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911B1 -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7911B1 KR102127911B1 KR1020170162892A KR20170162892A KR102127911B1 KR 102127911 B1 KR102127911 B1 KR 102127911B1 KR 1020170162892 A KR1020170162892 A KR 1020170162892A KR 20170162892 A KR20170162892 A KR 20170162892A KR 102127911 B1 KR102127911 B1 KR 102127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odeok
- pear
- fermented
- fermentation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23L2/395—Dry compositions in a particular shape or for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 A23Y2220/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배와 더덕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면역 증진에 활성을 갖는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음료는 과립화된 제형으로 가공하여 다양한 가공 식품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4의 과립화된 가공 식품을 스틱 포장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동물 실험군을 미세먼지(연무)에 노출시키기 전(a)과 후(b)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TNF-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Interleukin-6(IL-6)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INF-γ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IL-10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IL-1β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동물의 비장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혈청 aminotransferase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a)는 AST, (b)는 ALT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2 시료의 용량별 투여에 따른 Leukocytes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a)는 WBC, (b)는 Neutrophils, (c)는 Lymphocytes, (d)는 Monocytes, (e)는 EO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중량%) | 배즙 | 더덕분말 | 미생물(Lactobacillus homohiochii) |
실시예 1 | 94.9 | 5 | 0.1 |
실시예 2 | 89.9 | 10 | 0.1 |
실시예 3 | 84.9 | 15 | 0.1 |
구분 | 발효기간(일) | 당도(brix) | pH | 유기산 산도(%) |
실시예 1 | 0 | 13.2 | - | - |
1 | 13.0 | 4.23 | 0.72 | |
2 | 12.8 | 4.00 | 1.11 | |
실시예 2 | 0 | 16.0 | - | - |
1 | 15.7 | 4.30 | 0.97 | |
2 | 15.6 | 4.01 | 1.45 | |
실시예 3 | 0 | 20.0 | - | - |
1 | 18.5 | 4.23 | 1.12 | |
2 | 18.5 | 4.09 | 1.63 |
구분 | 발효기간(일) | 당도(brix) | pH | 유기산 산도(%) |
실시예 2 | 0 | 17.5 | 5.38 | 0.31 |
1 | 17.1 | 4.14 | 1.00 | |
2 | 16.9 | 4.05 | 1.43 | |
3 | 16.5 | 4.04 | 1.61 | |
4 | 16.5 | 4.04 | 1.72 |
발효기간(일) | 유기산 함량(%) | |||||
Citric acid | Malic acid | Latic acid | Acetic acid | Pyroglutamic acid | Total | |
0 | 0.733 | 0.414 | 0.493 | 1.268 | 0.054 | 2.962 |
1 | 0.081 | 0.031 | 0.129 | 0.034 | 0.008 | 0.282 |
2 | 0.376 | 0.193 | 1.206 | 0.263 | 0.041 | 2.079 |
3 | 1.297 | 0.322 | 2.338 | 0.485 | 0.074 | 4.516 |
4 | 1.153 | 0.314 | 2.310 | 0.448 | 0.074 | 4.300 |
구분 | 발효기간(일) | Polyphenol(mg/kg) | Flavonoid(mg/kg) | DPPD 소거능 |
실시예 2 | 0 | 0 | 101.43 | 21.04ㅁ0.34 |
1 | 0 | 22.51 | 21.98ㅁ1.28 | |
2 | 8.99 | 22.51 | 23.11ㅁ0.88 | |
3 | 27.55 | 35.67 | 26.46ㅁ1.64 | |
4 | 33.74 | 22.51 | 22.02ㅁ0.95 |
구분 | 발효기간(일) | 당도(brix) | pH | 유기산 산도(%) |
실시예 2 | 1 | 15.9 | 4.32 | 1.07 |
2 | 15.9 | 4.06 | 1.35 | |
비교예 1 | 1 | 11.9 | 4.17 | 0.48 |
2 | 11.9 | 3.92 | 0.66 | |
비교예 2 | 1 | 17.1 | 4.22 | 1.08 |
2 | 17.1 | 4.14 | 1.32 | |
비교예 3 | 1 | 17.1 | 4.41 | 0.80 |
2 | 16.9 | 4.13 | 1.36 |
구분 | 발효기간(일) | 유기산 함량(%) | |||||
Malic acid | Latic acid | Acetic acid | Pyroglutamic acid | Fumaric acid | Total | ||
실시예 2 | 0 | 0.6897 | 0.8102 | - | - | 0.0034 | 1.5033 |
1 | 0.3464 | 1.5752 | 0.1855 | - | - | 2.1071 | |
2 | 0.4117 | 1.6762 | 0.2370 | - | - | 2.3249 | |
비교예 1 | 0 | 0.4635 | - | - | - | 0.0021 | 0.4656 |
1 | 0.2529 | 0.6684 | 0.0318 | - | - | 0.9531 | |
2 | 0.3565 | 1.1316 | 0.1194 | - | - | 1.6075 | |
비교예 2 | 0 | 0.6630 | 0.8679 | - | 0.0393 | 0.0030 | 1.5732 |
1 | 0.2792 | 1.2624 | 0.0673 | 0.0274 | - | 1.6363 | |
2 | 0.2918 | 1.6046 | 0.1253 | 0.0337 | - | 2.0554 | |
비교예 3 | 0 | 0.4257 | 0.9642 | 0.2434 | 0.0222 | - | 1.6555 |
