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5360B1 -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 Google Patents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360B1
KR102125360B1 KR1020190017550A KR20190017550A KR102125360B1 KR 102125360 B1 KR102125360 B1 KR 102125360B1 KR 1020190017550 A KR1020190017550 A KR 1020190017550A KR 20190017550 A KR20190017550 A KR 20190017550A KR 102125360 B1 KR102125360 B1 KR 10212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uction port
suction
upper housing
d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19001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360B1/ko
Priority to JP2019071750A priority patent/JP202013099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3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8Manicure or pedicure sets, e.g. combinations without case, etui,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걸러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필터(420)가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400); 내측에 팬모터(500)가 고정되고, 필터 어셈블리(400)가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300); 및 분진이 흡입되는 제1흡입구(210)가 구비되고, 내측에서 제1흡입구(210)에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300)의 상면에 직립 형성된 상부 하우징(200); 및 투명창(120) 및 투명창(120)을 지지하는 프레임(110)을 구비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징(200)에 결합된 사용자 보호 헤드(100);를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EXPANDING THE SUCTION RANGE}
본 발명은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에 관한 것이다.
네일 표면에 색을 입히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네일 아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는 매니큐어, 리무버, 오일, 탑코트, 드라이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성분은 주로 자극적인 냄새를 유발하거나 공기 중으로 확산될 때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독성을 함유한 화학성분이 많다.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네일 아트 작업을 할 때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작업환경에서 이루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작업자와 사용자는 유해한 화학물질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장시간 네일 아트 작업을 하게 될 시에는 작업환경 내 공기가 오염되고, 작업자와 사용자의 호흡기 계통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네일 표면을 매끄럽게 관리하기 위해 연삭작업을 하거나 주변 피부의 각질 제거와 같은 관리를 위한 핸드 피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피스에는 별도의 분진흡입장치가 없기 때문에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네일의 연마, 절단 등의 작업을 진행할 시에 발생하는 네일 분진이 사방으로 비산하여 옷에 묻거나 주위를 더럽히고, 호흡기로도 흡입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네일 아트 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네일용 집진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네일용 집진기는 작업자가 머리를 숙이고 작업을 함에 따라 네일 관리 시에 분진들을 흡입한다 하더라도 작업자와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분진을 흡입할 수 있고, 눈에 분진이 침투하여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어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분진 흡진기는 모터와 흡입구간의 거리, 또는 유로의 형상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에서 흡입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여 압력이 높은 영역에 형성된 흡입구 주변으로만 집중되기에 흡입 범위가 좁아지는 원인이 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735호(2018.10.22)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역학적 구조 설계를 통하여 팬모터의 흡입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흡입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흡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작업중 분진의 흡입과 눈에 분진이 침투되지 않도록 사용자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신체적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용 헤드를 구비한 네일용 흡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걸러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필터가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와, 내측에 팬모터가 고정되고, 필터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 및 분진이 흡입되는 제1흡입구가 구비되고, 내측에서 제1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직립 형성된 상부 하우징 및 투명창 및 투명창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징에 결합된 사용자 보호 헤드를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은 제1흡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로 인한 와류를 방지하도록 상부 하우징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는 수직 리브와, 수직 리브와 교차되도록 수평 연장되는 수평 리브를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사용자 보호 헤드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작업중에 분진의 흡입이나 눈으로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장공들로서 흡입구를 구성함에 따라 팬모터에서 발생된 흡입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 흡입 범위를 보다 확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흡입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보호 헤드와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와류 방지 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와류 방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필터 어셈블리와 하부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트레이와 필터 청소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흡입구(210)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사용자 보호 헤드(100)와 상부 하우징(200)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부 하우징(2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는 팬모터(500)가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300), 하부 하우징(300)의 상면에서 직립된 상부 하우징(200), 상부 하우징(200)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사용자 보호 헤드(100), 하부 하우징(300)에 착탈 가능한 필터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300)은 팬모터(500)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갖고, 일측에서 필터 어셈블리(400)가 수용되는 수용부(310)(도 7 참조)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300)은 상면 또는 기타 벽면에서 전원 스위치등이 구비된 조작 판넬이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00)은 하부 하우징(300)의 상면에 직립된 상부 본체(230)의 일면에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210)와 제2흡입구(220), 상부 내측에서 와류 발생을 방지하는 와류 방지수단과, 사용자 보호 헤드(100)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제1흡입구(210)는 직립된 상부 본체(230)의 일면에서 복 수개의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장공은 팬모터(500)와의 거리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차이가 있다.
