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622B1 - Weed remover - Google Patents
Weed remo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5622B1 KR102125622B1 KR1020180136076A KR20180136076A KR102125622B1 KR 102125622 B1 KR102125622 B1 KR 102125622B1 KR 1020180136076 A KR1020180136076 A KR 1020180136076A KR 20180136076 A KR20180136076 A KR 20180136076A KR 102125622 B1 KR102125622 B1 KR 102125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weed
- root
- cut
- weed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장물 주변에 자라는 잡초를 제거할 때 잡초를 선별하여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절단된 잡초뿌리를 작은 힘으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잡초제거기에 관한것으로,
잡초뿌리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일측으로 편심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자루부와, 자루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로 형성되며, 잡초뿌리를 칼날을 사용하여 절단하는 뿌리절단칼날부와, 절단된 잡초를 긁어 모을 수 있는 톱날부로 구성하여 농작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세밀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걸림홈을 형성하여 절단된 잡초줄기 또는 뿌리를 끼워 잡아당기는 힘으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뿌리가 절단된 잡초를 쉽게 뽑아낼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ed remover configured to select and cut weeds when removing weeds growing around farm water, and to easily remove cut weed roots with a small force,
It consists of a cutting part for cutting and removing weed roots, a bag part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cutting part, and a handle fastened to the bag part, and the cutting part is formed to have an eccentric length to one side around the handle, and weeds. It consists of a root cutting blade part that cuts the root using a blade, and a saw blade part that can scrape and cut the weeds, so that a detailed cutting operation that does not damage the crop is made, and the weed stem or root that is cut by forming a jamming groove With the pull-in force, the user can easily pull out weeds whose roots have been cut without exerting too much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장물 주변에 자라는 잡초를 제거할 때 잡초뿌리를 선별하여 세밀히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쓰러져 있는 잡초를 긁어모을 수 있으며, 절단된 잡초뿌리를 작은 힘으로 손쉽게 잡아당겨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ed remover, and more specifically, when removing weeds growing around farm water, it is possible to finely cut the weed roots, scrape the fallen weeds, and collect the cut weed roots. It relates to a weed remover configured to be easily pulled out by force.
일반적으로 밭에 농작물을 파종하거나 감자와 같은 농작물을 캐기 위해서는 전통 농기구인 호미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homi, a traditional farming tool, is used to sow crops in fields or to harvest crops such as potatoes.
상기 호미는 끝은 뾰족하고 위로 가며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날부와, 날부 일단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농작물 주변에서 자라는 잡초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The hoe consists of a blade having a pointed tip and going upward and gradually widening, and a handle combined to be gripped by hand at one end of the blade, and is also used to remove weeds growing around crop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농기구인 호미는 뾰족한 선단에서 점차 넓어지는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호미질을 할 경우 뾰족한 부분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잡초 뿌리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잡초뿌리채 걷어 내는 것으로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점차 넓어지는 호미의 특성상 옆에 있는 농장물의 뿌리를 같이 훼손하게 되어 농작물이 자랄 수 없도록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arming machine, hoe,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widening surface at a pointed tip, so that weeds are removed using a pointed part when homing to remove weeds, but this does not cut the weed roots. A problem was raised that it takes great power by removing weed roots and damages the roots of the farms next to it due to the nature of the hoe that gradually expands.
이에 종래 호미의 문제점을 해소된 잡초를 쉽게 뽑기 위한 "ㄱ" 형상으로 절곡된 날부와, 날부 후방에 결합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는 잡초제거기(네이버검색:울프가르덴)가 시판되고 있다.To this end, weed removers (naver search: Wolfgarden) are commercially available, which consist of a blade bent in a “a” shape to easily remove weeds that solves the problem of conventional hoe and a handle coupled to the rear of the blade.
그러나, 종래 잡초제거기는 날부가 절곡된 꼭지점을 중심으로 외측 양면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 농작물과 잡초가 어우러진 밭에서 잡초 뿌리만을 세밀하게 선별하여 절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weed remover has a problem in that the blad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edge around the apex where the blade is bent, so that only the weed roots are carefully selected and cut in the field where the crops and weeds are harmonized.