1 | 0.8097 | 1.0030 | - | 0.0242 | 0.0050 | 1.8419 | |
2 | 0.3831 | 1.5709 | 0.1405 | 0.0194 | - | 2.1139 |
구분 | TNF-α(pg/ml) | Interleukin-6(pg/ml) |
Normal | 15.2±1.49 | 124.6±14.2 |
Control | 25.1±1.66## | 177.4±18.9 |
50mg | 22.9±1.91 | 174.4±11.2 |
100mg | 21.1±1.12 | 159.9±41.0 |
200mg | 19.4±1.62* | 151.4±29.3 |
구분 | INF-γ(*103 OD) | Interleukin-10(*103 OD) |
Normal | 81.1±3.3 | 127.9±4.6 |
Control | 119.7±4.9## | 102.2±4.4# |
50mg | 113.4±7.8 | 112.7±9.7 |
100mg | 107.7±7.5 | 114.0±6.8 |
200mg | 104.2±3.5* | 122.2±4.9* |
구분 | Interleukin-1β(*103 OD) | Weight of Spleen (g) |
Normal | 121.5±3.3 | 0.76±0.03 |
Control | 159.0±15.9 | 0.86±0.04 |
50mg | 141.6±14.7 | 0.84±0.02 |
100mg | 133.5±12.6 | 0.83±0.03 |
200mg | 128.4±9.8 | 0.78±0.06 |
구분 | AST(U/l) | ALT(U/l) |
Normal | 73.0±5.6 | 39.8±1.4 |
Control | 89.3±19.6 | 45.3±2.1 |
50mg | 86.5±3.5 | 41.8±2.6 |
100mg | 77.3±5.5 | 39.7±0.3 |
200mg | 85.0±4.0 | 39.3±1.8 |
구분 (K/uL) |
WBC | Neutrophils | Lymphocytes | Monocytes | EO |
Normal | 5.2±0.4 | 0.87±0.08 | 4.1±0.3 | 0.19±0.01 | 0.02±0.01 |
Control | 4.4±0.6 | 0.52±0.12# | 3.7±0.5 | 0.18±0.02 | 0.01±0.00 |
50mg | 5.5±0.5 | 0.69±0.07 | 4.6±0.5 | 0.22±0.02 | 0.02±0.01 |
100mg | 5.2±0.3 | 0.68±0.05 | 4.3±0.3 | 0.20±0.02 | 0.02±0.01 |
200mg | 6.0±0.4 | 0.83±0.11 | 4.9±0.3 | 0.27±0.05 | 0.03±0.01 |
Claims (8)
- 배와 더덕을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Lactobacillus homohiochii, 기탁번호: KCCM11136P)로 발효시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상기 배와 더덕은 배 고형분과 더덕 분말을 1 내지 5 : 5 내지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발효는 25 내지 35℃의 온도로 2 내지 5일 동안 수행된 것이고,
상기 발효액은 TNF-α 및 INF-γ를 감소시키고, 인터루킨-10(Interleukin-10)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 삭제
- (a) 배, 더덕 및 유산균을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Lactobacillus homohiochii, 기탁번호: KCCM11136P)이고,
상기 (a) 단계는 배 고형분과 더덕 분말을 1 내지 5 : 5 내지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b) 단계는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2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은 TNF-α 및 INF-γ를 감소시키고, 인터루킨-10(Interleukin-10)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 균주의 생균 수는 1.0 × 1010 내지 1.0 × 1012 cf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a) 배, 더덕 및 유산균을 혼합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발효된 발효액에 첨가제를 투입하고 반죽 및 성형하여 제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Lactobacillus homohiochii, 기탁번호: KCCM11136P) 이고,
상기 (a) 단계는 배 고형분과 더덕 분말을 1 내지 5 : 5 내지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b) 단계는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2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에 따라 제조된 발효액은 TNF-α 및 INF-γ를 감소시키고, 인터루킨-10(Interleukin-10)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더덕, 도라지, 은행, 감초, 박하향, 생강, 비타민 C, 홍삼농축액, 유당, 결정셀룰로오스, 프락토올리고당, 정향, 콩, 미숫가루, 매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가공 식품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892A KR102127911B1 (ko) | 2017-11-30 | 2017-11-30 |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892A KR102127911B1 (ko) | 2017-11-30 | 2017-11-30 |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831A KR20190063831A (ko) | 2019-06-10 |
KR102127911B1 true KR102127911B1 (ko) | 2020-06-29 |
Family
ID=6684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2892A Active KR102127911B1 (ko) | 2017-11-30 | 2017-11-30 |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791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0805A (ko) | 2020-07-20 | 2022-01-2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람바이오 | 발효음료 및 증류주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1772B1 (ko) * | 2019-09-06 | 2021-12-24 |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 배와 미나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167488B1 (ko) | 2020-05-15 | 2020-10-19 | 김진선 | 배관세정용 스폰지볼의 공기 제거장치 |
