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8790B1 -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 Google Patents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790B1
KR102128790B1 KR1020180083391A KR20180083391A KR102128790B1 KR 102128790 B1 KR102128790 B1 KR 102128790B1 KR 1020180083391 A KR1020180083391 A KR 1020180083391A KR 20180083391 A KR20180083391 A KR 20180083391A KR 102128790 B1 KR102128790 B1 KR 10212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fan
inlet
ultraso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260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제로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로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로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7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7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초음파 진동자가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가습용 물이 소정수위로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에 안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형성되는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 일부가 내부에 잔류되는 플로 패널(flow panel); 상기 플로 패널의 상부에 안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상부팬 및 상기 상부팬의 하부에 동축으로 위치하고 상기 상부팬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하부팬을 포함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ULTRASONIC HUMIDIFIER WITH COAXIAL COUNTER-ROTATING FAN}
본 명세서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물을 분무상태로 분사시켜 실내 공기중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자연증발식 가습기, 초음파식 가습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물이 저장된 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킴에 따라 수조의 물을 가습필터가 흡수하고,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가습필터로부터 수분이 자연증발되는 방식이다.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토출되는 가습입자가 미세하게 되므로 실내공간에서 멀리까지 토출될 수 있다. 반면에, 가습입자 생성속도가 느려 효율성이 떨어지며, 자연증발에 의한 가습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게 된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전기회로에 의해 특정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의해 물속에 배치된 진동자를 초음파 진동시켜 물을 무화상태로 변화시켜 분사시키는 방식이다.
즉 초음파식 가습기는 가습입자가 커서 가습능력이 높은 반면에 큰 가습입자가 실내공간에서 멀리까지 송출되지 못하여 가습기 주변만 가습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083171호에 기화식 및 초음파식 겸용 가습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가습용 물이 채워진 물통을 격벽에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이동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수조를 수시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물방울이 수면위로 튀었을때 플로 패널의 곡면관을 타고 흘러 내려 수조에 낙수되어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수조에 저장되는 가습용 물에 서식하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가습입자를 미립화시켜 실내에서 먼거리까지 송출시켜 가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물통의 물이 수조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물통에 공기 입자 생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초음파 가습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초음파 진동자가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가습용 물이 소정수위로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에 안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형성되는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 일부가 내부에 잔류되는 플로 패널(flow panel);
상기 플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상부팬 및 상기 상부팬의 하부에 동축으로 위치하고 상기 상부팬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하부팬을 포함하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가습용 물이 채워진 물통을 간편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수조가 본체에 대해 분리 결합되며 수조 내부에 생성되는 물이끼 등의 이물질을 수시로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튀는 물방울이 플로 패널의 곡면관을 타고 흘러 내려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에 저장된 가습용 물에 서식하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가습기 사용자(특히 면역력이 떨어지는 유아, 환자, 노약자 등) 건강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습입자를 미립화시켜 실내에서 먼거리까지 송출시켜 가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므로 동업종분야에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통의 물이 수조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물통 내부에 에어 버블 생성을 방지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동축반전팬의 틸팅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물통의 물을 제2수조에 채울 경우 물통 내부에 에어 버블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주입튜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수조 및 물통이 본체로부터 분리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초음파 진동자(12)가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가습용 물이 소정수위로 담기는 수조(A);
수조(A)에 안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6)와,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되는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7)가 형성되며,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 일부가 내부에 잔류되는 플로 패널(flow panel)(18);
플로 패널(18)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상부팬(22) 및 상부팬(22)의 하부에 동축으로 위치하고 상부팬(22)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하부팬(23)을 포함하는 송풍팬(19);을 구비한다.
플로 패널(18) 상부에 안착되는 케이스(20)에 내설된 구동모터(21)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송풍팬(19)을 이루는 상부팬(22) 및 하부팬(23)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팬(22)과 하부팬(23) 사이의 공간(s)에 와류가 형성된다.
즉, 상부팬(22) 및 하부팬(23)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된 케이스(20) 내부에 형성된 와류로 인해 공기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체된다.
