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461B1 - Functional film, and lamin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unctional film, and lamin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8461B1 KR102128461B1 KR1020180083823A KR20180083823A KR102128461B1 KR 102128461 B1 KR102128461 B1 KR 102128461B1 KR 1020180083823 A KR1020180083823 A KR 1020180083823A KR 20180083823 A KR20180083823 A KR 20180083823A KR 102128461 B1 KR102128461 B1 KR 1021284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resin
- steel sheet
- functional
- functional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강판 모재에 대하여 우수한 접착성을 가진 기능성 필름에 대하여 개시한다.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의 외장재, 가구의 외장재로 적용 가능한 라미네이트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은 강판 모재; 상기 강판 모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필름; 및 상기 강판 모재와 상기 기능성 필름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강판 모재와 기능성 필름을 접착시키는 핫멜트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필름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핫멜트 접착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수지층;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PET 층; 및 상기 PET 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부터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층과 접촉하는 PET 층의 일면은 코로나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nctional film having excellent adhesion to a steel sheet base material is disclosed.
Disclosed is a laminate steel plate applicable to an exterior material of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nd an exterior material of a furni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sheet base material; Functional film located on top of the steel base material; And a hot melt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 functional film to bond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a functional film; wherein the functional film includes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layer. Functional resin layer located on; A primer layer positioned on the functional resin layer; And a PET layer positioned on the primer layer. And a surface treatment layer formed on the PET layer and formed from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wherein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contacting the primer layer is corona-tre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steel sheet using a functional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필름을 접착시킨 라미네이트 강판은 식품 용기, 오일관, 전자부품 등에 주로 사용된다. 라미네이트 강판은 일정한 온도에서 강판을 가열시킨 후,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필름을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접착 방식에서, 강판과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름 표면에 프라이머 용도로서 클로로페놀을 도포한다. 클로로페놀은 접착력을 증가시키지만, 환경 규제가 따르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제한적이다. 또한, 클로로페놀은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Laminate steel sheets with films attached to one or both sides of steel sheets are mainly used for food containers, oil tubes, and electronic parts. The laminated steel sheet is manufactured by heating the steel sheet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n bonding the film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teel sheet. In this bonding method, chlorophenol is applied as a primer to the film surface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film. Chlorophenol increases adhesion, but is limited in the working environment because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followed. In addition, chlorophenol has a disadvantage of high cost.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종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into manufacturing a laminate steel sheet using an adhesive containing various functional additives is being conducted.
하지만, 습도나 온도에 의해, 접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강판과 필름 사이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However, due to humidity or temperature,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continuously maintained,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 phenomenon occurs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film.
따라서, 기존의 클로로페놀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프라이머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imer to replace the existing chlorophenol and to improv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 steel sheet.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38815호(2000.07.0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엠보스 처리된 융착라미나강판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0038815 (published on July 5, 2000), the document describes the embossed fusion lamina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PET 층과 접착력이 우수한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film comprising a PET layer and a primer layer having excellent adhe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전제품의 외장용 라미네이트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 steel plate for exterior of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에서는 강판 모재에 접착되는 기능성 필름에 있어서,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 모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수지층;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PET 층; 및 상기 PET 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부터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과 접촉하는 PET 층의 일면은 코로나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nctional film to be adhered to the base material of the steel sheet, comprising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a functional resin layer located on top of the steel base material; Located on top of the functional resin layer, a primer layer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And a PET layer positioned on the primer layer. And it is located on top of the PET layer, a surface treatment layer formed from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includes, one side of the PET layer in contact with the primer layer is provided with a function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ona treat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a)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PET 층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PET 층의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 처리된 PET 층의 일면에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기능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ing a corona discharge, the surface treatment of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b) form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by applying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ET layer; (c) forming a primer layer by applying a pri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to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surface-treated by the corona discharge; And (d) forming a functional resin layer by applying a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on the primer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unctional film is provided. .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강판 모재; 상기 강판 모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필름; 및 상기 강판 모재와 상기 기능성 필름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강판 모재와 기능성 필름을 접착시키는 핫멜트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필름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핫멜트 접착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수지층;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PET 층; 및 상기 PET 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부터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층과 접촉하는 PET 층의 일면은 코로나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late base material; Functional film located on top of the steel base material; And a hot melt adhesive layer applied betwee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 functional film to bond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a functional film; wherein the functional film includes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t melt adhesive layer. Functional resin layer located on; Located on top of the functional resin layer, a primer layer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And a PET layer positioned on the primer layer. And it is located on top of the PET layer, a surface treatment layer formed from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includes,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in contact with the primer layer is provided with a laminat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ona