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6326B1 -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 Google Patents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326B1
KR102126326B1 KR1020200032772A KR20200032772A KR102126326B1 KR 102126326 B1 KR102126326 B1 KR 102126326B1 KR 1020200032772 A KR1020200032772 A KR 1020200032772A KR 20200032772 A KR20200032772 A KR 20200032772A KR 102126326 B1 KR102126326 B1 KR 10212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ailway vehicle
footrest
railroad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씨티
Priority to KR102020003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07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 시 철도차량과 작업대의 사이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의 작업대는 철도차량기지에서 철도차량이 진입하는 선로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이격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 상부통로, 상기 상부통로에서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난간의 일부 구간을 개방하여 형성되는 난간출입구, 상기 상부통로와 상기 철도차량의 사이로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난간출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통로의 위치에서 상기 철도차량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하는 안전발판, 상기 안전발판을 상기 상부통로에서 출몰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발판구동기구, 상기 난간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개폐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발판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잠금과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기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Workbench of railway vehicle base with safety scaffolding}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 시 철도차량과 작업대의 사이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기지에는 철도차량이 진입하여 철도차량을 수리 또는 점검을 수행한다.
철도차량은 레일을 타고 주행하는 구동부분도 중요하지만, 철도차량의 상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판타그래프가 설치되기 때문에 철도차량을 점검 또는 보수할 때에는 철도차량의 하부뿐만 아니라, 상부도 함께 점검 및 보수를 수행한다.
철도차량의 보수를 수행할 때에는 철도차량의 높이만큼 이격된 상부통로가 설치되며, 상부통로에는 철도차량의 상부로 건너갈 수 있는 난간출입구가 형성되는데, 난간출입구와 철도차량의 사이에는 간격이 발생하여 상부통로에서 철도차량으로 진입시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난간출입구에 상하로 회전 가능한 발판이 설치되어 철도차량과 난간출입구의 사이를 연결하여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난간출입구에서 회전하는 발판은 크기의 확장이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철도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철도차량과 상부통로를 발판에 의해 연결하더라도 틈이 발생하면서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4854호(2016.11.09.공고)의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슬라이딩 발판"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슬라이딩 발판은 철도차량의 길이와 높이에 대응되게 철로를 사이에 둔 좌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벽체구조물과; 상기 벽체구조물의 사이의 상단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수평 설치되어 벽체구조물에 설치한 작동수단에 의해 가이드 레일바와 가이드 롤러를 매개로 슬라이딩되어 입출되는 무빙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바는 무빙플레이트의 양측 저부에 폭방향으로 횡설되어 벽체 구조물의 수직브라켓트에 직교되는 고정축에 수평으로 축설된 가이드 롤러의 외면홈을 따라 활주하도록 유설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내측 저부에는 보조 가이드 레일바가 설치되어 벽체구조물에 설치된 보조 가이드 레일바를 따라 활주되게 함으로써 무빙플레이트의 내측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보조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슬라이딩 발판은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출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철도차량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슬라이딩 발판은 무빙플레이트가 완전히 돌출되기 이전에 작업자가 무빙플레이트를 통해 철도차량의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에 끼이거나, 무빙플레이트에서 떨어지는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슬라이딩 발판은 무빙플레이트와 철도차량의 높이 차가 발생하는 경우, 철도차량에 무빙플레이트가 부딪혀 철도차량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과 무빙플레이트의 사이로 틈이 발생하여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로가 활선인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철도차량의 상부로 오름에 따라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발판이 완전히 돌출된 후에 잠금기구부에 의해 출입구개폐부재의 잠금이 해제되기 때문에 안전발판이 작동하는 중에 작업자가 철도차량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발판의 끝단에 철도차량의 높이 차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높이대응판이 설치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활선감지부에 의해 선로가 활선된 상태에서는 안전발판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활선에 따른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감지부에 의해 철도차량과 안전발판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안전발판을 대응하여 돌출시킬 수 있는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의 작업대는 철도차량기지에서 철도차량이 진입하는 선로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이격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 상부통로, 상기 상부통로에서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난간의 일부 구간을 개방하여 형성되는 난간출입구, 상기 상부통로와 상기 철도차량의 사이로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난간출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통로의 위치에서 상기 철도차량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하는 안전발판, 상기 안전발판을 상기 상부통로에서 출몰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발판구동기구, 상기 난간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개폐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발판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잠금과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기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 