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7305B1 -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305B1
KR102127305B1 KR1020140037958A KR20140037958A KR102127305B1 KR 102127305 B1 KR102127305 B1 KR 102127305B1 KR 1020140037958 A KR1020140037958 A KR 1020140037958A KR 20140037958 A KR20140037958 A KR 20140037958A KR 102127305 B1 KR102127305 B1 KR 10212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loss ratio
component
icon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654A (ko
Inventor
신승용
황민석
박석정
조철형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305B1/ko
Priority to CN201510105269.0A priority patent/CN104950867B/zh
Publication of KR2015011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3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7Equipment tracking or labelling, e.g. tracking of nozzles, feeders or mounting h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은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부품 버림 동작이 발생될 때마다, 부품 버림 동작에 해당되는 헤드, 노즐, 및 부품 공급용 슬롯 각각에 대하여 부품 손실 비율이 계산된다. 단계 (b)에서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c)에서는, 디스플레이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of component mounter}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헤드들, 복수의 노즐들, 및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을 구비한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기는, 복수의 헤드들, 복수의 노즐들, 및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을 구비하고, 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여기에서, 동작 단계들의 수행 순서가 최적화된 실장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부품 실장기에 있어서, 부품 실장기의 동작이 완벽할 수 없으므로, 부품 버림 동작이 허용된다. 부품 버림 동작이 허용되지 않을 경우, 부품 실장 동작의 진행이 거의 불가능해질 것이다. 부품 버림 동작은 다음 두 가지의 경우들에서 이루어진다.
첫째, 노즐이 부품을 정상적으로 픽업하지 못할 경우에 부품 버림 동작이 발생한다.
둘째, 노즐이 부품을 정상적으로 픽업한 후, 인쇄 회로 기판의 지정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틀어진 경우에 부품 버림 동작이 발생한다. 여기에서, 부품의 틀어짐은 라인 스캔 카메라에 의하여 판정된다.
총 픽업 횟수에 대한 부품 버림 동작의 횟수의 비율 즉, 부품 손실 비율은 모니터링된다.
상기와 같은 부품 실장기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각의 헤드에 대하여 부품 손실 비율이 모니터링된다. 어느 한 헤드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경보 신호가 발생되고, 해당 헤드의 식별 부호가 텍스트(text)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인터락(interlock) 기능에 의하여 부품 실장기의 동작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기술자에 의하여 부품 실장기의 진단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부품 실장기의 감시 방법에 의하면, 부품 실장기의 동작이 종료된 후, 작업자 또는 기술자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해당 헤드 뿐만 아니라 관련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도 부품 버림 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기술자가 부품 손실 비율의 상승 원인을 진단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153491호 (출원인 : 히다찌 하이테크 인스트루먼츠(주), 명칭 ; 부품 탑재 오류의 체크 방법, 및 부품 탑재 오류의 체크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자 또는 기술자가 부품 손실 비율의 상승 원인을 진단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헤드들, 복수의 노즐들, 및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을 구비한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내지 (c)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부품 버림 동작이 발생될 때마다, 부품 버림 동작에 해당되는 헤드, 노즐, 및 부품 공급용 슬롯 각각에 대하여 부품 손실 비율이 계산된다.
상기 단계 (b)에서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단계 (c)에서는, 디스플레이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 또는 기술자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뿐만 아니라,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까지 즉시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기술자가 부품 손실 비율의 상승 원인을 진단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된 부품 실장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실장기가 4 곳의 실장 영역들을 구비한 경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헤드들의 아이콘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실장기가 4 곳의 실장 영역들을 구비한 경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노즐들의 아이콘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부품 실장기가 4 곳의 실장 영역들을 구비한 경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아이콘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한 헤드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헤드, 선택된 헤드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노즐들, 및 이 노즐들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4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부품 공급용 슬롯, 선택된 부품 공급용 슬롯을 사용되었던 노즐들, 및 이 노즐들을 사용하였던 헤드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3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한 노즐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노즐, 선택된 노즐을 사용하였던 헤드, 및 선택된 노즐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1의 주 제어부 및 감시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실시예의 감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어느 한 헤드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어느 한 노즐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이 적용된 부품 실장기(1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은, 서로 통신하는 주 제어부(101)와 감시 장치(11)에 의하여 수행된다. 하지만, 주 제어부(101)에 의하여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방법이 적용되는 부품 장착기(10)에는 구동부(102), 라인 스캔 카메라(C), 영상 처리부(103), 주 제어부(101), 및 모니터(104)가 구비된다.