treat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a) 강판 모재를 마련하는 단계; 및 (b) 상기 강판 모재 상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능성 필름을 접착하되, 기능성 필름에 포함되는 기능성 수지층이 상기 강판 모재에 인접하도록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b1)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PET 층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 (b2) 상기 PET 층의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b3) 상기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 처리된 PET 층의 일면에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4)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기능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paring a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b) applying a hot melt adhesive o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to adhere the functional film, but adhering the functional resin layer included in the functional film adjacent to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unctional film (b1) surface-treating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using corona discharge; (b2) form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by applying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ET layer; (b3) forming a primer layer by applying a primer composition includ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to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surface-treated by the corona discharge; And (b4) forming a functional resin layer by applying a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vinyl chloride-based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on the primer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steel sheet is provided. .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은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로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함으로써, PET 층과 기능성 수지층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다.Th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er layer formed of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and thus has excellent adhesion between the PET layer and the functional resin layer.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은 강판 모재 상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 기능성 필름을 접착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은 강판 모재와 기능성 필름 간의 접착성, 프라이머층, 기능성 수지층의 밀착성, 라미네이트 강판의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The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 hot melt adhesive on a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n bonding a functional film. The laminate steel sheet is excellent in adhesion betwee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 functional film, adhesion between the primer layer and the functional resin layer, and heat resistance of the laminate steel shee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은 일반적인 도장강판에 비하여 미려한 외관 특성을 가지므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의 외장재, 가구의 외장재로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laminat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autiful appearance characteristic compared to a general painted steel sheet, it can be applied as an exterior material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and air conditioners, and an exterior material of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laminate steel shee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은 기능성 수지층(10), 프라이머층(20), PET 층(30) 및 표면처리층(40)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강판 모재(50)에 접착되어 라미네이트 강판을 형성한다. 1, th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기능성 필름에 포함되는 기능성 수지층(10)은 강판 모재(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기능성 수지층(10)은 고분자 수지와 안료를 포함하여, 라미네이트 강판에 다양한 색상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수지층(10)은 라미네이트 강판의 선영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영성은 평활성(고광택성)이라고도 하며, 표면에 물체를 비추었을 때, 물체의 윤곽이 왜곡 없이 뚜렷하게 보이는 정도이다.The
상기 기능성 수지층(10)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비는 대략 1 : 1 ~ 2 : 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 불포화 카르복실산, 비닐아세테이트를 단량체로 사용한다.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철 소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잉크 바인더, 접착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vinyl chloride resin uses vinyl chlori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nd vinyl acetate as monomers. The vinyl chloride-based resin has excellent adhesion to an iron material and can be used for ink binders and adhesives.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구조적 특성상 내후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htyl 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isobutyl methacrylate),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lyl meth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lycidyl methacrylate),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exandiol diacrylate), 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hexandiol dimethacrylate),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에틸렌-3-에톡시 아크릴레이트(ethyl-3-ethoxy acrylate),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ydroxybutyl acrylate),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ethoxyethyl acrylate), 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oxyethyl methacrylate),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thylhexyl acrylate),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ethylhexyl methacrylate),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에틸렌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diacrylate), 에틸-3-아미노-3-에톡시 아크릴레이트(ethyl-3-amino-3-ethoxy acrylate), 3차부틸 아크릴레이트(tertbutyl acrylate), 트리메틸시릴 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silyl methacrylate),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hexafluoroisopropyl acrylate), 헥스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hexafluoroisopropyl methacrylate), 페닐 메타크릴레이트(phenyl methacrylate),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polyeht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시클로펜테닐 에테르 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cyclopentenyl 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디시클로펜테닐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cyclopentenyl ether methacrylate), 소디움 아크릴레이트(sodium acrylate), 소디움 메타크릴레이트(sodium methacrylate),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tridecyl methacrylate), 헥실 아크릴레이트(hexyl acrylate), 헥실 메타크릴레이트(hexyl methacrylate),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isodecyl acrylate), 이소데실 메타크릴레이트(isodecyl methacrylate),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벤질 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hacrylate), 벤질 2-에틸 아크릴레이트(benzyl 2-ethyl acrylate), 에틸 2-N-프로필 아크릴레이트(ethyl 2-N-propyl acrylate), 징크 아크릴레이트(zinc acrylate),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butanediol diacrylate),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butanediol dimethacrylate), 비닐 아크릴레이트(vinyl acrylate), 비닐 메타크릴레이트(vinyl methacrylate) 등을 사용한다.The acrylic resin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due to its structural properties. The acrylic resin i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hydroxy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 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allyl 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ydroxyethyl meth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hexanediol diacrylate, hexanediol dimethacrylate, trimethylo Trimethylopropane trimethacrylate, ethylene-3-ethoxy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Hydroxypropyl methacrylate, hydroxybutyl acrylate, ethoxyethyl acrylate, ethoxyethyl methacrylate, ethylhexyl acrylate , Ethylhexyl methacrylate, lauryl acrylate, laur Lauryl methacrylate, ethylene diacrylate, ethyl-3-amino-3-ethoxy acrylate, tertbutyl acrylate), trimethylsilyl meth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hexafluoroisopropyl acrylate, hexafluoroisopropyl methacrylate, Phenyl 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poly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2- 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ethylene glycol dicyclopentenyl ether acrylate, ethylene glycol dicyclopentenyl ether methacrylate, sodium acrylate , Sodium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hexyl acrylate, hexyl methacrylate, isodecyl 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benzyl Benzyl methacrylate, benzyl 2-ethyl acrylate, ethyl 2-N-propyl acrylate, zinc acrylate, butanediol di Use acrylate (butanediol diacrylate), butanediol dimethacrylate, vinyl acrylate, vinyl methacrylate, and the like.
