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6628B1 -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628B1
KR102126628B1 KR1020190012540A KR20190012540A KR102126628B1 KR 102126628 B1 KR102126628 B1 KR 102126628B1 KR 1020190012540 A KR1020190012540 A KR 1020190012540A KR 20190012540 A KR20190012540 A KR 20190012540A KR 102126628 B1 KR102126628 B1 KR 10212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ask
upper sheet
lower sheet
use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임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혁 filed Critical 임동혁
Priority to KR102019001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628B1/ko
Priority to PCT/KR2020/001388 priority patent/WO20201592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가 개시된다. 개시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얼굴을 커버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를 얼굴에 고정착용시키는 귀걸이부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과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어 마스크 본연의 방진기능으로 사용되는 제1사용상태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사용상태에 비해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이 외부로 더 잘 전달되게 하는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Mask with enhanced voice transfer fucn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등 대기의 오염성분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도록 얼굴을 가려, 코와 입으로 오염성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기능의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본연의 기능인 방진기능으로서 사용되는 제1사용상태와, 마스크 착용상태에서 음성이 외부로 잘 방출되도록 하여 용이한 대화가 가능한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하여 용이하게 대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산업현장, 세균,바이러스의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지는 병원 등에서 종사하는 종사자들은 외부의 먼지가 체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착용자로부터 구강을 통해 바이러스가 외부로 퍼지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발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국내 대기환경이 매우 심각한 상태에 있으며, 이로 인해, 일반인 들도 외출시에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며 공기정화가 이루어지도록 다공질의 조직기공을 갖는 필터지와, 이 필터지의 양측에 구비되어 귀에 걸어줌으로써 필터지를 얼굴에 고정착용시키는 귀걸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호흡시, 필터지 자체의 조직기공을 통해 공기가 통과되면서 조직기공에 미세먼지가 필터링된 후 정화된 공기로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대방과 대화를 할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마스크를 통과하여 외부로 잘 방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화시에는 대게 마스크를 벗어버리게 되어 외부의 먼지나 세균이 사용자 체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의사의 경우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위험이 있을 수 있, 작업장 입부의 경우에는 유해물질을 과량 흡입하여 건강을 해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01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05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870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93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마스크 본연의 기능인 방진기능으로서 사용되는 제1사용상태와, 마스크 착용상태에서 음성이 외부로 잘 방출되도록 하여 용이한 대화가 가능한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하여 용이하게 대화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얼굴을 커버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를 얼굴에 고정착용시키는 귀걸이부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과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어 마스크 본연의 방진기능으로 사용되는 제1사용상태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사용상태에 비해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이 외부로 더 잘 전달되게 하는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수단, 자력수단, 지퍼수단, 단추수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 제1띠부재;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한 제2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시트에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시트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을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음파방출공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의 음파방출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는 동일한 크기의 자체 조직기공을 갖는 필터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비해 조직기공이 큰 필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는 각각은 복수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비해 적은 수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시트에는 자체재질의 조직기공 이외에 음파가 보다 더 잘 방출되도록 별도의 펀칭가공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스크는 마스크본체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 및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연결하는 내부시트로 구성되며,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연결되어 방진기능으로서 사용되는 제1사용상태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분리되고 내부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내부시트를 통해 외부로 잘 방출되어 음성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마스크의 형태를 변형시켜 상대방과 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시트와 하단부와 하부시트의 상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대화시 결합수단을 분리하거나 방진기능으로 사용할 때 결합수단을 체결하여 상부시트의 하단부와 하부시트의 상단부의 결합과 분리가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스크본체의 사용상태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마스크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이며,