높이와 근접한 높이에 상기 상부통로가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통로를 상기 철도차량기지에 바닥 또는 천정에서 지지하는 통로설치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구동기구는 상기 발판구동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판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컨트롤러는 상기 선로가 활선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발판이 작동하여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로의 활선 또는 단선상태를 감지하는 활선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발판은 상기 철도차량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발판이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전발판의 끝단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대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부는 상기 난간출입구에서 상기 안전발판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잠금막대, 상기 잠금막대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에 걸쳐져 상기 출입개폐부재를 고정하거나, 걸침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막대에 형성되는 개폐걸침부, 및 상기 안전발판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잠금막대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걸침부에 의해 상기 출입개폐부재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막대의 상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막대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부는 상기 잠금막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막대가이드부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막대가이드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막대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막대지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막대는 상기 안전발판에 의해 상기 잠금막대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잠금 또는 잠금의 해제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잠금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컨트롤러는 상기 선로에 진입한 상기 철도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철도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발판이 상부통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철도차량에 대응하여 상부통로와 철도차량의 상부를 연결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발판이 완전히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기구부가 출입구개폐부재가 개방하지 못하도록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안전발판이 완전히 돌출된 상태에서 출입구개폐부재의 잠금을 해제하여 안전발판이 완전히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발판으로 진입에 따른 추락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컨트롤러가 활선감지부를 포함하여, 선로가 활선인 상태에서 안전발판을 미돌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활선인 상태에서 철도차량에 올라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감지부에 의해 선로에 진입한 철도차량을 감지하여 철도차량의 크기에 따라 안전발판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철도차량과 상부통로의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거나, 안전발판이 철도차량의 상부로 과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발판에 철도차량의 높낮이에 대응하는 높이대응판이 설치되어 철도차량과 안전발판의 높낮이에 따라 철도차량이 손상되거나, 틈이 발생하여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부통로가 통로설치구조물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부통로가 통로설치구조물에 의해 철도차량기지의 천장에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상부통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통로(110)는 철도차량기지의 철도차량(200)이 진입하는 선로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통로(110)는 선로에 진입한 철도차량(200)의 상부를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선로를 따라 형성되거나, 선로의 일부 구간 예컨대, 철도차량(200)의 판타그래프가 설치된 부분마다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통로(110)는 철도차량(200)의 상부의 기구물 또는 구조물 예컨대, 판타그래프, 또는 환기구, 또는 냉방장치 등을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으며, 상부통로(110)에는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상부통로(110)로 진입할 수 있는 계단이 설치될 수 있고, 상부통로(110)의 양측에는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난간(1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통로(110)는 통로설치구조물(117)을 통해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통로설치구조물(117)은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상부통로(110)를 상부로 이격되도록 지지하거나, 철도차량기지의 천정에서 바닥을 향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형태로 상부통로(11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로설치구조물(117)이 바닥에 설치될 경우, 선로와 선로의 사이 간격이 좁은데 그 가운데에 통로설치구조물(117)이 위치되기 때문에 철도차량(200)의 하부작업에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통로설치구조물(117)은 천장에서 상부통로(11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난간출입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난간출입구(113)는 상부통로(110)를 이동하는 작업자가 상부통로(110)를 통해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출입구일 수 있으며, 난간출입구(113)는 상부통로(110)에 설치된 난간(111)의 일부구간을 개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난간출입구(113)는 난간(111)의 개방된 양측에 내부가 빈 파이프형태의 출입구난간대(115)를 설치하는 형태로 개방된 난간(111)의 양측을 마감하는 형태로 상부통로(1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출입개폐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개폐부재(170)는 난간출입구(113)를 개폐할 수 있으며, 출입개폐부재(170)는 난간출입구(113)를 가로 지르는 형태로 설치되어 난간출입구(113)를 개폐할 수 있다.
출입구개폐부재는 일단이 난간출입구(113)의 일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타단이 난간출입구(113)의 타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서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어 난간출입구(113)를 개폐할 수 있다.