상기 안료는 착색, 은폐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을 발휘하고 도포면의 내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에서 포함된다. 상기 안료는 원하는 색상에 따라 TiO2, Al2O3, CaO, 카본블랙, 세라믹 무기 안료 등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백색 안료로는 TiO2를 이용할 수 있고, 노란색 안료로는 크롬(Cr)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흑색 안료로는 카본 블랙을 이용할 수 있고, 적색 안료로는 산화철을 이용할 수 있다. The pigments can implement functions such as coloring and hiding, and are included for the purpose of exerting various colors and showing durability of the coated surface. The pigment may be variously selected from TiO 2 , Al 2 O 3 , CaO, carbon black, and ceramic inorganic pigments according to a desired color. TiO 2 may be used as a white pigment, and chromium (Cr) may be used as a yellow pigment. In addition, carbon black may be used as the black pigment, and iron oxide may be used as the red pigment.
상기 기능성 수지층(10)에는 발림성, 밀착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기능성 수지층(10)의 두께는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5㎛ 미만인 경우, 두께가 얇아지면서 색상 구현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두께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기능성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기능성 필름에서 틈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e thickness of the
상기 프라이머층(20)은 기능성 수지층(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상기 기능성 수지층(10)과 PET 층(3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기능성 수지층(10)과 PET 층(30) 간의 접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20)은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며, 내열성, 경화성이 우수하다.The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The polymer resin includes at least one of ester-based resins, acrylic resins, vinyl chloride-based resins, and urethane-based resins.
상기 에스테르계 수지는 각종 식품용 용기, 음료용 용기 등의 포장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특성, 투명성이 우수하다. 상기 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ster resin is widely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for various food containers, beverage containers. The ester-based resin is excellent in mold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transparency. The ester-based resin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hexam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trimethylene-2,6-naphthalate, polybutylene -2,6-naphthalate, polyhexamethylene-2,6-na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trimethylene isophthalate, polybutylene isophthalate, polyhexamethylene isophthalate,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etc. Aromatic polyester is us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above-described acrylic resin,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염화비닐 등을 사용한다.As the above-mentioned vinyl chloride-based resin, vinyl chloride or the like is used.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적어도 하나의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또는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세그먼트화 된 공중합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 세그먼트와 하나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세그먼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The urethane-based resin refers to a co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urethane bond. Or, the urethane-based resin refers to a segmented copolymer. For example, a polyurethane resin is a reaction product of one or more polyol segments and one or more diisocyanate segments. The polyol includes at least one of polyester polyol and polycarbonate polyol.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기(디이소시아네이트, 트라이아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아이소시아네이트 등)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The crosslinking agent is an isocyanate-based compound.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contains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diisocyanate, triisocyanate, tetraisocyanate, etc.). For example,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includes aromatic, aliphatic, and alicyclic diisocyanates.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o-클로로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다이페닐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카르보다이이미드-개질된 메틸렌다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시아나토-3,3'-다이메톡시바이페닐, 5-클로로-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메틸-2,4-디이소시아나토 벤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향족-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1,4-디이소시아네이토부탄,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2-메틸-1,5디이소시아나토펜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메틸렌-다이사이클로헥실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3-아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실, 아이소시아네이트(아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is 2,6-toluene diisocyanate, 2,5-toluene diisocyanate, 2,4-toluene diisocyanate, m -phenylene diisocyanate, p -phenylene diisocyanate, methylene bis( o -chlorophenyl Diisocyanate), methylenediphenylene-4,4'-diisocyanate, polycarbodiimide-modified methylenediphenylene diisocyanate, 4,4'-diisocyanato-3,3'-dimethoxybi Aromatic diisocyanates containing at least one of phenyl, 5-chloro-2,4-toluene diisocyanate, and 1-chloromethyl-2,4-diisocyanato benzene.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includes an aromatic-aliphatic diisocyanate containing at least one of m -xylylene diisocyanate and tetramethyl-m-xylylene diisocyanate. In addition,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is 1,4-diisocyanatobutane, 1,6-diisocyanatohexane, 1,12-diisocyanatododecane, 2-methyl-1,5diisocyanatopentane Aliphatic diisocyanate containing the above is included. In addition, the isocyanate-based compound is methylene-dicyclohexylene-4,4'-diisocyanate, 3-isocyanatomethyl-3,5,5-trimethyl-cyclohexyl, 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Alicyclic diisocyanate containing one or more kinds.
