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8539B1 -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539B1
KR102128539B1 KR1020190090994A KR20190090994A KR102128539B1 KR 102128539 B1 KR102128539 B1 KR 102128539B1 KR 1020190090994 A KR1020190090994 A KR 1020190090994A KR 20190090994 A KR20190090994 A KR 20190090994A KR 102128539 B1 KR102128539 B1 KR 10212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il
inorganic binder
housing
circ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토사의 이동 과정에서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을 부여하고,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 및 무기성바인터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악취가 저감된 순환토사를 획득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는 공급부와 배출부 사이에서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진동하우징과, 순환토사의 이동을 위해 진동하우징을 진동시키는 진동유닛과, 진동하우징의 진동에 따라 순환토사가 배출구를 향해 분산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진동플레이트와, 진동하우징의 진동에 따라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에서 낙하되는 순환토사가 배출구를 거쳐 배출부에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진동플레이트와, 제1진동플레이트에서 낙하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는 악취저감수단 및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열풍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DEVICE THAT PRODUCES ROTATED SOIL THAT REDUCES ODOUR THROUGH INORGANIC BINDER DURING MIDDLE PROGRESS OF CONSTRUCTION WASTE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순환토사의 이동 과정에서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을 부여하고,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 및 무기성바인터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악취가 저감된 순환토사를 획득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노후화 등으로 각종의 순환골재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으나 매립지의 부족, 불법투기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의 파괴가 만연하는 과정에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건설 폐기물 중 지정 부산물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업체가 순환골재를 생산하고 있으나, 기술 및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순환골재 재활용 의무화는 유명무실한 상태가 되었고, 각 건설업체도 하급의 순환골재를 기피하여 순환골재는 복토, 성토재 등으로 사용이 국한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6946호)에서는 건설오니에 대해 진동스크린을 통해 파쇄 및 마쇄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악취저감수단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선행문헌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734호)에서는 건설오니에 대해 탈수 및 건조 공정을 병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액상 규산칼륨의 분사에 따라 교란 브러쉬에 액상 규산칼륨이 결합된 탈수오니가 부착되거나 교란 브러쉬를 통과한 탈수오니가 건조이송컨베이어 상에서 액상 규산칼륨과 결합되어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734호 (발명의 명칭 :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2014. 02. 20.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6946호 (발명의 명칭 :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2017. 10. 1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순환토사의 이동 과정에서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을 부여하고,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 및 무기성바인터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악취가 저감된 순환토사를 획득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는 공급부와 배출부 사이에서 순환토사가 통과하는 장치이고,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상기 순환토사가 투입되는 투입구 개구되고, 타측에는 상기 순환토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구된 진동하우징; 상기 순환토사가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진동하우징을 진동시키는 진동유닛; 상기 진동하우징에 일체로 내장되고, 상기 진동하우징의 진동에 따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순환토사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분산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진동하우징에 일체로 내장되고, 상기 진동하우징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에서 낙하되는 상기 순환토사가 상기 배출구를 거쳐 상기 배출부에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에서 낙하되는 상기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는 악취저감수단; 및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열풍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하우징을 왕복 이동시키는 진동구동부; 상기 진동하우징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진동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에 링크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은,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의 투입측과 중첩된다.