구동부(102)는 복수의 헤드들 중에서 어느 한 헤드(H)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라인 스캔 카메라(C)는 헤드(H)의 노즐(N)에 흡착되어 이동되는 부품(P) 예를 들어, 집적회로 소자를 촬상한다. 영상 처리부(103)는 라인 스캔 카메라(C)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부품(P)의 위치 정보를 발생시킨다.
주 제어부(101)는, 구동부(102)로부터의 동작 정보 및 영상 처리부(103)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부(102)를 제어한다.
부품 장착기의 헤드(H)에는 노즐(N)이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이 노즐(N) 내의 압력 변화에 의하여 부품(P) 예를 들어 집적회로소자가 흡착 및 장착된다.
라인 스캔 카메라(C)는, 헤드(H)의 공통 경로상에 위치하여, 노즐(N)에 흡착된 부품(P)을 촬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부품(P)이 라인 스캔 카메라(C)를 경유함에 따라, 라인 스캔 카메라(C)는 연속 라인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라인 스캔 카메라(C)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103)에 제공되고, 이 영상 처리부(103) 안에서 영상 프레임들이 포착된다. 여기에서, 라인 스캔 카메라(C)와 결합된 조명계(I)의 조도가 라인 스캔 카메라(C)의 모든 촬상 영역에 대하여 균일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계(I)에는 복수의 광원들 예를 들어, 3 개의 발광 다이오드들(Light Emitting Diodes)이 정렬된다.
감시 장치(11)는 주 제어부(101)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2 내지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실장기(10)가 4 곳의 실장 영역들(1F, 1R, 2F, 2R)을 구비한 경우, 모니터(도 1의 104)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헤드들의 아이콘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들)은, 제1 앞쪽 영역(1F) 및/또는 제1 뒤쪽 영역(1R)으로 진입하여, 제2 앞쪽 영역(2F) 및/또는 제2 뒤쪽 영역(2R)에서 진출한다. 4 곳의 실장 영역들(1F, 1R, 2F, 2R) 각각에는 16 개의 헤드들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어느 한 헤드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헤드와 관련된 정보가 나무(tree) 구조로써 디스플레이된다(도 5 참조).
도 3은, 도 1의 부품 실장기(10)가 4 곳의 실장 영역들(1F, 1R, 2F, 2R)을 구비한 경우, 모니터(도 1의 104)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노즐들의 아이콘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들)은, 제1 앞쪽 영역(1F) 및/또는 제1 뒤쪽 영역(1R)으로 진입하여, 제2 앞쪽 영역(2F) 및/또는 제2 뒤쪽 영역(2R)에서 진출한다. 4 곳의 실장 영역들(1F, 1R, 2F, 2R) 각각에는 32 개의 노즐들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어느 한 노즐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노즐과 관련된 정보가 나무(tree) 구조로써 디스플레이된다(도 7 참조).
도 4는, 도 1의 부품 실장기(10)가 4 곳의 실장 영역들(1F, 1R, 2F, 2R)을 구비한 경우, 모니터(도 1의 104)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아이콘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들)은, 제1 앞쪽 영역(1F) 및/또는 제1 뒤쪽 영역(1R)으로 진입하여, 제2 앞쪽 영역(2F) 및/또는 제2 뒤쪽 영역(2R)에서 진출한다. 4 곳의 실장 영역들(1F, 1R, 2F, 2R) 각각에는 30 개의 슬롯들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슬롯에는 각각의 부품이 꽂혀져 있다.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을 선택하면, 해당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된 정보가 나무(tree) 구조로써 디스플레이된다(도 6 참조).
