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5001B1 - 의료용 가이드 포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가이드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01B1
KR102125001B1 KR1020180064102A KR20180064102A KR102125001B1 KR 102125001 B1 KR102125001 B1 KR 102125001B1 KR 1020180064102 A KR1020180064102 A KR 1020180064102A KR 20180064102 A KR20180064102 A KR 20180064102A KR 102125001 B1 KR102125001 B1 KR 10212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oupled
guide
induction
t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042A (ko
Inventor
최영광
Original Assignee
남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병욱 filed Critical 남병욱
Priority to KR102018006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0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수술 과정에서 수술 도구를 인체 내부로 유도하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가이드 포트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부분에 유도 몸체(11a)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고정 링(14)이 결합된 포트 몸체(11); 유도 몸체(11a)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 및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체 조절 수단(21, 22)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몸체(11a)는 투명 소재가 된다.

Description

의료용 가이드 포트{A Guide Port for Medical Use}
본 발명은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수술 과정에서 수술 도구를 인체 내부로 유도하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에 관한 것이다.
외과 수술 과정은 다양한 형태의 피부 절개를 수반하지만 의료 기술이 발달에 따라 절개 부분이 최소로 되도록 하는 수술 도구가 개발되어 다양한 수술 과정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응고, 절삭 또는 지혈을 위한 다양한 수술 도구가 가이드 포트를 통하여 인체 내부로 삽입이 될 수 있고, 가이드 포트는 예를 들어 배꼽과 같은 부위를 통하여 또는 배 부위를 최소로 절개하면서 인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하여 가이드 포트는 그에 적절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특허공개번호 10-2014-0051048호는 수술 구멍에 설치되어 내시경 수술 시 각종 수술도구를 복강 내로 안내하기 위한 수술 도구 가이더포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0988401호는 내시경 수술 시 각종 수술도구를 복강 내로 안내하기 위한 수술도구 가이더의 수술 도구 진입부에 설치되어 수술 도구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가스 유출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원활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 도구 가이더용 보호 캡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가이드 포트 또는 보호 캡은 기체의 주입 및 배출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으면서 이와 동시에 수술 과정에서 의료 도구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확보되면서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포트의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수술 과정에서 가이드 포트 내부의 관찰이 가능한 가이드 포트의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51048호(서오남, 2014년04월30일 공개) 간편연결식 몸체분리형 수술도구 가이더 포트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0988401호(서오남, 2010년10월18일 공고) 수술도구 가이더용 보호 캡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관찰이 가능하고, 수술 과정에서 도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의료용 가이드 포트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부분에 유도 몸체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고정 링이 결합된 포트 몸체; 유도 몸체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 포트; 및 유도 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체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몸체는 투명 소재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트 몸체 또는 유도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통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도구 포트에 결합되는 밀폐 캡을 더 포함하고, 밀폐 캡은 수술 도구가 진입되는 유도 홀에 둘레 면을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유도 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포트 몸체의 측면에 수술 과정에서 발생되는 절삭 부위가 배출 통로를 통하여 간단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도구 포트를 통하여 가이드 포트의 내부로 유도되는 도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이와 동시에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도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포트 몸체의 위쪽 부분이 투명 창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포트 몸체의 내부에서 수술 도구의 이동 상태가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는 포트 몸체의 측면에 기체 유입 및 기체 배출 수단이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 포트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가이드 포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를 형성하는 다양한 부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서 밀폐 캡이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적용되는 밀폐 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적용되는 기체 조절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가이드 포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용 가이드 포트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부분에 유도 몸체(11a)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고정 링(14)이 결합된 포트 몸체(11); 유도 몸체(11a)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 및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체 조절 수단(21, 22)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몸체(11a)는 투명 소재가 된다.