여기서, 상기 악취저감수단은,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저장되는 악취저감탱크; 상기 악취저감탱크에 저장되는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기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악취저감펌프;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에서 이격 배치되는 분사헤더; 상기 악취저감펌프와 상기 분사헤더를 연결하는 공급관; 및 다수 개가 상기 분사헤더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분사헤더에 공급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와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 사이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순환토사가 오버플로우되어 낙하되도록 배출단부에서 토사뒤집개;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에는, 상기 토사뒤집개를 기준으로 상기 투입구 쪽에서 다수의 제1분산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열풍유닛에서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통기홀;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에는, 상기 통기홀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제2분산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 따르면, 순환토사의 이동 과정에서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을 부여하고,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 및 무기성바인터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악취가 저감된 순환토사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2단으로 구성된 제1진동플레이트와 제2진동플레이트에서 순환토사가 순차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진동플레이트 사이의 단차에 의해 순환토사의 파쇄 또는 마쇄를 유도할 수 있고,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이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분사됨으로써, 순환토사에 무기성바인더를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고,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이 부여되며, 순환토사에서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 쪽에서 순화토사의 배출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무기성바인더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순환토사에 무기성바인더가 코팅 건조됨에 따라 순환토사의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진동하우징에 투입된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을 특정할 수 있고, 진동하우징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단으로 구성된 제1진동플레이트와 제2진동플레이트의 중첩 구조를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로부터 낙하되는 순환토사가 진동하우징의 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저감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와 제2진동플레이트 사이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안정되게 분사할 수 있고, 제1진동플레이트로부터 분산 낙하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고르게 코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사뒤집개를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에서 배출되는 순환토사의 입도를 균일하게 하는 한편, 제1진동플레이트에서 뭉쳐진 순환토사의 파쇄, 마쇄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산돌부를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에서 순환토사가 이동될 때, 뭉쳐진 순환토사의 파쇄, 마쇄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홀을 통해 순환토사에 통기성을 부여하고,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홀에 대응되는 제2분산돌부를 통해 무기성바인더가 결합된 순환토사의 파쇄, 마쇄를 유도하고, 순환토사가 통기홀에 삽입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며, 제2진동플레이트에서 순환토사와 가열된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서 제1진동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서 제2진동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는 공급부(100)와 배출부(200) 사이에서 순환토사가 통과할 때, 순환토사에 무기성바인더를 공급함으로써, 순환토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부(100)는 컨베이어 방식으로 순환토사를 진동하우징(10)에 전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호퍼 방식으로 순환토사를 진동하우징(10)에 전달하는 것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순환토사를 진동하우징(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부(200)는 컨베이어 방식으로 진동하우징(10)에서 배출되는 순환토사를 운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호퍼 방식으로 순환토사를 운반하는 것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진동하우징(10)에서 배출되는 순환토사를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는 진동하는 2단의 진동플레이트(30, 40) 사이에서 낙하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고,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코팅된 순환토사를 건조할 수 있는 순환토사의 이동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진동하우징(10)과, 진동유닛(20)과,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와, 악취저감수단(50)과, 열풍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하우징(10)은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진다.
진동하우징(10)의 일측 상면에는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되는 순환토사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개구된다. 진동하우징(10)의 타측 측면에는 진동하우징(10)을 통과한 순환토사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개구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투입구(11)는 진동하우징(10)의 일측 측면에 개구되고, 배출구(12)는 진동하우징(10)의 타측 하면에 개구될 수 있다.
진동하우징(10)의 하면에는 잔류낙하부(13)가 개구될 수 있다. 잔류낙하부(13)는 진동하우징(10)을 통과하는 순환토사 중 진동하우징(10)의 내부에서 비산되었다가 낙하되는 순환토사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200)는 진동하우징(10)의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토사와 함께 잔류낙하부(13)에서 배출되는 순환토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진동유닛(20)은 진동하우징(10)을 진동시킨다. 진동유닛(20)은 진동하우징(10)에서 투입구(11)로부터 배출구(12)를 향해 순화토사를 이동시킨다.
진동유닛(20)은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진동하우징(10)을 왕복 이동시키는 진동구동부(21)와, 진동하우징(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부(22)와, 양단부가 각각 진동하우징(10)과 베이스부(22)에 링크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진동구동부(21)의 동작에 따라 진동하우징(10)은 베이스부(22)를 기준으로 링크부(23)에 의해 제한된 피벗 운동함으로써, 진동하우징(10)의 투입구(11)에 전달된 순환토사를 배출구(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진동플레이트(30)는 진동하우징(10)에 일체로 내장된다. 제1진동플레이트(30)는 진동하우징(10)의 내부에서 투입구(11) 쪽에 편심 설치된다. 제1진동플레이트(30)는 진동하우징(1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면서 투입구(11)를 통해 전달되는 순환토사가 배출구(12)를 향해 분산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진동플레이트(30)는 투입구 쪽에서 배출구 쪽을 향해 하향 경사 또는 상향 경사를 이룸으로써, 순환토사의 배출 입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제1진동플레이트(30)에는 배출단부에서 토사뒤집개(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토사뒤집개(31)는 제1진동플레이트(30)를 통과하는 순환토사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한편, 순환토사를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진동플레이트(30)를 통과하는 순환토사는 토사뒤집개(31)에서 오버플로우되어 낙하하여 제2진동플레이트(40)에 전달된다.