도 5는, 도 2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한 헤드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헤드, 선택된 헤드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노즐들, 및 이 노즐들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 아래에는 부품 부호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식별 부호 아이콘(501)은 아이콘 형상(501i), 식별 부호(예를 들어, 1F-11) 및 부품 손실 비율(예를 들어, 0.7)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한 헤드와 관련된 노즐들, 부품 공급용 슬롯들, 및 부품들의 정보를 즉시 알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부품 공급용 슬롯, 선택된 부품 공급용 슬롯을 사용되었던 노즐들, 및 이 노즐들을 사용하였던 헤드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식별 부호 아이콘(601)은 아이콘 형상(601i), 식별 부호(예를 들어, S29) 및 부품 손실 비율(예를 들어, 1.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된 노즐들 및 헤드들의 정보를 즉시 알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한 노즐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노즐, 선택된 노즐을 사용하였던 헤드, 및 선택된 노즐에 의하여 사용되었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 아래에는 부품 부호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식별 부호 아이콘(701)은 아이콘 형상(701i), 식별 부호(예를 들어, N04) 및 부품 손실 비율(예를 들어, 0.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한 노즐과 관련된 헤드(들), 부품 공급용 슬롯들, 및 부품들의 정보를 즉시 알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주 제어부(101) 및 감시 장치(11)에 의하여 수행되는 본 실시예의 감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8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품 버림 동작이 발생되었으면(단계 S801), 감시 장치(11)는 부품 버림 동작에 해당되는 헤드, 노즐, 및 부품 공급용 슬롯 각각에 대하여 부품 손실 비율을 계산한다(단계 S803).
다음에, 감시 장치(11)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805).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이 있으면, 감시 장치(11)는 주 제어부(101)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주 제어부(101)는 아래의 단계들 S807 내지 S811을 수행한다.
단계 S807에 있어서, 주 제어부(101)는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해당되는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을 모니터(104)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809).
또한,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을 모니터(104)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811).
상기 모든 단계들(S801 내지 S811)은 종료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813).
상기와 같이 부품 실장기(10)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 또는 기술자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뿐만 아니라,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까지 즉시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기술자가 부품 손실 비율의 상승 원인을 진단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되게 할 수 있다.
도 9는, 어느 한 헤드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9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도 1의 104)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도 10에서, 참조 부호 1001, 1002, 및 1003은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그리고 1001i는 아이콘 형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아이콘(1001)은 아이콘 형상(1001i), 식별 부호(1F-11) 및 부품 손실 비율(0.7 %)을 포함한다.
도 1, 9 및 10을 참조하여, 어느 한 헤드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 제어부(101)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어느 한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1001)을 모니터(104)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901).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헤드와 함께 동작하였던 노즐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1002 등등)이, 디스플레이된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1001)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903).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이 사용하였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1003 등등)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의 식별 부호 아이콘(1002 등등)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905).
그리고,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1003),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1002), 및 디스플레이된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1001) 사이에 연결된 선들이 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907).
도 11은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보여준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도 12에서, 참조 부호 1201, 1202, 및 1203은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그리고 1201i는 아이콘 형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아이콘(1201)은 아이콘 형상(1201i), 식별 부호(S29) 및 부품 손실 비율(1.2 %)을 포함한다.
도 1, 11 및 12를 참조하여,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 제어부(101)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1201)을 모니터(104)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01).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을 사용하였던 노즐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1202 등등)이,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1201)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03).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을 사용하였던 헤드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1203 등등)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의 식별 부호 아이콘(1202 등등)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05).
