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583B1 - Socket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of base connector - Google Patents
Socket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of bas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5583B1 KR102125583B1 KR1020140032713A KR20140032713A KR102125583B1 KR 102125583 B1 KR102125583 B1 KR 102125583B1 KR 1020140032713 A KR1020140032713 A KR 1020140032713A KR 20140032713 A KR20140032713 A KR 20140032713A KR 102125583 B1 KR102125583 B1 KR 102125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base
- connector
- contact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소켓 컨택트가 소켓 하우징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소켓 하우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소켓 커넥터(2)는 소켓 커넥터(2)와 베이스 커넥터(3)가 조합된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하우징(60)과 조합되는 소켓 하우징(10)과,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컨택트(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50)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50)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5)을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10)은 케이블(5)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가 배치되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를 구비하고,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는 케이블(5)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인하기 위한 시인용 창(25a, 25b)을 구비한다.[Problem] A socket housing is provided for easily detecting a state in which a socket contact is not disposed at a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housing.
[Solution] The socket connector 2 is a socket housing 10 that is combined with the base housing 60 in a combined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nector 2 and the base connector 3 are combined, and the base contact 80 in the combined state. And a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5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ables 5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50. The socket housing 10 includes a socket contact arrangement 20 where the socket contact 50 to which the cable 5 is connected is disposed, and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20 is a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5 is connected ( It is provided with a viewing window (25a, 25b) for viewing whether or not 50) is arranged in the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20).
Description
본 한국특허출원은 2개의 일본특허출원 일본국 특원2013-073777(2013년 03월 29일 출원) 및 일본국 특원2014-026122(2014년 02월 14일 출원)을 기초로 한다.This Korean patent application is based on two Japanese patent application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3-073777 (filed on March 29, 201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4-026122 (filed on February 14, 2014).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 및 소켓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housing of a socket connector and a base housing of a base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a socket connector.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는 소켓 하우징(socket housing)과, 복수의 소켓 컨택트(contact)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 커넥터의 제조시에서는, 소켓 컨택트와 케이블을 미리 접속시켜 어셈블리를 형성해 두고, 소켓 컨택트와 케이블과의 어셈블리를 소켓 하우징의 소켓 컨택트 배치부에 배치하여, 소켓 커넥터를 제조한다.The socket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socket housing, a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and a plurality of cab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respectively. In the manufacture of the socket connector, the socket contact and the cable are connected in advance to form an assembly, and the assembly of the socket contact and the cable is placed in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of the socket housing to manufacture the socket connector.
그러나, 제조시에 있어서, 소켓 컨택트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고(반(半)삽입, 불완전삽입), 소켓 컨택트가 정상(定常)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제조 문제점)가 있다. 이 경우, 소켓 커넥터와 베이스 커넥터와의 조합상태에서, 소켓 컨택트는 베이스 컨택트에 완전하게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manufacturing, there are cases where the socket contact is not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half insertion, incomplete insertion), and the socket contact is not placed in the normal position (manufacturing problem). In this case, in the combined state of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the socket contact does not completely contact the base contact. For this reason, the function of the connector may not be exhibited.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5-197184호 공보에 기재한 기술에서는, 소켓 컨택트와 케이블과의 어셈블리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에 어느 정도 삽입되면, 소켓 컨택트는 소켓 하우징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소켓 컨택트가 정상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반삽입)를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For example,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97184, when the assembly of the socket contact and the cable is inserted to some extent in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the socket contact is obscured by the socket housing.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detect a state (semi-insertion) in which the socket contact is not placed at the normal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소켓 컨택트가 소켓 하우징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소켓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cket housing that can easily detect a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tact is not disposed at the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housing.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se housing of a base connector.
본 발명은 베이스 하우징 및 베이스 컨택트를 구비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으로서,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조합되는 상기 소켓 하우징과,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와, 복수의 상기 소켓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배치되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는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인하기 위한 시인(視認)용창을 구비하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cket housing of a socket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having a base housing and a base contact, wherein the socket connector is the socket combined with the base housing in a combination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are combined. A housing, a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in the combined state, and a plurality of cab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wherein the socket housing has the socket contacts to which the cables are connected.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is provided, and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is a socket connector having a viewing window for acknowledging whether the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s disposed at a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It relates to a socket housing.
또, 상기 소켓 컨택트로부터 상기 케이블로 향하는 방향을 제5 방향이라 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소켓 컨택트에서의 상기 제5 방향의 측의 단부는 상기 시인용 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tact to the cable is referred to as the fifth direction, the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s disposed at the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and the first agent is removed from the socket contact.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on the side in the 5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window for viewing.
또,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하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소켓 컨택트로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소켓 컨택트로부터 상기 케이블로 향하는 방향을 제5 방향이라고 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에,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ombined state, a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nector to the base connector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called a second direction, and a direction from the cable to the socket contact.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tact to the cable is the fifth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s the third direction, the viewing window i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arrangement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viewing window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is arranged to be shifted in the third direction.