또한, 상기 뿌리를 절단한 잡초를 걷어내기 위해 "ㄱ"자 절곡된 부분의 홈에 잡초를 걸어 당기게 되면 손잡이에 대해 직각면으로 된 칼날이 당겨지는 힘의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잡초에 힘이 제대로 실리지 않게 되어 잡초를 제거하는데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잡초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weeding and pulling the weeds into the grooves of the “b” shaped bent portion in order to remove the weeds that have cut the roots, if the blades in a right angle to the handle cannot maintain a right angl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he pulling for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eeds are not properly loaded, and since weeds require a great force to remove weeds, weeds are not easily removed.
본 발명은 농작물 주변에 기생하는 잡초를 절단부를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절단되어 쓰러진 잡초의 경우 톱날부를 사용하여 쉽게 긁어모을 수 있도록 하며, 잡초를 손으로 잡고 제거할 경우 절단된 잡초의 줄기 도는 뿌리를 걸림홈으로 유도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잡초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ut the weeds parasitic around the crop using a cutting part, and in the case of cut and fallen weeds, it can be easily scraped using a saw blade, and when weed and remove the weeds by h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ed remover that can remove weeds without inducing a great deal of force by guiding the stem or roots into the jamming groov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잡초뿌리를 절단 제거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일측으로 편심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자루부와, 자루부에 체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와, 잡초뿌리를 절단하는 뿌리절단칼날부와 톱날부로 구성되는 것이다.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and removing weed roots, an eccentric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cutting portion, and a handle fastened to the sack portion, and the cutting portion is direct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handle. It consists of an eccentric length and a root cutting blade part and a saw blade part for cutting weed roots.
본 발명은 농작물 주변에 자란 잡초를 제거시 잡초뿌리만 세밀하게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농작물을 손상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ot damaging the crop by carefully cutting only the weed root when removing weeds grown around the crop.
또한, 뿌리절단칼날부는 지중에 있는 뿌리를 절단시 선단에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를 지중에 찔러 넣으며 절단하거나 후방 단부에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를 이용하여 잡아당기며 절단할 수 있어 잡초가 자란 상태나 농작물에 근접한 상태에 따라 선별 사용함으로써 세밀한 절단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ot cutting blade part can be cut by inserting the root cutting blade part formed in the tip into the ground when cutting the roots in the ground, or by pulling and cutting using the root cutting blade part formed at the rear end. It is possible to make detailed cutting work by selecting and using according to the proximity.
또한, 농작물에 근접한 작은 잡초의 경우 일측 경사면과 후단부의 칼날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칼날을 이용하여 세밀한 절단작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ll weed close to the crop,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ine cutting operation by using a blade at an edge where a blade meets one side and a blade at the rear end.
또한, 톱날부를 이용하여 절단된 잡초를 쉽게 긁어 모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ut weeds can be easily scraped and removed using a saw blade.
또한, 뿌리절단칼날부로 절단된 잡초는 걸림홈으로 잡초줄기 또는 뿌리를 끼워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뿌리가 절단된 잡초를 모아서 쉽게 뽑아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eeds cut by the root cutting blade part can be easily pulled out by collecting weeds whose roots have been cut without exerting great force by pulling the weed stems or roots into the engaging groove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은 절단부(10)와, 절단부(10) 상측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자루부(20)와, 자루부(20) 상단에 결합 구성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상기 절단부(10)는 자루부(2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잡초뿌리의 절단 편의 성을 갖도록 자루부(20)에서 일정각도 절곡한 절곡부(15)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절단부(10)는 네 곳의 외측 단부를 형성하되 일측은 뾰족한 모서리를 갖도록 일측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다.The
상기 절단부(10)는 네 곳의 외측 단부에 잡초뿌리를 절단할 수 있는 뿌리절단칼날부(11)와 절단된 뿌리를 쉽게 끌어모을 수 있는 톱니형으로 형성된 톱날부(12)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뿌리절단칼날부(11)는 세 곳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root
