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6823B1 - 인젝션 지수판 - Google Patents

인젝션 지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823B1
KR102126823B1 KR1020180151004A KR20180151004A KR102126823B1 KR 102126823 B1 KR102126823 B1 KR 102126823B1 KR 1020180151004 A KR1020180151004 A KR 1020180151004A KR 20180151004 A KR20180151004 A KR 20180151004A KR 102126823 B1 KR102126823 B1 KR 10212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index plate
outside
hole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54A (ko
Inventor
이인길
서복선
이선재
장석부
배석일
김철환
Original Assignee
대룡공업주식회사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룡공업주식회사,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룡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823B1/ko
Priority to PCT/KR2019/016568 priority patent/WO2020111813A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8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6Porous tubular seals for injecting seal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중앙부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과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에 매립되어 그 이음매를 통해 상기 콘트리트 벽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수되는 것을 막되, 침수가 진행된 경우 그라우팅 시공이 가능한 인젝션 지수판이다.

Description

인젝션 지수판{Injection Waterstop}
본 발명은 지수판에 관한 것이다.
지수판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에 설치되어 벽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5649에 소개된 지수판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1 및 도2의 종래 지수판(10)은 몸체부(20), 하단부(50), 방수부(40), 및 측방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20)의 일단에는 돌기부(2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돌기부(22)가 형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홈(25)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복수의 지수판(10)이 상호 연결되어 콘크리트 적층경계부의 방수를 위하여 설치된다.
하단부(50)는 소정길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거푸집(60) 사이로 채워진 1단 콘크리트 적층부(71)가 굳기 전에 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방수부(40)는 몸체부(20)와 일체로 압출성형되되, 2단 콘크리트 적층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1단 콘크리트 적층부(71)에 하단부(5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1단 콘크리트 적층부(71) 양측 상부에 새로이 설치되는 거푸집(미도시) 사이로 2단 콘크리트 적층부(미도시)가 채워지며, 이때, 2단 콘크리트 적층부의 하부에 방수부(40)가 직립된 채로 배치된다.
도1 및 도2에서는 상하의 콘크리트 벽에 대한 시공을 도시 하였지만, 콘크리트 벽이 수평으로 연속 시공되는 경우로서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위와 같은 지수판은 물이 시공 후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이음매를 통해 벽 외측으로부터 침수가 시작되면 지수판의 외면을 타고 흘러 궁극적으로는 콘트리트 벽 내면까지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침수가 발생한 경우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침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인젝션 타입의 새로운 지수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중앙부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과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에 매립되어 그 이음매를 통해 상기 콘트리트 벽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수되는 것을 막되, 침수가 진행된 경우 그라우팅 시공이 가능한 인젝션 지수판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인젝션 지수판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는 중공홀과 상기 중공홀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주입된 그라우팅 재료를 상기 외부로 분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출홀을 포함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의 외면 일측에서 상기 분출홀을 커버하여 외부에서 상기 주입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의 외면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분출홀의 출구는 오목홈의 내면에 위치하며, 커버부는 오목홈에 삽입되며 분출홀의 출구를 막는 돌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커버부는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며, 분출홀에 대응되는 위치 부분은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의 중공홀 내부에는 주입부의 재질보다 경도가 더 큰 재질로 만들어지며 단면이 원형인 중공관의 내관이 설치된 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와 내관은 압출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시릿예에서, 분출홀은 주입부에 있어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만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에 있어서 분출홀이 형성된 일측은 콘트리트 벽의 내측과 외측 중 외측에 대응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는 중앙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각 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주입부는 중앙부,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중공홀을 포함하며, 주입부의 일단과 다른 하나 중공홀의 일단은 연통관을 통해 연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수판은 침수가 발생한 경우 그라우팅 작업이 가능하여 침수 발생 후에 2차적으로 침수를 다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지수판의 단면도이다.
도3은 지수판이 시공 설치될 때 콘크리트 타설물이 경화되지 전의 상황을 모사한 도면이다.
도4는 벽 시공 후에 침수가 진행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5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 진행되는 그라우팅 작업을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인젝션 지수판의 구조에 대해 도1 내지 도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인젝션 지수판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 길이는 콘크리트 벽 시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평형 이음매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직형 이음매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지하철 역사를 위한 콘크리트 벽을 시공하는 경우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이음매를 통해 외벽측으로부터 내벽측으로 진행되는 침수를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40m 이상까지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침수압은 대기압을 훨씬 넘는 고압 상황이기 때문에 그러한 고압의 침수를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지수판 본체는 중앙부(110)와 제1연장부(120)와 제2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연장부(120)와 제2연장부(130)는 중앙부(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콘크리트 타설물을 부어 제1콘크리트 벽을 형성할 때 그 타설물이 경화되기 전에 제1연장부(120) 측을 삽입하여 설치한 후 타설물을 경화시켜 제1콘크리트 벽에 제1연장부(120)를 매립 경화시키고, 다음으로 연속하는 다음 콘트리트 벽을 위해 제2연장부(130)를 매립하도록 콘크리트 타설물을 붓고 경화시킨다.
