및 공진 상태에서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 간의 관계식을 얻고 상기 관계식에 기초해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구동부의 가진력을 최소로 하되, 교반부 및 구동부의 정적 처짐(static deflection)이 소정값 이하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탄성체 내지 제3 탄성체의 강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anti-vibration design method of 2DOF Resonance Type Mixer}
본 발명은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에 대한 것이다.
믹서는 두 종류 이상의 분말이나 액체를 혼합하는 장치로, 정밀화학 소재, 바이오 소재,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재료의 혼합에 널리 사용된다. 믹서는 혼합 방법에 따라 회전날개 형과 자기장, 진동, 초음파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대부분의 산업 현장이나 가정에서는 회전날개 형 믹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회전날개 형 믹서는 장시간 사용 시, 날개나 회전축의 마모로 불순물이 혼입되거나 날개와 소재의 충돌과 마찰열로 소재가 변형될 수 있다. 바이오소재, 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의 경우 이러한 문제는 불량품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믹서로 진동형 믹서가 있다. 일반 진동형 믹서는 회전 불평형으로 가진력을 발생시켜 소재를 담은 용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소재를 섞는다. 작은 가진력으로 큰 진동을 만들기 위해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형 믹서가 종래의 기술이다. 그러나 공진을 이용하므로 물질을 섞는 용기뿐만 아니라 믹서를 담고 있는 케이스 전체에 큰 진동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균형추를 사용하는 공진형 믹싱 기술이 가장 최신 기술로 적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은 다음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균형추를 사용하지 않는 공진형 믹서는 몸체 케이스의 진동이 너무 커서 안정된 믹싱 공정을 어렵게 한다. 뿐만 아니라 가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의 진동도 커서 모터 수명을 단축시킨다. 둘째, 균형추를 사용하는 공진형 믹서는 위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져 제작 단가가 높아지고 관리 운영이 불편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91557호(공개일:2014.07.21.)
본 발명은 균형추를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2자유도 공진형 믹서에서 발생하는 케이스의 심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균형추를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2자유도 공진형 믹서에서 발생하는 케이스의 심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서 두 가지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포함한다. 첫째, 믹싱을 위한 진동을 만드는 데 필요한 가진력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작은 모터로 믹싱이 가능하게 되므로 모터 구동부의 중량도 감소하고 몸체의 진동도 줄일 수가 있다. 둘째, 믹서 시스템의 2차 공진모드를 이용하여 케이스로의 진동전달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다. 2차 공진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용기부 스프링을 통해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동과 모터 구동부 스프링을 통해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서로 상쇄시켜 진동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부분의 질량과 스프링 강성이 이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만드는 설계기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용기부와 모터부로 구성된 공진형 교반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진동해석을 위한 단순 운동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반부; 구동부; 및 상기 교반부와 구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강성 k1의 제1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교반부 및 상기 구동부는 강성 k2의 제2 탄성체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교반부는 강성 k3의 제3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에 있어서,
(a) 가진 주파수에 의해 교반부가 공진되는 조건 및 공진 상태에서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 간의 관계식을 얻고 상기 관계식에 기초해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구동부의 가진력을 최소로 하되, 교반부 및 구동부의 정적 처짐(static deflection)이 소정값 이하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탄성체 내지 제3 탄성체의 강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 간의 관계식은 아래 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1
(상기 식 1에서 m1은 교반부 질량, m2는 구동부 질량, X1/X2는 구동부 대비 교반부 진폭 비, β는 k3/k1).
또한, 상기 단계 (b)에서 탄성체 강성비 α (k2/k1) 값에 관계없이 가진력 최소값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α 값이 증가할수록, 가진력 최소값을 만족하는 탄성체 강성 k1 값은 감소하고, 교반부 및 구동부의 정적 처짐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에 의하면, 첫째, 최소 가진력으로 믹싱 공정이 가능하므로 모터 구동부의 크기와 중량을 최소화시키고 몸체로의 진동전달도 감소시킬 수 있고, 둘째, 케이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상쇄시켜 차단함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믹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 위 조건을 만족하는 시스템 설계기법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용량의 제품을 개발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2자유도 공진형 믹서 정밀화학 소재, 바이오 소재,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의 혼합을 위한 기존의 회전 날개형 믹서를 대체하여 널리 적용될 수 있고, 기존의 균형추를 갖는 공진형 믹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중량을 감소시켜 제작단가를 절감시키며, 용기부의 용량을 키워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도 1은 2자유도 공진형 교반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공진형 교반기를 단순 운동계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α 및 k1과 가진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α와 전달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α에 따른 정적 처짐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공진형 교반기의 진동모드이다.