상기 톱날부(12)는 뿌리절단칼날부(11) 중 자루부(2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톱날부(12)는 뿌리절단칼날부(11) 중 경사면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톱날부(12)는 뿌리절단칼날부(11) 중 선단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0)는 한 곳의 단부에 뿌리절단칼날부(11)를 형성하고 두 곳 이상의 단부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톱날부(12)는 자루부(20)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와 경사지게 형성된 측면부 양측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톱날부(12)는 자루부(20)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와 선단 양측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톱날부(12)는 양 측면부와 선단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본 발명은 자루부(20)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뿌리절단칼날부(11)로 형성하고, 자루부(20) 하단부와 인접한 부위에는 뿌리가 절단된 잡초줄기를 걸어 당겨서 모을 수 있도록 줄기를 홈으로 유도하는 유도곡면(13)이 형성되고, 유도곡면(13)에 의해 자루부(20)와의 사이에 걸림홈(14)이 형성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connected to the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us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절단부(10)와, 절단부(10) 상측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절단부(10)와 절곡부(15)에 의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자루부(20)와, 자루부(20) 상단에 결합 구성되는 손잡이(30)로 구성되어 손잡이(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절단부(10)로 잡초뿌리를 절단한 후 잡초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때, 상기 절단부(10)는 칼날로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11)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된 톱날부(12)로 구성되어 있어 뿌리절단칼날부(11)로 잡초뿌리를 절단한 후 주변에 흩어져 있는 잡초를 톱날부(12)를 이용하여 한곳으로 쉽게 긁어 모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때, 절단부(10)는 자루부(20)에서 일정각도 절곡된 절곡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절단부(10) 선단에 형성된 뿌리절단칼날부(11)를 지중에 찔러 넣을 때 자루부(20)는 지면과 거의 수직에 가까운 상태에서 지중으로 힘을 가하게 되나 절단부(10)는 지면과 거의 수평에 가까운 상태에서 지중으로 투입되며 잡초뿌리를 절단하게 되어 가하는 가압력은 증대되고 지중에서의 저항력은 저하되어 잡초뿌리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절단부(10)는 자루부와 평행한 위치의 측면과 경사면 또는 선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톱날부(12)를 형성하여 실시함으로써 잡초뿌리를 절단후 쓰러진 잡초를 톱날부(12)를 이용하여 쉽게 긁어모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경사면으로 형성한 일측 단부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세밀한 절단작업이 필요시 뾰족한 모서리의 양측변에 위치한 칼날부(11)를 이용하여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is sharply formed at the end, and thus, when a fine cutting operation is required, the cu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또한, 상기 자루부(20)에 근접한 부위에서 후단부에 형성된 칼날부 방향으로 절단된 잡초뿌리 및 줄기를 유도하는 유도곡면(13)과, 유도곡면(13)에 의해 자루부(20)와의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14)이 형성되어 뿌리가 절단된 잡초의 줄기를 유도곡면(13)을 사용하여 걸림홈(14)에 모이도록 하여 잡아당김으로 써 쉽게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etween the induction
10 : 절단부 11 : 뿌리절단칼날부
12 : 톱날부 13 : 유도곡면
14 : 걸림홈 15 : 절곡부
20 : 자루부 30 : 손잡이10: cutting part 11: root cutting blade part
12: saw blade 13: guide curved surface
14: locking groove 15: bend
20: bag 30: handle
Claims (3)
상기 절단부(10)는 손잡이(3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된 길이와, 잡초뿌리를 칼날로 절단하는 뿌리절단칼날부(11)와, 절단된 잡초뿌리를 긁어 모을 수 있는 톱날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뿌리절단칼날부(11)는 절단부(10)의 외측 네 곳의 단부 중 삼면에 형성되고,
상기 톱날부(12)는 절단부(10)의 사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10)는 잡초뿌리를 절단하기 위해 지중으로 투입시 지면과 수평에 가깝도록 절곡한 절곡부(15)가 형성되어 절단부(10)에 가해지는 저항이 최소화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20)와 후방에 형성된 칼날부(11) 사이에는 절단된 잡초뿌리 또는 줄기를 끼워지게 하여 작은 힘으로 뽑아 낼 수 있도록 잡초뿌리 또는 줄기를 걸림홈(14)으로 유도하는 유도곡면(13)과 잡초뿌리 또는 줄기가 끼워져 걸림되게 하측으로 가면 점차 좁아지는 걸림홈(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It consists of a cutting part (10) for cutting and removing weed roots, a bag part (20) eccentric to one side of the cutting part (10), and a handle (30) fastened to the bag part (20),
The cutting part 10 has a length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handle 30, a root cutting blade part 11 for cutting the weed root with a blade, and a saw blade part 12 for scraping and collecting the cut weed root. It consists of,
The root cutting blade portion 11 is formed on three sides of the four outer ends of the cutting portion 10,
The saw blade portion 12 is formed on any one of the slopes of the cutting portion 10,
The cutting part 10 is formed so that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cutting part 10 is minimized by forming a bent part 15 bent so as to be close to the ground level when it is put into the ground to cut the weed root;
An induction curved surface (inducing the weed root or stem into the engaging groove 14) so that the cut weed root or stem is sandwiched between the bag portion 20 and the blade portion 11 formed at the rear to be extracted with a small force. 13) and weed root or stem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jamming groove (14) is gradually narrowed to go to the lower side to be jammed.