이로 인해,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후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케이스(20)를 통과하는 가습 입자가 케이스(20)에 형성된 와류에 의해 큰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건조시켜 입자 사이즈가 줄어들게 되므로 케이스(20)로부터 배출되는 가습입자를 미립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부팬(22) 및 하부팬(23)이 동일 방향으로 바람을 배출하면서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팬(22) 및 하부팬(23) 사이의 공간(s)에 와류(渦流)(swirl)를 형성하게 되는 동축반전팬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술내용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로 패널(18)의 내부 플랜지(24)에 교체가능하게 안착되고, 유입구(16a)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공기정화필터(25)를 구비한다.
플로 패널(18)은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6a)보다 낮은 높이로 플로 패널(18) 내부에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곡면관(34)을 구비하되, 곡면관(34)은 하단이 초음파 진동자(12)를 둘러싸고 상부로 연장되면서 그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수조(A)의 수면 위로 튀는 물방울이 곡면관(34)의 곡면을 타고 흘러내리므로 종래 수조(A)에 낙수되면서 발생되었던 소음을 감소시킨다.
가습기는 수조(A)를 받쳐 지지하는 본체(11);
본체(11)에 지지되며 상부로 연장되는 베이스(10a)와, 베이스(10a) 일측으로 돌출된 안착부(10b)가 연장형성되는 격벽(10);
안착부(10b)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수조(A)에 공급되는 가습용 물을 수용하는 물통(15);을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수조(A; 13,14)에 가습용 물을 수시로 보충하여 공급할 수 있고, 격벽(10)로부터 물통(15)을 수시로 분리시킨 후 물통(15)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수조(A)는
본체(11)에 수조(A)를 슬라이딩이동시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10a) 일부가 수납되며, 수조(A)를 초음파 진동자(12)가 위치하는 제1수조(13)와, 제1수조(13)와 물 이동통로(29)를 통해 연통되며 물통(15)이 위치하는 제2수조(14)로 구획하는 U자 형태의 절개홈(a)을 포함한다.
송풍팬(19)이 내설되는 케이스(20)는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임의각도로 조정하거나, 공기정화필터(25)를 교체하기 위해 본체(11)로부터 공기정화필터(25)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격벽(10) 상부에 힌지구조물(20a)에 의해 다단계로 틸팅가능하게 힌지고정된다.
케이스(20)를 격벽(10)에 대해 임의각도로 틸팅시켜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케이스(20) 상단에 장착된 배출 그릴(33)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플로 패널(18)에 안착된 공기정화필터(25)를 교체시 플로 패널(18)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꺼내어 점검한 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격벽(10)에 케이스(20)를 다단계로 틸팅가능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구조물(20a)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통(15)은 제2수조(14)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이 물통(15)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상단이 물통(15)의 수면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공기 주입튜브(27)를 구비한다.
즉, 물통(15)의 물이 제2수조(14)에 보충되는 과정에서 물통(15) 내부 상단에 생성되는 에어버블로 인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물통(15)이 제2수조(14)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하단의 공기유입구(27a)가 물통(15) 외부에 노출되고 상단의 공기배출구(27b)가 물통(15)의 수면 위로 돌출된 공기 주입튜브(27)에 의해 외부공기가 물통(15) 내부 상단의 빈 공간에 유입된다.
이로 인해, 물통(15)의 가습용 물이 제2수조(14)에 보충되어지는 과정에서 에어버블로 인해 소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2수조(13,14)를 연통시키도록 격벽(10)의 안착부(10b) 하단에 형성되는 물 이동통로(29)에 구비되고, 수조(A)에 저장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미네랄성분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이온교환수지블록(30)을 구비한다.
