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5867B1 -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867B1
KR102125867B1 KR1020190144285A KR20190144285A KR102125867B1 KR 102125867 B1 KR102125867 B1 KR 102125867B1 KR 1020190144285 A KR1020190144285 A KR 1020190144285A KR 20190144285 A KR20190144285 A KR 20190144285A KR 102125867 B1 KR102125867 B1 KR 10212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blade
sticks
conveyor
ca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옥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조흥기계
강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11378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258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조흥기계, 강옥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조흥기계
Priority to KR102019014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867B1/en
Priority to KR1020200063422A priority patent/KR1025005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8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 A23G9/26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for manipulating th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14Continuous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A23G9/50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 A23G9/503Products with edible or inedible supports, e.g. cornets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e.g. a 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 형태의 얼음과자인 아이스바에 손잡이로서 꽂혀있는 스틱을 몰드에 자동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스틱이 담겨지는 스틱함(1); 상기 스틱함(1)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틱인출부(3);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틱인출부(3)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11)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수직저장부(5);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대(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저장부(5)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배열부(7); 상기 배열부(7)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방에 위치한 몰드(100)에 수직으로 꽂아넣는 스틱삽입부(9)를 포함하되; 상기 배열부(7)는; 상기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대(22)에 설치되는 스틱컨베이어(23);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25); 및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25)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 직상부에 설치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for automatically and quickly supplying a stick inserted as a handle to an ice bar, which is a bar-shaped ice cookie, to a mold automatically and quickly. Its configuration; A stick box (1) on which the stick is stored; A stick take-out part 3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0 as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sticks contained in the stick box 1 in a line; A vertical storage unit (5) for vertically stacking the sticks drawn by the stick take-off unit (3) onto the loop type magazine (11) as being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 An arrangement unit (7) for horizontally arranging the sticks loaded in the vertical storage unit (5) as being installed on a horizontal rail (22)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 It includes a stick inserting portion (9) for holding the stick arranged in the array portion (7) and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mold (100) located below; The arrangement portion 7; A stick conveyor 23 which is provided directly under the discharge end 11a of the magazine 11 and is installed on the crossbar 22 so as to be able to maneuver in a caterpillar type; A stick seating groove 25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And a top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to prevent the stick from escaping from the stick seating groove 25 during transport while being seated in the stick seating groove 25.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means installed.

Description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본 발명은 아이스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막대 형태의 얼음과자인 아이스바에 손잡이로서 꽂혀있는 스틱을 몰드에 자동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공급하기 위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ufacturing an ice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for automatically and quickly supplying a stick inserted as a handle to an ice bar in the form of a rod, to a mold automatically and quickly.

근래에는 비단 여름철뿐만 아니라 그 외의 계절에도 아이스크림 또는 아이스바가 소비된다. 아이스바는 막대 형태의 얼음과자이며, 그의 중심에는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틱이 꽂혀 있고 스틱은 하단에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있다. 아이스바는 다수의 몰드에 액상의 원료를 투입하고 연속식 냉동시설을 통과시키면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 나무 소재로 되어 있는 스틱은 액상의 원료가 몰드 내에서 적당하게 얼었을 때 위에서 아래로 꽂아 넣음으로써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In recent years, ice cream or an ice bar is consumed not only in summer but also in other seasons. The ice bar is a stick-shaped ice cream, with a stick in its center for sticking, and a stick protruding from the bottom. Ice bars are generally manufactured by adding liquid raw materials to a number of molds and passing through a continuous refrigeration facility. Sticks, usually made of wood,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by inserting them from top to bottom when the liquid raw material is properly frozen in the mold.

스틱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몰드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본 발명의 스틱 삽입장치이다. A device for supplying a plurality of molds in which sticks are arranged in a line is a stick inser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0299호와 같이 스틱 삽입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 스틱 삽입장치에 의하면 가변저장부가 공급되는 스틱의 공급양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하로 승하강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변저장부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된다. 그러면 스틱간에 압착이 생기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A stick insertion device has been proposed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10299. According to this stick inserting device, the variable storage un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o accommodate the supply amount of the supplied stick. In this case, a load is applied to the variable storage unit. The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compression occurs between sticks.

또한 수평이송부재의 캐리어는 빠른 속도로 스틱을 탑재할 경우 제대로 안치홈부에 안착되지 못할 수도 있어 작업속도의 제한이 있으며, 이 수평이송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arrier of the horizontal transfer member may not be properly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when the stick is mounted at a high speed, which limits the working spe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transfer member is complicated.