또, 상기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4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window adjacent to the third direction is arranged to be shifted in the fourth direction.
또, 상기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window adjacent to the third direction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은 베이스 하우징 및 베이스 컨택트를 구비하는 베이스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으로서,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조합되는 상기 소켓 하우징과,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와, 복수의 상기 소켓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하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소켓 컨택트로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소켓 컨택트로부터 상기 케이블로 향하는 방향을 제5 방향이라고 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에, 상기 소켓 커넥터에서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열되어, 소켓 컨택트군(群)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소켓 컨택트군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켓 컨택트군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켓 컨택트는 상기 제4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ocket housing of a socket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having a base housing and a base contact, wherein the socket connector is the socket combined with the base housing in a combination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are combined. A housing, a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in the combined state, and a plurality of cab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in the combined state, from the socket connector to the base connector Th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cable to the socket contact is referred to as the fourth direc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tact to the cable When th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fifth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s called a third direction, the socket contacts to which the cables are connected in the socket connector are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 A socket contact group is formed, the socket contact group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ocket contact groups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are arranged out of alignment in the third direction, The socket contact adjacent to the third direction is related to the socket housing of the socket connector which is displaced in the fourth direction.
또,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소켓 컨택트군에서의 각 상기 소켓 컨택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socket contacts in the group of socket contacts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 소켓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으로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에서, 상기 베이스 컨택트가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열되어, 베이스 컨택트군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컨택트군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컨택트군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컨택트는 상기 제4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housing of a base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ocket connector, wherein in the base connector, the base contacts are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to form a base contact group, and the base contact group is the first A plurality of row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the base contact groups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are arranged to be shift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base contacts adjacent to the third direction are arranged to be shifted to the fourth direction. It relates to the base housing of the base connector.
또, 상기 소켓 커넥터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상기 베이스 커넥터의 베이스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컨택트군에서의 각 상기 베이스 컨택트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the base housing of the base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ocket connector, each of the base contacts in the base contact group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desirable.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 컨택트가 소켓 하우징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소켓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cket housing that can easily detect a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tact is not disposed at the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하우징(10)을 가지는 소켓 커넥터(2)와, 베이스 하우징(60)을 가지는 베이스 커넥터(3)를 조합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를 베이스 커넥터(3)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켓 컨택트(50)와 베이스 컨택트(80)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 커넥터(3)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커넥터(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 커넥터(3)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이스 커넥터(3)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베이스 컨택트(8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소켓 커넥터(2)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소켓 커넥터(2)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소켓 커넥터(2)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소켓 커넥터(2)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소켓 커넥터(2)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상단(上段)의 소켓 컨택트(50a)를 통과하도록 소켓 커넥터(2)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하단(下段)의 소켓 컨택트(50b)를 통과하도록 소켓 커넥터(2)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가상적으로 케이블(5)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2)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소켓 컨택트(50)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소켓 컨택트(50)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커넥터(2A)와 베이스 커넥터(3A)를 조합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1 대응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를 베이스 커넥터(3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 대응도).
도 21은 베이스 커넥터(3A)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4 대응도).
도 22는 베이스 커넥터(3A)의 측면도이다(도 7 대응도).
도 23은 소켓 커넥터(2A)의 평면도이다(도 10 대응도).
도 24는 소켓 커넥터(2A)의 배면도이다(도 11 대응도).
도 25는 소켓 커넥터(2A)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12 대응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커넥터(2A)와 베이스 커넥터(3A)를 조합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19 대응도).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를 베이스 커넥터(3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0 대응도).
도 28은 베이스 커넥터(3A)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1 대응도).
도 29는 베이스 커넥터(3A)의 측면도이다(도 22 대응도).
도 30은 소켓 커넥터(2A)의 평면도이다(도 23 대응도).
도 31은 소켓 커넥터(2A)의 배면도이다(도 24 대응도).
도 32는 소켓 커넥터(2A)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5 대응도).
