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6052B1 -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052B1
KR102126052B1 KR1020170165484A KR20170165484A KR102126052B1 KR 102126052 B1 KR102126052 B1 KR 102126052B1 KR 1020170165484 A KR1020170165484 A KR 1020170165484A KR 20170165484 A KR20170165484 A KR 20170165484A KR 102126052 B1 KR102126052 B1 KR 10212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fference
group
liquid crystal
polarizing plate
differenc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895A (ko
Inventor
이상흠
켄지 하마다
김진숙
유정훈
최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52B1/ko
Priority to PCT/KR2018/011882 priority patent/WO2019112163A1/ko
Priority to US16/756,426 priority patent/US11204520B2/en
Priority to CN201880078219.XA priority patent/CN111433645B/zh
Publication of KR2019006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optical, elec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nent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 C09K19/1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the chain contain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stilb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4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nitrogen-to-nitroge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sulfur atoms as chain links, e.g. thio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1Circular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8Anti-refl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3Number of plates being 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413/00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 G02F2413/08Indexing scheme related to G02F1/13363, i.e. to 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position, orientation or value of the compensation plates with a particular optical axis ori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0nm 내지 280nm이고 이축성 정도(NZ)가 0 내지 0.3인 디스코틱 액정을 포함하는 제2위상차 필름과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150nm이고 이축성 정도(NZ)가 0.3 내지 0.7인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는 제1위상차 필름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POLARIZING PLATE FOR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OMPSI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편광 필름과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 내부로 입사된 외부광을 선 편광 및 원 편광시킴으로써 입사된 빛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좋게 한다. 최근, 편광판의 박형화를 위해, 위상차층을 액정층으로 형성하고 있다.
위상차층은 1개의 액정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갖는 2개의 액정층을 포함함으로써 효과를 좋게 할 수 있다. 2개의 액정층 중 하나는 면내 위상차 1/2 위상차를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면내 위상차 1/4 위상차를 갖는다. 그러나, 2개 액정층의 면내 위상차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반사율 저하에 한계가 있었다. 종래 정면 반사율을 낮출 수 있었으나 측면 반사율과 정면 반사율을 동시에 낮추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액정층은 배향막에 의해 배향되어 위상차를 나타낸다. 그런데, 배향막에 의해 형성된 액정층은 액정층의 위상차가 배향막에 의해서만 좌우되므로 원하는 위상차 및 NZ 계수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표시장치에 사용시 반사율을 충분히 낮출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4-03227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을 모두 낮출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 칼라 시프트를 낮출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은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0nm 내지 280nm이고 이축성 정도(NZ)가 0 내지 0.3인 디스코틱 액정을 포함하는 제2위상차 필름과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150nm이고 이축성 정도(NZ)가 0.3 내지 0.7인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는 제1위상차 필름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을 모두 낮출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측면 칼라 시프트를 낮출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중 편광필름의 흡수축, 제2위상차 필름의 진상축(fast axis), 제1위상차 필름의 진상축(fast axis) 간의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반드시 상부와 하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식 1로 표시되고,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식 2로 표시되고, "이축성 정도(NZ)"는 하기 식 3으로 표시되고, 이들은 모두 파장 550nm에서 측정된 값이다:
<식 1>
Re = (nx - ny) x d
<식 2>
Rth = ((nx + ny)/2 - nz) x d
<식 3>
NZ = (nx - nz)/(nx - ny)
(상기 식 1, 식 2, 식 3에서, nx, ny, nz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위상차층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위상차층의 두께(단위:nm)).