또한 복수 개의 캐리어에 수평으로 개별 안착된 스틱은 홀딩유닛, 클램핑승강부재를 통해 스틱을 1차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 장치의 위치를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 아이스바의 원료는 냉동시간, 온도, 및 원료성분에 따라서 냉동시 소요되는 시간이 다르다. 냉동중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몰드의 정확한 포인트에 스틱을 꽂기 위해서는 스틱을 꽂는 라인상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야 좋은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조정작업이 어렵다. In addition, the sticks that are individually seated horizontally on a plurality of carriers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icks are first delivered to the counterpart by holding the sticks through the holding unit and the clamping lifting memb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time required for freezing varies depending on the freezing time, temperature, and ingredients of the ice bar. In order to insert the stick at the correct point of the mold continuously moving along the line during freezing, it is good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on the line where the stick is inserted, but according to the prior art, such adjustment is difficult.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029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10299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작업속도가 빠르더라도 정확하게 스틱을 공급할 수 있으며, 운전중 부하가 걸리는 부분이 없어 고장의 우려가 적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egarding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working speed, and even if the working speed is fast, the stick can be accurately supplied, and there is no load on the part during op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which can be reduced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위와 같은 목적은, 스틱이 담겨지는 스틱함; 상기 스틱함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스틱인출부; 상기 스틱인출부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수직저장부; 상기 수직저장부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배열부; 상기 배열부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방에 위치한 몰드에 수직으로 꽂아넣는 스틱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the stick containing the stick; A stick drawer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sticks contained in the stick box in a row; A vertical storage unit stacking the sticks drawn out by the stick extraction unit vertically in a loop-shaped magazine; An arrangement unit horizontally arranging sticks loaded in the vertical storage unit; It is achieved by a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ck inserting part for holding the stick arranged in the arrangement part and vertically inserting it into a mold located at the bottom.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틱함, 스틱인출부 및 수직저장부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스틱인출부 및 수직저장부는 독립적으로 교번하여 작동하면서 상기 배열부에 스틱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 box, the stick take-out section and the vertical storage section are each provided in a pair; The pair of stick take-out portions and the vertical storag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supply sticks to the array while alternately operating independentl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저장부의 매거진은 스틱의 공급속도와 배출속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이를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구비하되;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gazine of the vertical storage unit is provided with a buffer means for cushioning the case of different supply and discharge speed of the stick;

상기 완충수단은 저장공간이 가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인입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제2케이싱; 상기 제2케이싱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케이싱과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3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uffer means is configured to vary the storage space, the first casing vertically installed in the inlet; A second casing of a loop type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ing and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hinge axis; And a third casing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ing and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a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열부는 상기 매거진의 배출단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는 스틱컨베이어; 상기 스틱컨베이어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 상기 스틱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상면을 지지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y portion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end of the magazine, the stick conveyor is started in a caterpillar type; A stick seating groov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It may include a pressing means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in order to prevent the stick from coming out of the stick seating groove during transport while being seated in the stick seating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틱삽입부는 상기 스틱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스틱의 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틱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파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 inserting part includes a gripping part that grips an end of a stick seated in the stick seating groove; A rotating portion that makes the stick form a vertical direction by rotating the gripping portion at an angle of 270°; And it may include a vertical transfer portion for moving up and down the grip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틱이 2곳을 통해서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스틱을 공급하는 주기를 늦출 수 있어서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ick can be independently supplied through two places, the worker can slow down the cycle of supplying the stick,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상기 수직저장부가 상하로 승하강되는 구조가 아니라 회전하는 구조여서 스틱의 적재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저장부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게 되며; 배열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수평으로 안착되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직하방향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스틱을 공급하는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storage portion is a structure that rotates rather than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vertical storage portion applied by the loading of the stick is reduced; The structure of the arrangement is simple, so there is no risk of failure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It can be achieved by a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and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feeding the stick by gripping the horizontally mounted stick and positioning it in the direct direction in on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수직공급부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배열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배열부의 정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스틱삽입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스틱삽입과정의 단계별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의 스틱 누름수단의 정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supply of the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arrangement of an ice bar stick inse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rrangement of the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tick inserting part of a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ep-by-step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ick insertion process of the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stick pressing means of the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겠으며, 다른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1 to 3 basically, and other drawings will be cited where necessary.

본 발명에 의한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이하, '스틱 삽입장치'라 함)는 스틱함(1), 스틱인출부(3), 수직저장부(5), 배열부(7) 및 스틱삽입부(9)를 포함한다. 적어도 스틱인출부(3)와 수직저장부(5)는 베이스프레임(10)에 의해 지면에 직립하게끔 설치된다. 단 배열부(7)와 스틱삽입부(9)는 몰드컨베이어(200)의 상면 양쪽에 얹힐 수 있다. The stick inserting device for ice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tick inserting device') is a stick box (1), a stick ejecting section (3), a vertical storage section (5), an array section (7) and a stick inserting section (9). At least the stick take-off part 3 and the vertical storage part 5 are installed to be upright on the ground by the base frame 10. However, the arrangement portion 7 and the stick insertion portion 9 may b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conveyor 200.