포트 몸체(11)는 수술을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연질 소재로 만들어져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집힐 수 있다. 포트 몸체(11)의 아래쪽에 고정 링(14)이 결합되어 포트 몸체(11)는 기체의 주입에 따라 전체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원통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수술 과정에서 주입 링(도시되지 않음)이 포트 몸체(11)의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고정 링(14)의 내부로 유도되어 예를 들어 배꼽을 통하여 인체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링(14)이 포트 몸체(11)를 아래쪽으로부터 감으면서 이동되어 주입 링으로 접근하여 고정 링(14)과 주입 링에 의하여 포트 몸체의 아래쪽 부분이 인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포트 몸체(11)의 위쪽에 유도 몸체(11a)가 형성될 수 있고, 유도 몸체(11a)는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포트 몸체(11)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유도 몸체(11a)는 직경이 일정한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 방향을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이 되는 것에 의하여 포트 몸체(11)의 아래쪽 부분을 인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포트 몸체(11)가 쉽게 고정 링(14)에 감기도록 한다. 유도 몸체(11a)는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유도 몸체(11a)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포트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술 과정에서 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유도 몸체(11a)는 투명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포트 몸체(11)와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포트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도 몸체(11a)의 위쪽 부분은 실린더 형상이 되고, 유도 몸체(11a)의 위쪽 부분에 천정 면이 형성될 수 있고, 천정 면에 적어도 하나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가 유도 몸체(1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포트 몸체(11)의 내부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주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기체 조절 수단(21, 22)이 결합될 수 있다.
도구 포트(15a 내지 15d)가 유도 몸체(11a)와 일체로 만들어지면서 투명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수술 과정에서 포트 몸체(11)의 내부에서 수술 도구의 움직임 또는 고정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부의 절개 부분의 일부가 제거되어 외부로 꺼내지는 과정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가 전체적으로 원형의 천정 면으로부터 실린더 형상으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구 포트(15a 내지 15d)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각각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의 위쪽에 밀폐 캡(23)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수술 도구가 포트 몸체(11)의 내부를 경유하여 인체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는 유도 몸체(11a)와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기체 조절 수단(21, 22)이 결합될 수 있다. 1, 2 기체 조절 수단(21, 22)은 유도 몸체(11a)와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유도 유닛(11a)에 결합될 수 있다. 1, 2 기체 조절 수단(21, 22)의 각각의 한쪽 끝은 유도 유닛(11a)에 결합되고, 각각의 다른 끝은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 공급 수단 및 기체 저장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1 기체 조절 수단(21)을 통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가 포트 몸체(11)와 인체 내부로 주입되어 유도 몸체(11)를 팽창시켜 실린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2 기체 조절 수단(22)을 통하여 주입된 기체가 포트 몸체(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각각의 기체 조절 수단(21, 22)의 끝 부분에 고정 끈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각각의 기체 조절 수단(21, 22)에 결합된 밀폐 마개(221)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마개(221)에 의하여 각각의 기체 조절 수단(21, 22)이 개폐될 수 있다. 기체 조절 수단(21, 2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포트 몸체(11) 또는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배출 통로(12)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 통로(12)은 한쪽 부분이 포트 몸체(11) 또는 유도 몸체(11a)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고, 다른 끝은 열린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통로(12)의 끝 부분은 밀폐 수단(13)에 의하여 개폐가 될 수 있고, 밀폐 수단(13)은 배출 통로(12)에 결합되어 배출 통로(12)의 열린 끝을 밀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수술 과정에서 인체의 일부가 절개 또는 절삭되어 인체의 외부로 꺼내질 필요가 있다. 절삭 부분은 인체의 내부로부터 포트 몸체(11)를 통하여 위쪽으로 수술 도구에 의하여 꺼내져 배출 통로(12)에 보관될 수 있다. 배출 통로(12)는 수술 과정에서 밀폐 수단(13)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절삭 부위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열릴 수 있다. 절삭 부위는 배출 통로(12)로 유도되어 즉시 외부로 배출되거나, 일시적으로 배출 통로(12)에 보관되고, 이후 적절한 시기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절삭 부위의 배출을 위하여 두 개의 밀폐 수단(13)이 사용될 수 있다. 