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480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4480B1 KR102124480B1 KR1020130146014A KR20130146014A KR102124480B1 KR 102124480 B1 KR102124480 B1 KR 102124480B1 KR 1020130146014 A KR1020130146014 A KR 1020130146014A KR 20130146014 A KR20130146014 A KR 20130146014A KR 102124480 B1 KR102124480 B1 KR 102124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rgent
- dispenser
- washing machine
- auxiliary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979 fabric sof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 중앙으로 공기를 순환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터브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부와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부가 분리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상부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apparatus, a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rum provided rotatably on the tub, an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and circulating air to the front center of the tub It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device, a detergent dispenser located at the upper front of the tub and a detergent portion to which detergent is added and an auxiliary detergent portion to which an auxiliary detergent is added, and a dispenser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top of the detergent dispen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장치의 상면에 세제 디스펜서가 구비되며, 세제 디스펜서를 개폐하기 위한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는 세탁장치에 과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detergent dispens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undry device, and the laundry device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tergent dispenser.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탁장치 중 특히 세탁기는 세탁을 위하여 세제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세탁기에는 일반적으로 세제 투입을 위한 세제 디스펜서를 구비된다. 따라서 세제 디스펜서는 특히 세탁기에 있어서는 자명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dryer for drying laundry,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laundry, and the like. Among these washing machines, a washing machine uses detergent or the like for washing. To this end, the washing machine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detergent dispenser for introducing deterg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etergent dispenser is an obvious configuration, especially in the washing machin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 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 및 세제 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device and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투입되는 세탁물이 수납되어 세탁되는 드럼(12)을 구비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드럼(13)에 의해 세탁되는 세탁물의 세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 디스펜서(20)가 구비된다.As shown, the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20)는 통상적으로 세탁장치(10)의 전방으로 일부가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세제 투입부(22)를 구비하며, 인출된 세제 투입부(22)에 세제를 투입하고, 세제 투입부(22)를 세제 디스펜서(20)에 수납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detergent dispenser 20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drawer-type detergent inlet 22 in which a portion is withdrawn from the front of the
즉, 세제 디스펜서(20)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부(22)를 갖고, 세제 투입부(22)로 투입된 세제는 세탁수와 함께 세탁을 위한 공간인 터브 또는 드럼으로 공급된다.That is, the detergent dispenser 20 has a detergent input portion 22 into which detergent is added, and the detergent input into the detergent input portion 22 is supplied to the tub or drum, which is a space for washing together with washing water.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10)의 세제 디스펜서(20)의 경우 세제의 투입시 세제 디스펜서(20)가 세탁장치(10)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세제 용기를 들어 세제 디스펜서에 세제를 투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etergent dispenser 20 of the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20)의 경우 세탁장치(10)의 전면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세제를 투입하여야 함으로, 사용자는 세제 투입시 세제용기를 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제 디스펜서(20)에 세제를 투입하거나 세제용기의 토출구를 세제 디스펜서(20)에 거치한 상태에서 세제를 투입하여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etergent dispenser 2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must be added in a state that is withdrawn to the front of the
하지만, 사용자가 세제 용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세제를 투입할 경우 사용자에게 많은 힘이 필요함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추래 할 수 있으며, 세제 디스펜서(20)에 세제 용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세제를 투입할 경우 세제용기의 하중에 의해 세제 디스펜서(20)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user inputs detergent while holding the detergent container, the user needs a lot of power,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when the detergent dispenser 20 is mounted with the detergent container, the detergent is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ergent dispenser 20 may be damaged by the load of the detergent contain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20)의 경우 세제의 투입을 위해서는 세제 디스펜서(20)가 세탁장치(1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함으로 세제 디스펜서(20)가 세탁장치(10)의 전방으로 인출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세탁장치(10)의 전면에 형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세탁장치의 전면 디자인에 제약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etergent dispenser 2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detergent dispenser 20 is the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제 디스펜서의 위치 및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세제 투입시 편리하고 쉽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laund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laundry device that improves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detergent dispens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easily inject the deterg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제 디스펜서의 위치 및 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장치의 디자인 제약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laund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laundry device that can reduce the design constraints of the laundry device by improving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detergent dispense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 중앙으로 공기를 순환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터브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부와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부가 분리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상부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a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nd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ub, An air supply device for circulating and supplying air to the front center, a detergent dispenser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a detergent portion to which detergent is added and an auxiliary detergent portion to which an auxiliary detergent is added are separat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is opened and closed. It is preferred to have a dispenser cover.