도 7은 공진형 교반기의 주파수 응답 곡선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공진형 믹서의 진동
도 2는 도 1의 믹서 시스템을 단순화시킨 구조이다. 용기부(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2
)은 스프링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3
으로 케이스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모터 구동부(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4
)는 스프링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5
로 케이스에 지지된다. 용기부와 모터 구동부의 운동을 결정하기 위해 뉴턴 제 2법칙을 적용하여 운동 방정식을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6
변위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7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8
를 조화운동으로 보면, 식 (1),(2)는 식 (3)의 행렬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09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하는 특성 방정식은 계수행렬의 행렬식이 영이 되는 조건인 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0
식 (3)으로부터 도출된 교반부와 모터부의 진폭은 식 (5),(6)과 같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1
2. 공진주파수
공진주파수는 60Hz로 설정한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2
에 대한 스프링 강성비를 사용하여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3
,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4
로 표시하면 특성 방정식 (4)를 식(7)로 나타낼 수 있다. 식(7)에 공진주파수 값을 적용하면 질량과 스프링상수 사이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5
3. 전달력 상쇄
케이스로의 전달력은 모터구동부의 진동이 스프링 k3을 통해 전달되는 경로와, 용기부의 진동이 스프링 k1을 통해 전달되는 두개의 경로를 통한다. 두 전달 경로의 합력을 0으로 상쇄시키려면, 두 경로로 전달되는 힘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만들어 전달력 상쇄 조건 식 (8)을 만족시키도록 하면 된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6
식 (7)과 식(8)로부터 모터부와 용기부의 질량 관계를 식 (9)와 같이 스프링 상수비 (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7
)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8
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19
4. 시스템 설계
식(5)와 식(6)을 식(8)에 적용하고 식 (9)를 사용하면, 용기부 질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 강성의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하나로 결정되지 않으므로 적절한 스프링 상수 값을 선정해야 한다. 우선 60Hz에서 용기부의 진동 가속도가 100g를 만족하되 모터부의 가진력은 최소가 되도록 만든다. 추가적으로 스프링의 정적 처짐 범위를 제한하여 적절한 스프링 강성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용기부 질량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0
으로 설정하고 용기부 진폭대비 모터부 진폭의 비를 0.2로 설정하였다. 이 값은 믹서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식(5)에 가진 주파수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1
에서 용기부의 진동 가속도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2
를 만족시키는 조건을 적용하면, 가진력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3
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4
도 3은 스프링 상수비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5
의 값에 따라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6
과 가진력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7
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감쇠는 스프링 연결부의 마찰로 인한 작은 감쇠를 고려하여,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8
의 작은 값을 부여하였다. 본 발명에서 규명한 흥미로운 현상은
Figure 112019019462488-pat00029
에 무관하게 최소 가진력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이 제공하는 최소 가진력으로 공진시켜 요구치인 100g의 믹싱 가속도를 얻을 수 있다. 종래에는 과도한 가진력을 사용하였므로 요구치를 초과하는 믹싱 가속도를 얻을 수는 있었으나, 모터 구동부의 중량이 증가하고 케이스의 진동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도 4는 스프링 상수 비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0
에 따른 케이스로 전달력의 변화를 보인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1
가 증가하고 감쇠가 작아질수록 케이스 전달력은 감소한다. 그러나 도 3에서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2
가 증가하면 최소 가진력을 만족하는 스프링 상수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3
값이 감소한다. 스프링 상수가 너무 작아지면 시스템이 취약해지므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한 스프링 강성을 정해야 한다. 이 문제는 스프링의 정적 처짐 식 (10)을 사용하여 해결이 가능하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4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5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6
는 각각 용기부와 모터부의 정적 처짐이다. 도 5은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7
에 따른 정적 처짐의 변화다.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8
가 증가하면서 정적 처짐의 값도 증가한다. 정적 처짐을 1mm로 설정하면, 스프링 상수비
Figure 112019019462488-pat00039
=11로 결정된다. 이 스프링 상수는 도 4에서 15[N] 아래의 작은 힘만 전달한다.
5. 공진모드
이러한 해석과정을 통해 용기부가 60Hz에서 100g의 진동가속도를 만족하되, 모터 가진력과 케이스 전달력을 최소화 시키는 믹서 시스템의 제원을 결정할 수 있다. 표 1은 용기부 질량을 5kg으로 설정했을 때의 공진형 믹서의 제원이다.