도 6는 도 5의 마스크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의 마스크의 변형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도록 얼굴을 커버하는 마스크본체(A)와, 마스크본체(A)의 양단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A)를 얼굴에 고정착용시키는 귀걸이부(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부시트(10), 상부시트(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시트(20) 및,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내부시트(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시트(10), 하부시트(20), 내부시트(30)는 필터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융착방식에 의해 융착되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2의 (a) 및 도 3의 (a)와 같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는 제1사용상태와, 도 2의 (b) 및 도 3의 (b)의 같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분리 이격되어 내부시트(30)가 외부로 노출되어진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결합수단(50)은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를 따라 구비되는 제1지퍼부(5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지퍼부(51)에 지퍼결합가능한 제2지퍼부(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지퍼부(51)에는 지퍼손잡이(51a)가 구비되어, 지퍼손잡이(51a)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지퍼부(51)와 제2지퍼부(52)가 체결되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지퍼손잡이(51a)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지퍼부(51)와 제2지퍼부(52)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도 2의 (a) 및 도 3의 (a)와 같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연결되는 제1사용상태에서는 내부시트(30)가 외측에 노출되지 않고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의 내측에 겹쳐진 형태가 되어, 통상적인 마스크 본연의 방진기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가 연결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내부시트(30)가 막고 있는 형태가 되어,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이 내부시트(30) 및 서로 연결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에 의해 외부로 잘 방출되지 못하게 되어 음성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결합수단(50)을 해제하여, 도 2의 (b) 및 도 3의 (b)의 같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분리 이격되고, 내부시트(30)가 외부로 노출되어진 제2사용상태에서는 내부시트(30)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방진기능을 제1사용상태에 비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사용자의 음성이 내부시트(30)만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어 음성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마스크는 대화가 필요 없을 경우에는 방진기능이 주를 이루도록 결합수단(50)을 체결하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가 연결된 제1사용상태로 사용하다가, 상대방과 대화가 필요할 경우, 결합수단(50)을 해제하여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를 분리하여 내부시트(30)가 외부에 노출되는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시킨 후, 용이한 대화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시트(10), 하부시트(20), 및 내부시트(30)는 통상의 마스크 필터지로 이루어지되,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동일한 크기의 조직기공을 갖는 필터지로 이루어지고, 내부시트(30)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에 비해 크기가 큰 조직기공을 갖는 필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와 도 3의 (b)와 같이, 결합수단(50)이 해제되어,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가 이격되고 내부시트(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제2사용상태로 사용될 때,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 보다 조직기공이 큰 필터지로 이루어진 내부시트(30)의 조직기공을 통해 음파가 보다 잘 외부로 방출되어 음성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는 각각 통상의 마스크와 같이 4겹의 필터지 즉 4장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시트(30)는 상부시트(10) 및 하부시트(20) 보다 적은 3겹 또는 2겹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부시트(10), 하부시트(20), 내부시트(30)의 필터지 겹수는 상기에서 언급한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시트(30)는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20)에 비해 적은 수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내부시트(30)에 펀칭가공을 통해 복수의 관통공(30a, 도 4 참조)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내부시트(30)에 복수의 관통공(30a)을 형성시키는 경우, 도 2의 (b)와 도 3의 (b)와 같이, 마스크본체(A)를 제 2 사용상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음성이 관통공(30a)을 통해 외부로 더욱 방출될 수 있어, 음성전달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결합수단(60)의 구성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제 1 실시 에의 결합수단(50)은 지퍼수단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으나, 제 3 실시 예에서의 결합수단(60)은 레일형 스냅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수단(60)은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을 따라 돌출형성되며, 하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끼움홈(61a)이 구비된 제1띠부재(61) 및,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를 따라 돌출형성되며, 상단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홈(61a)에 끼움결합되는 길게 끼움돌기(62a)가 구비된 제2띠부재(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띠부재(61)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띠부재(62)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내부시트(30)에 펀칭가공을 통해 음파방출이 용이하게 하는 복수의 관통공((30a)이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부시트(30)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이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음파방출공(31a)이 형성된 음파방출판(31)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음파방출판(31)은 2개로 구성되어 내부시트(30)의 양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파방출판(31)은 내부시트(30)의 양측에 설치공을 형성시킨 후, 음파방출판(31)을 내부시트(30)에 형성시킨 설치공에 배치시킨다음, 서로 접하는 테두리부분을 초음파 융착이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게 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음파방출판(31)이 내부시트(30)에 구비되게 되면, 도 2의 (b)와 도 3의 (b)와 같이, 마스크본체(A)를 제 2 사용상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음성이 음파방출판(31)의 음파방출공(31a)을 통해 외부로 잘 방출되어 음성전달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에 대해 설명한다.
제 5 실시 예의 마스크는 제 1 실시 예에 비해, 결합수단(70)의 형태 및 내부시트(30)의 연결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5 실시 예에서 내부시트(30)의 일단은 다른 실시 예에 비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로부터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높이에 연결되며, 내부시트(30)의 타단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결합수단(70)은 똑딱이 단추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암도트단추(71)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에는 상기 암도트단추(71)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수도트단추(72)가 암도트단추(71)와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에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암도트단추(71)와 수도트단추(72)를 체결함으로써, 도 8의 (a) 및 도 9의 (a)와 같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연결되어 방진기능을 주기능으로 하는 제1사용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암도트단추(71)와 수도트단추(72)의 체결을 해제하여 도 8의 (b) 및 도 9의 (b)와 같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내부시트(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음성이 외부에 잘 전달되는 제 2 사용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를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연결시키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결합수단(50,60,70) 이외에도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에 길이방향을 따라 띠형태의 제1자석을 부착설치하고,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자석에 자력으로 부착가능한 띠형태의 금속 또는 제2자석을 부착설치하여, 자력에 의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를 결합시키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에 길이방향을 따라 띠형태의 암벨크로부재를 부착설치하고,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벨크로부재를 부착설치하여, 벨크로방식에 의해 상부시트(10)의 하단부(11)와 하부시트(20)의 상단부(21)를 결합시키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상부시트