베이스프레임(10)에는 바퀴(10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틱 삽입장치는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300은 콘트롤박스를 도시한다. 작업자는 콘트롤박스(300)를 통해 각 부를 제어 또는 콘트롤할 수 있다. Wheels 10a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 As a result, the stick insertion device can be easily moved.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 control box. The operator can control or control each part through the control box 300.

스틱함(1)은 스틱(S)이 담겨지는 박스로서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스틱함(1)에는 스틱(S)이 방향만 일치한 상태에서 무작위로 투입되어 있다. 스틱인출부(3)는 스틱함(1)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직저장부(5)는 스틱인출부(3)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11)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것이다. 배열부(7)는 수직저장부(5)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것이다. 스틱삽입부(9)는 배열부(7)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부에 위치한 몰드(100)에 수직으로 꽂아 넣는 것이다. 스틱의 투입지점이 되는 몰드(100)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서 배열부(7)가 배열하는 스틱의 개수가 결정된다. The stick box 1 may be made of transparent plastic as a box containing the stick S. In the stick box 1, the stick S is randomly put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directions match. The stick drawer 3 is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sticks contained in the stick box 1 in a row. The vertical storage unit 5 stacks the sticks drawn out by the stick take-out unit 3 vertically and stacked into the loop-shaped magazine 11. The arranging unit 7 horizontally arranges the sticks loaded in the vertical storage unit 5 in a row. The stick inserting portion 9 grips the stick arranged in the arranging portion 7 and vertically inserts it into the mold 100 located at the bottom. The number of sticks arranged by the arrangement unit 7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molds 100 that are the input points of the sticks.

몰드(100)는 몰드컨베이어(200)에 의해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평이송된다. 물론 이 몰드컨베이어(200)는 냉동시스템 내에서 운전되는 것이다. 몰드(100)의 내부에는 아이스바의 원료가 충전되어 있으며, 원료는 냉동되는 과정에 있게 된다. The mold 100 is horizontally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transferred by the mold conveyor 200. Of course, the mold conveyor 200 is operat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Inside the mold 100, the raw material of the ice bar is filled, and the raw material is in the process of being frozen.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틱함(1), 스틱인출부(3) 및 수직저장부(5)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은 각기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또한 작동함으로써 독립적으로 배열부(7)에 스틱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어느 한쪽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도 다른 한쪽으로써 차질 없이 장치를 가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 box 1, the stick drawing portion 3 and the vertical storage portion 5 are each provided in a pair. These are each individually installed and also actuated to supply the stick to the array 7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a problem occurs in one side, the device can be operated without a hitch as the other side.

스틱함(1)에 쌓여있는 스틱을 하나씩 일렬로 인출하여 수직저장부에 공급하는 스틱인출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는 공지의 것과 다름없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선형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스크류봉(51)을 이용하여 스틱(S)을 하나씩 수직저장부(5)에 밀어올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stick take-out unit for drawing out the sticks stacked in the stick box 1 in line and supplying them to the vertical storage unit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know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sticks S are pushed to the vertical storage part 5 one by one using a pair of screw rods 51 in which a spiral blade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taking the way.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저장부(5)의 매거진(11)은 스틱의 공급속도와 배출속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이를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magazine 11 of the vertical storage unit 5 is provided with a buffer means for buffering the case where the supply speed and discharge speed of the stick are different.

이 완충수단은 저장공간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케이싱(13)과, 제1케이싱(13)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제2케이싱(17)과, 제2케이싱(17)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케이싱(17)과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3케이싱(19)을 포함한다. This buffer means is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of the storage space,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casing 13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let and the first casing 13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top A second casing 17 in the form of a loop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hinge shaft 15 and a third casing that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ing 17 and overlaps the second casing 17 The casing 19 is included.