한편, 상기 프라이머층(20)에는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 (tetraethylphosphonium benzimidazolide)을 더 포함한다. 상기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하는 경우, 프라이머층(20)의 접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은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프라이머층(20)의 두께는 0.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5㎛ 미만인 경우, 기능성 수지층(10)과 PET 층(30) 간의 접착력이 낮아진다. 반대로, 두께가 1㎛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기능성 수지층(10)과 PET 층(30) 사이에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상기 PET 층(30)은 프라이머층(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PET 층(3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을 나타낸다. 상기 PET 층(30)은 프라이머층(20)과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프라이머층(20)과 접촉하는 PET 층(30)의 일면은 코로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코로나 처리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PET 층(30)의 일면을 개질하는 것이다. 코로나 자체의 물리적인 표면 개질과 극성 관능기 생성에 의한 화학적인 표면 개질이 발생하게 된다. 화학적인 표면 개질은 고에너지의 전자나 이온이 충돌하여 표면에 라디칼이나 이온이 생성되고, 이들 주위의 오존, 산소, 질소, 수분 등이 반응하여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등의 극성 관능기가 도입되어 화학적 표면 개질을 일으킨다. 코로나 처리를 거친 PET 층(30)의 일면은 표면의 젖음성이 증가되어 접착강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PTE 층(30)의 일면에 접착되는 프라이머층(20)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PET 층(30)과 프라이머층(20)과의 접착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The corona treatment is to modify one surface of the
상기 표면처리층(40)은 상기 PET 층(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표면처리층(40)은 기능성 필름의 표면 물성 강화 및 방오 등의 기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처리층(40)은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부터 형성되는데, 콤마코팅, 롤코팅 또는 메쉬롤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재질의 표면처리층(40)은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기능성 필름의 내오염성, 내마노성 및 내열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PET 층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S110), PET 층의 다른 일면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S120),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130) 및 기능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using a corona discharge, surface treatment of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S110), form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ET layer (S120), and forming a primer layer (S130) ) And forming a functional resin layer (S140 ).
먼저,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PET 층(30)의 일면을 표면 처리한다.First, one surface of the
코로나 처리된 PET 층(30)의 일면은 젖음성이 증가하게 되면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One surface of the corona-treated
이어서, PET 층(30)의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표면처리층(40)을 형성한다. 도포는 롤코팅 또는 메쉬롤을 이용하여 수행된다.Subsequently, a polyurethane surface treatment agent is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이어서, 상기 표면 처리된 PET 층(30)의 일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한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고분자 수지, 가교제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Subsequently, a primer composi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고형분 10~30%가 되도록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고분자 수지가 용해되는 것으로, 휘발성이 있는 액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용매는 탄화수소, 알코올, 에테르, 케톤 등을 포함한다. Here, the primer composition contains an organic solvent such that the solid content is 10 to 30%. The organic solvent is one in which the polymer resin is dissolved, and is a volatile liquid. For example, the organic solvent includes hydrocarbon, alcohol, ether, ketone, and the like.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스핀 코팅 공정, 바 코팅 공정 등을 이용하여 도포가 이루어진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0.5~1㎛의 두께로 도포된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도포된 후, 50~150℃에서 건조된다. 건조 온도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프라이머층(20)의 경화가 불충분해지면서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The primer composition is applied using a spin coating process, a bar coating process, or the like. The primer composition is applied to a thickness of 0.5 ~ 1㎛. After the primer composition is applied, it is dried at 50 to 150°C.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outside this range, the adhesion of the
이어서, 상기 프라이머층(20) 상에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기능성 수지층(10)을 형성한다. 상기 기능성 수지 조성물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안료와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 10~30%가 되도록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유기용매는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가 용해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Subsequently, on the
상기 기능성 수지 조성물은 스핀 코팅 공정, 바 코팅 공정 등을 이용하여 도포가 이루어진다. 상기 기능성 수지 조성물은 5~10㎛의 두께로 도포된다. 상기 기능성 수지 조성물은 도포된 후, 50~150℃에서 건조된다. 건조 온도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능성 수지층(10)의 경화가 불충분해지면서 색상 구현, 선영성 등의 물성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The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using a spin coating process, a bar coating process, or the like. The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to a thickness of 5 ~ 10㎛. After the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it is dried at 50 to 150°C.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outside this range, the curing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은 강판 모재(50), 기능성 필름 및 핫멜트 접착층(60)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필름은 강판 모재(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강판 모재(50)와 상기 기능성 필름 사이에는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어 핫멜트 접착층(60)이 형성된다. 상기 핫멜트 접착층(60)에 의해 상기 강판 모재(50)와 기능성 필름이 접착된다.3, the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상기 강판 모재(50)로는 통상의 라미네이트 강판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소재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강판 모재(50)은 아연도금강판, 갈바륨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을 포함하는 강판일 수 있다. As the base material of the