본 명세서에서 "정면", "측면"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에 의한 (φ, θ)에 의할 때, 정면은 (0°, 0°)이고, 좌측 끝 지점을 (180°, 90°), 우측 끝 지점을 (0°, 90°)라고 할 때, 측면은 (0°, 60°)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편광판(10)은 편광필름(300), 제2위상차 필름(200), 제1위상차 필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의 일면에, 제2위상차 필름(200), 편광필름(3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위상차 필름(100)의 다른 일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되어, 편광판을 발광표시장치용 패널(예:유기발광표시장치용 패널)에 적층시킬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150nm이고 제2위상차 필름(2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0nm 내지 280nm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위상차 필름(10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NZ)가 0.3 내지 0.7인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고, 제2위상차 필름(200)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NZ)가 0 내지 0.3인 디스코틱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제1위상차 필름과 제2위상차 필름에 대해 각각 면내 위상차뿐만 아니라 이축성 정도와 액정을 추가로 조절함으로써,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을 동시에 낮출 수 있으며, 컬라 시프트를 해소할 수 있었으며,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과 제2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측면 반사율과 정면 반사율 저하 효과에 한계가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에 의할 때 정면 반사율(SCE 기준)은 0.5% 이하, 측면 반사율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8% 이하가 될 수 있고, 측면 컬러 시프트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3.7 미만이 될 수 있다.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는 0.5% 이하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 중 각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위상차 필름
제1위상차 필름(1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150nm이고, 바람직하게는 105nm 내지 130nm, 더 바람직하게는 110nm 내지 13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측면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이축성 정도(NZ)가 0.3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측면 반사율과 정면 반사율을 낮출 수 있으며, 컬러 시프트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배향막이 없는 무-배향막 네마틱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으로 네마틱 이외의 액정 예를 들면 디스코틱 액정층을 포함하는 경우 패널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마틱 액정은 이축성 정도가 약 1.0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내 위상차와 이축성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하기 상술되는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을 이용하고 배향막 없이 하기 상술되는 방법에 의해 네마틱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위상차 필름(100)을 형성하였다.
네마틱 액정층은 배향막 없이 액정 배향만에 의해 상술 범위의 면내 위상차 및 이축성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배향막 없이 액정 배향에 의해 상술 범위의 면내 위상차와 이축성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네마틱 액정층은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의 가교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은 메조겐 형성기와 감광성 반응기로 구성되는 유닛으로 구성되는 액정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고분자는 메소겐 형성기와 감광성 반응기로 구성된 유닛을 주쇄 또는 측쇄에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고분자는 메소겐 형성기, 감광성 반응기에 중합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메소겐 형성기와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유닛을 측쇄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기는 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기, 에폭시기, 비닐에테르기 등이 될 수 있다.
메소겐 형성기는 액정성 고분자에 대해 액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메소겐 형성기는 메소겐기 뿐만 아니라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분자 간의 수소 결합에 의해 액정성을 나타내는 수소 결합성 메소겐기도 포함할 수 있다.
메소겐기는 -Ar1-Y-Ar2-기(이때, Ar1,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헤테로아릴렌기이고, Y는 단일 결합,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렌기, -CH=CH-, -C≡C-, -O-, -N=N-, -COO-, -OCO-, -CH=N-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일 수 있다. Ar1와 Ar2의 배향 위치는 액정성을 부여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Ar1와 Ar2가 페닐렌기인 경우 파라-배치, Ar1와 Ar2가 나프탈렌기인 경우 2,6-배치가 바람직하다.
감광성 반응기는 광 에너지에 의해 가교될 수 있는 관능기로서, 예를 들면 신나모일기, 신나밀리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기, 쿠마린기, 벤조페논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기는 푸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페닐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나프틸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닛에서, 메소겐 형성기와 감광성 반응기는 직접적으로 결합하여도 좋고, 연결기를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O-, -S-, -SO-, -SO2-, -CH=CH-, -C≡C-, N=N-, -COO-, -OCO-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는 상기 나열된 것들 중 단독으로 있어도 되고 2개 이상 서로 조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유닛은 액정성 고분자의 측쇄에 결합되며,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2096449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1 내지 12의 정수, q는 0 내지 12의 정수, X는 단일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O-, -S-, -SO-, -SO2-, -CH=CH-, -C≡C-, -N=N-, -COO-, -OCO-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 W는 신나모일기, 신나밀리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기, 쿠마린기 또는 벤조페논기).
<화학식 2>
Figure 112017120964497-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0 내지 12의 정수, s는 0 또는 1, m은 0 또는 1, n은 1 내지 3의 정수, X는 단일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O-, -S-, -SO-, -SO2-, -CH=CH-, -C≡C-, -N=N-, -COO-, -OCO-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5,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
화학식 1에서 동일 벤젠기 내에 있는 R1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동일 벤젠기 내에 있는 R2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에서 동일 벤젠기 내에 있는 R5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에서 동일 벤젠기 내에 있는 R6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액정성 고분자에는 감광성 반응기를 갖지 않으나 메소겐 형성기를 갖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닛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7120964497-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p는 1 내지 12의 정수, q는 0 내지 12의 정수, Y는 단일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O-, -S-, -SO-, -SO2-, -CH=CH-, -C≡C-, -N=N-, -COO-, -OCO-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 T는 수소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10의 할로알킬기).