지수판 본체의 중앙부(110)에는 주입부(140)가 형성된다. 주입부(140)는 중앙부(110)에 형성된 중공홀(141)을 포함하며, 중공홀(141)과 중앙부(110) 외면을 관통시키는 분출홀(142)을 포함한다.
분출홀(142)은 중앙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마다 반복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출홀(142)은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에 평행한 제1가상선을 따라 형성된 분출홀(142)과 제2가상선을 따라 형성된 분출홀(142)은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110)의 외주면에는 그 내면 바닥에 분출홀(142)이 형성된 반원형의 다수의 오목홈(143)이 형성된다.
중공홀(141)의 내부에는 마찬가지로 중공홀(161)과 분출홀(162)이 형성된 제1내관(160)이 설치된다.
제1내관(160)은 바람직하게는 지수판 본체의 중앙부(110) 소재보다는 더 경도가 높은 소재로 만들어진다.
예시적으로, 지수판 본체 및 제1내관(160)은 플라스틱 중 PVC나 TPO(Thermo Plastic Olefin (Polymer))로 만들어지되, 제1내관(160)이 경도가 더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제1내관(160)의 없는 경우 중앙부(110)가 외압에 의해 눌려져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제1내관(16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내관(1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라우팅 액상의 주입 통로를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원활한 주입을 위해 제조 중 또는 벽 시공 중에도 그 형상이 가급적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수판 본체와 제1내관(160)은 압출을 통해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분출홀(142, 162)은 압출 이후에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110)의 외면에는 분출홀(142)을 막기 위한 커버부(150)가 설치된다.
커버부(150)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분출홀(1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151)들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51)들 각각은 중앙부(110) 외면의 각 오목홈(143)에 삽입되며 오목홈(143)의 바닥에 형성된 분출홀(142)을 막는다.
커버부(150)는 적어도 그라우팅 재질이 액상으로 주입될 때 그것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커버부(150)는 발포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예시적으로 커버부(150)는 투과성의 스펀지, 고무, 부직포 등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커버부(150)는 마이크로 시멘트, 우레탄 등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51)의 적어도 단부는 물 또는 콘크리트 타설물이 투과되지 못하는 비투과성 재질(152)로 만들어진다. 비투과성 재질(152)은 예시적으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며, 돌기부(151)의 단부에 코팅되어 비투과성 층을 형성한다.
도3은 콘크리트 타설물에 인젝션 지수판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이물질이 주입부(14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콘크리트 타설물은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을 포함하여 이물질이 커버부(150)를 투과하여 분출홀(142)로 유입될 수 있는데, 커버부(150)의 돌기부(151) 끝단에 형성된 비투과성 재질(152)로 인해 그러한 침투가 방지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물에 의해 커버부(150)가 가압되고 그 가압력은 돌기부(151)를 더욱 분출홀(142)로 가압하게 되며, 따라서, 외부 이물질이 분출홀(14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50)는 지수판 본체에 있어서 외벽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럼으로써 침수가 발생한 경우 외벽측에서 그 침수를 그라우팅 시공을 통해 막을 수 있다.
또한, 중앙부(110)에 있어서 분출홀(142)이 형성된 부분 반대측에는 아무런 홀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이 있으면 그 홀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주입부(140) 내부를 막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제션 지수판이 매립된 채 콘크리트 벽의 시공이 완성된 후에 이음부를 통해 침수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도4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벽의 외부 측을 통해 이음매 부분의 물길을 타고 물이 침수된 후 지수판의 외면을 타고 흘러 벽의 내부 측까지 유입될 수 있다.
물이 침수되어 벽의 내주면을 타고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관리자에 의해 발견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그 침수의 더 이상의 진행을 막기 위해 그라우팅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벽의 외부로 노출된 지수판 단부의 주입부(140)를 통해 그라우팅 액을 주입할 수 있으며, 그렇게 주입된 그라우팅 액은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내관(160)의 중공홀(161)을 흘러 주입되어 외주에 형성된 분출홀(142, 162)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분출홀(142, 162)을 통해 분출하는 그라우팅 액은 커버부(150)의 돌기부(151)와 오목홈(143) 내주면 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 커버부(150)를 투과하면서 커버부(150)의 외면까지 도달하게 된다.
커버부(150) 외면에 도달한 그라우팅 액은 경화되면 물의 침수를 허용하던 그 물길에 충진되면서 그 물길을 막아 침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지수판 본체의 제1연장부(120)의 단부에는 중공홀(121)이 형성되고, 그 중공홀(121)에는 중공의 제2내관(170)이 설치된다.
지수판의 끝단에서 주입부(140)와 제1연장부(120) 단부는 연통관(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그라우팅 작업 시 지수판의 일단에서 주입부(140)를 통해 그라우팅 액을 주입하면서 제1연장부(120)로부터는 기체를 불어 넣으면, 제1연장부(120)의 제2내관(170)을 통해 주입된 기체는 연통관을 통해 주입부(140)로 흘러 주입부(140) 안으로 흐르는 그라우팅 액에 대해 반대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라우팅 액은 양측에서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분출홀(142, 162)을 통한 분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제2내관(170)도 지수판 본체를 성형할 때 함께 압출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내관(160) 및 제2내관(170)이 설치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내관들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110 : 중앙부 120 : 제1연장부
121 : 중공홀 130 : 제2연장부
140 : 주입부 141 : 중공홀
142 : 분출홀 143 : 오목홈
150 : 커버부 151 : 돌기부
152 : 비투과성 재질 160 : 제1내관
161 : 중공홀 162 : 분출홀
170 : 제2내관