도 33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보강탭(reinforcing tab)(7)의 사시도이다.1 is a combination of a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tact 50 and th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5 is a plan view of th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7 is a side view of th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10 is a plan view of the
11 is a rear view of th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13 is a bottom view of the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1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9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g. 22 is a side view of the
23 is a plan view of the
24 is a rear view of the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2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26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g. 29 is a side view of the
Fig. 30 is a plan view of the
Fig. 31 is a rear view of the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켓 하우징을 구비하는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하우징을 구비하는 베이스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하우징(10)을 가지는 소켓 커넥터(2)와, 베이스 하우징(60)을 가지는 베이스 커넥터(3)를 조합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를 베이스 커넥터(3)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소켓 컨택트(50)와 베이스 컨택트(80)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베이스 커넥터(3)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커넥터(3)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베이스 커넥터(3)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베이스 커넥터(3)의 측면도이다.Hereinafter, the socket connector provided with the socket housing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the base connector provided with a base housing are demonstrated, referring drawings. 1 is a combination of a
도 8은 베이스 컨택트(8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소켓 커넥터(2)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소켓 커넥터(2)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소켓 커넥터(2)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소켓 커넥터(2)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소켓 커넥터(2)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상단의 소켓 컨택트(50a)를 통과하도록 소켓 커넥터(2)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하단의 소켓 컨택트(50b)를 통과하도록 소켓 커넥터(2)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가상적으로 케이블(5)을 생략하여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2)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소켓 컨택트(50)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소켓 컨택트(50)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3)는 베이스 하우징(60)과 베이스 컨택트(80)를 구비한다. 베이스 커넥터(3)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도 1 ~ 도 3, 도 9 ~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커넥터(2)는 베이스 하우징(60)과 조합되는(끼워맞춤 또는 접속되는) 소켓 하우징(10)과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컨택트(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50)와, 복수의 소켓 컨택트(50)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5)을 구비한다.1 to 8, the
또한, 소켓 커넥터(2)와 베이스 커넥터(3)가 조합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를 「조합상태」라고 한다. 또, 상기 조합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로부터 베이스 커넥터(3)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 하고, 제1 방향(D1)과는 반대방향의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 하며, 케이블(5)로부터 소켓 컨택트(50)로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D4)」이라 하고, 제4 방향(D4)과는 반대방향의 방향을 「제5 방향(D5)」이라 하며, 제1 방향(D1) 및 제4 방향(D4)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고 한다.In addition, the state shown in FIGS. 1 and 2 in which the
다음으로, 베이스 커넥터(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 커넥터(3)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커넥터이다. 도 1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3)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하우징(60)과, 복수의 베이스 컨택트(8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하우징(60)은 평면에서 보아(제1 방향(D1)으로 본 경우에)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베이스 하우징 기부(基部)(61)와 벽부(62, 63)를 구비하고 있다. 벽부(62, 63)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베이스 하우징 기부(61)의 4변 중 3변으로부터 세워져 있으며, 평면에서 보아 「コ」자 모양이다.Next, the
베이스 하우징 기부(61)는 베이스 하우징 기부 상단부(61a)와 베이스 하우징 기부 하단부(61b)를 가진다. 베이스 하우징 기부 상단부(61a) 및 베이스 하우징 기부 하단부(61b)는 제3 방향(D3)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다. 베이스 하우징 기부 상단부(61a)는 베이스 하우징 기부 하단부(61b)에 대해서 제4 방향(D4)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 기부 상단부(61a)의 상면은 베이스 하우징 기부 하단부(61b)의 상면에 대해서 위쪽으로 어긋나 높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The
상기 「コ」자 모양의 벽부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하는 베이스 하우징 배벽(背壁)부(62)와, 제3 방향(D3)으로 이간하고 또한 제4 방향(D4)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베이스 하우징 측벽부(63, 63)를 구비한다. 「コ」자 모양의 벽부(62, 63)는 전측(前側)(제5 방향(D5)의 측)으로 개방하고 있다.The "co" shaped wall part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 base housing back wall part (62)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extending in the fourth direction (D4) It has a pair of base housing side wall portions (63, 63). The "co" shaped
베이스 하우징 기부(61) 및 「コ」자 모양의 벽부(62, 63)에 의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은 제2 방향(D2)의 측 및 제5 방향(D5)의 측이 개방하고 있다. 조합상태에서, 수용공간에는 소켓 하우징(10)에서의 제1 방향(D1)의 측의 대부분이 수용된다.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by the