제2케이싱(17)은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힌지축(15)을 중심으로 상부로 들려지는 경우에는 저장공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더 많은 양의 스틱(S)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여 가라앉는 경우에는 저장공간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스틱(S)의 저장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제2케이싱(17)의 회전각도(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스틱(S)의 추가 공급 여부 또는 공급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casing 17 is connected to the hinge, and thus, when lifted upwards around the hinge axis 15, the length of the storage space becomes longer and a larger amount of stick S can be stored. In the case of sinking by rotating downward about the hinge axis 15, the length of the storage space is shortened, so that the storage amount of the stick S is reduced. The rotation angle (or position) of the second casing 17 may be sensed to control whether the stick S is additionally supplied or the supply speed is controll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열부(7)를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배열부(7)는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몰드컨베이어(200) 위에 이를 직각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가로대(22)와,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하게끔 이 가로대(22)에 설치되는 스틱컨베이어(23)와,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25)과;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25)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틱(S)의 상면을 지지하는 누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대(22)는 오버헤드 방식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가로대(22)의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0)이 지지하고 타단은 승강대(39)가 지지한다. 따라서 장치는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9116010069-pat00001
"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unit 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5 to 7. The arrangement part 7 is provided under the discharge end 11a of the magazine 11 and is installed on the mold conveyor 200 to cross it at a right angle, and the cross section 22 is installed to move in a caterpillar type. A stick conveyor 23 installed in the 22 and a stick seating groove 25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a conveying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It may include a pressing means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S) in order to prevent the stick from coming out of the stick seating groove 25 during transport while being seated in the stick seating groove (25). The crossbar 22 extends later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 so as to be an overhead method. One end of the crossbar 22 is supported by a base frame 1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a platform 39. So the device as a whole"
Figure 112019116010069-pat00001
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

배열부(7)는 매거진(11)의 배출단에 설치되어 스틱이 스틱컨베이어(23)로 떨어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6)와 행거(28)를 포함한다. 행거(28)는 스틱컨베이어(23)의 좌우측에 포크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26)가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 아래로 하강할 경우(도 6의 우측에 해당)에는 스틱은 자중에 의해 스틱컨베이어(23) 상면에 닿게 된다. 스토퍼(26)가 상승한 때(도 6의 좌측에 해당)에는 스토퍼(26)가 매거진(11)의 맨 아래에 있는 스틱의 저면을 떠받치므로 스틱이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서 이격되어 있게 된다. 스토퍼(26)는 스틱컨베이어(23)가 기동할 때 스틱이 스틱안착홈(25)에 끼워진 상태에서만 통과될 수 있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전방에 설치된다. 스토퍼(26)는 스틱의 두께에 따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arrangement portion 7 is installed at the discharge end of the magazine 11 and includes a stopper 26 and a hanger 28 for limiting the stick from falling to the stick conveyor 23. Hangers 28 are arranged in the form of fork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ick conveyor 23 and ar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hen the stopper 26 descends below the transport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FIG. 6 ), the sticks r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by its own weight. When the stopper 26 is raised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of FIG. 6), the stopper 26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ck at the bottom of the magazine 11, so that the sticks are spaced apart from the transport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There will be. The stopper 26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discharge end 11a of the magazine 11 to limit the stick to pass through only when the stick is inserted into the stick seating groove 25 when the stick conveyor 23 starts. The stopper 26 may be installed to be finely adjustab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ick.

스틱컨베이어(23)는 가요성 벨트 형태로 되어 있으며 스틱의 길이보다 짧은 폭을 가진다. 스틱(S)이 얹어진 경우 스틱(S)은 스틱컨베이어(23)의 좌우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2개의 매거진(11,11')은 스틱컨베이어의 이송면을 따라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The stick conveyor 23 is in the form of a flexible belt and has a wid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tick. When the stick S is placed, the stick S protrude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tick conveyor 23. The two magazines 11 and 11' are arranged back and forth along the transport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누름수단은 스틱컨베이어(23)의 직상부에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블레이드(28)와, 가령 누름수단은 블레이드(28)와, 블레이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식재된 브러시(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브러시(29)는 빗자루처럼 스틱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스틱이 튀어오르려고 할 때 이를 누를 수 있게 설치된다. The pressing means includes a blade 28 fixed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ick conveyor 23, for example, the pressing means includes a blade 28 and a brush 29 plan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lade. You may. The brush 29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like a broom, and is installed to press it when the stick is about to bounce.

누름수단은 브러시를 대신하여 블레이드(28)의 하단에 일렬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29')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롤러(29')는 블레이드(28) 상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중에 의해 스틱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완충작용을 위하여 롤러(29')의 표면은 실리콘 등의 쿠션소재로 되어 있다. 롤러(29')는 블레이드(28)에 설치된 장공(28a)에 끼워져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롤러(29')는 스틱(S)의 상면에 닿을까 말까 할 정도로 설치되며 튀어오르는 스틱(S)을 자중으로 누르도록 한다. The press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29' installed in a row at the bottom of the blade 28 instead of the brush (see Fig. 9). The roller 29' is installed to be freely flowable up and down on the blade 28 and is configured to press the stick by its own weight. For cushioning, the surface of the roller 29' is made of a cushion material such as silicone. The roller 29 ′ is fitted to the long hole 28a installed in the blade 28 so as to flow up and down. The roller 29' is installed to the extent that it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S or not, and presses the sticking stick S with its own weight.