그리고,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1203),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1202), 및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1201) 사이에 연결된 선들이 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107).
도 13은 어느 한 노즐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보여준다.
도 14는 도 13의 동작에 의하여 모니터(도 1의 104)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도 14에서, 참조 부호 1401, 1402, 및 1403은 식별 부호 아이콘들을, 그리고 1401i는 아이콘 형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아이콘(1401)은 아이콘 형상(1401i), 식별 부호(N04) 및 부품 손실 비율(0.3 %)을 포함한다.
도 1, 13 및 14를 참조하여, 어느 한 노즐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도 8의 단계들 S809 및 S811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 제어부(101)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어느 한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1401)을 모니터(104)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301).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노즐을 사용하였던 헤드(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1402 (등등))이, 디스플레이된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1401)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303).
다음에,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각각이 사용하였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1403 등등)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각각의 식별 부호 아이콘(1402 (등등))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305).
그리고, 주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1403),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1402), 및 디스플레이된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1401) 사이에 연결된 선들이 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307).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의하면, 작업자 또는 기술자는,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뿐만 아니라,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까지 즉시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기술자가 부품 손실 비율의 상승 원인을 진단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되게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품 실장기 외의 제조 장치에서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 부품 실장기, 11 : 감시 장치,
H : 헤드, N : 노즐,
P : 부품, I : 조명부,
C : 라인 스캔 카메라, 101 : 주 제어부,
102 : 구동부, 103 : 영상 처리부,
104 : 모니터.
501, 601, 701 : 식별 부호 아이콘들,
501i, 601i, 701i : 아이콘 형상들,
1001, 1002, 1003 : 식별 부호 아이콘들,
1001i, 1201i, 1401i : 아이콘 형상들,
1201, 1202, 1203 : 식별 부호 아이콘들,
1401, 1402, 1403 : 식별 부호 아이콘들.

Claims (6)

  1. 복수의 헤드들, 복수의 노즐들, 및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을 구비한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품 버림 동작이 발생될 때마다, 부품 버림 동작에 해당되는 헤드, 노즐, 및 부품 공급용 슬롯 각각의 부품 손실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a);
    상기 복수의 헤드들, 상기 복수의 노즐들 및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 계산된 부품 손실 비율이 소정의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및
    디스플레이된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과 관련되어 있는 헤드들 또는 노즐들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 또는 노즐 또는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를 포함한,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가 수행되는 동안에 경보음이 발생되는,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식별 부호 아이콘들 각각은,
    아이콘 형상, 식별 부호, 및 부품 손실 비율을 포함한,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헤드들 중에서 어느 한 헤드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상기 단계 (b)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어느 한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단계 (c)에서,
    디스플레이된 헤드와 함께 동작하였던 노즐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이 사용하였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의 식별 부호 아이콘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 및 디스플레이된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 사이에 연결된 선들이 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상기 단계 (b)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어느 한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단계 (c)에서,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을 사용하였던 노즐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을 사용하였던 헤드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각각의 식별 부호 아이콘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 디스플레이된 노즐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 및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 사이에 연결된 선들이 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들 중에서 어느 한 노즐의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경우,
    상기 단계 (b)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한계 손실 비율을 초과한 어느 한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단계 (c)에서,