상기 뿌리절단칼날부(11)는 절단부(10)의 사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ot cutting blade portion 11 is a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ny one of the slopes of the cutting portion (10).
상기 톱날부(12)는 절단부(10)의 사면 중 삼면 이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According to claim 1,
The saw blade portion 12 is a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ree or more of the slopes of the cutting portion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719 | 2017-11-08 | ||
KR20170147719 | 2017-11-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641A KR20190052641A (en) | 2019-05-16 |
KR102125622B1 true KR102125622B1 (en) | 2020-06-22 |
Family
ID=6667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076A Active KR102125622B1 (en) | 2017-11-08 | 2018-11-07 | Weed remo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562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4371B1 (en) | 2022-08-10 | 2023-04-20 | 신택권 | Farm Tools for Weed Removal |
KR20250020079A (en) | 2023-08-03 | 2025-02-11 | 최종용 | Weed remov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84123A1 (en) | 2006-05-23 | 2007-12-13 | Lee Elliot W | Back saver weeder |
JP7032643B2 (en) * | 2017-08-16 | 2022-03-09 | 国立大学法人帯広畜産大学 | Bread-making hybrid yeast with good flavor and flavor characteristic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47226A (en) * | 1971-12-16 | 1974-11-12 | R Long | Weeder |
JPS59191101U (en) * | 1983-02-01 | 1984-12-18 | 入江 貞美 | Weeding trowel with serrated blade and small prongs |
-
2018
- 2018-11-07 KR KR1020180136076A patent/KR1021256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84123A1 (en) | 2006-05-23 | 2007-12-13 | Lee Elliot W | Back saver weeder |
JP7032643B2 (en) * | 2017-08-16 | 2022-03-09 | 国立大学法人帯広畜産大学 | Bread-making hybrid yeast with good flavor and flavor characteristic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4371B1 (en) | 2022-08-10 | 2023-04-20 | 신택권 | Farm Tools for Weed Removal |
KR20250020079A (en) | 2023-08-03 | 2025-02-11 | 최종용 | Weed remo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641A (en) | 2019-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75320C (en) | Garden tool | |
KR102125622B1 (en) | Weed remover | |
US3138211A (en) | Multi-purpose garden implement | |
US2642305A (en) | Garden weeder | |
KR101872251B1 (en) | Weed remover | |
US7100899B2 (en) | Weed puller | |
US2121265A (en) | Weeder | |
US2243127A (en) | Weeding and cultivating tool | |
CN202841902U (en) | weeder | |
EP2405733A1 (en) | Tool for engagement in the ground | |
US2317801A (en) | Garden tool | |
KR20190110394A (en) | Weed remover | |
US20180177115A1 (en) | Multipurpose Planting Hand Tool | |
JP3219949U (en) | Weeding tool with iron | |
US1438095A (en) | Garden tool | |
JP4452759B1 (en) | Farm tools and blades | |
US2901280A (en) | Weeding tool | |
WO2003037062A1 (en) | A horticultural or agricultural tool | |
JP5305369B1 (en) | Weeding tools | |
RU214425U1 (en) | TOOL FOR EXTRACTION OF WEEDS AND ROOTS | |
KR200272871Y1 (en) | Weeding hoe having a blade | |
KR101508567B1 (en) | agricultural tool | |
JP3118026U (en) | Weeding tool | |
KR101213216B1 (en) | Agricultural implement with multipurpose | |
JP6406751B2 (en) | Weed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