화학식 3에서 동일 벤젠기 내에 있는 R3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에서 동일 벤젠기 내에 있는 R4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네마틱 액정층은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 또는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액정층 제조시에 사용되는 용매의 비점, 액정층 제조시에 사용되는 용매의 건조 조건 예를 들면 건조 온도, 용매를 휘발시키는 바람의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축성 정도(NZ)를 구현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는 제1위상차 필름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건조시킨 도포물에 편광 UV를 조사하고, 조사된 도포물을 가열 및 냉각하여 제조될 수 있다. 가열시킨 후 액정 배향을 더 고정시킬 수도 있다.
기재는 제2위상차 필름 또는 통상의 이형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기 전에 기재에 플라즈마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할 수도 있다. 플라즈마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는 총 선량 160dose 정도로 진행하였으며, 약 20 내지 80dose 선량으로 총 1회 내지 10회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위상차 필름(200)의 위상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1위상차 필름이 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용 조성물은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비점이 4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인 제1용매를 적어도 1종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액정층 형성시에 용매가 휘발됨으로써 본 발명의 액정층의 이축성 정도와 면내 위상차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용매는 THF(테트라히드로푸란), DME(디메톡시에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매는 상기 제1용매에 추가로, 비점이 100℃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90℃, 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30℃인 제2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용매는 제1용매에 비하여 비점이 높다. 상기 비점 범위에서, 액정층 형성시에 용매가 휘발됨으로써 본 발명의 액정층의 이축성 정도와 면내 위상차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용매는 EGM(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DMSO(디메틸술폭시드), 다이에틸렌글리콜 다이메틸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에에서, 제1위상차 필름 형성시 상기 조성물은 용매로서 제1용매와 제2용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제1용매와 제2용매는 총합 100중량부 기준으로, 제1용매는 55중량부 내지 85중량부, 제2용매는 15중량부 내지 4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용매는 6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제2용매는 20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용 조성물 중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광반응성 액정 10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한다.
제1위상차 필름용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스핀 코터, 슬릿 코터, 스프레이 코터, 롤 코터 등으로 도포될 수 있다.
건조는 서로 다른 온도 영역에서의 복수 개의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건조는 제1온도 영역에서 제1 건조 단계, 제2온도 영역에서의 제2 건조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온도 영역은 4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가 될 수 있다. 제2온도 영역은 110℃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 더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4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온도 영역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제1온도 영역에서는 액정의 측쇄(side chain) 들이 공기 층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줌으로써 제1위상차 필름의 이축성 정도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고, 제2온도 영역에서는 액정이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온도 영역에서의 건조 시간은 20초 내지 100초, 바람직하게는 40초 내지 80초가 될 수 있다. 제2온도 영역에서의 건조 시간은 200초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300초 내지 500초가 될 수 있다.
건조시 도포층에 바람을 주어 용매를 휘발시킬 수 있다. 바람 속도는 5 내지 100(m/s),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m/s)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용매 휘발 조건에 의해 본 발명의 이축성 정도와 면내 위상차를 구현할 수 있다.
건조시켜 얻은 코팅층에 직선 편광을 조사한다. 직선 편광을 조사함으로써, 도포물에 포함된 유닛 중 직선 편광을 맞는 유닛의 감광성 반응기들만 가교되도록 할 수 있다. 조사는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등이 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0nm 내지 500nm, 더 바람직하게는 250nm 내지 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조사된 도포물을 가열 및 냉각한다. 가열에 의해 유닛 중 메소겐 형성기는 제2위상차 필름의 법선 방향으로 배향되어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제1위상차 필름을 형성한다. 가열 온도는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냉각 온도는 냉각 속도 1℃/분 내지 100℃/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20℃/분의 속도로 냉각될 수 있다.