상기 핫멜트 접착층(60)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강판 모재(50)와 기능성 필름 간의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상기 핫멜트 접착층(60)은 용융 온도가 100~300℃인 핫멜트 접착제로부터 형성된다. The hot melt
상기 핫멜트 접착층(60)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접착제, 폴리이소부틸렌 접착제, 폴리프로필렌 접착제, 폴리에스터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폴리이미드 접착제 및 폴리에틸렌 접착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The hot melt
상기 핫멜트 접착층(60)에는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한다. 상기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하는 경우, 핫멜트 접착층(60)의 접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은 접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1~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t melt
상기 핫멜트 접착층(60)의 두께는 대략 1~10㎛일 수 있다. 두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강판 모재(50)와 기능성 수지층(10)과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강판 모재(50)로부터 기능성 필름이 쉽게 박리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층(60)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라미네이트 강판의 가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thickness of the hot melt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Matters for the functional film are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은 강판 모재를 마련하는 단계(S210), 및 강판 모재 상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능성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steel sheet base material (S210), and a step of applying a hot melt adhesive o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to adhere the functional film (S220).
먼저, 강판 모재(40)를 마련한다. 강판 모재에 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First, the steel
이어서, 상기 강판 모재(40) 상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능성 필름을 접착한다. 이때, 기능성 필름에 포함되는 기능성 수지층(10)이 상기 강판 모재(40)에 인접하도록 접착한다.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는 200~300℃에서 가열하여 핫멜트 접착제를 용융시킨다. 용융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상기 강판 모재와 기능성 필름이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Subsequently, a hot melt adhesive is applied to the steel
이처럼, 라미네이트 강판은 강판 모재(40)에 기능성 필름이 접착된 구조이다.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은 층과 층 사이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층과 층 사이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 강판은 기존의 클로로페놀을 이용한 프라이머층 대신,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20)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such, the laminated steel sheet has a structure in which a functional film is adhered to the stee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은 코로나 처리와 프라이머층(20) 형성에 의해, 제조 공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corona treatment and formation of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강판은 다양한 색감을 나타내는 기능성 수지층(10)을 포함함으로써, 미려한 외관 특성을 가지므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의 외장재, 가구의 외장재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aminat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와 같이 기능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functional film, and the lamina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1.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1. Manufacture of laminated steel sheet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1 : 1로 혼합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부를 첨가하고, 알코올과 에테르를 1 : 1로 혼합한 유기용매 500중량부를 첨가하여 프라이머 조성물을 준비하였다.1) An organic solvent in which 10 parts by weight of 2,6-toluene diisocyanate is added as a crosslinking agent and 100 parts by weight of alcohol and ether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a resin in which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methyl acrylate are mixed in a 1:1 ratio. Prim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500 parts by weight.
2) 염화비닐과 비닐메타크릴레이트를 1 : 1로 혼합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 블랙 안료 10중량부, 산화철 안료 5중량부, 알코올과 에테르를 1 : 1로 혼합한 유기용매 500중량부를 첨가하여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2)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resin mixed with vinyl chloride and vinyl methacrylate 1:1, 10 parts by weight of carbon black pigment, 5 parts by weight of iron oxide pigment, and 500 parts of organic solvent mixed with alcohol and ether 1:1 A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parts.
실시예 Example
30㎛ 두께의 PET 필름(XP153)을 준비한 후, PET 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수행하였다. PET 필름의 다른 일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롤 코팅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였다.After preparing a 30㎛ thick PET film (XP153), corona treatment was per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ET film. On the other side of the PET film, a polyurethane resin was roll coated to form a surface treatment layer.