토사뒤집개(31)는 제1진동플레이트(30)의 배출단부에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지연돌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지연돌부(33)는 삼각뿔 형상 또는 사각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토사뒤집개(31)는 진동하우징(10)의 투입구(11) 쪽에서 단위지연돌부(33)가 지지되도록 제1진동플레이트(30)의 배출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띠 형상의 저지벽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위지연돌부(33)의 바닥 부분은 순환토사의 배출측을 향하도록 하여 저지벽부(35)에 일체로 형성되고, 단위지연돌부(33)의 측면 부분 중 어느 하나는 제1진동플레이트(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진동플레이트(30)에는 토사뒤집개(31)를 기준으로 투입구(11) 쪽에서 다수의 제1분산돌부(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분산돌부(32)는 바닥 부분이 제1진동플레이트(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상 또는 사각뿔 형상을 나타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닥 부분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각뿔 형상 또는 각뿔대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1분산돌부(32)는 제1진동플레이트(30)에서 뭉친 형태로 이동되는 순환토사를 부술 수 있다.
제1분산돌부(32)는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순환토사를 안정되게 부술 수 있다.
제2진동플레이트(40)는 진동하우징(10)에 일체로 내장된다. 제2진동플레이트(40)는 진동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배출구(12) 쪽에 편심 설치된다. 제2진동플레이트(40)는 진동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제1진동플레이트(30)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진동플레이트(40)는 투입구 쪽에서 배출구 쪽을 향해 하향 경사 또는 상향 경사를 이룸으로써, 순환토사의 배출 입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진동플레이트(30)의 배출측은 제2진동플레이트(40)의 투입측과 중첩되어 제1진동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되는 순환토사가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진동플레이트(40)의 투입측은 상측으로 제1진동플레이트(30)의 배출측에 중첩될 수 있다.
제2진동플레이트(40)에는 열풍유닛(60)에서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통기홀(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기홀(42)의 직경은 1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기홀(42)에서 순환토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2진동플레이트(40)에는 통기홀(42)에 대응하여 다수의 제2분산돌부(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분산돌부(44)의 중심에는 통기홀(42)이 연장 관통되도록 한다. 제2분산돌부(44)는 제2진동플레이트(40)에서 뭉친 형태로 이동되는 순환토사를 부술 수 있다. 제2진동플레이트(40)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통기홀(42)과 제2분산돌부(44)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악취저감수단(50)은 제1진동플레이트(30)에서 낙하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한다. 무기성바인더는 규산칼륨을 주성분으로 한다.