본 발명에 의한 스틱삽입부(9)는 파지부(31)와, 회전부(33)와 수직이송부(35)를 포함한다. 이하, 도 7과 도 8을 더 참조하여 스틱삽입부(9)를 설명한다. The stick inserting portion 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pping portion 31, a rotating portion 33 and a vertical transfer portion 35. Hereinafter, the stick insertion unit 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urther.

파지부(31)는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되어 있는 스틱의 단부를 파지하는 것으로서 공압 또는 전자석으로 작동하는 집게형 클램프(32)를 포함한다. 클램프(32)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실린더(321)에 의해 작동되며, 스틱(S)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레버(323)와, 클램프실린더(321)에 의해 힌지축(32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누름레버(323)와 함께 집게 역할을 하는 집게레버(322)와, 집게레버(3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틱(S)의 저면에 지지되는 집게핀(3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클램프(32)가 하나의 스틱(S)을 파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클램프(32)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스틱(S)을 파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gripping part 31 is a gripping type clamp 32 that is operated by pneumatic or electromagnet as a gripping end of the stick seated in the stick mounting groove 25. The clamp 32 is operated by a clamp cylinder 321, as shown in Fig. 8c, the pressing lever 323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S), and the hinge shaft 325 by the clamp cylinder 321 It includes a forceps lever 322 that serves as a forceps together with a pressing lever 323 while rotating around the forceps, and forceps pins 324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ck S as being installed on the forceps levers 3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e clamp 32 is shown to grip one stick S, but if necessary, one clamp 32 may be configured to grip two or more sticks S. It might be.

회전부(33)는 파지부(31)가 스틱(S)을 파지한 다음 파지부(31)를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틱(S)이 도 8c, 8d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부(33)는 회전축(37), 이 회전축(37)을 일정한 각도범위에서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7)은 양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대(39)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구동실린더는 모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rotating part 33 is such that the holding part 31 grips the stick S and then rotates the holding part 31 at an angle of 270° so that the stick S forms a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8C and 8D. will be. The rotating part 33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7 and a rotating driving cylinder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37 forward and backward 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he rotating shaft 37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platform 39 while both ends are supported. It is natural that the rotary drive cylinder can be replaced by a motor.

수직이송부(35)는 회전축(37) 및 회전축(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클램프(32)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직이송부(35)는 승강대(39)와, 승강대(39)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7)을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회전축의 양단에는 이동블럭(41)이 설치되고, 이동블럭(41)은 승강대(39) 내부에 고정 설치된 수직가이드봉(4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vertical transfer part 35 i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lamp 32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7 and the rotating shaft 37. The vertical transfer unit 35 includes a lifting platform 39 and a lifting driving unit for vertically moving the rotating shaft 37 installed on the platform 39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Moving blocks 41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moving blocks 41 can be moved along a vertical guide bar 43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platform 39.

승강구동부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방식일 수도 있고, 랙기어 구동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는 승강높이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lift driving unit may be a method using a pneumatic cylinder or a rack gear driving method. The elevation dr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elevation height as necessary.

한편, 누름수단의 블레이드(27)는 스틱을 클램프가 스틱을 파지하는 순간 스틱 위에서 비켜나도록 구성된다. 블레이드(27)는 가로대(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회전축(45), 블레이드회전축(45)과 블레이드(27)를 연결하는 블레이드아암(47), 및 블레이드회전축(45)을 회전시키킴으로써 블레이드(27)가 회전되면 상방향으로 들려지도록 하는 블레이드구동부(미도시됨)을 포함한다. 블레이드구동부는 블레이드기동실린더(30)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구동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27 of the pressing means is configured to move the stick out of the stick as soon as the clamp grips the stick. The blade 27 rotates the blade rotation shaft 45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rossbar 22, the blade arm 47 connecting the blade rotation shaft 45 and the blade 27, and the blade rotation shaft 45 It includes a blade driving unit (not shown) to be lifted upward when the blade 27 is rotated. The blade driving part is rotationally driven in a certain angular range by the blade starting cylinder 30.

이 블레이드구동부는 클램프(32)가 스틱을 파지한 순간 작동하여 스틱(S)의 상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driving part operates at the moment when the clamp 32 grips the stick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S is opened.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부, 회전부 및 수직이송부에 의해 수평으로 놓여있는 스틱을 수직방향으로 몰드(100)에 꽂아 넣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단계별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tick placed horizontally by the gripping part, the rotating part, and the vertical conveying part into the mold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of each ste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D.

도 8a는 스틱(S)이 배열부의 스틱컨베이어(23)에 의해 배열되어 있고, 블레이드의 브러시(29)가 스틱의 상면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32)는 스틱(S)의 끝은 파지한다. FIG.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tick S is arranged by the stick conveyor 23 of the array portion, and the brush 29 of the blade is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In this state, the clamp 32 grips the end of the stick S.