도시된 바를 예로서 설명하자면, 제1흡입구(210)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복 수개의 장공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장공의 길이는 팬모터(500)와의 거리 및/또는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면, 팬모터(500)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가장 강하게 작용되는 중심부는 가장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제1흡입구(21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점차 그 길이가 단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 하우징(200)은 팬모터(50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압력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다만, 상부 하우징(200)의 내부는 팬모터(500)의 거리나 유로의 형상에 따라 흡입 압력이 높게 작용하는 영역과, 낮게 작용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공들의 폭과 길이가 모두 균일하게 형성될 경우에 흡입 모터에서 발생된 흡입 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고, 분진의 흡입이 팬모터(500)와 가장 가까운 장공으로만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부 하우징(200)의 흡입 압력차에 따라 제1흡입구(210)를 구성하는 장공들중 흡입 압력이 가장 높게 작용하는 중심부를 형성하는 장공을 가장 길게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정렬된 장공들의 길이를 점차 축소시켰다.
이와 같은 장공들의 배치는 팬모터(500)의 흡입력이 강하게 작용되는 부위에 장공을 보다 확대하여 공기 흡입량을 증가시키고, 팬모터(500)의 흡입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 장공을 좁혀서 흡입량을 줄여서 흡입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흡입구(220)는 상부 본체(230)의 일면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다. 여기서 제2흡입구(220)는 제1흡입구(210)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된 분진을 흡입한다. 제2흡입구는 팬모터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수평으로 연장된 장공으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장공으로서 흡입 압력차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갖는 수직 방향으로 장공들로 이루어진 제1흡입구(210)와, 수평으로 연장되는 단일 장공으로이루어진 제2흡입구(220)가 제1흡입구 하측에서 팬모터(500)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00)에서 제1흡입구(210)가 형성된 일면은 내향되는 만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향된 만곡면은 주변의 공기들이 만곡면을 타고 제1흡입구(210)측으로 흘러 가도록 공기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와류 방지 수단(250)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와류 방지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와류 방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와류 방지 수단(250)은 상부 본체(230)의 상부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수직 리브(252)와, 수직 리브(252)와 교차되어 수평 연장되는 수평 리브(251)를 포함한다.
수직 리브(252)는 상부 하우징(200)의 일면과 대향면에 각각 양측 단부가 연결되도록 하향 연장되어, 상부 하우징(200) 상측의 내부 공간을 분할한다.
수평 리브(251)는 하나 이상으로서 수직 리브(25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평 리브(251)와 수직 리부는 제1흡입구(21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부 하우징(200)의 상측에서 와류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공기는 만곡면을 타고서 제1흡입구(210)의 하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가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200)의 내측 벽면에 부 H힐 경우에 와류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와류는 상부 하우징(200)에서 하부 하우징(300)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이와 같은 와류의 형성을 방지하고자 와류 방지 수단(250)을 구비한 것이다.
상부 힌지(240)는 상부 하우징(200)의 측부에서 돌출되어 내측에 홀이 형성되는 체결구(241)와, 체결구(241)를 중심으로 측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 보호 헤드(100)를 안내하는 안내판(242)을 포함한다.
체결구(241)는 상부 하우징(200)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후술되는 사용자 보호 헤드(100)의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홀이 형성된다.
안내판(242)은 상부 하우징(200)의 측면에서 체결구(241)를 중심으로 돌출되어 사용자 보호 헤드(100)의 회전 방향 및 범위를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로 안내판(242)은 사용자 보호 헤드(1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예를 들면, 사용자 보호 헤드(1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안내판(242)의 어느 한 지점에 돌기나 홈을 구비하고, 사용자 보호 헤드(100)는 돌기나 홈에 삽입 또는 걸림될 수 있는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보호 헤드(100)는 투명재질의 투명창(120)과, 투명창(120)을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110)과, 상부 하우징(200)에 힌지 결합되는 헤드 힌지(130)를 포함한다.
투명창(120)은 플라스틱, 유리 등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분진의 흡입을 방지하도록 제1흡입구(210) 상측을 차폐한다. 즉, 사용자는 투명창(120)의 상측에 머리를 위치한 뒤에 손을 투명창(120) 아래에서 위치시켜 네일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200), 하부 하우징(300) 또는 사용자 보호 헤드(100)는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투명창(120)과 하부 하우징(300) 상측 사이의 작업공간을 조명할 수 있도록 조명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조명 수단은, 예를 들면, LED 램프로서 스위치가 온 되면 발광되어 투명창(120) 아래의 작업 공간을 조명한다.
고정 프레임(110)은 투명창(120)을 고정 시킨다. 즉, 고정 프레임(110)은, 예를 들면, 상부와 하부로 분리 및 결합되어 투명창(120)의 외측에 체결된다.