Claims (11)

  1. 중앙부, 상기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중앙부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과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에 매립되어 그 이음매를 통해 상기 콘트리트 벽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수되는 것을 막는 지수판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는 중공홀과, 상기 중공홀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주입된 그라우팅 재료를 상기 외부로 분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출홀을 포함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외면 일측에서 상기 분출홀을 커버하여 외부에서 상기 주입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의 외면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출홀의 출구는 상기 오목홈의 내면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며 상기 분출홀의 출구를 막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분출홀에 대응되는 위치 부분은 비투과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의 상기 중공홀 내부에는 상기 주입부의 재질보다 경도가 더 큰 재질로 만들어지며 단면이 원형인 중공관의 내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와 상기 내관은 압출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은 상기 주입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가상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만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이 형성된 상기 일측은 상기 콘트리트 벽의 내측과 외측 중 외측에 대응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각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10. 중앙부, 상기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중앙부 타측에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콘크리트 벽과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에 매립되어 그 이음매를 통해 상기 콘트리트 벽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수되는 것을 막는 지수판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는 중공홀과, 상기 중공홀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주입된 그라우팅 재료를 상기 외부로 분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출홀을 포함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외면 일측에서 상기 분출홀을 커버하여 외부에서 상기 주입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중앙부,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중공홀을 포함하며, 상기 주입부의 중공홀 일단과 상기 다른 하나 중공홀의 일단은 연통관을 통해 연통되며,
    상기 주입부 중공홀의 타단은 상기 지수판이 상기 콘크리트 벽에 매립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그라우팅 재료를 주입하는 입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하나의 중공홀에는 중공의 내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션 지수판.
KR1020180151004A 2018-11-29 2018-11-29 인젝션 지수판 Active KR10212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04A KR102126823B1 (ko) 2018-11-29 2018-11-29 인젝션 지수판
PCT/KR2019/016568 WO2020111813A1 (ko) 2018-11-29 2019-11-28 인젝션 지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04A KR102126823B1 (ko) 2018-11-29 2018-11-29 인젝션 지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54A KR20200064654A (ko) 2020-06-08
KR102126823B1 true KR102126823B1 (ko) 2020-06-25