액정 배향을 고정화시키기 위해, 가열 및 냉각 공정 이후에 다시 광 조사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00 내지 500nm, 더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 배향을 고정화시킬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파장 550nm에서 nx > nz > ny 의 굴절률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차층으로, nx는 1.5 내지 1.6, ny는 1.4 내지 1.5, nz는 1.5 내지 1.6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에 광학 보상 효과를 낼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파장 550nm에서 Rth가 -30nm 내지 30nm, 바람직하게는 -20nm 내지 20nm, 더 바람직하게는 -20nm 내지 1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위상차 필름(200)과 함께 외광에 의한 반사방지 효과, 측면 컬러 시프트 감소 효과를 내어 화면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두께가 2㎛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 박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100)은 제2위상차 필름(200)과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제1위상차 필름(100)과 제2위상차 필름(200) 사이에 임의의 다른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위상차 필름(100)과 제2위상차 필름(200) 사이에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에 의해 제1위상차 필르(100)과 제2위상차 필름(200)이 서로 고정된다. 점착층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위상차 필름
제2위상차 필름(200)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0nm 내지 280nm이고 바람직하게는 230nm 내지 28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측면 반사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은 이축성 정도(NZ)가 0 내지 0.3,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2,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측면 반사율과 정면 반사율을 낮출 수 있으며, 컬러 시프트를 해소할 수 있으며,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은 디스코틱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이 디스코틱 이외의 액정 예를 들면 네마틱 액정을 포함하는 경우 측면 반사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은 호메오트로픽 배향 또는 호모지니어스 배향의 액정 구조일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200)의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는 제2위상차 필름(100)의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보다 크고, 그 차이는 0.2 내지 0.8,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측면 반사율과 정면 반사율이 낮고, 측면 컬러 시프트가 낮아질 수 있으며, 측면 반사율과 정면 반사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이축성 정도의 차이를 갖는 제1위상차 필름과 제2위상차 필름의 적층체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에서 이축성 정도는 액정 자체의 Nz가 제어가능하고 광 배향이 가능한 특수한 액정타입이 아닐 경우, 제어가 용이하지 않다.
제2위상차 필름(200)에서 액정층은 UV 조사(예: 약 200 내지 400nm의 조사)에 의해 액정의 배향이 변하지 않는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배향막에 의해 위상차를 구현하는 것이다. 배향막은 러빙제를 이용한 배향막, 광 배향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러빙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러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액정층은 감광성 반응기가 없는 액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광성 반응기가 없는 액정으로 형성됨으로써 편광판 사용시 외부에서 UV가 침투되더라도 액정 배향이 달라지지 않아서 신뢰성,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은 기재 필름 위에 배향막을 형성한 다음, 배향막 상에 상기 제2위상차 필름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및 비 편광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통상의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위상차 필름(200)은 파장 550nm에서 nx > nz > ny의 굴절률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차층으로, nx는 1.55 내지 1.65, ny는 1.45 내지 1.55, nz는 1.55 내지 1.6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에 광학 보상 효과를 낼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은 파장 550nm에서 Rth가 -90nm 내지 -140nm,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130nm, 더 바람직하게는 -105nm 내지 -125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위상차 필름(100)과 함께 외광에 의한 반사방지 효과를 내어 화면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100)은 두께가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 박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의 진상축(fast axis)과 제1위상차 필름(100)의 진상축(fast axis)이 이루는 각도는 5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면과 측면 모두에서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1위상차 필름과 제2위상차 필름의 적층체는 두께가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 필름
편광 필름(300)은 제2위상차층(200)의 다른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 필름(300)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에 의해 제2위상차 필름(200)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 접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점착제로 감압 접착제(PSA), 광경화형 접착제, 열경화형 접착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편광필름의 흡수축, 제2위상차 필름의 진상축(fast axis), 제1위상차 필름의 진상축(fast axis) 간의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위상차 필름(100)의 진상축(fast axis)(100a)과 편광 필름(300)의 흡수축(300a)이 이루는 각도는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 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면과 측면 모두에서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2위상차 필름(200)의 진상축(fast axis)(200a)과 편광 필름(300)의 흡수축(300a)이 이루는 각도는 1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면과 측면 모두에서 반사 방지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편광 필름(300)은 제2위상차 필름(20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외광을 선편광시켜 제2위상차 필름(200)으로 투과시킴으로써 반사 방지 효과를 낼 수 있다.