상기 캐비닛은 상면 후방 형성하고 상면 전방을 노출시키는 상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상면커버에 의해 노출되는 상면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binet includes a top cover that is formed behind the top and exposes the front of the top, and the detergent dispenser is preferably located in front of the top exposed by the top cover.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상기 세제부와 상기 보조세제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일부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etergent portion and the auxiliary detergent por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are integrally formed, and a space portion where a part of the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is formed.
상기 세제부와 상기 보조세제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세제부와 상기 보조세제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위치하는 공간부가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portion and the auxiliary detergent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formed by connecting the detergent portion and the auxiliary detergent portion and form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상기 세제부에는 상기 세제부에 투입된 세제를 혼합/공급하기 위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보조세제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water supply lin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for mixing/supplying detergent added to the detergent unit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uni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etergent unit supplies washing wate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세탁수를 상기 보조세제부로 안내하는 연결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connecting passage that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auxiliary detergent.
상기 보조세제부에 투입된 상기 보조세제는 상기 세탁수에 같이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세제부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the auxiliary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detergent is moved to the detergent uni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s in the washing water.
상기 세제부는 상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함을 구비하며, 상기 보조세제부는 상기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투입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unit includes a detergent injection box into which the detergent is introduced, and that the auxiliary detergent unit has an auxiliary detergent injection box into which the auxiliary detergent is introduced.
상기 보조세제부는 상기 세제부와 별도로 세탁수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etergent is supplied with washing water separately from the detergent.
상기 세제부는 상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함과, 상기 세제와 별도로 예비세제가 투입되는 투입되는 예비세제투입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part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input box into which the detergent is introduced and a preliminary detergent input box into which a preliminary detergent is added separately from the detergent.
상기 세제투입함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급수유로와, 상기 제 1급수유로와 교차되며 상기 예비세제투입함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예비급수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급수유로와 상기 예비급수유로에 동시 급수될 때 상기 보조세제부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보조세제부급수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detergent injection box, a first water supply channel for intersecting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and a preliminary wate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preliminary detergent input box are provided, and the first water supply channel and the preliminary water supply channel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an auxiliary detergent-supplying water passage is formed to guide the washing water to the auxiliary detergent when the water is supplied at the same time.
상기 세제투입함에는 온수급수를 위한 온수라인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t water line for hot wat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injection box.
상기 세제투입함 및/또는 상기 예비세제투입합의 상측에는 세탁수가 이동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순환유로에는 상기 세탁수가 오버플로우되어 공급되는 오버플로우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irculation flow path through which wash water is mov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tergent injection box and/or the pre-detergent injection mix, and an overflow step in which the washing water overflows and is supplied is formed in the circulation flow path.
상기 세제투입함에는 액체세제투입시 사이펀 현상에 의해 액체세제를 투입하는 액체세제투입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liquid detergent injection guide for introducing a liquid detergent through a siphon phenomenon when the liquid detergent is injected is further provided in the detergent injection box.
상기 세제 디스펜서는 상기 세제 및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홀이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각 투입홀로 투입된 상기 세제 및 보조세제가 세탁수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 및 공급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제 및 보조세제가 집수되어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집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ergent dispenser includes a cover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holes into which the detergent and auxiliary detergent are introduced, a flow path portion through which the detergen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injected into each input hole are selectively mixed and supplied by washing water, and the flow path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gen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supplied by the part are collected and provided with a water collecting part supplied to the tub.