베이스 하우징 측벽부(63)에서의 제3 방향(D3)의 외측에는 락(lock) 맞물림부(64)가 마련되어 있다. 락 맞물림부(64)는 제3 방향(D3)의 내측을 향해서 움푹 파인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락 맞물림부(64)는 조합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의 락부(14)(상세하게는 후술)와 맞물린다.A
베이스 하우징 측벽부(63)에서의 제3 방향(D3)의 내측에는 리브(rib) 맞물림부(65)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 맞물림부(65)는 제2 방향(D2)으로 직선 모양으로 연장하고 있고, 제3 방향(D3)의 내측 및 제2 방향(D2)의 측으로 개방하고 있다. 리브 맞물림부(65)는 조합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의 빠짐방지리브(15)(상세하게는 후술)와 맞물린다.A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컨택트(80)가 제3 방향(D3)으로 배열되어, 베이스 컨택트군(81a, 81b)을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 컨택트군(81a)을 형성하는 베이스 컨택트(80) 및 베이스 컨택트군(81b)을 형성하는 베이스 컨택트(80)를, 각각 베이스 컨택트(80a) 및 베이스 컨택트(80b)라고도 한다. 베이스 컨택트군(81a, 81b)은 제1 방향(D1)으로 복수 열 배열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베이스 컨택트군(81a, 81b)은 제3 방향(D3)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베이스 컨택트군(81a, 81b)에서의 각 베이스 컨택트(80a, 80b)는, 제1 방향(D1)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베이스 컨택트(80a, 80b)는 제4 방향(D4)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베이스 컨택트(80)는 제4 방향(D4)으로 봤을 때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또, 제1 방향(D1)으로 봤을 때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4 and 5, the
베이스 하우징 기부 상단부(61a) 및 베이스 하우징 기부 하단부(61b) 각각에서, 컨택트간 리브(66)는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베이스 컨택트(80)의 사이에 배치된다. 컨택트간 리브(66)는 베이스 하우징 배벽부(62)에 연속하고 있고, 제5 방향(D5)으로 연장하고 있다. 비집음방지리브(67)는 컨택트간 리브(66)와 제3 방향(D3)으로 병렬되어 있고, 컨택트간 리브(66)보다도 제3 방향(D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비집음방지리브(67)는 베이스 컨택트(80)와 거의 동일한 크기이거나 또는 베이스 컨택트(80)보다도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소켓 커넥터(2)와 베이스 커넥터(3)와의 비집음(물려 들어감)을 억제하고 있다.In each of the base housing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컨택트(80)는 도전성의 금속판에 프레스 성형가공(예를 들면, 타발(打拔)가공, 절곡가공) 등이 시행되어, 소정 형상의 일체물로서 구성된다. 베이스 컨택트(80)는 제2 방향(D2) 및 제5 방향(D5)으로 연장하는 소켓측 접속부(82)와 베이스 하우징 배벽부(62)로부터 제4 방향(D4)의 측으로 돌출하는 기판측 접속부(8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8, the
소켓측 접속부(82)의 제5 방향(D5)의 측의 전측 단부(82a)는 판상(板狀)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소켓측 접속부(82)의 제2 방향(D2)의 측의 상측 단부(82b)는 크러싱(crushing)가공이 행해지고 있어,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The
소켓측 접속부(82)는, 조합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의 소켓 컨택트(5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기판측 접속부(83)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서의 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납땜 등에 의해 회로기판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The socket-
다음으로, 소켓 커넥터(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 도 3 및 도 9 ~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는 소켓 하우징(10)과 소켓 컨택트(50)와 케이블(5)을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보아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소켓 하우징(10)은 케이블(5)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가 배치되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를 구비한다.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는 제1 방향(D1)으로 복수(2열) 배열되어 있다. 상단 및 하단의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를 각각 소켓 컨택트 배치부(20a) 및 소켓 컨택트 배치부(20b)라고도 한다.Next, the
소켓 컨택트 배치부(20a) 및 소켓 컨택트 배치부(20b)에 배치된 소켓 컨택트(50)를 각각 소켓 컨택트(50a) 및 소켓 컨택트(50b)라고도 한다. 소켓 컨택트(50a) 및 소켓 컨택트(50b)에 접속된 케이블(5)을 각각 케이블(5a) 및 케이블(5b)이라고도 한다.The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a, 20b)는 제3 방향(D3)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a, 20b)는 제4 방향(D4)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The socket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는 시인용 창(25a, 25b)(도 10, 도 11 참조)과, 랜스(lance) 맞물림부(12)(도 14, 도 15 참조)를 구비한다. 시인용 창(25a, 25b)은 각각 케이블(5a, 5b)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a, 50b)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a, 20b)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인하기 위한 창(트인 구멍)이다. 상단의 시인용 창(25a)보다도 제5 방향(D5)의 측에는 시인용 창(25a)보다도 크게 개구한 상단 개방부(24)가 마련되어 있다.The socket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5)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부는 시인용 창(25)에 배치된다. 도 10에서 가장 좌측에서 상단의 케이블(5a) 및 소켓 컨택트(50a)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a)에 반삽입 상태로 되어 있으며, 정상위치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부는 시인용 창(25a)으로부터 벗어나 있다(상단 개방부(24)에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in the state where the
또, 도 10에서 가장 우측에서 하단의 케이블(5b) 및 소켓 컨택트(50b)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b)에 반삽입 상태로 되어 있으며, 정상위치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부는 시인용 창(25a)으로부터 벗어나 있다(소켓 하우징(1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면보다도 제5 방향(D5)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FIG. 10, the
케이블(5a, 5b)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a, 50b)는 제3 방향(D3)으로 배열되어, 소켓 컨택트군(51a, 51b)를 형성하고 있다. 소켓 컨택트군(51a, 51b)은 제1 방향(D1)으로 복수 열 배열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군(51a, 51b)은 제3 방향(D3)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The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군(51a, 51b)에서의 각 소켓 컨택트(50a, 50b)는 제1 방향(D1)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50a, 50b)는 제4 방향(D4)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소켓 컨택트(50)는 제4 방향(D4)으로 봤을 때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 제1 방향(D1)으로 봤을 때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Each of the