20...하부시트
30...내부시트
40...귀걸이부
31...음파방출판
31a...음파방출공
50,60,70...결합수단

Claims (8)

  1. 코와 입을 가리도록 얼굴을 커버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를 얼굴에 고정착용시키는 귀걸이부로 구성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시트;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과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어 마스크 본연의 방진기능으로 사용되는 제1사용상태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제1사용상태에 비해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이 외부로 더 잘 전달되게 하는 제2사용상태로 형태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마주하는 양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수단, 자력수단, 지퍼수단, 단추수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부시트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된 제1띠부재;
    상기 하부시트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한 제2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시트에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시트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을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음파방출공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의 음파방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는 동일한 크기의 자체 조직기공을 갖는 필터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비해 조직기공이 큰 필터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는 각각은 복수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비해 적은 수의 필터지가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시트에는 자체재질의 조직기공 이외에 음파가 보다 더 잘 방출되도록 별도의 펀칭가공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90012540A 2019-01-31 2019-01-31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Active KR10212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40A KR102126628B1 (ko) 2019-01-31 2019-01-31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PCT/KR2020/001388 WO2020159237A1 (ko) 2019-01-31 2020-01-30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40A KR102126628B1 (ko) 2019-01-31 2019-01-31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628B1 true KR102126628B1 (ko) 2020-06-24

Family

ID=7140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540A Active KR102126628B1 (ko) 2019-01-31 2019-01-31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6628B1 (ko)
WO (1) WO202015923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617B1 (ko) * 2020-11-27 2021-08-17 배이지 마스크
WO2022018330A1 (fr) * 2020-07-21 2022-01-27 Abderrahim Ouabbas Dispositif de prehension sans contact pour mise au rebut de masques sanitaires a usage unique et son mode de mise en œuvre
KR20220000847U (ko) * 2020-10-12 2022-04-19 조홍길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
KR20220117085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07Y1 (ko) 2000-04-14 2000-10-02 주식회사한 송 일회용 마스크
KR100510164B1 (ko) 2003-03-12 2005-08-25 이용철 일회용 방진마스크
CN201929044U (zh) * 2011-03-15 2011-08-17 周喆 一种新型口罩
KR20120097549A (ko) * 2011-02-25 2012-09-05 조봉관 마스크
KR101228704B1 (ko) 2005-01-11 2013-02-0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마스크
KR101550584B1 (ko) 2015-07-17 2015-09-10 이승교 비닐봉지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KR20170138925A (ko) * 2016-06-08 2017-12-18 게리 자우어 음성 전달 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748A (ja) * 2008-03-12 2009-09-24 Pd System:Kk 顔面マスク
JP3155845U (ja) * 2009-09-19 2009-12-03 由美子 中村 マスクカバ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07Y1 (ko) 2000-04-14 2000-10-02 주식회사한 송 일회용 마스크
KR100510164B1 (ko) 2003-03-12 2005-08-25 이용철 일회용 방진마스크
KR101228704B1 (ko) 2005-01-11 2013-02-0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마스크
KR20120097549A (ko) * 2011-02-25 2012-09-05 조봉관 마스크
CN201929044U (zh) * 2011-03-15 2011-08-17 周喆 一种新型口罩
KR101550584B1 (ko) 2015-07-17 2015-09-10 이승교 비닐봉지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
KR20170138925A (ko) * 2016-06-08 2017-12-18 게리 자우어 음성 전달 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8330A1 (fr) * 2020-07-21 2022-01-27 Abderrahim Ouabbas Dispositif de prehension sans contact pour mise au rebut de masques sanitaires a usage unique et son mode de mise en œuvre
FR3112670A1 (fr) * 2020-07-21 2022-01-28 Abderrahim Ouabbas Dispositif de préhension sans contact pour mise au rebut de masques sanitaires à usage unique et son mode de mise en œuvre.
KR20220000847U (ko) * 2020-10-12 2022-04-19 조홍길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
KR200496949Y1 (ko) * 2020-10-12 2023-06-20 조홍길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
KR102289617B1 (ko) * 2020-11-27 2021-08-17 배이지 마스크
KR20220117085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WO2022177074A3 (ko) * 2021-02-16 2022-10-1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487561B1 (ko) 2021-02-16 2023-01-12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9237A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628B1 (ko) 음성전달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KR200489651Y1 (ko) 마스크
KR101821595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크
WO2010143319A1 (ja) 鼻部クッション付きマスク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AU2014309245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EP3365075B1 (en) Respirator mask with voice transmittal feature
KR101960752B1 (ko) 탈부착형 코 마스크
JP3129053U (ja) 多層式マスク
KR101782696B1 (ko) 자석필터 구비 마스크
USD985762S1 (en) Respiratory mask
USD983963S1 (en) Exoskeleton for a respirator mask
KR20190111380A (ko) 마스크
USD943735S1 (en) Respiratory mask
US20210274864A1 (en) Mask
KR102113556B1 (ko) 측면용 날숨배출장치가 구비된 마스크
JP2011244858A (ja) マスク補助具
KR102079515B1 (ko) 방진 마스크
KR101933874B1 (ko) 방진 마스크
JP4372614B2 (ja) 立体マスク
KR20200001716U (ko) 마스크
JP3124262U (ja) 使い捨て衛生マスク
JP3117121U (ja) 密着性良好なマスク
JP3209649U (ja) マスク
CN105639893B (zh) 定位手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