배출 통로(12)의 포트 몸체(11) 측면의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양한 직경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배출 통로(12)는 다양한 형태로 포트 몸체(11) 또는 유도 몸체(11a)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를 형성하는 다양한 부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출 통로(12)는 포트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다양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도구 포트(15a, 15b)는 유도 몸체(11a)의 천정 면으로부터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위쪽 끝 부분에 체결 부분(1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몸체(11)의 측면에 체결 홀(211)이 형성되어 기체 조절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포트 몸체(11)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고정 링(14)은 원형 밴드 형상이 될 수 있고, 탄성 소재로 만들어져 다양한 접착 방법으로 포트 몸체(11)의 아래쪽 끝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 통로(12)의 끝 부분은 밀폐 수단(13)에 의하여 개폐가 될 수 있고, 밀폐 수단(13)은 베이스 유닛(31a)과 베이스 유닛(31a)에 한쪽 끝이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잠금 유닛(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유닛(31a)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몸체(311); 베이스 몸체(311)의 위쪽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연장되는 판 형상의 연장 돌기(312a, 312b); 및 베이스 몸체(311)의 한쪽 끝으로부터 수직 또는 그에 근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훅 탭(3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유닛(31b)은 베이스 몸체(311)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잠금 몸체(315); 잠금 몸체(315)에 형성되는 한쪽 면이 열린 형상의 삽입 홈(316a, 316b); 및 잠금 몸체(315)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걸림 탭(31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몸체(311)와 잠금 몸체(315)의 한쪽 끝이 서로 결합되면서 걸림 탭(314b)이 훅 탭(313)에 형성된 연장 홀(313a)에 걸리도록 회전될 수 있다. 훅 탭(313)은 베이스 몸체(311)와 결합된 부분을 경계로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 몸체(311)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 돌기(312a, 312b)가 한 쌍의 삽입 홈(316a, 316b)에 삽입이 되는 형태로 베이스 유닛(31a)과 잠금 유닛(31b)이 결합이 되는 것에 의하여 배출 통로(12)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것에 의하여 배출 통로(12)의 밀폐성이 보장될 수 있다.
각각의 도구 포트(15a, 15b)의 위쪽 부분에 형성된 체결 부분(151)에 실링 유닛(32)이 결합될 수 있고, 실링 유닛(32)은 고정 몸체로부터 기체가 위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 부분(321)과 차폐 부분(321)의 위쪽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 몸체(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유닛(32)은 밀폐 캡과 함께 체결 부분(151)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 유닛(32)의 고정 몸체(322)가 포트 고정 탭(33)의 아래쪽에 결합되고, 밀폐 캡(23)이 포트 고정 탭(33)의 위쪽에 결합될 수 있다. 포트 고정 탭(33)의 내부에 일정한 지름을 가지면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유도 경로가 형성되고, 외부에 실링 유닛(32) 및 밀폐 캡(23)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포트 고정 탭(33)은 전체적으로 견고한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위쪽에 원형의 플랜지 형상 또는 높이를 가진 고리 형상으로 연장되는 탭 머리(331); 탭 머리(331)의 아래쪽으로 탭 머리(331)의 아래쪽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탭 다리(332); 및 탭 다리(332)의 끝 부분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안정 테두리(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탭 다리(332)가 실링 유닛(32)의 고정 몸체(322)의 내부로 삽입이 되는 방식으로 실링 유닛(32)과 포트 고정 탭(33)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실링 유닛(32)이 체결 부분(15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트 고정 탭(33) 및 실링 유닛(32)이 체결 부분(151)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탭 머리(331)의 위쪽에 밀폐 캡(23)이 결합될 수 있다. 밀폐 캡(23)은 캡 머리(231) 및 캡 머리(231)의 아래쪽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는 캡 다리(23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캡 머리(231)에 탭 머리(331)가 수용되고, 체결 부분(151)이 캡 다리(23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캡 다리의 외부 둘레에 신축성을 가지는 고정 밴드(34)가 결합되어 밀폐 캡(23)이 체결 부분(1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실링 유닛(32)과 밀폐 캡(23)은 수술 도구가 체결 몸체 및 고정 몸체의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수술 도구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내부와 외부 사이의 기체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밀성을 향상을 위하여 실링 유닛(32)의 외부 둘레 면에 밀폐 홈(323)이 형성되고, 도구 포트(15a)와 체결 부분(151)의 경계 부위에 안쪽으로 돌출되는 삽입 돌기(151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삽입 돌기(151a)가 밀폐 홈(32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고정 상태의 변형이 방지되면서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링 유닛(32), 포트 고정 탭(33), 체결 부분(151) 또는 밀폐 캡(23)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이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적용되는 밀폐 캡(23)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가), (나) 및 (다)는 각각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폐 캡(23)은 수술 도구가 진입되는 유도 홀(236)의 둘레 면을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유도 팁(237)을 포함한다.