코로나로 표면 처리된 PET 필름의 일면에 바코터 #3을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도포 후, 100℃에서 1분 동안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The primer composition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PET film surface-treated with corona using bar coater #3. After application, it was dried at 100° C. for 1 minute to form a primer layer.
이어서,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바코터 #28을 이용하여 상기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도포 후, 110℃에서 1분 30초 동안 건조하여 기능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Subsequently, the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on the primer layer using a bar coater #28. After application, it was dried at 110° C. for 1
이어서, 삼양스틸사의 GI 강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GI 강판 표면에 바코터 #28을 이용하여 삼화 핫멜트 접착제(폴리프로필렌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도포 후, 300℃에서 1분 30초 동안 가열하고,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접착하여,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Subsequently, a GI steel sheet from Samyang Steel was prepared. Samhwa hot melt adhesive (polypropylen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I steel sheet using bar coater #28. After coating, the mixture was heated at 300° C. for 1 minute and 30 seconds, and the functional film was adhered to a site to which a hot melt adhesive was applied to prepare a laminated steel sheet.
상기 실시예와 [표 1]에 기재된 조건으로 실시예 1 ~ 7의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 The laminate steel sheets of Examples 1 to 7 were prepared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s and [Table 1].
[표 1][Table 1]
실시예 8 내지 11Examples 8 to 11
프라이머층에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A laminate steel sheet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imer layer further included tetraethylphosphonium benzimidazole.
하기 [표 2]의 중량부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값이다.The parts by weight in Table 2 below are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ntained in the primer composition.
[표 2][Table 2]
실시예 12 내지 15Examples 12 to 15
핫멜트 접착층에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A laminate steel sheet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ot melt adhesive layer further included tetraethylphosphonium benzimidazole.
하기 [표 3]의 중량부는 폴리프로필렌 접착제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값이다.The parts by weight in Table 3 below are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adhesive.
[표 3][Table 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PET 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조하였다.A laminate steel sheet was manufac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corona treatment was not per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ET film.
2. 물성 평가 방법 및 그 결과2. Method for evaluating physical properties and results
1) 밀착성 평가1) Adhesion evaluation
CCET(Cross Cutting Erichsen Test/Erichen(4mm) taping)에 의하였으며, 박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우수", 박리가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CCET (Cross Cutting Erichsen Test/Erichen (4mm) taping) was used. When peeling did not occur at all, it was evaluated as "excellent" and peeling occurred as "poor".
2) 선영성 평가2) Evaluation of freshness
DOI meter에 의하였으며, DOI 지수가 85 이상인 경우, "우수", 85 미만 내지 70 이상인 경우, "보통", 70 미만인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According to the DOI meter, when the DOI index was 85 or higher, it was evaluated as "good", when 85 to 70 or higher, "normal", and "bad" when 70 or lower.
3) 부착열탕성 평가3) Evaluation of adhesion heat resistance
내열탕 항온수조를 100℃로 유지시키고, 항온수조에 샘플을 넣고 30분 경과 후, 샘플을 꺼내어 씻은 후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기능성 수지층과 PET 층 사이, GI강판과 기능성 수지층 사이 모두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으면 "우수", 둘 중 한 곳이라도 박리가 발생한 경우, "보통", 두 곳 모두 박리가 발생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The heat-resistant bath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was maintained at 100°C, a sample was plac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nd after 30 minutes had elapsed, the sample was taken out and washed, and abnormality was observed. When observed with the naked eye, when the functional resin layer and the PET layer are firmly adhered to both the GI steel sheet and the functional resin layer, "excellent", if any one of the peeling occurs, "normal", both peeling When it occurred, it was evaluated as "poor".