일례의 출입개폐부재(170)는 개폐로프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개폐로프는 난간출입구(113)의 양단에 설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를 연결하는 형태로 일단이 난간출입구(113)의 일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이 난간출입구(113)의 타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례의 출입개폐부재(170)는 개폐도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개폐도어는 난간출입구(113)의 일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난간출입구(113)의 타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서 출입구개폐부재는 회전하는 개폐도어의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슬라이딩 이동하는 개폐도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안전발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발판(120)은 상부통로(110)와 인접한 선로로 진입한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통로(110)의 작업자가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이동하거나, 철도차량(200)의 상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상부통로(11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안전발판(120)은 상부통로(110)와 철도차량(200)의 사이를 연결하여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의 사이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발판(120)은 상부통로(110)에서 철도차량(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부통로(110)와 철도차량(200)의 상부를 연결하거나,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부통로(110)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로 상부통로(110)에서 출몰할 수 있다.
안전발판(12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통로(11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부통로(110)에서 철도차량(200)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출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발판(120)은 높이대응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대응판(125)은 안전발판(120)과 철도차량(200)의 높이 차를 보상하여 철도차량(200)과 안전발판(120)을 연결함으로써, 안전발판(120)이 철도차량(200)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발판(120)이 철도차량(200)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안전팔판이 철도차량(200)에 충돌하여 철도차량(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대응판(125)은 철도차량(200)과 마주하는 안전발판(120)의 끝단부분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전발판(120)보다 철도차량(200)의 높이가 높은 경우, 안전발판(120)에서 높이대응판(125)이 상부로 회전하여 철도차량(2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안전발판(120)의 높이보다 철도차량(200)의 높이가 낮을 경우, 안전발판(120)에서 높이대응판(125)이 하부로 회전하여 철도차량(20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대응판(125)은 안전발판(120)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는 각도와 하부로 회전하는 각도가 제한되어 안전발판(120)에서 높이대응판(125)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안전발판(120)이 철도차량(200)의 상부에 안착되지 못하고, 안전발판(120)에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대응판(125)의 끝단에는 안전발판(120)이 철도차량(20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할 때, 철도차량(200)의 상면에 가이드되어 안전발판(120)에서 회전하며 안착될 수 있도록 높이대응판(12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대응판롤러(12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발판(120)은 상부통로(110)와 상부통로(110)를 지지하는 통로설치구조물(117)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통로(110)와 통로설치구조물(117)의 사이로 출몰할 수 있으며, 안전발판(120)의 저면에는 안전발판(120)이 상부통로(11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할 때, 안전발판(120)이 용이하게 출몰할 수 있도록 통로설치구조물(117)에서 안전발판(120)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2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발판구동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구동기구(130)는 상부통로(110)에서 철도차량(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안전발판(120)이 슬라이딩 하며 출몰할 수 있도록 안전발판(120)을 구동할 수 있다.
발판구동기구(130)는 안전발판(120)을 철도차량(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공압 또는 유압 또는 전기모터 등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 구현되거나, 랙과 랙기어, 복수 개의 기어연결 또는 링크의 연결 등등 다양한 형태의 기계적인 작동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실린더에 의해 안전발판(120)이 상부통로(11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실린더는 피스톤축에 안전발판(120)이 결합되고, 실린더는 상부통로(110)에 결합되어 실린더에서 피스톤축이 돌출되면 안전발판(120)을 밀어내어 상부통로(110)에서 돌출시키고, 피스톤축이 실린더의 내부로 삽입되면 안전발판(120)을 상부통로(110)가 위치된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발판구동기구(130)는 상부통로(110)를 지나는 작업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안전발판(120)과 함께 상부통로(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발판구동기구(130)는 안전발판(120)의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하거나, 안전발판(120)의 출몰여부를 제어하는 발판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컨트롤러는 작업자가 안전발판(120)을 작동시키기 위한 발판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판스위치는 난간출입구(113)에 설치되어 발판스위치를 작동할 경우, 발판컨트롤러가 작동신호에 따라 안전발판(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발판스위치는 상부통로(110)에서 돌출시키는 돌출스위치와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통로(110)로 삽입시키는 삽입스위치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돌출스위치를 작동시킬 경우, 하기의 활설감지부와 차량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상부통로(110)에서 안전발판(120)을 돌출시킬 수 있다.