<표 1> 2자유도 공진형 교반기의 제원
Figure 112019019462488-pat00040
본 발명은 용기부 질량
Figure 112019019462488-pat00041
을 다르게 해도 동일한 해석 방법을 통해 시스템의 제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제시된 방법으로 결정된 공진형 믹서의 진동모드와 고유주파수이다. 2차 고유주파수는 60Hz로 용기부와 모터부가 서로 반대 위상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2차 모드로 공진시키면 용기부와 모터구동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케이스로의 전달력이 상쇄된다. 또 용기부 대비 모터부의 진폭 비는 0.2로, 모터의 내구성에도 유리하다. 이 시스템의 진동응답 특성은 도 7의 주파수 응답 곡선으로 최종 확인된다. 2차 고유주파수인 60Hz로 진동시, 용기부의 진동 가속도(Acc1)는 목표치 100g를 만족한다. 이때 모터부(Acc2)는 그 1/5인 20g의 가속도로 진동하고, 용기부(Phase1)와 모터부(Phase2)의 위상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이 2차 공진모드로 공진시킬 때, 최소한의 가진력으로, 케이스로의 전달력을 최소화시키며, 모터부 진동은 용기부 진동의 1/5 정도로 제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교반부; 구동부; 및 상기 교반부와 구동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는 강성 k1의 제1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면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교반부 및 상기 구동부는 강성 k2의 제2 탄성체로 상호 연결되고,
    상기 교반부는 강성 k3의 제3 탄성체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에 있어서,
    (a) 가진 주파수에 의해 교반부가 공진되는 조건 및 공진 상태에서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 간의 관계식을 얻고 상기 관계식에 기초해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b) 구동부의 가진력을 최소로 하되, 교반부 및 구동부의 정적 처짐(static deflection)이 소정값 이하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제1 탄성체 내지 제3 탄성체의 강성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 질량 및 구동부 질량 간의 관계식은 아래 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식 1>
    Figure 112019019462488-pat00042

    (상기 식 1에서 m1은 교반부 질량, m2는 구동부 질량, X1/X2는 구동부 대비 교반부 진폭 비, β는 k3/k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탄성체 강성비 α (k2/k1) 값에 관계없이 가진력 최소값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α 값이 증가할수록, 가진력 최소값을 만족하는 탄성체 강성 k1 값은 감소하고, 교반부 및 구동부의 정적 처짐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진 주파수 60Hz, 교반부 가속도 100 × 9.81m/s2, 정적 처짐 1mm, 교반부 질량 5kg 및 교반부 대비 구동부 진폭 비(X1/X2) 0.2의 조건하에서, 최소 가진력 조건 및 공진 상태에서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구동부 질량은 25kg로 설정하고, k1 내지 k3 값은 각각 50,043 N/m, 550,470 N/m 및 250,220 N/m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KR1020190021764A 2019-02-25 2019-02-25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Active KR10212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64A KR102128942B1 (ko) 2019-02-25 2019-02-25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64A KR102128942B1 (ko) 2019-02-25 2019-02-25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942B1 true KR102128942B1 (ko) 2020-07-01

Family

ID=7160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764A Active KR102128942B1 (ko) 2019-02-25 2019-02-25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6670A (zh) * 2020-08-13 2020-12-15 罗万芳 一种中药配比混合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345A (ja) * 2005-11-25 2007-06-1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梱包システム、梱包箱及び梱包方法
JP2013226552A (ja) * 2013-05-07 2013-11-07 Harold W Howe 共鳴振動式混合方法
KR20140091557A (ko) 2011-10-17 2014-07-21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공진 음향 믹서를 사용함으로써 초경합금 또는 서멧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JP6056323B2 (ja) * 2012-09-24 2017-01-11 富士通株式会社 視線検出装置、視線検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345A (ja) * 2005-11-25 2007-06-1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梱包システム、梱包箱及び梱包方法
KR20140091557A (ko) 2011-10-17 2014-07-21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공진 음향 믹서를 사용함으로써 초경합금 또는 서멧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JP6056323B2 (ja) * 2012-09-24 2017-01-11 富士通株式会社 視線検出装置、視線検出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226552A (ja) * 2013-05-07 2013-11-07 Harold W Howe 共鳴振動式混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6670A (zh) * 2020-08-13 2020-12-15 罗万芳 一种中药配比混合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328B1 (ko) 회전축 시스템의 진동을 댐핑하는 장치 및 방법
US10456760B2 (en) Control of vibratory/oscillatory mixers
EP2112952B1 (en) Resonant-vibratory mixing
EP2007530B1 (en) Mechanical vibrator having eccentric masses
KR102128942B1 (ko) 2자유도 공진형 믹서의 방진 설계 방법
JPH04222667A (ja) 駆動機構
CN102770347A (zh) 变刚度液体惯性隔振器
Howard et al. Power transmission from a vibrating body to a circular cylindrical shell through passive and active isolators
EP2166249A2 (en) Tuned mass dampers and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GB2316732A (en) Vibration reduction
CA2143658C (en) Increasing the relative motion of a screen deck
JPH1194691A (ja) 起振機
Bukin et al. Excitation of polyharmonic vibrations in single-body vibration machine with inertia drive and elastic clutch
US3417630A (en) Vibratory apparatus
Kristiansen Modeling of cylinder gyroscopes and observer design for nonlinear oscillations
US11785374B2 (en) Acoustic device
Shokhin et al. On the rational dynamic modes of vibrating machines with an unbalanced vibration exciter of limited power
US6813935B2 (en) Mechanical resonator system
KR100483764B1 (ko) 선형 진동장치 및 이 선형 진동장치가 적용된 막분리 장치
SU850194A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смеситель сыпучих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Panovko et al. Self-Synchronization of an Inertial Vibro-Exciter in Two-Mass Vibromachines with an Additional Elastic Element Installed with a Gap
JPH0623321A (ja) 振動発生装置
SU1199299A1 (ru) Способ возбуждени колебаний в объекте
RU2464108C1 (ru) Дебалансный вибровозбудитель
SU1713671A1 (ru) Способ настройки на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е резонансные колебани вибромашин с нелинейными упругими св з 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