즉, 초음자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되어 배출되는 큰 가습입자에 의한 세균 번식 및 제1,2수조(13,14)에 저장된 수돗물 중에 포함된 미네랄성분의 스케일을 이온교환수지블록(30)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수조(A)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초음파 진동자(12)와 도통되는 접촉단자(31);
접촉단자(31)와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11) 상면에 형성되고, 본체(11)에 수조(A)를 안착시 접촉단자(31)와 도통되는 전원공급단자(32)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본체(11)로부터 분리되는 수조(A)를 물로 세척시킬 경우 접촉단자(31)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접촉단자(31)를 감싸 지지하는 방수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수조(A)를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하되, 본체(11) 상면에 장착되어 수조(A) 내부에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UV램프(28)를 구비한다. UV램프(28)는 LED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색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유입구(16)는 플로패널(18)의 측면에서 송풍팬(19)의 측방에 관통형성되는 상부유입구(16a); 및
상부유입구(16a)로부터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부유입구(16a)보다 작은 크기로 플로패널(18)의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수조(13)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송풍팬(19)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부유입구(16b);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 상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송풍팬(19)에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 그릴(33)을 구비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5는 상부팬(22) 및 하부팬(23)의 회전으로 인해 외부공기가 케이스(20)에 유입 및 배출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쉬라우드이고, 36은 물통(15) 개구부에 장착되는 드레인 패널이며, 37은 드레인패널(36) 바닥면에 장착되는 드레인밸브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수조(A)에 형성된 U자 형태의 절개홈(a)에 의해 수조(A) 내부를 제1수조(13)와 제2수조(14)로 구획하게 된다. 격벽(10) 하단에 형성된 베이스(10a)가 절개홈(a)을 관통하여 본체(11) 내부 바닥면에 입설됨에 따라 격벽(10)에 형성된 안착부(10b)에 물통(15)을 결합시킬 경우에도 물통(15)의 중량으로 인해 격벽(1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0b)에 결합된 물통(15)에 수용된 물이 물통(15) 개구부에 장착된 드레인밸브(35)가 제2수조(14)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개방되므로 개구부를 통해 제2수조(14)에 토출된다. 제2수조(14)에 토출된 가습용 물이 제2수조(14)에 물 이동통로(29)를 통해 연통된 제1수조(14)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이때 수조(A)를 이루는 제1,2수조(13,14)에 채워진 가습용 물의 수면 높이는 동일하게 된다.
본체(11)의 외부 일측에 형성된 전원 온,오프 스위치(미 도시됨)를 온(ON) 상태로 조작할 경우 제어부(PCB)(미 도시됨)의 제어신호에 의해 플로 패널(18)에 내설된 케이스(20)의 구동모터(21)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된다.
즉, 구동모터(21)의 구동으로 인해 플로 패널(18) 상에 안착되고 회전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된 상부팬(22) 및 하부팬(23)으로 이루어진 송풍팬(19)(소위 "동축반전팬"을 말함)을 구동시킴에 따라, 외부공기는 송풍팬(19)의 흡입력에 의해 플로 패널(18)의 측벽(18a)에 관통형성된 유입구(16a)를 통하여 플로 패널(18) 내부에 흡입된다.
따라서, 플로 패널(18)에 흡입된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부유물질의 이물질을 플로 패널(18)에 플랜지(24)에 안착된 공기정화필터(25)에 의해 여과처리한다. 공기정화필터(25)에 의해 여과처리된 청정상태의 공기만이 송풍팬(19)을 통과하여 가습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체(11) 상부에 장착된 전원 공급단자(32)에 전원을 전원케이블(미 도시됨)을 통해 인가시킬 경우 전원 공급단자(32)와 도통가능하게 수조(A) 외부 바닥면에 형성된 접촉단자(31)에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본체(11)에 수조(A)를 안착시킬 경우, 수조(A)의 초음파 진동자(12)에 수조(A) 바닥면의 접촉단자(31)가 도통되고, 접촉단자(31)와 전원공급단자(32)가 도통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로 인해, 제1수조(13)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초음파 진동자(1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1수조(13)에 저장된 가습용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무화상태로 수증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 일부는 송풍팬(19)의 흡입력에 의해 플로 패널(18)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6b)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플로 패널(18)의 곡면관(34)을 통과하여 송풍팬(19) 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 일부는 송풍팬(19)의 흡입력에 의해 플로 패널(18)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6b)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플로 패널(18)의 내측면과 곡면관(34)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송풍팬(19)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플로 패널(18)의 곡면관(34) 내부와, 플로 패널(18)의 내측면과 곡면관(34)사이의 공간을 통해 송풍팬(19)쪽으로 이동된 후 가습기 외부로 배출된다(초음파식 가습기 역할을 하게 됨).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A)의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송풍팬(19)의 흡입력에 의해 케이스(20)에 흡입된다.