발판컨트롤러는 활선감지부, 및 차량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선감지부는 철도차량(200)이 진입한 선로 즉, 상부 작업을 위한 철도차량(200)이 위치된 선로가 활선인 상태를 감지하여 발판구동기구(130)를 미작동시켜 상부통로(110)에서 안전발판(120)을 돌출시키지 않음으로써, 활선인 상태에서 작업자가 철도차량(200)의 상부에 올라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활선감지부는 철도차량기지에서 선로의 활선과 단선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로부터 선로의 활선과 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형태로 활선과 단선을 감지하여 활선일 때에는 발판구동기구(130)를 미작동시키고, 단선일 때에만, 발판구동기구(130)가 작동하여 안전발판(120)이 출몰하도록 발판컨트롤러가 발판구동기구(1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활선감지부는 활선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선로에 활선과 단선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선로에 활선과 단선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형태로 선로의 활선과 단선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감지부는 선로로 진입하는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라 선로에 진입한 철도차량(200)에 대응되도록 안전발판(120)의 돌출되는 길이를 제어하도록 선로에 진입한 철도차량(200)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200)이 고속철도인 경우, ktx, 산천-I, 산천-II, 해무의 크기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철도차량(200)이 선로로 진입한 경우, 안전발판(120)과 철도차량(200)의 사이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져 틈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감지부는 선로에 진입한 철도차량(200)의 종류를 감지하고, 그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안전발판(120)의 돌출되는 거리를 기초하여 안전발판(120)이 출몰하도록 발판컨트롤러가 발판구동기구(1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감지부는 안전발판(120)의 끝단에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안전발판(120)과 철도차량(200)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형태로 철도차량(200)과의 사이 거리를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선로에 진입하는 철도차량(200)을 관리하는 관리장치로부터 철도차량(200)의 종류를 제공받는 형태로 철도차량(200)의 종류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발판컨트롤러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판컨트롤러에는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라 안전발판(120)의 돌출거리를 미리 저장하여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라 안전발판(120)을 서로 다른 길이로 출몰시킬 수 있다.
물론, 차량감지부는 수동조작에 의해 철도차량(200)의 종류를 직접적으로 선택하여 제공하도록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른 버튼이 설치된 조작부에 의해 수동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발판컨트롤러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잠금기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잠금기구부(140)는 안전발판(120)이 완전히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완전히 돌출된 상태에서만 출입개폐부재(17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부재(170)가 난간출입구(113)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잠그거나 난간출입구(113)를 개방하도록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기구부(140)는 안전발판(120)과 연동하여 출입개폐부재(170)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며, 잠금기구부(140)는 난간출입구(113)의 양측에 설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 중 출입개폐부재(170)가 미고정되는 출입구난간대(115)에 설치되어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기구부(140)는 잠금막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막대(150)는 안전발판(120)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막대(15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난간출입구(113)의 양측에 위치되는 출입구난간대(115) 중 출입개폐부재(170)의 고정 또는 고정이 해제되는 출입구난간대(115)의 내부에 삽입되어 출입구난간대(115)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잠금막대(150)의 하단은 안전발판(12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잠금막대(150)의 하단에는 가이드롤러(15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막대(150)에는 출입난간(111)대에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출입개폐부재(170)에 걸쳐지거나 걸침이 해제되는 개폐걸침부(1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걸침부(153)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잠금막대(150)가 출입난간(111)대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출입개폐부재(170)에 걸쳐지거나, 걸침이 해제되는 형태로 출입난간(111)대에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개폐걸침부(153)는 잠금막대(150)에서 걸림고리부(115a)가 형성된 부분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출입구난간대(115)에는 걸림고리부(115a)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개폐걸침부(153)가 돌출되는 돌출공이 관통형성되고, 돌출공은 잠금막대(150)가 상하로 이동할 때, 개폐걸침부(153)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의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출입개폐부재(170)를 개폐로프로 구현하였으며, 출입난간(111)대에는 개폐로프가 걸쳐지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걸림고리부(115a)가 형성되며, 