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8343B1 -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343B1
KR102128343B1 KR1020200033544A KR20200033544A KR102128343B1 KR 102128343 B1 KR102128343 B1 KR 102128343B1 KR 1020200033544 A KR1020200033544 A KR 1020200033544A KR 20200033544 A KR20200033544 A KR 20200033544A KR 102128343 B1 KR102128343 B1 KR 102128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accommodating groove
receiving groove
concrete sleeper
embed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철
권세곤
유영준
주정민
오상근
송영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실업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실업,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실업
Priority to KR102020003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1Moulds, cores or mandrels specially adapted for mechanically working moulding surfaces during moulding or demoulding, e.g. smoothing by means of mould walls driven during moulding or of parts acting during de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은, 하면; 상기 하면의 위에 마련되며, 상기 하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면; 상기 상면의 제1측변과 상기 하면의 제1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하면에 대해 경사진 제1측면; 상기 상면의 제2측변과 상기 하면의 제2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하면에 대해 경사진 제2측면; 상기 하면의 전단과 상기 상면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면; 상기 하면의 후단과 상기 상면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면; 상기 제1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에서 상기 제1측면의 중앙부까지 마련되는 제1신호선 수용홈; 상기 제1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후면까지 마련되는 제2신호선 수용홈; 및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의 상측과 하측에 마련된 복수의 나사구멍;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Signal cable received concrete slee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침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신호선을 내장할 수 있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과 이를 제작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목은 철도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복수 개를 나열하고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깔아 정착시킴으로써, 레일 사이의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도록 하고 레일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상으로 전달하는 부재이다.
통상의 침목은 원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패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에는 콘크리트 침목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철도에서는 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로 사용하여 레일 상의 열차를 검지하고 레일을 전송로로 하여 지상에서 열차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궤도 회로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궤도 회로를 구성하는 동조유닛, 공심유도자, 양극자유닛, 보상 콘덴서와 같은 신호설비들이 침목과 침목 사이에 부설되어 있다. 이때, 신호설비 본체와 신호설비 본체와 레일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자갈 도상 위로 노출된다.
그런데, 철도로 열차가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철도를 유지 보수하는 기계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기계작업은 기계를 이용하여 철길 밑에 있는 흙을 걸러내고 자갈을 덧깔음으로써 레일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계작업을 수행할 때 자갈 도상 위로 노출된 신호설비 본체와 케이블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현재는 작업자가 신호설비 본체와 케이블을 이설하면서 기계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철도를 유지보수하는 기계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철도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2181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088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9257호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21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신호설비 본체와 레일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콘크리트 침목에 내장함으로써 기계작업시 케이블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면;
상기 하면의 위에 마련되며, 상기 하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면;
상기 상면의 제1측변과 상기 하면의 제1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하면에 대해 경사진 제1측면;
상기 상면의 제2측변과 상기 하면의 제2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하면에 대해 경사진 제2측면;
상기 하면의 전단과 상기 상면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면;
상기 하면의 후단과 상기 상면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면;
상기 제1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에서 상기 제1측면의 중앙부까지 마련되는 제1신호선 수용홈;
상기 제1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후면까지 마련되는 제2신호선 수용홈; 및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의 상측과 하측에 마련된 복수의 나사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은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은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은 각각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에 고정된 신호선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가 잠기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를 절단하면서 동시에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의 측면에서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 각각은, 제1수나사부; 제2수나사부; 상기 제1수나사부와 상기 제2수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나사부 및 상기 제2수나사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중앙 플랜지; 상기 중앙 플랜지와 상기 제1수나사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나사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1목부; 상기 중앙 플랜지와 상기 제2수나사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수나사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목부; 및 상기 제1수나사부, 상기 제1목부, 상기 중앙 플랜지, 상기 제2목부, 및 상기 제2수나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육각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철도 가설시 신호설비의 케이블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의 제1신호선 수용홈과 제2신호선 수용홈에 수용되므로 철도의 유지 보수를 위한 1종 또는 2종 기계작업시 신호설비의 케이블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철도를 유지보수할 때, 신호설비를 이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계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철도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에 설치되는 나사구멍 인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이 설치된 철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의 제1중간틀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설치되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플라스틱 볼트를 나사구멍 인서트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제1 및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과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의 제1중간틀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제1 및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과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c는 도 12b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이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은 하면(10), 상면(20), 제1측면(30), 제2측면(40), 전면(50), 및 후면(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면(10)은 중앙부분(13)의 폭이 양단부(11,15)의 폭(W1)보다 좁은 다각형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20)은 하면(10)의 위에 마련되며, 하면(20)의 폭(W1)보다 좁은 폭(W2)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20)의 폭(W2)은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면(20)은 하면(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면(20)은 하나의 평면이 아니라 복수의 평면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면(20)은 제1상부 평면(21), 제1경사면(22), 중앙 평면(23), 제2경사면(24), 및 제2상부 평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 평면(21)은 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전면(50)과 연결된다.