편광판(10)은 정면에서의 반사율이 0.5% 이하가 될 수 있다. 편광판(10)은 측면에서의 반사율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8%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화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는 0.5% 이하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 필름(300)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 등을 염색시킨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탈수에 의한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편광 필름은 상술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 필름 또는 보호코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에는 연신 공정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계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코팅층은 편광자에 대한 양호한 밀착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보호코팅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5㎛ 내지 200㎛, 구체적으로, 30㎛ 내지 120㎛, 보호 필름 타입의 경우 50㎛ 내지 100㎛가 될 수가 있고, 보호코팅층 타입의 경우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기능성 코팅층 예를 들면 하드코팅층, 내지문성층, 반사방지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표시장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는 유기 또는 유-무기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QLED(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형광체 등의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액정 위상차 필름(QLAA218, 후지 필름社)은 TAC 필름(무 위상차 필름)의 일면에 액정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정 위상차층은 파장 550nm에서 Re가 240nm, Rth가 -108nm, NZ가 0.04이고, 디스코틱 액정을 포함하며 호메트로픽 배향으로 액정이 배향되어 있다.
네마틱 액정층 조성물은 액정 고분자 Hayashi telempu사 MHZC-100A 15중량부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용매는 제1용매로 THF(비점:66℃) 70중량부, 제2용매로 EGM(비점:124℃) 30중량부를 포함한다.
네마틱 액정층 조성물을 기재(PET 필름)에 도포하고, 하기 조건에 따라 건조시켰다. 건조시 제1건조 온도 및 시간, 제2건조 온도 및 시간, 바람의 속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였다. 그 다음에 LED lamp(600W)으로부터의 자외선 광을 WGP(wire grid polarizer)를 통과시켜 직선 편광 UV로 하고 300mJ 조사하였다. 조사한 다음, 130℃에서 가열하고 냉각시켰다. 3KW의 고압 수은 등으로부터의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하기 표 1의 위상차를 갖는 네마틱 액정층을 형성하였다. 네마틱 액정층은 배향막 없이 형성되었다.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40℃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편광자의 일면에 제1보호층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ZRG40SL, Fuji社)을 편광판용 에폭시계 UV 접착제로 접착시켰다. 편광자의 다른 일면에 편광판용 에폭시계 UV 접착제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ZRG40SL, Fuji社)을 접착시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액정 위상차 필름(QLAA218, 후지 필름社)에서 액정 위상차층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액정 위상차층의 일면에 상기 제조한 편광 필름을 점착층(PSA)을 사용해서 점착시켰다. 상기 액정 위상차층의 다른 일면에 상기 제조한 네마틱 액정층을 점착층(PSA)로 점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편광 필름 중 편광자의 흡수축과 디스코틱 액정층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18°로 하였다. 편광 필름 중 편광자의 흡수축과 네마틱 액정층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78°로 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1위상차 필름의 네마틱 액정층 형성시 용매의 종류, 건조 온도, 건조 시간, 바람의 속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제1위상차 필름의 네마틱 액정층 형성시 용매의 종류, 건조 온도, 건조 시간, 바람의 속도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제2위상차 필름으로 네마틱 액정 필름(Re가 240nm, NZ가 0.0)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제2위상차 필름으로 네마틱 액정 필름(Re가 240nm, NZ가 0.5)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2에서 제2위상차 필름으로 네마틱 액정 필름(Re가 240nm, NZ가 0.9)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제1위상차 필름의 액정층의 조성 및 제조 조건을 나타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1)반사율: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의 네마틱 액정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붙이고 상기 점착층을 매개로 반사 패널에 상기 편광판을 적층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정면(0°, 0°) 반사율은 광원 D65, 수광부 10° 조건에서 분광 측색계 CM-3600d(Konica Minolta사)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측면(0°, 60°) 반사율은 DMS(Instrument Systems사)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2)측면 컬러 시프트(△a*b* 평균 @(0°, 60°)):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의 네마틱 액정층의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붙이고 상기 점착층을 매개로 반사 패널에 편광판을 적층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에 대해 EZ contrast를 사용해서 (0°, 60°)에서 측면 컬러 시프트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액정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제1용매 THF THF THF THF THF THF THF THF
제1용매
함량
70 70 70 50 90 70 70 80
제2용매 EGM EGM EGM EGM EGM EGM EGM EGM
제2용매
함량
30 30 30 50 10 30 30 20
제1건조 온도(℃) 60 60 60 60 60 60 60 60
제1건조 시간(초) 60 60 60 60 60 60 60 60
제2건조 온도(℃) 130 130 130 130 130 130 130 130
제2건조 시간(초)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바람의 속도
(m/s)
6 4 8 6 6 6 6 6
Re(nm) 120 115 125 120 125 120 120 125
NZ 0.5 0.3 0.7 0.1 0.9 0.5 0.5 0.9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제2위상차
필름
액정 디스코틱 디스코틱 디스코틱 디스코틱 디스코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Re
(nm)