개폐걸침부(153)는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형태로 걸림고리부(115a)에서 개폐로프의 고정을 해제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잠금막대(150)가 상부로 이동하면, 잠금막대(150)와 함께 개폐걸침부(153)가 걸림고리부(115a)에서 상부로 함께 이동하여 밀폐된 걸림고리부(115a)를 개방함으로서, 걸림고리부(115a)에서 개폐로프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반대로 잠금막대(150)가 상향되어 걸림고리부(115a)가 개방된 상태에서 잠금막대(150)가 다시 하향되면 걸림고리부(115a)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걸침부(153)가 밀폐함으로써, 걸림고리부(115a)에서 개폐로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개폐로프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개폐부재(170)가 개폐도어의 형태일 경우, 잠금막대(150)의 상향에 따라 개폐걸침부(153)가 개폐도어에서 이탈되어 고정을 해제하거나, 잠금막대(150)의 하향에 따라 개폐도어에 개폐걸침부(153)가 끼워지는 형태로 개폐도어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잠금막대(150)는 상향될 때,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을 해제하고, 하향될 때,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잠금막대(150)가 하향될 때,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고, 상향될 때, 출입개폐부재(17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반대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잠금기구부(140)는 막대가이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가이드부(160)는 안전발판(120)에 설치되어 잠금막대(150)의 상하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막대가이드부(160)에는 잠금막대(150)의 가이드롤러(151)가 지지되어 안전발판(120)과 함께 이동하는 막대가이드부(160)에 의해 잠금막대(150)가 상향되거나 하향되어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막대(150)는 출입구난간대(115)에서 하향되도록 막대지지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잠금막대(150)가 막대가이드부(160)의 상면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출입구난간대(115)에서 막대가이드부(160)에 의해 상향된 상태에서 이탈되면 막대지지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향될 수 있도록 출입구난간대(115)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막대가이드부(160)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는 잠금막대(150)가 하향되거나, 상향되도록 막대가이드부(160)에서 상향 절곡되거나, 하향 절곡되는 잠금해제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해제부(161)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안전발판(120)이 미리 설정된 지점까지 돌출되면, 잠금막대(150)가 하향 또는 상향시켜 개폐걸침부(153)에 의해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해제부(161)는 막대가이드부(160)에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지점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점은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라 상부통로(110)와 철도차량(200)의 사이에 이격되는 거리와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잠금해제부(161)는 선로로 진입하는 철도차량(200)의 종류마다 상부통로(110)와 철도차량(200)의 달라지는 사이 거리에 대응하여 출입개폐부재(170)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가이드부에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잠금표시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잠금표시부(157)는 잠금기구부(140)에 의해 출입개폐부재(170)의 잠금과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잠금표시부(157)는 잠금막대(1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잠금막대(150)가 상향되는 경우, 출입구난간대(115)에서 잠금표시부(157)가 노출되면서, 잠금 또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표시부(157)는 잠금막대(150)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 잠금막대(15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려지면서, 잠금기구부(140)에 의해 출입개폐부재(170)의 잠금 또는 해제된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잠금표시부(157)는 색상으로 잠금 또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표시하거나, 잠금 또는 해제의 무늬 또는 글씨가 표시가 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선로를 따라 철도차량(200)의 길이와 대응되거나, 철도차량(200)의 일부 구간에서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올라가도록 상부통로(110)가 바닥에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부통로(110)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111)이 양측에 설치되며, 상부통로(110)는 통로설치구조물(117)에 의해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설치되거나, 철도차량기지의 천정에서 하부로 이격되는 형태로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통로(110)의 일부 구간에서는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난간출입구(113)가 형성되며, 난간출입구(113)의 양단에는 출입구난간대(1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난간출입구(113)에는 난간출입구(113)를 개폐하는 출입개폐부재(170)가 설치되며, 출입개폐부재(170)는 양측의 출입구난간대(115) 중 일측의 출입구난간대(115)에 고정되며, 타측의 출입구난간대(115)에는 잠금기구부(140)에 의해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잠금기구부(140)는 출입구난간대(115)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잠금막대(150)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잠금막대(150)의 하단에는 가이드롤러(151)가 설치되며, 가이드롤러(151)는 안전발판(120)에 설치되는 막대가이드부(160)의 상부에 지지된다.