이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가 블레이드기동실린더(30)에 의해 블레이드회전축(45)을 회전중심으로 회전하여 위로 들리면서 스틱의 상면을 오픈시킨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8B, the blade rotates by rotating the blade rotation shaft 45 by the blade start cylinder 30 to the center of rotation, thereby opening the top surface of the stick.

이후,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부(33)가 스틱(S)을 파지하고 있는 파지부(31)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틱(S)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8C, the rotating part 33 rotates the gripping part 31 holding the stick S at an angle of 270° clockwise in the drawing so that the stick S forms a vertical direction.

이후,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이송부(35)는 스틱(S)을 파지하고 있는 클램프(32)를 하강시키면서 직하부에 대기하고 있는 몰드(100)에 스틱(S)을 꽂고 다시 상승한다. 그리고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270°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배열된 스틱을 파지하여 다음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스틱(S)을 단순한 동작에 의해 몰드(100)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8D, the vertical transfer part 35 inserts the stick S into the mold 100 waiting directly under the lower part while lowering the clamp 32 holding the stick S, and then rises again. . Then, while rotating at an angle of 270° counterclockwise again, as shown in FIG. 8A, the next arranged stick is gripped to repeat the next operation. The stick 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erted into the mold 100 by a simple operation.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The configuration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based on common technical common sens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may b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above are possible, and all possible combin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스틱함 3 : 스틱인출부
5 : 수직저장부 7 : 배열부
9 : 스틱삽입부 11.11' : 매거진
13,17,19 : 제1,2,3케이싱
15 : 힌지축
23 : 스틱컨베이어 25 : 스틱안착홈
26 : 스토퍼 27 : 블레이드
28 : 행거 29 : 브러시
29' : 롤러 31 : 파지부
32 : 클램프 33 : 회전부
35 : 수직이송부 37 : 회전축
39 : 승강대 41 : 이동블럭
43 : 수직가이드봉 45 : 블레이드회전축
47 : 블레이드아암
100 : 몰드 200 : 몰드컨베이어
300 : 콘트롤박스
1: Stick box 3: Stick drawer
5: vertical storage unit 7: array unit
9: Stick insert 11.11': Magazine
13,17,19: 1st, 2nd, 3rd casing
15: hinge axis
23: stick conveyor 25: stick seating groove
26: stopper 27: blade
28: hanger 29: brush
29': roller 31: gripping part
32: clamp 33: rotating part
35: vertical transfer section 37: rotating shaft
39: platform 41: mobile block
43: vertical guide rod 45: blade rotation axis
47: blade arm
100: mold 200: mold conveyor
300: control box

Claims (5)