4) 접착력 : GI 강판에 기능성 필름을 접착 후, 30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TA.XT_Plus Texture Analyzer(Stable Micro System(제))를 사용하여, 50㎜/분의 속도로 90° 접착력을 측정하였다(상온 25℃ 접착력). 4) Adhesion: After attaching the functional film to the GI steel sheet, the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90° at a rate of 50 mm/min using a TA.XT_Plus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 (manufactured)) after 30 minutes had elapsed ( Adhesion at room temperature 25°C)
상대적 평가기준: ◎ 우수, △ 보통, × 불량Relative evaluation criteria: ◎ Excellent, △ Average, × Poor
[표 4][Table 4]
a) 기능성 수지층과 PET 층 사이의 접착력(gf/in), b) GI강판과 기능성 수지층 사이의 접착력(gf/in) a) Adhesion between functional resin layer and PET layer (gf/in), b) Adhesion between GI steel sheet and functional resin layer (gf/in)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에서 밀착성, 선영성, 부착열탕성 면에서 모두 보통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more than normal effects in terms of adhesiveness, clarity, and adhesion hot water in the laminat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특히, 프라이머층에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한 실시예 8, 9는 기능성 수지층과 PET 층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낸다. 또한, 핫멜트 접착층에 테트라에틸포스포늄 벤즈이미다졸을 더 포함한 실시예 12, 13은 GI강판과 기능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낸다.In particular, Examples 8 and 9 further comprising tetraethylphosphonium benzimidazole in the primer layer show a very high adhesion between the functional resin layer and the PET layer. In addition, Examples 12 and 13 further comprising tetraethylphosphonium benzimidazole in the hot-melt adhesive layer show a very high adhesion between the GI steel sheet and the functional film.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a pers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기능성 수지층
20 : 프라이머층
30 : PET 층
40 : 표면처리층
50 : 강판 모재
60 : 핫멜트 접착층10: functional resin layer
20: primer layer
30: PET layer
40: surface treatment layer
50: steel plate base material
60: hot melt adhesive layer
Claims (10)
상기 기능성 필름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 모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수지층;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PET 층; 및
상기 PET 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부터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과 접촉하는 PET 층의 일면은 코로나 처리된 것이며,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두께는 5~10㎛이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5~1㎛이며,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In the functional film adhered to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The functional film
A functional resin layer comprising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and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Located on top of the functional resin layer, a primer layer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A PET layer positioned on the primer layer; And
It is located on top of the PET layer, the surface treatment layer formed from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includes,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in contact with the primer layer is corona treated,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resin layer is 5 ~ 10㎛,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0.5 ~ 1㎛,
Function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linking agent is an isocyanate-based compound.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mer resin is a functional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of ester-based resin, acrylic-based resin, vinyl chloride-based resin and urethane-based resin.
(b) 상기 PET 층의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 처리된 PET 층의 일면에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50~150℃에서 건조시켜 0.5~1㎛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50~150℃에서 건조시켜 5~10㎛ 두께의 기능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a) surface-treating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using corona discharge;
(b) form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by applying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ET layer;
(c) applying a pri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to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surface-treated by corona discharge, and drying at 50 to 150° C. to form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5 to 1 μm; And
(d) coating a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on the primer layer, and drying at 50 to 150° C. to form a functional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to 10 μm. and,
The crosslinking agen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film, characterized in that an isocyanate-based compound.
상기 기능성 필름은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핫멜트 접착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수지층;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PET 층; 및
상기 PET 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로부터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층과 접촉하는 PET 층의 일면은 코로나 처리된 것이며,
상기 기능성 수지층의 두께는 5~10㎛이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5~1㎛이며,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강판.
Steel plate base material; Functional film located on top of the steel base material; And a hot melt adhesive layer that is applied betwee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 functional film to bond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the functional film.
The functional film
Functional resin layer comprising a vinyl chloride-based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located on top of the hot-melt adhesive layer;
Located on top of the functional resin layer, a primer layer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And
A PET layer positioned on the primer layer; And
It is located on top of the PET layer, a surface treatment layer formed from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includes,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in contact with the primer layer is corona treated,
The thickness of the functional resin layer is 5 ~ 10㎛,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0.5 ~ 1㎛,
The crosslinking agent is a laminate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isocyanate-based compound.
상기 핫멜트 접착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접착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접착제, 폴리이소부틸렌 접착제, 폴리프로필렌 접착제, 폴리에스터 접착제, 폴리우레탄 접착제, 폴리이미드 접착제 및 폴리에틸렌 접착제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강판.
The method of claim 7,
The hot melt adhesive layer is a laminate comprising one or mor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dhesive, ethylene vinyl acetate adhesive, polyisobutylene adhesive, polypropylene adhesive, polyester adhesive, polyurethane adhesive, polyimide adhesive and polyethylene adhesive Grater.