실시예에서는 잠금막대(150)가 상향될 경우, 출입개폐부재(170)의 잠금을 해제하고, 하향되면 출입구개폐부재를 잠그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잠금막대(150)가 하향된 상태에서 출입개폐부재(170)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향되면 출입구개폐부재를 잠그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막대가이드부(160)에는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잠금막대(150)가 상향되어 잠금을 해제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잠금해제부(1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해제부(161)는 선로로 진입하는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마다 서로 달라지는 상부통로(110)와 철도차량(200)의 이격되는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잠금막대(150)는 막대가이드부(160)에서 잠금해제부(161)에 의해 상향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161)에서 잠금막대(150)가 이탈되면 탄성력에 의해 하향되도록 출입난간(111)대에서 잠금막대(150)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도록 막대지지스프링(15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발판(120)의 끝단에는 안전발판(120)에 따른 철도차량(200)의 높이에 대응하기 위한 높이대응판(125)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높이대응판(125)에는 안전발판(120)이 철도차량(20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출될 대, 높이대응판(125)이 철도차량(200)의 상면을 따라 타고 올라 갈수 있도록 대응판롤러(126)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발판(120)은 발판구동기구(130)에 의해 상부통로(110)에서 철도차량(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발판구동기구(130)에는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의 사이 간격에 따라 안전발판(12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차량감지하는 차량감지부를 포함하는 발판컨트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판컨트롤러에는 선로의 단선과 활선의 상태에 따라 발판구동기구(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활선감지부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철도차량(200)의 상부를 점검 또는 보수하기 위해 상부통로(110)의 상부에 작업자가 오른 상태에서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진입하기 위해 난간출입구(113)에 설치된 돌출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돌출스위치가 작동하면, 발판컨트롤러는 활선감지부로부터 선로의 활선 또는 단선에 따른 정보를 제공받고, 발판컨트롤러는 활선감지부에서 선로가 활선인 상태에서는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발판(120)이 돌출되지 않도록 발판구동기구(130)를 미작동시킨다.
한편, 활선감지부로부터 선로의 단선에 따른 정보를 제공받으면, 발판컨트롤러는 차량감지부로부터 선로에 진입한 철도차량(20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안전발판(120)이 돌출하도록 발판구동기구(130)를 작동시킨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구동기구(130)가 작동하면, 상부통로(110)에서 안전발판(120)이 철도차량(200)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고, 안전발판(120)의 끝단에는 높이대응판(125)의 대응판롤러(126)가 철도차량(20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안전발판(120)에서 높이대응판(125)이 휘어져 위치한다.
이와 동시에 발판구동기구(130)에 의해 안전발판(120)이 돌출되면, 안전발판(120)의 막대가이드부(160)에 의해 잠금막대(150)의 하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51)가 회전하면서 가이드되고, 안전발판(120)이 돌출되는 길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상향된 잠금해제부(161)에 의해 잠금막대(150)가 상향된다.
잠금막대(150)가 상향되면, 출입구개폐부재를 고정하는 걸림고리부(115a)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개폐걸침부(153)가 잠금막대(150)와 함께 상향 이동되어 걸림고리부(115a)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때, 잠금해제부(161)에 의해 잠금막대(150)가 출입구난간대(115)에서 상향 이동하면, 잠금표시부(157)가 출입구난간대(115)의 상부로 노출되면서, 출입구개폐부재의 잠금이 해제되었음을 외부에 알린다.
작업자는 출입구난간대(115)에서 잠금표시부(157)가 노출되면, 걸림고리부(115a)에 걸렸던 출입구개폐부재를 이탈시켜 안전발판(120)을 통해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와의 사이 간격이 가장 멀리 위치된 철도차량(200)이 선로에 진입하면, 복수 개의 잠금해제부(161) 중 안전발판(120)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 위치되는 잠금해제부(161)를 잠금막대(150)가 먼저 지나면서 출입구개폐부재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러나, 출입구개폐부재가 첫번째 잠금해제부(161)를 지나면 다시 잠금막대(150)가 막대지지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되기 때문에 잠금이 해제된 출입구개폐부재를 다시 잠가 안전발판(120)이 돌출되어야 할 위치에 도달하기 전 잠금해제부(161)가 위치하더라도 잠금해제부(161)를 지나면서 다시 잠겨 안전발판(120)이 원하는 위치로 돌출되기 이전에 출입구개폐부재를 개방하여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철도차량(200)의 상부작업을 모두 종료한 상태에서 안전발판(120)을 통해 상부통로(110)의 난간출입구(113)에 위치되면, 출입구개폐부재의 끝단을 걸림고리부(115a)에 걸고 삽입스위치를 작동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스위치가 작동하면, 발판컨트롤러는 발판구동기구(130)를 작동시켜 상부발판의 내에 위치하도록 안전발판(120)을 삽입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안전발판(120)이 삽입되면, 잠금해제부(161)에 의해 상향되었던 잠금막대(150)가 잠금해제부(161)를 지나면서, 막대지지스프링(155)의 탄성력에 의해 하향된다.