스틱이 담겨지는 스틱함(1); 상기 스틱함(1)에 담긴 스틱을 일렬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틱인출부(3);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틱인출부(3)에 의해 인출되는 스틱을 루프 형태의 매거진(11)에 수직으로 겹겹이 적재하는 수직저장부(5);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대(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저장부(5)에 적재된 스틱을 일렬로 수평 배열하는 배열부(7); 상기 배열부(7)에 배열해 있는 스틱을 파지하여 하방에 위치한 몰드(100)에 수직으로 꽂아넣는 스틱삽입부(9)를 포함하되, 상기 배열부(7)는;
상기 매거진(11)의 배출단(11a)의 직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무한궤도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대(22)에 설치되는 스틱컨베이어(23);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스틱안착홈(25); 및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중에 상기 스틱안착홈(25)으로부터 스틱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틱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이송면 직상부에 설치되는 누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스틱컨베이어(23)의 직상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7);
상기 가로대(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회전축(45);
상기 블레이드회전축(45)과 블레이드(27)를 연결하는 블레이드아암(47); 및
상기 블레이드회전축(45)을 회전시키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7)가 회전되면 상방향으로 들려지도록 하는 블레이드구동부; 및
상기 스틱안착홈(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송중인 스틱이 상부로 돌출되는 경우 이를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27)의 하단에 설치되는 브러시(29) 또는 롤러(29')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누름수단의 블레이드(27)는 상기 스틱삽입부(9)가 상기 스틱을 파지하는 순간 상기 스틱 위에서 비켜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A stick box (1) on which the stick is stored; A stick take-out part 3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0 as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sticks contained in the stick box 1 in a line; A vertical storage unit (5) for vertically stacking the sticks drawn by the stick extraction unit (3) onto the loop type magazine (11) as being installed in the base frame (10); An arrangement unit (7) for horizontally arranging the sticks loaded in the vertical storage unit (5) as being installed on a horizontal rail (22)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 It includes a stick inserting portion (9) for gripping the sticks arranged in the array portion (7) and vertically inserting them into the mold (100) located below, the array portion (7);
A stick conveyor 23 which is provided directly under the discharge end 11a of the magazine 11 and is installed on the crossbar 22 so as to be maneuverable in a caterpillar type;
A stick seating groove 25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And
Installed on the transfer surface of the stick conveyor 23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stick in order to prevent the stick from coming out of the stick mounting groove 25 during transport while being seated in the stick mounting groove 25 It comprises a pressing means,
The pressing means;
A blade 27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ick conveyor 23;
A blade rotation shaft 45 rotatably installed on the crossbar 22;
A blade arm 47 connecting the blade rotation shaft 45 and the blade 27; And
A blade driving part that is lifted upward when the blade 27 is rotated by rotating the blade rotating shaft 45; And
By further comprising a brush 29 or a roller 29'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lade 27 so that when the stick being transported in the state seated in the stick seating groove 25 protrudes upward, it can be pressed;
The blade (27) of the pressing means is a stick inserting device for an ice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ck inserting part (9) is configured to move out of the stick at the moment of holding the sti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저장부(5)의 매거진(11)은 스틱의 공급속도와 배출속도가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이를 완충하기 위한 완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저장공간이 가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인입부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케이싱(13);
상기 제1케이싱(13)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루프 형태의 제2케이싱(17);
상기 제2케이싱(17)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케이싱(17)과 겹쳐지게 설치되는 제3케이싱(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gazine 11 of the vertical storage section 5 is provided with a buffer means for buffering the case where the supply speed and discharge speed of the stick are different, the buffer means;
As a configuration to make the storage space variable, the first casing (13)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let;
A second casing 17 in a loop form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ing 13 and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hinge shaft 15;
A third casing 19 that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sing 17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casing 17;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함(1), 스틱인출부(3) 및 수직저장부(5)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스틱인출부(3) 및 수직저장부(5)는 독립적으로 교번하여 작동하면서 상기 배열부(7)에 스틱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ick box 1, the stick take-out 3 and the vertical storage 5 are each provided in a pair;
The pair of stick take-out unit (3) and the vertical storage unit (5) are independently operated alternately while supplying a stick to the array unit (7).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삽입부(9)는;
상기 배열부(7)에 안착되어 있는 스틱의 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31);
상기 파지부(31)를 27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틱이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하는 회전부; 및
상기 파지부(31)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직이송부(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ick insertion portion 9;
A gripping portion 31 for gripping an end portion of the stick seated on the arrangement portion 7;
A rotating part that makes the stick form a vertical direction by rotating the gripping part 31 at an angle of 270°; And
A vertical conveying part 35 for elevating and holding the gripping part 31 in a vertical direction;
Stick insertion device for an ice bar comprising a.
KR1020190144285A 2019-11-12 2019-11-12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Active KR102125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85A KR102125867B1 (en) 2019-11-12 2019-11-12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KR1020200063422A KR102500549B1 (en) 2019-11-12 2020-05-27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85A KR102125867B1 (en) 2019-11-12 2019-11-12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422A Division KR102500549B1 (en) 2019-11-12 2020-05-27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867B1 true KR102125867B1 (en) 2020-06-23