시인용 창(25a, 25b)은 제1 방향(D1)으로 복수 열 배열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시인용 창(25a, 25b)은 제3 방향(D3)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시인용 창(25a, 25b)은 제4 방향(D4)으로 어긋나 있다.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시인용 창(25a, 25b)은, 제1 방향(D1)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시인용 창(25)은 제4 방향(D4)으로 봤을 때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 제1 방향(D1)으로 봤을 때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The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 맞물림부(12)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1 방향(D1) 및 제4 방향(D4)으로 돌출되어 있다. 랜스 맞물림부(12)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에 배치된 소켓 컨택트(50)의 랜스(54)(상세하게는 후술)와 맞물리고, 제5 방향(D5)으로의 소켓 컨택트(50)의 빠짐을 억제한다.14 and 15, the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0)에서의 제3 방향(D3)의 외측 각각에는 락부(14, 14)가 마련되어 있다. 락부(14)는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커넥터(3)의 락 맞물림부(64)에 맞물린다. 소켓 하우징(10)에서의 제3 방향(D3)의 외측에는 각각 빠짐방지리브(15)가 마련되어 있다. 빠짐방지리브(15)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3 방향(D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빠짐방지리브(15)는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커넥터(3)의 리브 맞물림부(65)에 맞물린다.12 and 13,
소켓 하우징(10)의 소켓 하우징 기부 상단부(11a) 및 소켓 하우징 기부 하단부(11b)에서의 제1 방향(D1)의 측으로서 제4 방향(D4)의 측에는 리브 회피부(16) 및 리브 회피부(17)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 회피부(16)는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커넥터(3)의 컨택트간 리브(6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컨택트간 리브(66)가 맞닿는 것을 회피하는 기능을 한다. 리브 회피부(17)는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커넥터(3)의 비집음방지리브(67)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비집음방지리브(67)가 맞닿는 것을 회피하는 기능을 한다.A
다음으로, 소켓 컨택트(5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컨택트(50)는 소켓 컨택트 기부(52)와, 한 쌍의 소켓 컨택트 협지편(挾持片, 끼워지지하는 편)(53)과 랜스(54)를 구비한다. 소켓 컨택트 기부(52)는 케이블(5)을 체결한다. 한 쌍의 소켓 컨택트 협지편(53)은 제3 방향(D3)으로 대향하고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상태에서 베이스 커넥터(3)의 베이스 컨택트(80)의 소켓측 접속부(82)를 끼워지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랜스(54)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하고 있다.Next, the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컨택트 협지편(53)의 제4 방향(D4)의 측의 전측 단부(53a)는 제4 방향(D4)으로 넓어지도록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소켓 컨택트 협지편(53)의 제1 방향(D1)의 측의 하측 단부(53b)는 크러싱가공이 행해지고 있어,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As shown in Fig. 18, the
상술의 구성을 가지는 소켓 커넥터(2)와 베이스 커넥터(3)는 다음과 같이 조합되고,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소켓-베이스 커넥터 쌍(1)이 형성된다. 베이스 커넥터(3)를 아래에 배치함과 아울러 소켓 커넥터(2)를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킨다. 베이스 컨택트(80)에 소켓 컨택트(50)를 접속시킴과 아울러, 컨택트간 리브(66)를 리브 회피부(16)에 삽입시키고, 비집음방지리브(67)를 리브 회피부(17)에 삽입시키며, 락 맞물림부(64)에 락부(14)를 맞물림시키고, 리브 맞물림부(65)에 빠짐방지리브(15)를 맞물림시킨다.The
이것에 의해, 소켓-베이스 커넥터 쌍(1)이 형성되어, 조합상태가 유지된다. 예를 들면, 락부(14)와 락 맞물림부(64)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의 소켓 커넥터(2)의 빠짐이 방지된다. 빠짐방지리브(15)와 리브 맞물림부(65)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5 방향(D5)으로의 소켓 커넥터(2)의 빠짐이 방지된다.Thereby, the socket-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제1 실시형태의 소켓 커넥터(2)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제1 실시형태의 소켓 커넥터(2)에서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20)는 케이블(5)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인하기 위한 시인용 창(25a, 25b)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시인용 창(25a, 25b)을 이용하여,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보고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 제1 실시형태의 소켓 커넥터(2)에서는 케이블(5)이 접속된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부는 시인용 창(25)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서 식별이 용이한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부를 이용하여,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눈으로 보고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In the
또, 제1 실시형태의 소켓 커넥터(2)에서는, 시인용 창(25a, 25b)은 제1 방향(D1)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시인용 창(25a, 25b)은 제3 방향(D3)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단의 시인용 창(25a) 및 하단의 시인용 창(25b)을 눈으로 보고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Further, in the
또, 제1 실시형태의 소켓 커넥터(2)에서는,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시인용 창(25a, 25b)은 제4 방향(D4)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e