헤드 힌지(130)는 고정 프레임(110)에서 하향 연장되는 상부 힌지(24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헤드 힌지(130)는 체결구(241)로 삽입되는 힌지봉(131)과, 힌지봉(131)을 지지하는 지지판(132)을 포함한다.
지지판(132)은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고정 프레임(1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된다.지지판(132)은 안내판(242)의 외면에 밀착 또는 근접한 위치에 회전된다. 따라서 지지판(132)은 안내판(242)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도록 안내판(242)과 접촉되는 단부에 절개 형성된 마찰 방지홈(132a)을 포함한다.
힌지봉(131)은 안내판(242)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부 힌지(240)의 체결구(241)로 삽입된다.
필터 어셈블리(400)는 하부 하우징(3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20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에 분진을 걸러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필터 어셈블리(400)에 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필터 어셈블리(400)와 하부 하우징(300)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트레이(410)와, 필터 청소 수단(430)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필터 청소 수단(4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400)는 필터(420)와, 필터(420)를 수용하는 트레이(410)와, 필터(420)의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 청소 수단(430)을 포함한다.
트레이(410)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411)와,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412)와, 개구부(412)에 연장되는 안내 레일(413)을 포함한다.
개구부(412)는 수용부(3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의 벽면으로서 개방되어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으로 전달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이다.
배출부(411)는 개구부(412)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필터(420)를 통과하면서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안내 레일(413)은 개구부(412)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필터 청소 수단(430)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즉, 트레이(410)는 내측에 필터(420)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 벽면과 천정면 및 바닥면을 구성하고, 하부 하우징(300)의 수납부측 벽면이 개방되어 개구부(412)가 형성되고, 개구부(412)에 대향된 벽면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411)가 형성된다.
필터 청소 수단(430)은 트레이(410)의 개구부(412)를 통하여 필터(420)에 접촉되는 선단(431)과, 선단(431)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432)를 포함한다.
선단(431)은 내향된 이격홈(431a)과, 이격홈(431a) 사이에서 돌출되는 타격돌기를 포함한다.
이격홈(431a)은 선단(431)에서 내향되도록 절개 형성되어 안내 레일(413)이 끼움된다. 따라서 이격홈(431a)은 안내 레일(413)을 따라 선단(431)이 이동될 때, 이탈 방지 및 정해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한다.
타격 돌기(431b)는 이격홈(431a)들 사이에서 하향 연장된다. 따라서 선단(431)의 이격홈(431a)에 안내 레일(413)이 끼움되면, 타격 돌기(431b)는 안내 레일(413) 사이를 통하여 개구부(412) 내측으로 인입되어 필터(420)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선단(431)이 안내 레일(413)을 따라 이동되면, 타격 돌기(431b)가 필터(420)를 타격하면서 이동되기에 필터(420)에 쌓인 분진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격홈(431a)에 안내 레일(413)이 끼움되도록 선단(431)을 개구부(412)에 체결하고, 손잡이(432)를 잡고 슬라이딩시키면 안내 레일(413) 사이로 인입된 타격 돌기(431b)가 개구부(412) 내측에서 필터(420)를 타격하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필터(420)에 쌓인 분진은 타격 돌기(431b)의 접촉 및 마찰에 의하여 이탈된다.
여기서 손잡이(432)는 선단(43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하부 하우징(300)의 외측 또는 트레이(410)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손잡이(432)에 고정공(432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필터 청소 수단(430)을 하부 하우징(300) 또는 트레이(410) 커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에 손잡이(432)의 고정공(432a)을 체결시켜 보관하다가, 청소시에만 필터 청소 수단(43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보호 헤드 110 : 프레임
120 : 투명창 130 : 헤드 힌지
131 : 힌지봉 132 : 지지판
132a : 마찰 방지홈 200 : 상부 하우징
210 : 제1흡입구 220 : 제2흡입구
230 : 상부 본체 240 : 상부 힌지
241 : 체결구 242 : 안내판
250 : 와류 방지 수단 251 : 수평 리브
252 : 수직 리브 300 : 하부 하우징
310 : 수용부 400 : 필터 어셈블리
410 : 트레이 411 : 배출부
412 : 개구부 413 : 안내 레일
420 : 필터 430 : 필터 청소 수단
431 : 선단 431a : 이격홈
431b : 타격 돌기 432 : 손잡이
500 : 팬모터

Claims (7)

  1.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걸러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필터(420)가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400);
    내측에 팬모터(500)가 고정되고, 필터 어셈블리(400)가 수용되는 하부 하우징(300); 및
    분진이 흡입되는 제1흡입구(210)가 구비되고, 내측에서 제1흡입구(210)에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300)의 상면에 직립 형성된 상부 하우징(200); 및
    투명창(120) 및 투명창(120)을 지지하는 프레임(110)을 구비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하우징(200)에 결합된 사용자 보호 헤드(100);를 포함하고,
    상부 하우징(200)은
    제1흡입구(210)에서 흡입된 공기로 인한 와류를 방지하도록 상부 하우징(200) 내측에서 하향 연장되는 수직 리브(252)와, 수직 리브(252)와 교차되도록 수평 연장되는 수평 리브(251);를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흡입구(210)는