제1경사면(22)은 제1상부 평면(21)과 중앙 평면(23) 사이에 마련된다.
중앙 평면(23)은 상면(20)의 중앙에 마련되며 하면(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중앙 평면(23)은 제1상부 평면(21)보다 낮은 위치에 제1상부 평면(2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경사면(22)은 제1상부 평면(21)에서 중앙 평면(23)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경사면(22)은 제1상부 평면(21)에서 중앙 평면(23)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상부 평면(25)은 하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후면(60)과 연결된다. 제2상부 평면(25)은 제1상부 평면(2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제2경사면(24)은 제2상부 평면(25)과 중앙 평면(23)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제2경사면(24)은 중앙 평면(23)에서 제2상부 평면(25)을 향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경사면(24)은 중앙 평면(23)에서 제2상부 평면(25)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면(22)과 제2경사면(24) 각각에는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레일 고정부(80)가 설치된다.
제1측면(30)은 상면(20)의 제1측변과 하면(10)의 제1측변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1측면(20)은 하면91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다.
하면(10)은 상면(20)의 제1상부 평면(21), 제1경사면(22), 중앙 평면(23), 제2경사면(24), 및 제2상부 평면(25)에 대응하는 5개의 부분, 즉 제1하면 부분(11), 제2하면 부분(12), 제3하면 부분(13), 제4하면 부분(14), 및 제5하면 부분(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하면 부분(13)의 폭은 제1하면 부분(11)의 폭(W1)과 제5하면 부분(15)의 폭(W1)보다 좁다.
제1측면(30)도 하면(10)의 5개의 부분(11,12,13,14,15)에 대응하는 5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측면(30)은 하면(10)의 5개의 부분과 상면(20)의 5개의 부분을 연결하는 5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면(40)은 상면(20)의 제2측변과 하면(10)의 제2측변을 연결한다. 따라서, 제2측면(40)은 하면(1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다.
제2측면(40)도 하면(10)의 5개의 부분에 대응하는 5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측면(40)은 하면(10)의 5개의 부분과 상면(20)의 5개의 부분을 연결하는 5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50)은 하면(10)의 전단과 상면(20)의 전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전면(50)은 하면(1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다.
후면(60)은 하면(10)의 후단과 상면(20)의 후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후면(60)은 하면(10)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다.