잠금막대(150)가 하향되면 개방되었던 걸림고리부(115a)의 상부를 개폐걸침부(153)가 밀폐하여 출입난간(111)대에 출입개폐부재(170)를 고정시켜 난간출입구(113)를 봉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100)는 상부통로(110)에서 안전발판(120)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로 출몰하여 다양한 크기의 철도차량(200)이 선로에 진입하더라도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연결함으로써, 철도차량(200)과 상부통로(110)의 틈이 발생함에 따라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발판(120)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잠금막대(150)가 막대가이드부(160)에 형성된 잠금해제부(16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출입구개폐부재의 잠금을 해제하기 때문에 안전발판(120)이 완전히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철도차량(200)의 상부로 진입하여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막대(150)가 막대가이드부(160)에 형성된 잠금해제부(16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잠금표시부(157)가 출입구난간대(115)에서 출몰하여 잠금상태를 외부에 표시하여 출입구개폐부재의 잠금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발판(120)에 높이대응판(125)이 설치되어 철도차량(200)의 높낮이에 따라 안전발판(120)을 대응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발판컨트롤러가 활선감지부를 포함하여, 선로의 활선여부에 따라 발판구동기구(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활선에 따른 감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판컨트롤러가 차량감지부를 포함하여, 선로를 진입하는 차량에 대응하여 안전발판(12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출몰시켜 낙상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110: 상부통로 111: 난간
113: 난간출입구 115: 출입구난간대
115a: 걸림고리부 117: 통로설치구조물
120: 안전발판 121: 지지롤러
125: 높이대응판 126: 대응판롤러
130: 발판구동기구 140: 잠금기구부
150: 잠금막대 151: 가이드롤러
153: 개폐걸침부 155: 막대지지스프링
157: 잠금표시부 160: 막대가이드부
161: 잠금해제부 170: 출입개폐부재
200: 철도차량

Claims (8)

  1. 철도차량기지에서 철도차량이 진입하는 선로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철도차량기지의 바닥에서 이격되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 상부통로,
    상기 상부통로에서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상기 난간의 일부 구간을 개방하여 형성되는 난간출입구,
    상기 상부통로와 상기 철도차량의 사이로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난간출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상부통로의 위치에서 상기 철도차량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하는 안전발판,
    상기 안전발판을 상기 상부통로에서 출몰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발판구동기구,
    상기 난간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개폐부재, 및
    상기 안전발판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잠금과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 높이와 근접한 높이에 상기 상부통로가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통로를 상기 철도차량기지에 바닥 또는 천정에서 지지하는 통로설치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구동기구는 상기 발판구동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판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컨트롤러는
    상기 선로가 활선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발판이 작동하여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로의 활선 또는 단선상태를 감지하는 활선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발판은
    상기 철도차량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발판이 상기 철도차량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안전발판의 끝단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대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부는
    상기 난간출입구에서 상기 안전발판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잠금막대,
    상기 잠금막대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에 걸쳐져 상기 출입개폐부재를 고정하거나, 걸침이 해제되어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막대에 형성되는 개폐걸침부, 및
    상기 안전발판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상기 잠금막대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걸침부에 의해 상기 출입개폐부재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잠금막대의 상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막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부는
    상기 잠금막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막대가이드부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막대가이드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잠금막대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막대지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막대는
    상기 안전발판에 의해 상기 잠금막대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출입개폐부재의 잠금 또는 잠금의 해제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 잠금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컨트롤러는
    상기 선로에 진입한 상기 철도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안전발판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철도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발판을 구비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KR1020200032772A 2020-03-17 2020-03-17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Active KR10212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72A KR102126326B1 (ko) 2020-03-17 2020-03-17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772A KR102126326B1 (ko) 2020-03-17 2020-03-17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26B1 true KR102126326B1 (ko) 2020-07-07