밀폐 캡(23)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캡 머리(231) 및 도구 포트의 위쪽에 결합되는 캡 다리(2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 머리(231)는 전체적으로 타이어 형상이 되면서 천정 면은 도구를 투입을 유도하면서 도구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둘레 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볼록한 형상이 되면서 전체적으로 타이어 형상이 되는 캡 머리(231)는 부드러운 소재 또는 쉽게 휘어지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천정 면이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또는 천정 면에 비하여 둘레 면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천정 면의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술 도구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한다. 천정 면은 둘레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면(234); 연장 면(234)의 안쪽에 형성되면서 위쪽으로 돌출되면서 둘레 면 또는 연장 면(23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두께로 형성되는 고정 면(235); 및 고정 면(235)의 중심에 형성되는 유도 홀(2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면(235)의 둘레 면을 따라 고정 면(235)에 비하여 큰 두께를 가지도록 위쪽으로 돌출되는 고정 테두리(233)가 형성되고, 유도 홀(236)은 둘레 면을 따라 고정 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유도 팁(2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고정 테두리(233)는 고정 면(235)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수술 도구의 투입 제거 또는 수술 도구의 움직임 과정에서 둘레 면과 연장 면(234)의 변형되도록 한다. 또한 유도 팁(237)은 수술 도구가 쉽게 유도 홀(236)을 통하여 고정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수술 과정에서 수술 도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고정 몸체의 내부로부터 유도 홀(236)과 수술 도구의 틈새로 기체 또는 냄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밀폐 캡(23)은 수술 도구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포트에 적용되는 기체 조절 수단(21)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체 조절 수단(21)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는 그 역으로 기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 커넥터(52); 및 유도 커넥터(52)를 밀폐시키는 커넥터 실링(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 커넥터(52)의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외부 둘레 면을 따라 위에서 설명된 체결 홀에 결합되는 체결 팁(521); 길이 방향으로 외부 지름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연장 부위(522); 연장 부위(522)의 한쪽 끝에서 계단을 형성하면서 점차로 지름이 커지도록 연장되는 고정 부위(523); 고정 부위(523)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제한 결합 테두리(524); 및 제한 결합 테두리(524)로부터 일정한 지름을 가지면서 연장되고 끝 부분에 체결 테두리(526)가 형성된 기체 유도 부위(5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실링(51)은 체결 팁(521)이 삽입되어 제한 결합 테두리(524)가 삽입 테두리(5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실링(51)은 일정한 지름을 가지면서 내부에 유도 커넥터(52)의 한쪽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경로가 형성된 밀폐 실린더(511); 및 밀폐 실린더(511)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제한 결합 테두리(524)와 결합되는 삽입 테두리(5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체 조절 수단(21)은 기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 기체 조절 수단(21)과 위에서 설명된 배출 기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배출 기체 조절 수단은 유입 기체 조절 수단(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기체 조절 수단(21)은 기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포트 몸체 11a: 유도 몸체
12: 배출 통로 13: 밀폐 수단
14: 고정 링 15a 내지 15d: 도구 포트
21, 22: 1, 2 기체 조절 수단 23: 밀폐 캡
31a: 베이스 유닛 31b: 잠금 유닛
32: 실링 유닛 33: 포트 고정 탭
34: 고정 밴드 51: 커넥터 실링
52: 유도 커넥터 151: 체결 부분
211: 체결 홀 221: 밀폐 마개
231: 캡 머리 232: 캡 다리
233: 고정 테두리 234: 연장 면
235: 고정 면 236: 유도 홀
237: 유도 팁 311: 베이스 몸체
312a, 312b: 연장 돌기 313: 훅 탭
313a: 연장 홀 314b: 걸림 탭
315: 잠금 몸체 316a, 316b: 삽입 홈
321: 차폐 부분 322: 고정 몸체
323: 밀폐 홈 331: 탭 머리
332: 탭 다리 333: 안정 테두리
511: 밀폐 실린더 512: 삽입 테두리
521: 체결 팁 522: 연장 부위
523: 고정 부위 524: 제한 결합 테두리
525: 기체 유도 부위 526: 체결 테두리

Claims (3)

  1.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위쪽 부분에 유도 몸체(11a)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고정 링(14)이 결합된 포트 몸체(11);
    유도 몸체(11a)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 포트(15a 내지 15d); 및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결합되는 기체 조절 수단(21, 22)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몸체(11a)는 투명 소재가 되고,
    포트 몸체(11) 또는 유도 몸체(11a)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 통로(12)를 더 포함하고, 배출 통로(12)은 한쪽 부분이 포트 몸체(11) 또는 유도 몸체(11a)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실린더 형상으로 연장되고, 다른 끝부분은 열린 형상이 되어 밀폐 수단(13)에 의하여 개폐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가이드 포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도구 포트(15a 내지 22d)에 결합되는 밀폐 캡(23)을 더 포함하고, 밀폐 캡(23)은 수술 도구가 진입되는 유도 홀(236)에 둘레 면을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유도 팁(237)을 더 포함하는 분리 구조의 의료용 가이드 포트.