Family

ID=711378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85A Active KR102125867B1 (en) 2019-11-12 2019-11-12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KR1020200063422A Active KR102500549B1 (en) 2019-11-12 2020-05-27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422A Active KR102500549B1 (en) 2019-11-12 2020-05-27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2586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696B1 (en) * 2020-08-27 2021-03-25 윤찬웅 Stick Feeder for Ice Bar Manufacturing System
EP4018837A1 (en) * 2020-12-28 2022-06-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stick handling apparatus, an ice cream produ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ducing ice cream
KR102519849B1 (en) 2022-12-05 2023-04-11 주식회사조흥기계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Improved In Safety
KR20230111291A (en) * 2022-01-18 2023-07-25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Drop-off type stick supply device
CN112868822B (en) * 2021-01-20 2024-06-11 里森食品(广州)有限公司 Automatic rod tea forming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6986B1 (en) * 2022-02-03 2024-12-03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Gate device for stick transfer
KR102606034B1 (en) * 2023-06-07 2023-11-24 주식회사조흥기계 Apparatus For Supplying Round Sticks For Ice Bar
KR102675631B1 (en) * 2023-12-15 2024-06-18 (주)스위트원 Food coat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193A (en) * 1985-02-06 1987-12-29 Sauer S.P.A.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opsicles and icecreams incorporaing a holding stick
KR19980057836U (en) * 1997-02-13 1998-10-15 이익재 Round Stick Feeder in Ice Bar Maker
KR200376464Y1 (en) * 2004-12-09 2005-03-10 이익재 Support structure of stick insert device for icecr-bar
JP3689561B2 (en) * 1998-06-09 2005-08-31 株式会社イズミフードマシナリ Stick insertion device for frozen desserts
KR20050105665A (en) * 2004-05-03 2005-11-08 이익재 Stick insert device for icecream
KR20140110299A (en) 2013-03-07 2014-09-17 이익재 Appratus supplying for stick
KR101967258B1 (en) * 2018-09-07 2019-04-09 주식회사조흥기계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 b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280096A (en) * 1996-10-25 1998-05-22 Ntc Engineering Aps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ticks in an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in ice-cream bodies
KR200400056Y1 (en) * 2005-08-18 2005-11-01 이익재 Stick feeder guide unite for ice-bar stick insert system
CN109760998B (en) * 2018-11-26 2021-06-25 安徽双好食品有限公司 Ice cream bar loading attachme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5193A (en) * 1985-02-06 1987-12-29 Sauer S.P.A.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opsicles and icecreams incorporaing a holding stick
KR19980057836U (en) * 1997-02-13 1998-10-15 이익재 Round Stick Feeder in Ice Bar Maker
JP3689561B2 (en) * 1998-06-09 2005-08-31 株式会社イズミフードマシナリ Stick insertion device for frozen desserts
KR20050105665A (en) * 2004-05-03 2005-11-08 이익재 Stick insert device for icecream
KR100542110B1 (en) * 2004-05-03 2006-01-11 이익재 Ice Cream Stick Feeder
KR200376464Y1 (en) * 2004-12-09 2005-03-10 이익재 Support structure of stick insert device for icecr-bar
KR20140110299A (en) 2013-03-07 2014-09-17 이익재 Appratus supplying for stick
KR101446202B1 (en) * 2013-03-07 2014-10-01 이익재 Appratus supplying for stick
KR101967258B1 (en) * 2018-09-07 2019-04-09 주식회사조흥기계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 ba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696B1 (en) * 2020-08-27 2021-03-25 윤찬웅 Stick Feeder for Ice Bar Manufacturing System
EP4018837A1 (en) * 2020-12-28 2022-06-2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stick handling apparatus, an ice cream produ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ducing ice cream
WO2022144121A1 (en) * 2020-12-28 2022-07-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stick handling apparatus, an ice cream produc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ducing ice cream
CN112868822B (en) * 2021-01-20 2024-06-11 里森食品(广州)有限公司 Automatic rod tea forming equipment
KR20230111291A (en) * 2022-01-18 2023-07-25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Drop-off type stick supply device
KR102712212B1 (en) * 2022-01-18 2024-10-15 성원자동기계 주식회사 Drop-off type stick supply device
KR102519849B1 (en) 2022-12-05 2023-04-11 주식회사조흥기계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Improved In Saf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646A (en) 2021-05-21
KR102500549B1 (en)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867B1 (en) Apparatus For Inserting Sticks For Iced Bar
EP19960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crop and cropholder
US3506140A (en) Apparatus for handling eggs
US555398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containers for cigarette trays
JP50959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batches of tobacco products
KR100995483B1 (en) Application of the loading register
JPH0646900B2 (en) Nursery facility
US3169646A (en) Lumber stacker
FR2593788A1 (en) CONTINUOUSLY POWERED STORAGE APPARATUS
KR101446202B1 (en) Appratus supplying for stick
KR100542110B1 (en) Ice Cream Stick Feeder
DK144671B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ONE IN A CONTAINER IMPORTED FROZEN EDIBLE AND WITH A COVERED PRODUCT
US4105384A (en) Apparatus for insertion of sticks in ice cream bodies
NO172025B (en) DEVIC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ICE CREAM PRODUCTS
US4535605A (en) Apparatus for extraction of articles frozen in moulds in a freezing machine
KR100810962B1 (en) Egg sorter
CN111775213B (en) Forest Crusher
JP3410714B2 (en) Tray filling mechanism for frozen dessert without chopsticks in the frozen dessert production equipment
WO1998037754A1 (en) Seed bacteria container feeding mechanism in seed bacteria inoculation apparatus
JPS5931217A (en) Automatic formation apparatus for fish-tray agglomerated body
KR101891174B1 (en) Biscuit Insert Unit
JP3552133B2 (en) Pot filling equipment
US12262698B2 (en) U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unloading transport units for live poultry
JPH08126433A (en) Seed inoculator
JPH11130258A (en) Nursery cabinet tiering and takeo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21018

Appeal identifier: 202210000288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88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018

Effective date: 2024101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4101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21018

Decision date: 20241015

Appeal identifier: 2022100002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