즉, 케이스(20)에 내설된 송풍팬(19)을 이루는 상부팬(22) 및 하부팬(23)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부팬(22) 및 하부팬(23)사이의 공간(s)에 와류가 형성된다.
제1수조(13)에 형성된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송풍팬(19)의 흡입력에 의해 플로 패널(18)을 통과한 후 케이스(20) 내부를 통과될 경우 케이스(20) 내부에 형성된 와류에 의해 케이스(20) 내부에 일시적으로 정체하게 된다.
따라서,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입자가 큰 무화상태의 수증기 입자를 와류에 의해 건조시키므로 가습입자를 소형화, 미립화시킨 후 가습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가습기는
하부에 입구측이 개방된 제1수납공간(11a)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송풍팬(19)이 힌지구조물(19a)에 의해 다단계로 틸팅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상부 타측에 상하단이 개방된 수납공간(11b)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장공형태의 유입구(16a)와, 유입구(16a)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진원의 유입구(16b)로 이루어지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6)가 형성되는 본체(11)와,
초음파 진동자(12)가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제1수납공간(11a)에 슬라이딩이동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습용 물이 소정수위로 담기는 수조(A)와,
수납공간(11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바닥면이 수납공간(11b)의 하단에 걸쳐지고, 수납공간(11b)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수조(A)에 공급되는 가습용 물이 수용되는 물통(15)을 구비한다.
이때, 초음파 진동자(12) 및 송풍팬(19)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의 가습기에 의하면,
수조(A)를 본체(11)의 제1수납공간(11a)에 슬라이딩이동으로 결합시킨 후 물통(15)을 제2수납공간(11b)에 결합시킬 경우, 물통(15)의 바닥면이 수조(A)에서 일정높이 이격되어 안착되므로 물통(15)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습용 물이 수조(A)에 임의높이로 채워진다.
수조(A)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초음파 진동자(12)의 진동에 의해 가습용 물을 무화상태의 수증기로 변환시켜 분출시키게 된다.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는 수조(A) 상방으로 장착된 송풍팬(19) 흡입력에 의해 송풍팬(19)이 내설된 케이스(미 도시됨) 내부로 이동된다.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케이스 내부에 흡입될 경우, 송풍팬(19)의 회전시 상부팬 및 하부팬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케이스 내부에 흡입된 수증기 배출이 일시적으로 정체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에 흡입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와류에 의해 건조시키게 되므로 가습 입자를 미립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11)로부터 수조(A)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수납공간(11a)에 결합된 수조(A)를 슬라이딩이동시켜 본체(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로부터 분리된 수조(A)는 내부에 별다른 구조물이 없어 내부의 물이끼 등의 이물질을 쉽게 세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가습기에 의하면,
송풍팬(19)의 구동으로 인해 플로 패널(18)에 외부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플로 필터(18)에 안착된 공기정화필터(25)에 의해 실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부유 물질을 여과시키는 공기 청정기능과, 초음파 진동자(12)에 의해 수조(A)에 저장된 가습용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무화상태의 수중기를 생성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초음파 가습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격벽
11; 본체
12; 초음파 진동자
13; 제1수조
14; 제2수조
15; 물통
16; 유입구
17; 배출구
18; 플로 패널
19; 송풍팬
20; 케이스
21; 구동모터
22; 상부팬
23; 하부팬
24; 플랜지
25; 공기정화필터
26; 걸림턱
27; 공기 주입튜브
28; UV램프
29; 물 이동통로
30; 이동교환수지블록
31; 접촉단자
32; 전원공급단자
33; 배출 그릴
34; 곡면관
35; 쉬라우드
36; 드레인밸브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초음파 진동자가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가습용 물이 소정수위로 담기는 수조;
    상기 수조에 안착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형성되는 무화상태의 수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무화상태의 수증기 일부가 내부에 잔류되는 플로 패널(flow panel);
    상기 플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상부팬 및 상기 상부팬의 하부에 동축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상부팬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무화상태의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하부팬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팬과 상기 하부팬 사이에는 와류가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플로 패널의 내부 플랜지에 교체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공기정화필터;
    상기 유입구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플로 패널 내부에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곡면관;
    상기 수조를 받쳐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돌출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격벽;
    상기 안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수조에 공급되는 가습용 물을 수용하는 물통; 및
    상기 수조는 일측에 U자 형태의 절개홈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수조를 결합시 상기 격벽의 일부가 상기 절개홈에 삽입되며 상기 수조는 상기 초음파 진동자가 위치하는 제1수조와 상기 물통이 위치하는 제2수조로 구획되며,