KR1020180064102A 2018-06-04 2018-06-04 의료용 가이드 포트 Active KR10212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02A KR102125001B1 (ko) 2018-06-04 2018-06-04 의료용 가이드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02A KR102125001B1 (ko) 2018-06-04 2018-06-04 의료용 가이드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042A KR20190138042A (ko) 2019-12-12
KR102125001B1 true KR102125001B1 (ko) 2020-06-19

Family

ID=6900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102A Active KR102125001B1 (ko) 2018-06-04 2018-06-04 의료용 가이드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812B1 (ko) * 2020-01-29 2022-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비물 수집을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내시경 처치구 채널 마개 및 이를 구비하는 내시경 장치
KR102559853B1 (ko) * 2021-03-02 2023-07-26 (주)나노맥 의료용 개창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01B1 (ko) 2011-04-22 2011-12-06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
JP2013541359A (ja) * 2010-09-10 2013-11-14 ナム ソ、オ 内視鏡手術道具ガイダーポート
JP2014050553A (ja) * 2012-09-07 2014-03-20 Hakko Co Ltd 医療用処置具のアクセス器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0811B2 (en) * 2008-09-30 2013-04-30 Ethicon Endo-Surgery, Inc. Multiple port surgical access device
KR100988401B1 (ko) 2010-05-19 2010-10-18 서오남 수술도구 가이더용 보호캡
KR101301914B1 (ko) * 2011-11-09 2013-08-30 (주)유원메디텍 수술용 싱글포트
KR101509891B1 (ko) 2012-10-22 2015-04-08 서오남 간편연결식 몸체분리형 수술도구 가이더포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1359A (ja) * 2010-09-10 2013-11-14 ナム ソ、オ 内視鏡手術道具ガイダーポート
KR101089101B1 (ko) 2011-04-22 2011-12-06 배경철 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
JP2014050553A (ja) * 2012-09-07 2014-03-20 Hakko Co Ltd 医療用処置具のアクセス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042A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079B1 (ko) 의료용 가이드 포트를 위한 밀폐 캡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US7766824B2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EP1994894A1 (en) Access assembly with ribbed seal
JP2007275623A (ja) 細長い物体をシール状態で受け入れる弁組立体
JP2010088897A (ja) トロカールアセンブリ
KR102125001B1 (ko) 의료용 가이드 포트
KR101525126B1 (ko) 트로카 조립체
KR102040082B1 (ko) 배출 통로를 가진 의료용 가이드 포트
KR102124995B1 (ko) 분리 구조의 의료용 가이드 포트
JP2010240426A (ja) 拡大可能なカニューレを有する外科手術用ポータル装置
KR101347812B1 (ko) 트로카 어셈블리
KR101301914B1 (ko) 수술용 싱글포트
KR20210019217A (ko) 체결 링 구조의 가이드 포트
KR102177783B1 (ko) 링 결합 개선 구조의 분리형 가이드 포트
KR102392388B1 (ko) 누설 방지 기능이 향상된 가이드 포트용 차단 모듈
KR102457737B1 (ko) 수술 도구 유도용 실링 물품
KR102755129B1 (ko) 의료 도구용 밀폐 물품
KR20200068199A (ko) 클리닝 기능을 가진 트로카
KR102559853B1 (ko) 의료용 개창 기구
KR102210812B1 (ko) 기밀 성능이 향상된 트로카
KR20190030290A (ko) 끝 부분 당김 방지 구조의 트로카
KR20200051941A (ko) 압력 형성 홀을 가진 의료용 트로카
KR20230041668A (ko) 가이드 포트용 고정 링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KR20200029712A (ko) 가이드 포트용 고정 링 및 이를 가진 가이드 포트
KR102630969B1 (ko) 취급 특성이 개선된 수술용 의료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6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