    디스플레이된 노즐을 사용하였던 헤드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각각이 사용하였던 부품 공급용 슬롯들의 식별 부호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각각의 식별 부호 아이콘과 결선되도록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부품 공급용 슬롯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부품 공급용 슬롯의 식별 부호 아이콘, 디스플레이된 헤드들 중에서 부품 손실 비율이 가장 높은 헤드의 식별 부호 아이콘, 및 디스플레이된 노즐의 식별 부호 아이콘 사이에 연결된 선들이 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KR1020140037958A 2014-03-31 2014-03-31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12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58A KR102127305B1 (ko) 2014-03-31 2014-03-31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CN201510105269.0A CN104950867B (zh) 2014-03-31 2015-03-10 用于监视组件贴装机的操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58A KR102127305B1 (ko) 2014-03-31 2014-03-31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54A KR20150113654A (ko) 2015-10-08
KR102127305B1 true KR102127305B1 (ko) 2020-06-26

Family

ID=5416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58A Expired - Fee Related KR102127305B1 (ko) 2014-03-31 2014-03-31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305B1 (ko)
CN (1) CN1049508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32A1 (ko) * 2021-11-29 2023-06-01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의 부품 버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4804B2 (ja) * 2015-05-28 2019-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ラインにおける部品補給支援方法および部品補給支援システム
KR102436629B1 (ko) * 2016-01-28 2022-08-25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의 공정 라인 오류의 원인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374A (ja) 2000-03-21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検査機
JP2005012077A (ja) 2003-06-20 2005-01-13 Fuji Mach Mfg Co Ltd 対基板作業機支援装置
JP2006332461A (ja) 2005-05-27 2006-12-07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0258185A (ja) 2009-04-24 2010-11-11 Fuji Mach Mfg Co Ltd 部品実装機の吸着ノズル動作具合検査装置
JP2013045872A (ja) 2011-08-24 2013-03-04 Panasonic Corp 実装部品検査装置及び実装部品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90B1 (ko) * 1993-12-14 1999-11-01 정몽규 제품 생산라인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188000A (ja) * 1997-09-04 1999-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供給装置の管理方法
JP4455260B2 (ja) * 2004-10-12 2010-04-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搬送装置、表面実装機および部品試験装置
US7739077B2 (en) * 2005-06-27 2010-06-15 Panasonic Corporation Mounting condition determination method
JP2008251714A (ja) * 2007-03-29 2008-10-16 Juki Corp 実装ライン監視システム
KR20100121491A (ko) * 2008-02-21 2010-11-17 파나소닉 주식회사 실장 조건 결정 방법
JP2011171482A (ja) 2010-02-18 2011-09-01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部品掛違いのチェック方法、および、部品掛違いのチェッ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374A (ja) 2000-03-21 200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検査機
JP2005012077A (ja) 2003-06-20 2005-01-13 Fuji Mach Mfg Co Ltd 対基板作業機支援装置
JP2006332461A (ja) 2005-05-27 2006-12-07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0258185A (ja) 2009-04-24 2010-11-11 Fuji Mach Mfg Co Ltd 部品実装機の吸着ノズル動作具合検査装置
JP2013045872A (ja) 2011-08-24 2013-03-04 Panasonic Corp 実装部品検査装置及び実装部品検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32A1 (ko) * 2021-11-29 2023-06-01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의 부품 버림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0867A (zh) 2015-09-30
KR20150113654A (ko) 2015-10-08
CN104950867B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661B2 (ja) 部品実装機の機外作業エリア監視システム
KR102127305B1 (ko)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방법
US11574399B2 (en) Abnormal state detection device, abnormal state det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639010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設計方法及び設計装置
JP2016213158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製造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JP5200341B2 (ja) 遠隔指示システム及び遠隔指示方法
KR101970794B1 (ko) 부품 실장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JP636975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5111808A (ja) カメラ装置およびビューファインダ用画像信号の生成方法
US119662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gging visible errors in a videogame
JP6684044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装置
JP201720438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装置
KR102225615B1 (ko) 부품 실장기의 실장 위치 데이터를 조정하는 방법
US20130106689A1 (en) Methods of operating systems having optical input devices
US20210132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notifications 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external computing device
EP3065146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WO2019239940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39491A (ja) 位置情報管理装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4088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方法
US20110285624A1 (en) Scre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ght source type
JP668404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P306514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CN114500978B (zh) 显示设备、手柄以及虚拟目标定位追踪的校准方法
EP3065143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JP201616266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4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