    상기 물통은 상기 제2수조의 수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물통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상단이 상기 물통의 수면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공기 주입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플로패널의 측면에서 상기 송풍팬의 측방에 관통형성되는 상부유입구와
    상기 상부유입구로부터 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유입구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플로패널의 하부에 관통형성되는 하부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이 내설되는 케이스는
    상기 격벽 상부에 다단계로 틸팅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조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격벽의 하단에 형성되는 물 이동통로에 구비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미네랄성분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이온교환수지블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외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초음파 진동자와 도통되는 접촉단자;
    상기 접촉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수조를 안착시 상기 접촉단자와 도통되는 전원공급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 패널 및 상기 수조는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면에는 상기 수조 하면을 조사하는 UV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가습기.
  10. 삭제
KR1020180083391A 2018-07-18 2018-07-18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Active KR10212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91A KR102128790B1 (ko) 2018-07-18 2018-07-18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91A KR102128790B1 (ko) 2018-07-18 2018-07-18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60A KR20200009260A (ko) 2020-01-30
KR102128790B1 true KR102128790B1 (ko) 2020-07-02

Family

ID=6932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391A Active KR102128790B1 (ko) 2018-07-18 2018-07-18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205B1 (ko) * 2020-11-23 2021-03-03 블루앤 유한회사 가습 살균 공기 정화기
WO2021201367A1 (ko) * 2020-03-31 2021-10-07 블루앤 유한회사 가습 살균 공기 정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247A (ja) * 2005-04-08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JP2010019101A (ja) * 2008-07-08 2010-01-28 Sharp Corp 送風装置及び加湿機
JP2016194394A (ja) * 2015-04-01 2016-11-17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089Y1 (ko) * 1982-08-16 1983-10-10 송계범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가습기
KR0143839B1 (ko) * 1995-08-30 1998-08-01 배순훈 히터식 초음파 가습기
KR19990030943U (ko)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가습기의 살균장치
JP4549204B2 (ja) * 2004-07-21 2010-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器
KR100835312B1 (ko) * 2006-08-10 2008-06-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KR101892724B1 (ko) * 2016-05-02 2018-08-28 (주)메가크리에이트 공기청정과, 가습 및 제습 기능을 갖는 복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2247A (ja) * 2005-04-08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JP2010019101A (ja) * 2008-07-08 2010-01-28 Sharp Corp 送風装置及び加湿機
JP2016194394A (ja) * 2015-04-01 2016-11-17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60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788B1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가습기
RU2648186C2 (ru) Увлаж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JP5156802B2 (ja) 加湿器
KR100640727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JP6156357B2 (ja) 加湿装置
CN109529584A (zh) 一种废气净化喷淋装置
JP2011242026A (ja) 水破砕式マイナスイオン発生機
KR102128790B1 (ko)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KR102453466B1 (ko) 가습과 아로마 테라피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CN115013898B (zh) 加湿器
KR20170067344A (ko) 수직분무 구조를 갖는 가습기
JP2019098255A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JP2002364890A (ja) ミストの発生装置
KR20060020979A (ko) 공기 정화 겸용 가습기
KR101633498B1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CN215723836U (zh) 一种加湿器
KR20060041074A (ko) 초음파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JPH1157368A (ja) 空気清浄機
KR102349868B1 (ko) 공기청정가습 시계
KR200369078Y1 (ko) 공기 정화 겸용 가습기
KR20060108350A (ko)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KR200388417Y1 (ko)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JP2019100698A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KR101903223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 및 가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9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