또, 제1 실시형태의 소켓 커넥터(2)에서는, 소켓 컨택트군(51a, 51b)은 제1 방향(D1)으로 복수 열 배열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군(51a, 51b)은 제3 방향(D3)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3 방향(D3)으로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50a, 50b)는 제4 방향(D4)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연면(沿面)거리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소켓 하우징을 구비하는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하우징을 구비하는 베이스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커넥터(2A)와 베이스 커넥터(3A)를 조합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1 대응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를 베이스 커넥터(3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 대응도). 도 21은 베이스 커넥터(3A)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4 대응도). 도 22는 베이스 커넥터(3A)의 측면도이다(도 7 대응도). 도 23은 소켓 커넥터(2A)의 평면도이다(도 10 대응도). 도 24는 소켓 커넥터(2A)의 배면도이다(도 11 대응도). 도 25는 소켓 커넥터(2A)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12 대응도).Next, a socket connector provided with the socket housing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connector provided with the base hous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주로, 베이스 커넥터(3A)에 대한 소켓 커넥터(2A)의 끼워맞춤방향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베이스 커넥터(3)에 대해서, 소켓 커넥터(2)는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끼워맞춤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커넥터(3A)에 대해서, 소켓 커넥터(2A)는 제4 방향(D4)으로 이동하여 끼워맞춤한다.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끼워맞춤방향의 상이(相異)에 기인하여, 다른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원용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커넥터(3A)는 베이스 하우징 천벽(天壁)부(68)를 가진다. 베이스 하우징 천벽부(68)는 「コ」자 모양의 벽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하우징 배벽부(62) 및 한 쌍의 베이스 하우징 측벽부(63, 63)의 상단부를 덮도록 마련된다. 즉, 베이스 하우징 기부(61), 「コ」자 모양의 벽부(62, 63) 및 베이스 하우징 천벽부(68)에 의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은 제5 방향(D5)의 측이 개방하고 있다. 조합상태에서, 수용공간에는 소켓 하우징(10A)에서의 제4 방향(D4)의 측의 대부분이 수용된다. 소켓 커넥터(2A)의 락부(14A)의 구성, 베이스 커넥터(3A)의 락 맞물림부(64A)의 구성은 베이스 커넥터(3A)에 대한 소켓 커넥터(2A)의 끼워맞춤방향으로 대응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60)의 베이스 하우징 측벽부(63)는 보강탭(7)의 기단측의 피(被)유지편부(72)(후술)를 끼워지지하여 유지하는 고정부재 유지부(69)를 구비한다. 고정부재 유지부(69)는 베이스 하우징 측벽부(63)의 하부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하도록 움푹 파여 있다.As shown in Fig. 21, the base housing
보강탭(7)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보강금구(金具) 등이라고도 불린다. 보강탭(7)은 고정편부(71)와 피유지편부(72)를 구비하고, 대략 'L'자형 모양을 가진다. 고정편부(71)는 베이스 커넥터(3A)를 회로기판의 실장면(實裝面)(미도시)에 고정할 때에 납땜에 의해 결합된다. 피유지편부(72)는 베이스 하우징(60)의 고정부재 유지부(69)에 끼워지지되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보강탭(7)은 베이스 하우징(60)에 연결됨과 아울러, 베이스 하우징(60)을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고정한다.The reinforcing
락부(14A)는 제4 방향(D4)으로 연장하는 후크(hook)부(31)와, 제5 방향(D5)으로 연장하는 역점(力点)부(32)와, 후크부(31)와 역점부(32)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소켓 하우징(10)의 측벽에 연접되는 지점부(33)를 구비한다. 락부(14A)는 지점부(33)를 중심으로 후크부(31) 및 역점부(32)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역점부(32)를 제3 방향(D3)의 내측으로 가압하면, 지점부(33)를 중심으로 후크부(31)는 제3 방향(D3)의 외측으로 열린다. 후크부(31)의 제4 방향(D4)의 선단부는 제3 방향(D3)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맞물림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The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컨택트(50)는 끼워맞춤방향이 다른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에서 공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컨택트(80)에서는 소켓측 접속부(82)의 전측 단부(82a) 및 상측 단부(82b)는 모두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또, 소켓 컨택트(50)에서는 소켓 컨택트 협지편(53)의 전측 단부(53a) 및 하측 단부(53b)는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컨택트(50)는 제1 방향(D1)으로 끼워맞춤시키는 제1 실시형태 및 제4 방향(D4)으로 끼워맞춤시키는 제4 실시형태의 중 어느 하나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또한,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컨택트(50)의 기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제1 실시형태용의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컨택트(50)의 구성과 제2 실시형태용의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컨택트(50)의 구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소켓 하우징을 구비하는 소켓 커넥터 및 베이스 하우징을 구비하는 베이스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소켓 커넥터(2A)와 베이스 커넥터(3A)를 조합한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19 대응도).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를 베이스 커넥터(3A)의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0 대응도). 도 28은 베이스 커넥터(3A)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1 대응도). 도 29는 베이스 커넥터(3A)의 측면도이다(도 22 대응도). 도 30은 소켓 커넥터(2A)의 평면도이다(도 23 대응도). 도 31은 소켓 커넥터(2A)의 배면도이다(도 24 대응도). 도 32는 소켓 커넥터(2A)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도 25 대응도). 도 33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보강탭(7)의 사시도이다.Next, the socket connector provided with the socket housing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se connector provided with the base hous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주로,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컨택트(50)의 개수가 다르다. 그러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2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원용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커넥터(3A)에서의 베이스 컨택트(80)는 및 소켓 커넥터(2A)에서의 소켓 컨택트(50)는 각각 16개이다. 한편, 제3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커넥터(3A)에서의 베이스 컨택트(80) 및 소켓 커넥터(2A)에서의 소켓 컨택트(50)는 각각 8개이다. 상세하게는,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8개의 베이스 컨택트(80a)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컨택트군(81a) 및 8개의 소켓 컨택트(50a)로 이루어지는 소켓 컨택트군(51a) 및 이것에 연결된 케이블(5a)을 구비하지 않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60)의 베이스 하우징 기부(61)는 보강탭(7)의 기단측의 피유지편부(72)(후술)를 끼워지지하여 유지하는 고정부재 유지부(69)를 구비한다. 고정부재 유지부(69)는 베이스 하우징 기부(61)의 하부로부터 제3 방향(D3)의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움푹 파여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8, the