    상부 하우징(200)의 일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개 및 연장되는 복 수개의 장공으로 형성되고,
    복 수개의 장공은
    팬모터(500)에 의해 발생된 내측 흡입 압력이 높은 영역과 흡입 압력이 낮은 영역에 걸쳐 정렬되되, 영역별 압력차에 따라 그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200)은
    제1흡입구(210)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분진이 포함된 주변 공기를 흡입하는 제2흡입구(220);를 더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흡입구(210) 및 제2흡입구(220)
    상부 하우징(200)의 내향된 만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 어셈블리(400)는
    필터(420)를 수용하고, 일측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412)와, 반대측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411)가 형성되어 하부 하우징(300)으로 착탈가능한 트레이(410); 및
    트레이(410)에 수납된 필터(420)로부터 분진을 분리시키는 필터 청소 수단(430);을 포함하고,
    필터 청소 수단(430)은
    선단(431)에서 절개된 이격홈(431a)을 사이에 두고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타격 돌기(431b)와, 선단(43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트레이(410)는
    개구부(412)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413);을 포함하고,
    필터 청소 수단(430)은
    이격홈(431a)에 안내 레일(413)이 끼움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타격 돌기(431b)가 개구부(412)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필터(42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7. 삭제
KR1020190017550A 2019-02-15 2019-02-15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Active KR10212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550A KR102125360B1 (ko) 2019-02-15 2019-02-15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JP2019071750A JP2020130996A (ja) 2019-02-15 2019-04-04 吸入範囲の拡張が可能な吸塵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550A KR102125360B1 (ko) 2019-02-15 2019-02-15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360B1 true KR102125360B1 (ko) 2020-06-22

Family

ID=7114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550A Active KR102125360B1 (ko) 2019-02-15 2019-02-15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130996A (ko)
KR (1) KR102125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20A (ko) * 2020-11-11 2022-05-18 원은자 더스트 흡입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35Y1 (ko) 2017-08-24 2018-10-29 김경남 네일 관리용 흡진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5969Y2 (ko) * 1977-03-01 1982-10-09
JPH0530429Y2 (ko) * 1987-10-02 1993-08-04
JP2963413B2 (ja) * 1997-05-30 1999-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KR100642076B1 (ko) * 2004-07-01 2006-11-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2006034661A (ja) * 2004-07-28 2006-02-09 Kiso Power Tool:Kk 作業台
JP2008154801A (ja) * 2006-12-25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136928B2 (ja) * 2007-12-26 2013-02-06 久実子 吉川 研削作業用集塵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35Y1 (ko) 2017-08-24 2018-10-29 김경남 네일 관리용 흡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20A (ko) * 2020-11-11 2022-05-18 원은자 더스트 흡입 시스템
KR102410012B1 (ko) * 2020-11-11 2022-06-20 원은자 더스트 흡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0996A (j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71879B2 (en) Cleaning Apparatus
KR102152606B1 (ko)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US6887146B2 (en) Dust extraction shroud for a power tool
KR101631818B1 (ko) 트리밍 박스
CA2945392C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010023172A1 (en) Nail technician ventilation system
US20110247527A1 (en) Working table having vacuum mechanism
CA2398128A1 (en) Working table having dust collector
EP1673199A1 (de) Absaugvor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KR20160051819A (ko) 전기청소기
KR102125360B1 (ko)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US4038913A (en) Hair spray exhaust system
KR101347217B1 (ko) 흄후드
GB1595840A (en) Fume cupboards
EA001254B1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20220153789A (ko) 네일 케어용 흡진장치
CA3146275A1 (en) Device for purifying air in the workspace of a nail artist
US20060179657A1 (en) Shaver with flushable hair chamber
KR101914412B1 (ko) 네일아트용 위생 테이블구조체
CN208289229U (zh) 一种方便清理的激光机
KR100981158B1 (ko) 오염물 하부 배출형 실험대
US20130295822A1 (en) Removable high velocity blast cabinet vestibule
GB2584173A (en) Work bench
KR200436110Y1 (ko)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JPH11179722A (ja) ハンド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