Family

ID=7085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04A Active KR102126823B1 (ko) 2018-11-29 2018-11-29 인젝션 지수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6823B1 (ko)
WO (1) WO20201118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287A (ko) * 2022-08-11 2024-02-20 대룡공업주식회사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KR20240060247A (ko) 2022-10-28 2024-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시공 접합부 방수를 위한 일체형 그라우팅 지수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309B (zh) * 2021-03-15 2025-03-28 山西三建集团有限公司 地下现浇混凝土管廊顶板变形缝施做结构及其施做方法
KR102653935B1 (ko) * 2022-06-08 2024-04-03 대룡공업주식회사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658B1 (ko) * 1999-03-23 2002-01-09 이근희 콘크리트 시공용 다발관 케이블 및 그를 이용한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JP2005163487A (ja) * 2003-12-05 2005-06-23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打継ぎ部の止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0311A (ja) * 1986-01-09 1987-07-16 Tadao Okajima コンクリ−トブロツク継目用止水板
KR20010079322A (ko) * 2001-07-06 2001-08-22 양영규 유공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지수공법
JP4377789B2 (ja) * 2004-09-27 2009-12-02 大成建設株式会社 止水構造とこれを備えた地下構造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658B1 (ko) * 1999-03-23 2002-01-09 이근희 콘크리트 시공용 다발관 케이블 및 그를 이용한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JP2005163487A (ja) * 2003-12-05 2005-06-23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打継ぎ部の止水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287A (ko) * 2022-08-11 2024-02-20 대룡공업주식회사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KR102745871B1 (ko) * 2022-08-11 2024-12-23 대룡공업주식회사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KR20240060247A (ko) 2022-10-28 2024-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시공 접합부 방수를 위한 일체형 그라우팅 지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54A (ko) 2020-06-08
WO2020111813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823B1 (ko) 인젝션 지수판
US201102774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KR102193147B1 (ko) 지수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시공방법
US20160053614A1 (en) Protective element, concrete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element
KR101438727B1 (ko)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JP2005054569A (ja) ジョイントのシール用のシール装置および該シール装置用の中空状ストリップ
CN106522959A (zh) 一种井壁钢结构防水接茬板及其施工工艺
US20080190055A1 (en) Sealing Device Between Two Structural Bodies
CN110528728B (zh) 一种免支模的建筑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JP6474325B2 (ja) 目地構造の構築方法、及び、目地構造
CN112368462B (zh) 由至少两个混凝土元件组装的隧道衬砌
JP7045004B2 (ja) トンネル覆工体の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用型枠
KR102653935B1 (ko)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CN107923244B (zh) 用于与隧道结构的混凝土元件连接的具有排泄的保护元件
KR20170041423A (ko) 건축용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KR20200112479A (ko) 지하연속벽용 인젝션 지수판
KR102745871B1 (ko)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JP7286441B2 (ja) 中空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193013B1 (ko) 콘크리트 타설물의 신축 및 수축 이음조인트장치
KR10138606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간 경계면에 형성되는 지수구조
KR1024613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지수판
KR100878587B1 (ko) 수조(水曹)용 패널
KR1004688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시공이음부의 지수판과 신축 이음부의 익스펜숀죠인트부재와의 접속 부위에 사용하는 지수판 접속부재
KR10049767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용 지수 구조
KR102755655B1 (ko) 지수판을 구비한 pc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pc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00908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009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