악취저감수단(50)은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저장되는 악취저감탱크(51)와, 악취저감탱크(51)에 저장되는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기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악취저감펌프(52)와, 제1진동플레이트(30)의 배출측에서 이격 배치되는 분사헤더(53)와, 악취저감펌프(52)와 분사헤더(53)를 연결하는 공급관(54)과, 다수 개가 분사헤더(53)에 이격 배치되고 분사헤더(53)에 공급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분사하는 분사노즐(5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헤더(53)와 분사노즐(55)의 배치 구조에 따라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분사됨으로써, 분산 낙하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고르게 공급되어 순환토사의 코팅율을 높이고, 악취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헤더(53)와 분사노즐(55)의 배치 구조에 따라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분사됨으로써, 낙하하는 순환토사가 액상의 무기성바인더에 의해 제1진동플레이트(3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헤더(53)는 진동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에서 분사노즐(55)을 정위치시키고,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안정되게 분사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동하우징(10)의 진동에 따라 분사헤더(53)도 진동하우징(10)과 함께 피벗 왕복 이동되므로, 분사헤더(53)와 공급관(54)의 연결 부위에는 진동하우징(10)의 진동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신축이음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열풍유닛(60)은 진동하우징(10)의 배출구(1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열풍유닛(60)은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열풍유닛(60)은 외부의 공기를 진동하우징(10)의 내부에 공급하는 송풍기와, 진동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부(100)를 통해 순환토사가 진동하우징(10)의 투입구(11)에 투입되면, 진동하는 진동하우징(10)의 내부에서 순환토사는 제1진동플레이트(30)를 통과하여 제2진동플레이트(40)에 낙하되고, 제2진동플레이트(40)를 통과하여 배출구(12)로 배출된다. 이때, 제1진동플레이트(30)로부터 순환토사가 낙하할 때, 악취저감수단(50)을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는 한편, 열풍유닛(60)을 통해 배출구(12)로부터 투입구(11) 쪽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코팅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에 따르면, 순환토사의 이동 과정에서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을 부여하고,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 및 무기성바인터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악취가 저감된 순환토사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2단으로 구성된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에서 순환토사가 순차적으로 이동됨으로써, 진동플레이트(30, 40) 사이의 단차에 의해 순환토사의 파쇄 또는 마쇄를 유도할 수 있고, 순환토사의 이동 균일성,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이 부여된다. 또한, 낙하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분사됨으로써, 순환토사에 무기성바인더를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고, 순환토사의 믹싱 균일성, 무기성바인더의 공급 균일성이 부여되며, 순환토사에서 무기성바인더의 코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구(12) 쪽에서 순화토사의 배출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무기성바인더가 코팅된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순환토사에 무기성바인더가 코팅 건조됨에 따라 순환토사의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유닛(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진동하우징(10)에 투입된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을 특정할 수 있고, 진동하우징(10)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단으로 구성된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의 중첩 구조를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30)로부터 낙하되는 순환토사가 진동하우징(10)의 바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악취저감수단(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30)와 제2진동플레이트(40) 사이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안정되게 분사할 수 있고, 제1진동플레이트(30)로부터 분산 낙하되는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고르게 코팅되도록 한다.
또한, 토사뒤집개(31)를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30)에서 배출되는 순환토사의 입도를 균일하게 하는 한편, 제1진동플레이트(30)에서 뭉쳐진 순환토사의 파쇄, 마쇄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분산돌부(32)를 통해 제1진동플레이트(30)에서 순환토사가 이동될 때, 뭉쳐진 순환토사의 파쇄, 마쇄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통기홀(42)을 통해 순환토사에 통기성을 부여하고, 순환토사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기홀(42)에 대응되는 제2분산돌부(44)를 통해 무기성바인더가 결합된 순환토사의 파쇄, 마쇄를 유도하고, 순환토사가 통기홀에 삽입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며, 제2진동플레이트(40)에서 순환토사와 가열된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진동하우징 11: 투입구 12: 배출구
13: 잔류낙하부 20: 진동유닛 21: 진동구동부
22: 베이스부 23: 링크부 30: 제1진동플레이트
31: 토사뒤집개 32: 제1분산돌부 33: 단위지연돌부
35: 저지벽부 40: 제2진동플레이트 42: 통기홀
44: 제2분산돌부 50: 악취저감수단 51: 악취저감탱크
52: 악취저감펌프 53: 분사헤더 54: 공급관
55: 분사노즐 60: 열풍유닛
100: 공급부 200: 배출부

Claims (8)

  1. 공급부와 배출부 사이에서 순환토사가 통과하는 장치이고,
    중공의 함체로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상기 순환토사가 투입되는 투입구 개구되고, 타측에는 상기 순환토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개구된 진동하우징;
    상기 순환토사가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진동하우징을 진동시키는 진동유닛;
    상기 진동하우징에 일체로 내장되고, 상기 진동하우징의 진동에 따라 상기 투입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순환토사가 상기 배출구를 향해 분산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진동하우징에 일체로 내장되고, 상기 진동하우징의 진동에 따라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에서 낙하되는 상기 순환토사가 상기 배출구를 거쳐 상기 배출부에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진동플레이트;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에서 낙하되는 상기 순환토사에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는 악취저감수단; 및