제1측면(30), 제2측면(40), 전면(50), 및 후면(60) 각각의 경사각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도 6 참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조할 때,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틀(1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직선 형상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전면(50)에서 제1측면(30)의 중앙부까지 연장된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의 깊이는 신호설비 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 즉 신호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상면(20)과 연결되는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일진선 상에서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의 상단은 제1경사면(22)에 한 쌍의 레일 고정부(80)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의 상단은 한 쌍의 레일 고정부(81,82) 중 안쪽에 위치한 레일 고정부(82)에 인접하도록 제1경사부(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상술한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후면(60)까지 연장된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제1측면(30)에 직선 형상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상면(20)과 연결되는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일진선 상에서 상면(2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의 상단은 제2경사면(24)에 한 쌍의 레일 고정부(81,82)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의 상단은 한 쌍의 레일 고정부(81,82) 중 안쪽에 위치한 레일 고정부(82)에 인접하도록 제2경사부(24)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신호선 수용홈(51)에 대해 선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나사구멍(72)은 볼트 또는 나사로 신호선 커버(9)(도 4 참조)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신호선 수용홈(51)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신호선 수용홈(51)의 상측에 4개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되고, 제1신호선 수용홈(51)의 하측에 4개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신호선 수용홈(61)의 상측과 하측에도 복수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신호선 수용홈(61)의 상측에 4개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되고, 제2신호선 수용홈(61)의 하측에 4개의 나사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구멍(72)은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조할 때,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복수의 나사구멍(7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에 설치되는 나사구멍 인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나사구멍 인서트(70)는 볼트 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71)와 나사구멍 인서트(70)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암나사부(71)보다 넓은 폭을 갖는 빠짐 방지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구멍 인서트(70)는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원형 파이프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나사가 형성된 원평 파이프의 일단부, 즉 암나사부(71)의 내부가 나사구멍(72)을 형성한다. 원형 파이프의 타단부는 압착하여 평탄하게 하여 원형 파이프의 지름보다 큰 폭을 갖는 빠짐 방지부(73)를 형성한다. 따라서, 나사구멍 인서트(70)를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성할 때 내장시키면, 나사구멍 인서트(70)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신호선 커버(9)(도 4 참조)는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신호선 커버(9)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볼트 또는 나사가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신호선 커버(9)의 일단에는 신호선(7)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신호선 커버(9)를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의 복수의 나사구멍(72)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이 설치된 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에 신호설비의 본체(5)에 연결되는 신호선 또는 케이블(7)을 수납하고, 복수의 나사구멍(72)과 복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신호선 커버(9)를 제1측면(30)에 설치하면, 신호선 또는 케이블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철도의 레일(3), 자갈 등을 유지 보수 하기 위해 기계작업을 수행할 때, 신호설비의 케이블(7)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이 각각 상면(20)으로 연장된 상부 신호선 수용홈(52,62)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하면으로 연장되는 하부 신호선 수용홈(53,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은 하면(10), 상면(20), 제1측면(30), 제2측면(40), 전면(50), 및 후면(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은 도 1에 도시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과 대부분 동일하며, 제1측면(30)에 형성된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의 구조만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직선 형상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전면(50)에서 제1측면(30)의 중앙부까지 연장된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의 깊이는 신호설비 본체에 연결되는 케이블, 즉 신호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상면(20)과 연결되는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과 하면(10)과 연결되는 제1하부 신호선 수용홈(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일진선 상에서 상면(2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의 상단은 제1경사면(22)에 한 쌍의 레일 고정부(81,82)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의 상단은 한 쌍의 레일 고정부 중 안쪽에 위치한 레일 고정부(82)에 인접하도록 제1경사부(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신호선 수용홈(51')은 끝단에서 하면(10)을 향해 연장된 제1하부 신호선 수용홈(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 신호선 수용홈(53)의 하단은 하면(10)의 제3하면 부분(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상술한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후면(60)까지 연장된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제1측면(30)에 직선 형상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상면(20)과 연결되는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과 하면(10)과 연결되는 제2하부 신호선 수용홈(6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일진선 상에서 상면(2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의 상단은 제2경사면(24)에 한 쌍의 레일 고정부(81,82)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62)의 상단은 한 쌍의 레일 고정부 중 안쪽에 위치한 레일 고정부(82)에 인접하도록 제2경사부(24)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끝단에서 하면을 향해 연장된 제2하부 신호선 수용홈(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부 신호선 수용홈(63)의 하단은 하면(10)의 제3하면 부분(1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신호선 수용홈(61')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신호선 수용홈(51')에 대해 선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제작하기 위한 형틀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의 제1중간틀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설치되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은 복수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바닥틀(110), 좌측틀(111), 우측틀(112), 복수의 중간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은 4개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은 한 개 이상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닥틀(11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좌측틀(111), 우측틀(112), 및 복수의 중간틀(120)이 설치된다.
좌측틀(111)은 바닥틀(110)의 상면의 좌측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좌측틀(111)의 내면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2측면(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틀(112)은 바닥틀(110)의 상면의 우측단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우측틀(112)의 내면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2측면(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틀(120)은 바닥틀(110)의 상면에 좌측틀(111)과 우측틀(112) 사이에 설치된다. 좌측틀(111)과 한 개의 중간틀(120)은 한 개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성하는 한 개의 형틀을 형성한다.