도 28 및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탭(7)은 고정편부(71)와 피유지편부(72)를 구비하고, 평판 형상을 가진다. 고정편부(71)는 베이스 커넥터(3A)를 회로기판의 실장면(미도시)에 고정할 때에 납땜에 의해 결합된다. 피유지편부(72)는 베이스 하우징(60)의 고정부재 유지부(69)에 끼워지지되어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보강탭(7)은 베이스 하우징(60)에 연결됨과 아울러, 베이스 하우징(60)을 회로기판의 실장면에 고정한다.28 and 33, the reinforcing
제2 실시형태의 역점부(32)와 비교해서, 제3 실시형태의 역점부(32)는 제3 방향(D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가압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Compared with the
이상, 본 발명의 소켓 하우징 및 베이스 하우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s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bas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예를 들면, 상술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소켓 컨택트군은 2열이며, 베이스 컨택트군은 2열이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켓 컨택트군 및 베이스 컨택트군은 제3 실시형태와 같이 1열이라도 되고 또는 3열 이상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컨택트(50)가 소켓 컨택트 배치부(20)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켓 컨택트(50)에서의 제5 방향(D5)의 측의 단부가 시인용 창(25)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켓 컨택트(50)에 관한 다른 요소가 시인용 창(25)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ocket contact group is two rows, and the base contact group is two rows,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socket contact group and the base contact group may be one row or three or more rows as in the third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2, 2A 소켓 커넥터 3, 3A 베이스 커넥터
5, 5a, 5b 케이블 10 소켓 하우징
20, 20a, 20b 소켓 컨택트 배치부 25, 25a, 25b 시인용 창
50, 50a, 50b 소켓 컨택트 51a, 51b 소켓 컨택트군
60 베이스 하우징 80, 80a, 80b 베이스 컨택트
81a, 81b 베이스 컨택트군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D4 제4 방향 D5 제5 방향2,
5, 5a,
20, 20a, 20b
50, 50a,
81a, 81b base contact group D1 first direction
D2 2nd direction D3 3rd direction
D4 4th direction D5 5th direction
Claims (9)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소켓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가 조합된 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조합되는 상기 소켓 하우징과,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소켓 컨택트와, 복수의 상기 소켓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배치되는 소켓 컨택트 배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는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의 정상(定常)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시인(視認)하기 위한 시인용 창을 구비하고,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상기 베이스 커넥터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소켓 컨택트로부터 상기 케이블로 향하는 방향을 제5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에,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고,
상기 시인용 창보다 크게 개구한 상단 개방부가 상단의 상기 시인용 창의 상기 제5 방향의 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소켓 컨택트에서의 상기 제5 방향의 측의 단부(端部)는 상기 시인용 창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기 소켓 컨택트가 상기 소켓 컨택트 배치부의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반삽입 상태에서, 상기 소켓 컨택트에서의 상기 제5 방향의 측의 단부(端部)는 상기 시인용 창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상단 개방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의 상기 제5 방향의 측의 단면보다도 상기 제5 방향의 측에 배치되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A socket housing for a socket connector used in combination with a base connector having a base housing and a base contact, comprising:
The socket connector includes the socket housing combined with the base housing in a combined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are combined, a plurality of socket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in the combined state, and a plurality of the sockets. A plurality of cables each connected to the contact is provided,
The socket housing includes a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in which the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s disposed,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includes a viewing window for acknowledging whether the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s disposed at a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nector to the base connector in the combined state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socket contact to the cable is the fifth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poet window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opening which is larger than the window for viewing is provided on the side in the fifth direction of the window for viewing at the top,
In the state where the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s arranged at the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section, an end portion on the side in the fifth direction in the socket contact is disposed in the viewing window,
In the semi-inserted state in which the socket contact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s not arranged at the normal position of the socket contact arrangement portion, an end portion on the side in the fifth direction of the socket contact deviates from the viewing window. , The socket housing of the socket connector which is disposed in the upper opening portion or is disposed on the side in the fifth direction than a cross section on the side in the fifth direction in the socket housing.