    상기 배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과 역행하는 방향으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열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는, 배출단부에 삼각뿔 형상 또는 사각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단위지연돌부에 의한 토사뒤집개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토사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악취저감수단은, 액상의 무기성바인더가 저장되는 악취저감탱크; 상기 악취저감탱크에 저장되는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분사하기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악취저감펌프;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에서 이격 배치되는 분사헤더; 상기 악취저감펌프와 상기 분사헤더를 연결하는 공급관; 및 다수 개가 상기 분사헤더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분사헤더에 공급된 액상의 무기성바인더를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와 제2진동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토사뒤집개를 통과하여 분산된 후 낙하하는 순환토사에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는 상기 토사뒤집개를 기준으로 상기 투입구 쪽에서 바닥 부분이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삼각뿔 형상 또는 사각뿔 형상이며 순환토사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한편 순환토사를 분산시키는 다수의 제1분산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열풍유닛에서 분사되는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통기홀 및 상기 통기홀이 중심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2분산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순환토사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하우징을 왕복 이동시키는 진동구동부;
    상기 진동하우징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부; 및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진동하우징과 상기 베이스부에 링크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플레이트의 배출측은, 상기 제2진동플레이트의 투입측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90994A 2019-07-26 2019-07-26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Active KR10212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94A KR102128539B1 (ko) 2019-07-26 2019-07-26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994A KR102128539B1 (ko) 2019-07-26 2019-07-26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539B1 true KR102128539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94A Active KR102128539B1 (ko) 2019-07-26 2019-07-26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5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650B1 (ko) * 2022-06-13 2023-06-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085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청석기업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674009B1 (ko) * 2006-10-17 2007-01-2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55785B1 (ko) * 2011-05-16 2014-01-27 조기현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365734B1 (ko) 2013-12-27 2014-02-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KR101391991B1 (ko) * 2013-11-29 2014-05-0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순환골재 강제 탄산화 장치
KR101786946B1 (ko) 2016-12-26 2017-10-1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085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청석기업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674009B1 (ko) * 2006-10-17 2007-01-2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55785B1 (ko) * 2011-05-16 2014-01-27 조기현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391991B1 (ko) * 2013-11-29 2014-05-0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순환골재 강제 탄산화 장치
KR101365734B1 (ko) 2013-12-27 2014-02-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KR101786946B1 (ko) 2016-12-26 2017-10-17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650B1 (ko) * 2022-06-13 2023-06-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8363A (en) Pothole patcher and road surfacing device
KR101365734B1 (ko)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KR102128539B1 (ko)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과정 중 무기성바인더를 통해 악취를 저감시킨 순환토사를 생산하는 장치
KR1006740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40042656A1 (en) Leftover concrete recycling device and method for leftover concrete recycling
KR101834701B1 (ko) 연속식 열풍건조기
WO2013018199A1 (ja) 加熱炉及び加熱装置
CN110520219A (zh) 混凝土回收或再生装置
KR101644400B1 (ko) 재생아스콘 플랜트용 드라이어
KR101251102B1 (ko)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KR100368931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2581865B1 (ko) 효율적으로 유해물질을 소각 제거하는 다수의 유해가스연소버너 및 송풍시스템을 갖는, 친환경 유해물질이 없는, 아스콘 제조 시스템 및 그 시스템 운용 방법
KR101214383B1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8532412B (zh) 沥青混合料热再生滚筒进料装置
US2746733A (en) Asphalt pavement construction
CN106891435A (zh) 混凝土搅拌机
KR101084625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 장치
KR100887622B1 (ko) 하수고도처리장의 슬러지 건조장치
KR102539596B1 (ko) 미생물 발효 고속 감량장치
NZ512031A (en) An agitation system for a fluid bed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1168003B1 (ko) 미세분말 연속공급장치
KR20120062132A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KR101681264B1 (ko) 골재 예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