(b) 상기 강판 모재 상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능성 필름을 접착하되, 기능성 필름에 포함되는 기능성 수지층이 상기 강판 모재에 인접하도록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 200~300℃에서 핫멜트 접착제를 가열하여 용융시켜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며,
상기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b1)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PET 층의 일면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
(b2) 상기 PET 층의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계 표면처리제를 도포하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b3) 상기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 처리된 PET 층의 일면에 고분자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50~150℃에서 건조시켜 0.5~1㎛ 두께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b4)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안료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50~150℃에서 건조시켜 5~10㎛ 두께의 기능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A) preparing a steel sheet base material; And
(b) applying a hot melt adhesive o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to adhere the functional film, but adhering the functional resin layer included in the functional film to adjoin the steel sheet base material;
In the step (b), after applying the hot melt adhesive, the hot melt adhesive is heated and melted at 200 to 300° C. to attach a functional fil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unctional film
(b1) surface-treating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using corona discharge;
(b2) forming a surface treatment layer by applying a polyurethane-based surface treatment agent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ET layer;
(b3) applying a pri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to one surface of the PET layer surface-treated by corona discharge, and drying at 50 to 150° C. to form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5 to 1 μm; And
(b4) coating a functional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vinyl chlorid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pigment on the primer layer, and drying at 50 to 150° C. to form a functional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 to 10 μm. And
The crosslinking agen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isocyanate-based compou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823A KR102128461B1 (en) | 2018-07-19 | 2018-07-19 | Functional film, and lamin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823A KR102128461B1 (en) | 2018-07-19 | 2018-07-19 | Functional film, and lamin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0696A KR20200010696A (en) | 2020-01-31 |
KR102128461B1 true KR102128461B1 (en) | 2020-07-01 |
Family
ID=6936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823A Active KR102128461B1 (en) | 2018-07-19 | 2018-07-19 | Functional film, and lamin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846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39B1 (en) * | 2021-03-03 | 2021-11-03 | 이경구 | Laminate deco film for steel sheet having high elongation formability and bond performan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28263B2 (en) | 2020-01-29 | 2024-10-29 | Koreatech Co., Ltd. | Nose-fitting adjuster |
KR102155144B1 (en) * | 2020-02-06 | 2020-09-14 | 박준혁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elastic artificial turf mat and elastic artificial turf mat prepared thereby |
KR102467579B1 (en) * | 2020-05-18 | 2022-11-17 | 주식회사 젠픽스 | Manufacturing method nonflammable metal finishing for building and nonflammable metal finishing for building produced us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33470A (en) | 1999-02-15 | 2000-08-29 | Nisshin Steel Co Ltd | Pet film laminated steel panel |
JP3376154B2 (en) | 1995-03-03 | 2003-02-10 | 日新製鋼株式会社 | Deep drawn printing film laminated steel shee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8815A (en) * | 1998-12-09 | 2000-07-05 | 이철우 | Emboss-fused lamina ir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KR101740917B1 (en) * | 2015-09-21 | 2017-06-15 | 유재영 | Thick opet sheet for furniture and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8
- 2018-07-19 KR KR1020180083823A patent/KR1021284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6154B2 (en) | 1995-03-03 | 2003-02-10 | 日新製鋼株式会社 | Deep drawn printing film laminated steel sheet |
JP2000233470A (en) | 1999-02-15 | 2000-08-29 | Nisshin Steel Co Ltd | Pet film laminated steel pane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39B1 (en) * | 2021-03-03 | 2021-11-03 | 이경구 | Laminate deco film for steel sheet having high elongation formability and bond perform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0696A (en) | 2020-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8461B1 (en) | Functional film, and lamin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6951677B2 (en) | Laminate with a peelable top layer and method of peeling off the top layer from the laminate | |
CN100523111C (en) | Moisture-curing type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 | |
JP5011933B2 (en) | Moisture-cure polyurethane hot-melt adhesive for wet veneer and cosmetic product using the same | |
MXPA04003025A (en) | Modified reactive melt adhesive and the use thereof. | |
US4618390A (en) | Method for preparing laminated articles | |
CN101024326A (en) | Method for laminating plastic sheets on derived timber substrates, in particular to create high gloss surfaces | |
JP4885579B2 (en) | Designable laminate sheet and design laminate sheet-coated metal plate | |
CN113795381B (en) | Decorative sheet, decorative material using same, and resin composition for surface protective layer | |
JP6840033B2 (en) | Adhesive composition for two-component laminating | |
WO2013150141A1 (en) | Laminated film composite | |
JP6921626B2 (en) | Resin laminated meta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17154324A (en) | Decorative metal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JP6605852B2 (en) | Design meta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5001516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Coated Metal Sheet Having Orange Peel Structure Pattern | |
JP2018058221A (en) | Decorative sheet, decorative resin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resin molding | |
JP3221285B2 (en) | Heat-sensitive adhesive resin-coated meta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TW202342681A (en) | Reactiv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use thereof | |
JP5054287B2 (en) | Antifouling film for wallpaper | |
KR100822731B1 (en) | One component adhesive composition for bonding metal film to plated steel sheet | |
JPH0885187A (en) | Laminated metallic plate and manufacture thereof | |
JP4324875B2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decorative product | |
JP6647081B2 (en) | Decorative metal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262097B2 (en) | Monolithic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olded product for sheet molding compound | |
JP6753992B2 (en) | Composition for upper adhesive layer and composition for lower adhesive lay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