도 6에는 바닥틀(110)에 3개의 중간틀(120), 즉 제1중간틀(121), 제2중간틀(122), 및 제3중간틀(123)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경우에는 좌측틀(111)과 제1중간틀(121), 제1중간틀(121)과 제2중간틀(122), 제2중간틀(122)과 제3중간틀(123), 제3중간틀(123)과 우측틀(112)을 이용하여 4개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조할 수 있다.
좌측틀(111)과 제1중간틀(121), 제1중간틀(121)과 제2중간틀(122), 제2중간틀(122)과 제3중간틀(123), 제3중간틀(123)과 우측틀(112) 사이의 바닥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상면(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중간틀(121)의 양면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중간틀(121)의 양면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형성된 제1신호선 수용홈(51), 제2신호선 수용홈(61), 및 복수의 나사구멍(72)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중간틀(121)의 일면에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구멍(151,152,153)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신호선 수용홈(51)에 대응하는 제1중간틀(121)의 부분에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을 고정하기 위한 3개의 제1나사구멍(151)이 형성된다.
또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2신호선 수용홈(61)에 대응하는 제1중간틀(121)의 부분에는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을 고정하기 위한 3개의 제2나사구멍(152)이 형성된다.
또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복수의 나사구멍(72)에 대응하는 제1중간틀(121)의 부분에는 복수의 나사구멍(72)을 형성하는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가 고정되는 16개의 제3나사구멍(153)이 형성된다.
제1나사구멍(151), 제2나사구멍(152), 및 제3나사구멍(153)에는 동일 규격의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동일한 규격의 암나사가 형성된다.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은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52)에 대응하는 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은 제1중간틀(121)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구멍(13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3개의 고정 구멍(132)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고정 구멍(132)에 플라스틱 볼트(90)를 삽입하여 제1중간틀(121)의 제1나사구멍(151)에 체결하면,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을 제1중간틀(121)의 일면에 고정할 수 있다.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은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과 선대칭 되도록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과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은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90)를 이용하여 제1중간틀(121)에 고정할 수 있다.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90)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틀(100)에서 분리할 때, 분리하는 힘에 의해 절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플라스틱 볼트(9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볼트(90)는 제1수나사부(91), 제2수나사부(92), 및 중앙 플랜지(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나사부(91)는 플라스틱 볼트(9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제1중간틀(121)의 일면에 형성된 제1나사구멍(151), 제2나사구멍(152), 및 제3나사구멍(153)에 체결될 수 있는 규격의 수나사로 형성된다.
제2수나사부(92)는 제1수나사부(91)의 반대쪽으로 플라스틱 볼트(9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제1수나사부(91)와 동일하게 제1중간틀(121)의 일면에 형성된 제1나사구멍(151), 제2나사구멍(152), 및 제3나사구멍(153)에 체결될 수 있는 규격의 수나사로 형성된다.
중앙 플랜지(93)는 플라스틱 볼트(90)의 중간, 즉 제1수나사부(91)와 제2수나사부(92) 사이에 형성되며, 제1수나사부(91) 및 제2수나사부(92)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중앙 플랜지(93)는 제1수나사부(91)와 제2수나사부(92)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라스틱 볼트(90)는 중앙 플랜지(93)와 제1수나사부(91) 사이에 마련되며, 제1수나사부(91)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1목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볼트(90)는 중앙 플랜지(93)와 제2수나사부(92) 사이에 마련되며, 제2수나사부(92)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목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목부(94)와 제2목부(95)는 동일한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목부(94)와 제2목부(95)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틀(100)에서 분리할 때,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절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라스틱 볼트(90)는 제1수나사부(91), 제1목부(94), 중앙 플랜지(93), 제2목부(95), 및 제2수나사부(9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육각 구멍(96)을 포함할 수 있다. 육각 구멍(96)은 플라스틱 볼트(90)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볼트(90)의 육각 구멍(96)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틀(100)에서 분리한 후,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과 형틀(100)에 남아 있는 플라스틱 볼트(90)를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는 각각 플라스틱 볼트(90)에 의해 제1중간틀(121)에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볼트(90)의 제1나사부(91)를 나사구멍 인서트(70)의 암나사부(71)에 체결하고, 플라스틱 볼트(90)의 제2나사부(92)를 제1중간틀(121)의 제3나사구멍(153)에 체결하면, 나사구멍 인서트(70)를 제1중간틀(121)에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도 9의 플라스틱 볼트를 나사구멍 인서트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90)를 이용하여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제1중간틀(121)에 고정한 상태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제1 및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과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의 제1중간틀의 일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중간틀(122)은 제1중간틀(12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중간틀(122)의 양면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2측면(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중간틀(122)의 양면에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나사구멍이 마련되지 않는다.