KR102318404B1 (ko) * | 2020-12-14 | 2021-10-27 | 팜헬씨 주식회사 | 발효 더덕 음료 제조방법 |
KR102633113B1 (ko) | 2021-12-28 | 2024-02-05 |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 기능성 발효음료에 적합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lrcc5229 균주 및 이의 용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1909B1 (ko) * | 2008-12-26 | 2009-10-1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조혈모세포 증식을 갖는 더덕의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
KR101098766B1 (ko) * | 2011-02-08 | 2011-12-26 |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 식물 발효제품 제조용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 ls2―22 및 이의 용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8568B1 (ko) * | 2012-06-05 | 2014-06-17 | (주)하이모 |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
KR101751788B1 (ko) * | 2014-11-12 | 2017-06-28 | 강수지 | 산야초복합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
KR101883190B1 (ko) | 2016-04-15 | 2018-08-01 | 우창수 | 잡곡 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1-30 KR KR1020170162892A patent/KR10212791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1909B1 (ko) * | 2008-12-26 | 2009-10-16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조혈모세포 증식을 갖는 더덕의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
KR101098766B1 (ko) * | 2011-02-08 | 2011-12-26 |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 식물 발효제품 제조용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 ls2―22 및 이의 용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0805A (ko) | 2020-07-20 | 2022-01-27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람바이오 | 발효음료 및 증류주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831A (ko) | 2019-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7911B1 (ko) |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11122B1 (ko) |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원액과 l-아르기닌을 주원료로하는 젤리 또는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1871169B1 (ko) | 신규 김치유산균 Weissella cibaria MFST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추씨 조성물 | |
KR102191409B1 (ko) | 홍삼 및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6001872A (ja) |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 |
JP7229513B2 (ja) | 脳の機能改善剤および脳の機能改善用飲食品 | |
KR101692889B1 (ko) |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494664B1 (ko) |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41772B1 (ko) | 배와 미나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53536A (ko) |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762380B1 (ko) |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 |
KR101793929B1 (ko) | 청포도, 미나리, 및 비트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12711B1 (ko) |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관 운동 촉진용 조성물 | |
KR101644607B1 (ko) |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 |
KR20180013306A (ko) |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 |
KR101895024B1 (ko) | 면역 증진용 조성물 | |
KR102602070B1 (ko) | 함초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건강 개선용 조성물 | |
KR20200101114A (ko) |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 |
KR101852032B1 (ko) |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85676B1 (ko) |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688684B1 (ko) |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 |
KR100468653B1 (ko) | 생약재로부터 추출한 당알코올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그 제조방법 | |
KR101074348B1 (ko) |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 |
KR20220161737A (ko) | 대나무 잎 주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20240001411A (ko) | 표고버섯 균사체 복합 배양물(hksmm)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및 표고버섯 균사체 복합 배양물(hksmm)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3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