Family

ID=7160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72A Active KR102126326B1 (ko) 2020-03-17 2020-03-17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16B1 (ko) * 2021-10-28 2022-07-06 이동철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무빙 슬라이딩 발판
KR20220166133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중부발전(주)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KR102509970B1 (ko) 2023-01-19 2023-03-14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의 옥상 정비용 전두부 양문형 자동 회전식 안전펜스
KR20230000673U (ko) * 2021-09-27 2023-04-04 오성피앤이(주) 탱크로리 출하장용 플랫폼
EP4238850A1 (de) 2022-03-01 2023-09-06 Penzel Valier AG Arbeitsbühne für arbeiten an einem dachbereich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an einem dachbereich eines elektrifizierten fahrzeugs, sowie unterhalt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arbeitsbüh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684A (ko) * 2010-03-25 2011-10-04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KR101129077B1 (ko) * 2011-05-06 2012-03-27 이동철 철도차량의 지붕 점검을 위한 슬라이딩 발판
KR200478057Y1 (ko) * 2013-12-31 2015-08-21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타입의 철도차량 작업용 무빙 플레이트장치
KR20170118404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KR102058942B1 (ko) * 2017-12-14 2019-12-26 유대식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684A (ko) * 2010-03-25 2011-10-04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KR101129077B1 (ko) * 2011-05-06 2012-03-27 이동철 철도차량의 지붕 점검을 위한 슬라이딩 발판
KR200478057Y1 (ko) * 2013-12-31 2015-08-21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타입의 철도차량 작업용 무빙 플레이트장치
KR20170118404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 지붕 검수용 자동 안전발판대
KR102058942B1 (ko) * 2017-12-14 2019-12-26 유대식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20110107684 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133A (ko) * 2021-06-09 2022-12-16 한국중부발전(주)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KR102596985B1 (ko) 2021-06-09 2023-11-29 한국중부발전(주) 사일로형 반출설비의 안전장치
KR20230000673U (ko) * 2021-09-27 2023-04-04 오성피앤이(주) 탱크로리 출하장용 플랫폼
KR200497271Y1 (ko) * 2021-09-27 2023-09-18 오성피앤이(주) 탱크로리 출하장용 플랫폼
KR102418216B1 (ko) * 2021-10-28 2022-07-06 이동철 철도차량의 지붕 정비용 무빙 슬라이딩 발판
EP4238850A1 (de) 2022-03-01 2023-09-06 Penzel Valier AG Arbeitsbühne für arbeiten an einem dachbereich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an einem dachbereich eines elektrifizierten fahrzeugs, sowie unterhalt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arbeitsbühne
EP4238849A1 (de) * 2022-03-01 2023-09-06 Penzel Valier AG Arbeitsbühne für arbeiten an einem dachbereich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an einem dachbereich eines elektrifizierten fahrzeugs, sowie unterhaltseinrichtung mit zumindest einer solchen arbeitsbühne
KR102509970B1 (ko) 2023-01-19 2023-03-14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의 옥상 정비용 전두부 양문형 자동 회전식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326B1 (ko) 안전발판이 구비된 철도차량기지의 작업대
CN114829282B (zh) 电梯轿厢可枢转栏杆及电梯的维护方法
US8162108B2 (en) Elevator having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rive system as an elevator car approaches a shallow pit or a low overhead
JP2007063021A (ja) 保守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保守のための方法
KR101673941B1 (ko)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CN112777455B (zh) 电梯轿厢
JP2014511302A (ja)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KR102251663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US20180162692A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WO2004000713A1 (en) Safety top balustrade for a car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JP2008514527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KR100789706B1 (ko) 전동차 플랫폼의 안전장치용 승하강수단
JP4454765B2 (ja) エレベータ
CN109476457B (zh) 电梯装置
JP657076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WO2018078762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657075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KR20220016581A (ko) 승강장 하부 설치형 스크린도어 장치
KR102805491B1 (ko) 승강장 안전문 광고판겸용 슬라이딩 비상문 구조
CN109715544B (zh) 电梯装置
JPH07252077A (ja) エスカレータの安全柵装置
CN120004084A (zh) 一种应用在别墅电梯判断门锁故障的方法
KR960003970Y1 (ko) 엘리베이터 미끌림 방지장치
KR100336341B1 (ko) 승객 수송장치의 안전장치
KR20210135017A (ko)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