제3중간틀(123)은 제2중간틀(122)과 우측틀(112) 사이에 설치되며, 제3중간틀(123)의 양면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측면(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3중간틀(123)의 양면에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나사구멍(151,152,153)이 마련된다. 즉, 제3중간틀(123)은 상술한 제1중간틀(12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제1 및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과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c는 도 12b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6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서 한 개의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하는 우측틀과 제3중간틀만을 도시한다.
먼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제조하기 위해 도 6과 같은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을 준비한다.
이어서,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90)를 이용하여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에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설치한다. 제3중간틀(123)의 일면에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설치한 상태가 도 12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좌측틀(111)과 제1중간틀(121) 사이의 공간의 양단에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160)을 설치한다. 또한, 제1중간틀(121)과 제2중간틀(122) 사이의 공간의 양단, 제2중간틀(122)과 제3중간틀(123) 사이의 공간의 양단, 및 제3중간틀(123)과 우측틀(112) 사이의 공간의 양단에도 차단판(160)을 설치한다.
이어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구체적으로, 제1중간틀(121)의 양면과 제3중간틀(123)의 양면 각각에 설치된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가 잠기도록 콘크리트를 형틀(100)의 상단까지 타설한다. 제3중간틀(123)과 우측틀(112)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성한 상태가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형틀(100)의 상단으로 노출된 콘크리트 부분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하면(10)을 형성한다.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 양생하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이 완성된다.
양생이 완료되면, 형틀(100)에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분리한다. 이때,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은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형틀(100)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일정한 힘을 가하여 형틀(100)로부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분리하면,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를 고정하고 있는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90)가 절단되면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에서 분리된다. 이때,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라스틱 볼트(90)의 제1목부(94) 또는 제2목부(95)가 절단되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형틀(1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100)에서 분리할 때 큰 힘이 필요하지 않다.
끝으로, 분리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측면에서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과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을 분리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100)에서 분리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에는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가 결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과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을 분리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에 형성된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이 노출된다.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30)과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140)은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신호선 수용홈(51)과 제2신호선 수용홈(61)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에 고정된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70) 각각에는 절단된 플라스틱 볼트(90)의 제1수나사부(9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볼트(90)의 제1수나사부(91)에 육각 구멍(96)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육각 렌치를 사용하여 나사구멍 인서트(70)에 체결된 플라스틱 볼트(90)의 제1수나사부(91)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을 사용하여 철도를 가설하면, 신호설비의 케이블이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1)의 제1 및 제2신호선 수용홈(51,61)에 수용되므로 철도의 유지 보수를 위한 1종 또는 2종 기계작업시 신호설비의 케이블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를 유지보수할 때, 신호설비를 이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계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철도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1';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10; 하면 20; 상면
30; 제1측면 40; 제2측면
50; 전면 51; 제1신호선 수용홈
60; 후면 61; 제2신호선 수용홈
70; 나사구멍 인서트 90; 플라스틱 볼트
100;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
110; 바닥틀 111; 좌측틀
112; 우측틀 120; 중간틀
130;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140;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Claims (5)

  1. 하면;
    상기 하면의 위에 마련되며, 상기 하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상면;
    상기 상면의 제1측변과 상기 하면의 제1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하면에 대해 경사진 제1측면;
    상기 상면의 제2측변과 상기 하면의 제2측변을 연결하며, 상기 하면에 대해 경사진 제2측면;