240 240 240 240 240 240 240 240
NZ 0.04 0.04 0.04 0.04 0.04 0.0 0.5 0.9
제1위상차
필름
액정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네마틱
Re
(nm)
120 115 125 120 125 120 120 125
NZ 0.5 0.3 0.7 0.1 0.9 0.5 0.5 0.9
반사율
(%)
측면 0.72 0.74 0.74 0.9 1.1 1.1 0.9 1.2
정면 0.33 0.34 0.34 0.34 0.35 0.35 0.34 0.35
측면과 정면의 차이 0.39 0.40 0.40 0.56 0.75 0.75 0.56 0.85
측면 컬러
시프트
3.4 3.6 3.6 4.5 4.9 4.9 4.5 5.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을 모두 낮출 수 있으며, 측면 칼라 시프트를 낮출 수 있고,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다.
반면에, 제1위상차 필름의 NZ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1, 비교예 2, 제2위상차 필름으로 네마틱 액정을 사용하는 비교예 3, 제2위상차필름으로 네마틱 액정을 사용하고 NZ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예 4, 제1위상차 필름과 제2위상차 필름이 본 발명의 구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대비 측면 반사율이 높고, 측면 칼라 시프트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으며, 정면 반사율과 측면 반사율의 차이가 컸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액정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0nm 내지 280nm이고 하기 식 1의 이축성 정도(NZ)가 0 내지 0.3인 디스코틱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2위상차 필름과,
    [식 1]
    NZ = (nx - nz)/(nx - ny)
    (상기 식 1에서, nx, ny, nz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제2위상차 필름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150nm이고 하기 식 2의 이축성 정도(NZ)가 0.3 내지 0.7인 네마틱 액정층을 포함하는 제1위상차 필름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식 2]
    NZ = (nx - nz)/(nx - ny)
    (상기 식 2에서, nx, ny, nz는 각각 파장 550nm에서 제1위상차 필름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마틱 액정층은 무-배향막 액정층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마틱 액정층은 감광성 반응기를 갖는 광반응성 액정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반응기는 신나모일기, 신나밀리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기, 쿠마린기, 벤조페논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마틱 액정층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닛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화학식 1>
    Figure 112017120964497-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p는 1 내지 12의 정수, q는 0 내지 12의 정수, X는 단일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O-, -S-, -SO-, -SO2-, -CH=CH-, -C≡C-, -N=N-, -COO-, -OCO-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 W는 신나모일기, 신나밀리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기 함유기, 쿠마린기, 또는 벤조페논기),
    <화학식 2>
    Figure 112017120964497-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r은 0 내지 12의 정수, s는 0 또는 1, m은 0 또는 1, n은 1 내지 3의 정수, X는 단일결합,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O-, -S-, -SO-, -SO2-, -CH=CH-, -C≡C-, -N=N-, -COO-, -OCO-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R5,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키닐기, 또는 할로겐 원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Rth가 -30nm 내지 30nm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코틱 액정층은 감광성 반응기가 없는 액정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상차 필름은 파장 550nm에서 Rth가 -90nm 내지 -140nm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1위상차 필름의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의 차이는 0.2 내지 0.8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상차 필름의 진상축(fast axis)과 상기 제1위상차 필름의 진상축(fast axis)이 이루는 각도는 55° 내지 80°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 필름은 두께가 0.5㎛ 내지 2㎛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위상차 필름 사이에 점착층이 더 형성된,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정면 반사율이 0.5%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은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에 의한 (φ, θ)에 의할 때, 정면을 (0°, 0°), 좌측 끝 지점을 (180°, 90°), 우측 끝 지점을 (0°, 90°), 측면을 (0°, 60°)라고 할 때,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 측정된 측면 반사율이 1% 이하인 것인,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0170165484A 2017-12-04 2017-12-04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Active KR10212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84A KR102126052B1 (ko) 2017-12-04 2017-12-04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PCT/KR2018/011882 WO2019112163A1 (ko) 2017-12-04 2018-10-10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US16/756,426 US11204520B2 (en) 2017-12-04 2018-10-10 Polarizing plate for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201880078219.XA CN111433645B (zh) 2017-12-04 2018-10-10 用于发光显示装置的偏光板以及包括该偏光板的发光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84A KR102126052B1 (ko) 2017-12-04 2017-12-04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95A KR20190065895A (ko) 2019-06-12
KR102126052B1 true KR102126052B1 (ko) 2020-06-23

Family

ID=6675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484A Active KR102126052B1 (ko) 2017-12-04 2017-12-04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04520B2 (ko)
KR (1) KR102126052B1 (ko)
CN (1) CN111433645B (ko)