상기 조합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하며,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소켓 컨택트로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4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mbined state,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called a second direction, a direction from the cable to the socket contact is called a fourth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ourth direction If is the third direction,
The socket window of the socket connector, wherein the view window for adjoin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displaced in the third direction.
상기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4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ocket window of the socket connector in which the viewing window adjacent to the third direction is arranged to be shifted in the fourth direction.
상기 제3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시인용 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봤을 때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ocket housing of the socket connector, wherein the viewing window adjacent to the third direction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73777 | 2013-03-29 | ||
JP2013073777 | 2013-03-29 | ||
JPJP-P-2014-026122 | 2014-02-14 | ||
JP2014026122A JP6309780B2 (en) | 2013-03-29 | 2014-02-14 | Socket connector socket hous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793A KR20140118793A (en) | 2014-10-08 |
KR102125583B1 true KR102125583B1 (en) | 2020-06-22 |
Family
ID=5190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271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25583B1 (en) | 2013-03-29 | 2014-03-20 | Socket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of base connec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309780B2 (en) |
KR (1) | KR1021255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38583B2 (en) | 2016-07-12 | 2020-01-2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ion assembly having the same |
JP6614051B2 (en) | 2016-07-12 | 2019-12-04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14472A1 (en) * | 2003-04-28 | 2004-10-28 | Irish Kenneth G. |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41981U (en) * | 1987-09-08 | 1989-03-13 | ||
JPH08250214A (en) * | 1995-03-07 | 1996-09-27 | Sumitomo Wiring Syst Ltd | Incomplete insertion detecting connector and incomplete insertion detecting method for connector |
JP3386783B2 (en) * | 2000-07-14 | 2003-03-17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
JP3878902B2 (en) * | 2002-10-21 | 2007-02-07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
2014
- 2014-02-14 JP JP2014026122A patent/JP630978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3-20 KR KR1020140032713A patent/KR1021255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214472A1 (en) * | 2003-04-28 | 2004-10-28 | Irish Kenneth G.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793A (en) | 2014-10-08 |
JP6309780B2 (en) | 2018-04-11 |
JP2014209437A (en) | 2014-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91398B2 (en) | Connector assembly | |
JP6407391B2 (en)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
CN104241951B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e member | |
JP5807181B2 (en) | Holding bracket, connector connector and connector | |
US9318836B2 (en) | Electric connector | |
KR101928630B1 (en) | Connector apparatus | |
TWI489697B (en) | Wire to board connector assembly and board connector thereof | |
US9287643B2 (en) | Electric connector | |
KR20190118953A (en) | Connector | |
JP5778509B2 (en) | Joint connector | |
KR101045120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30122752A1 (en) | Connector | |
US8113881B2 (en) | Connector | |
KR102125583B1 (en) | Socket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of base connector | |
US7040904B2 (en) | Connector | |
JP7283971B2 (en) | BOARD CONNECTOR AND BOARD CONNECTOR STRUCTURE | |
KR102128123B1 (en) | Plug connector | |
JP580404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6331173B2 (en) | Holding bracket, connector connector and connector | |
CN203850516U (en) | Socket housing of socket connector and base housing of base connector | |
CN102255199B (en) | Rectangular connector socket with false-imbedding prevention structure for plug | |
KR101714402B1 (en) | Low insertion force socket terminal | |
JP7393132B2 (en) | Board connector and board connector structure | |
KR101695777B1 (en) | Connector for SMT with Cover | |
KR20090006783U (en) |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