    상기 하면의 전단과 상기 상면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면;
    상기 하면의 후단과 상기 상면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면;
    상기 제1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에서 상기 제1측면의 중앙부까지 마련되는 제1신호선 수용홈;
    상기 제1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후면까지 마련되는 제2신호선 수용홈; 및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의 상측과 하측에 마련된 복수의 나사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은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제1상부 신호선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은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제2상부 신호선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은 각각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에 고정된 신호선 커버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4.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및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 인서트가 잠기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를 절단하면서 동시에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을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용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상기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의 측면에서 상기 제1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과 상기 제2신호선 수용홈 형성용 블록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라스틱 볼트 각각은,
    제1수나사부;
    제2수나사부;
    상기 제1수나사부와 상기 제2수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나사부 및 상기 제2수나사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중앙 플랜지;
    상기 중앙 플랜지와 상기 제1수나사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수나사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1목부;
    상기 중앙 플랜지와 상기 제2수나사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수나사부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제2목부; 및
    상기 제1수나사부, 상기 제1목부, 상기 중앙 플랜지, 상기 제2목부, 및 상기 제2수나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육각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의 제조방법.
KR1020200033544A 2020-03-19 2020-03-19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128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544A KR102128343B1 (ko) 2020-03-19 2020-03-19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544A KR102128343B1 (ko) 2020-03-19 2020-03-19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343B1 true KR102128343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544A Active KR102128343B1 (ko) 2020-03-19 2020-03-19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919B1 (ko) * 2021-07-09 2022-01-11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철로 신호 케이블 보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200B1 (ko) * 1976-08-17 1980-10-22 윌리암 밀러 예이트스 합성철도 침목(枕木)
JPH0978501A (ja) * 1995-09-14 1997-03-25 Kubota Corp まくらぎ
JP3929453B2 (ja) * 2003-04-18 2007-06-13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まくら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200B1 (ko) * 1976-08-17 1980-10-22 윌리암 밀러 예이트스 합성철도 침목(枕木)
JPH0978501A (ja) * 1995-09-14 1997-03-25 Kubota Corp まくらぎ
JP3929453B2 (ja) * 2003-04-18 2007-06-13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まくら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919B1 (ko) * 2021-07-09 2022-01-11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철로 신호 케이블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162B1 (ko) 자갈이 깔린 궤도를 슬래브 궤도로 변환하는 방법
US5626289A (en) Precast concrete railroad crossing and method for making
KR102128343B1 (ko) 신호선 내장형 콘크리트 침목 및 그 제조방법
US3300140A (en) Beams for railroad track structure
KR101468565B1 (ko) 열차속도 유지용 장치판이 구비된 철도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4117977A (en) Highway-railway crossing
EP0232029B1 (en) An electrically insulating device for use on a railway track under and beside the foot of a rail
DK151817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n plan overgang for en vej, hvor denne krydser et jernbanespor
US2337497A (en) Railroad track construction
US5988519A (en) Precast concrete curved grade crossing with restraining rail
JP4177654B2 (ja) 軌道近傍舗装工法
US5282569A (en) Railroad crossing structure
JP5913033B2 (ja) 鉄道線路横断用舗装板及びその舗装構造
JP3877570B2 (ja) 枕木の構造及び枕木の施工方法
JP6944892B2 (ja) 軌道構造及び軌道構築方法
US8662407B2 (en) Railroad grade cross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KR100427130B1 (ko) 콘크리트 분기침목 제조장치
KR102335922B1 (ko) 직선 기본레일을 임시 지지하는 모듈형 패널을 이용한 급속 갱환 레일 분기기 및 그 시공방법
KR101723131B1 (ko) 일체형 돌기가 구비된 궤도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H0978501A (ja) まくらぎ
JPS62160303A (ja) 踏切における舗装板の敷設構造及びその敷設方法
KR102458085B1 (ko) 철도용 분절형침목 및 이와 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
JPH0352246Y2 (ko)
JP2534562Y2 (ja) 軌道用踏切構造
US1753563A (en) Rail fi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