WO (1) WO2019112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802B1 (ko) * 2020-07-21 2024-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214A (ja) 2003-10-23 2005-05-19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集光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017637A (ja) 2005-07-06 2007-01-25 Nippon Oil Corp 積層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輝度向上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4054769A1 (ja) 2012-10-04 2014-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2036A (ja) * 2000-04-06 2002-06-26 Fujitsu Ltd 視角補償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4276392B2 (ja) * 2001-07-25 2009-06-10 龍男 内田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JP4136871B2 (ja) * 2003-09-25 2008-08-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283800A (ja) * 2004-03-29 2005-10-13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52335B2 (ja) 2006-10-27 2013-07-3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09086160A (ja) * 2007-09-28 2009-04-23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相差制御部材、および位相差制御部材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位相差制御部材を形成するための液晶材料組成物
KR101319664B1 (ko) * 2009-02-13 2013-10-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광학체, 광학 필름, 그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적층 광학체의 제조 방법
US8553187B2 (en) 2010-05-27 2013-10-08 Benq Materials Corp. Patterned retard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377571B2 (en) * 2011-08-05 2016-06-28 Lg Chem, Ltd. Optical film
CN106094090B (zh) * 2011-12-19 2017-12-22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US9921351B2 (en) * 2012-05-10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14032270A (ja) 2012-08-02 2014-02-20 Sumitomo Chemical Co Ltd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複合偏光板
KR101395319B1 (ko) * 2012-11-23 2014-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WO2014157079A1 (ja) * 2013-03-25 2014-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円偏光板用位相差板、有機el表示装置
KR101659121B1 (ko) * 2013-06-28 2016-09-22 제일모직주식회사 Oled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표시장치
KR101731676B1 (ko) 2014-07-23 2017-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15129970A (ja) * 2015-03-20 2015-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
JP6640847B2 (ja) * 2015-05-29 2020-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1995977B1 (ko) * 2016-11-28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0268290B (zh) * 2017-02-07 2021-12-24 富士胶片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WO2018168726A1 (ja) * 2017-03-13 2018-09-20 日本化薬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214A (ja) 2003-10-23 2005-05-19 Nitto Denko Corp 光学素子、集光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017637A (ja) 2005-07-06 2007-01-25 Nippon Oil Corp 積層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輝度向上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4054769A1 (ja) 2012-10-04 2014-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95A (ko) 2019-06-12
US20200333520A1 (en) 2020-10-22
CN111433645A (zh) 2020-07-17
US11204520B2 (en) 2021-12-21
CN111433645B (zh) 2022-07-29
WO2019112163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051B1 (ko)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643461B1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0955762B1 (ko) 코팅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코팅형 편광판
KR101975006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CN108279535A (zh) 图像显示装置
KR102540849B1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WO2016047517A1 (ja) 円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広帯域λ/4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102126056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TW201337336A (zh) 光學裝置
US20190288240A1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966831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KR20150055210A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060795B1 (ko) 반사 방지층 및 비침 방지층 부착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2048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50055211A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180042132A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WO2019003812A1 (ja) 光学異方性層及びその製造方法、光学異方性積層体、転写用複層物、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126052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05026794A1 (ja) 異方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2270402A1 (ja) 表示装置
KR20170012032A (ko) 유기el 표시장치용 원편광소자 및 유기el 표시장치
KR102137552B1 (ko)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820959B1 (ko) 액정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JP2023003395A (ja) 表示装置
JP2025072728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