상기 덮개부, 상기 유로부, 상기 집수부는 각각 중앙부에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위치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ortion, the flow path portion, and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connection portions form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상기 유로부에는 상기 세제부에 투입된 세제를 혼합/공급하기 위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보조세제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급수라인에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water supply lin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for mixing/supplying detergent added to the detergent part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par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etergent part is supplied with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lin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상기 보조세제부는 상기 유로부의 형성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세탁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agent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the flow path portion.
상기 보조세제부로 투입된 상기 보조세제는 상기 집수부의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세제부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detergent portion is moved to the detergent portion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of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상면의 전방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전방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enser cover forms a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a front edge of the upper surface.
상기 상면은 상기 상면을 구획하는 단일 경계선이 형성되며, 상기 단일 경계선의 후방은 상기 상면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단일 경계선의 전방은 상기 디스펜서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single boundary line dividing the upper surface, the rear of the single boundary line is formed by the upper cover, and the front of the single boundary line is formed by the dispenser cover.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개방시 상기 상면커버의 하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penser cov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when the detergent dispenser is opened.
상기 디스펜서 커버는, 상기 세제 디스펜서 상부에 위치하는 도어 브라켓과, 상기 도어 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세제 디스펜서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penser cover includes a door bracket positioned above the detergent dispenser and a sliding doo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door bracket and opens and closes the detergent dispenser as it slides.
상기 도어 브라켓은 상기 세제 디스펜서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마주하는 양면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안내 하는 제 1, 2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양측에 상기 제 1, 2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or bracket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introducing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dispenser, and guides having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guiding the sliding door on opposite sides. Preferably, first and second sliding projection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door.
상기 제 1, 2가이드 슬릿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하향되는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are preferably formed with an inclined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door.
상기 제 1가이드 슬릿의 경사보다 상기 제 2가이드 슬릿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guide sli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guide slit.
상기 상면커버의 상면 전방에는 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 후방에는 상기 합입부에 연장되는 함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indentation part is form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cover, and an indentation part extending in the indentation part is further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ing door.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전방 모서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면과 상기 캐비닛의 전방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dge of the sliding door forms the front edge of the cabinet,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door and the front cover of the cabinet is formed.
상기 연결면은 곡면 또는 평면 형태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of a selected one of a curved or planar form.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상면 후방 형성하고 상면 전방을 노출시키는 상면 커버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 중앙으로 공기를 순환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터브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면커버에 의해 노출되는 상면 전방에 위치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상부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binet including a top cover to form a rear surface and expose the front surface, the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rotatable on the tub A drum provided to be provided, an air supply devic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and circulatingly supplying air to the front center of the tub, and a detergent located at the upper front of the tub and located at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exposed by the upper cov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dispenser and a dispenser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top of the detergent dispens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 중앙으로 공기를 순환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부, 상기 공기공급장치의 타측에 위치하며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부 및 상기 세제부와 상기 보조세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상부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the cabinet, the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he drum rotatably provided on the tu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the An air supply device that circulates and supplies air to the front center of the tub, a detergent part tha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air supply device, and into which detergent is introduced, and an auxiliary detergent part that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air supply device and into which an auxiliary detergent is added, and the It is preferable to have a detergent dispenser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detergent portion and the auxiliary detergent portion, and a dispens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세제 디스펜서의 위치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제 투입시 편리하고 쉽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easily inject detergent when the detergent is introduced by improving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detergent dispen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에 따르면 세제 디스펜서의 위치 및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세탁장치의 디자인 제약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aund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aundry device that can reduce the design constraints of the laundry device by improving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detergent dispen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상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제 디스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연결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의 세탁수 공급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의 집수부를 타나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상부패널 및 디스펜서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rgent dispense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portion of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flow path connection of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is a simplified view showing the washing water supply of the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water collecting part of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anel and a dispenser cove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ens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8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of the element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name defined in each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nother name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세제 디스펜서 이외의 세탁장치 구성은 일반적인 세탁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세탁장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고, 세제 디스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ergent dispenser. The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device other than the detergent dispenser may be the same as that of a general laundry device,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eneral washing machin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detergent dispens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rst,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세탁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12), 전면커버(117), 측면커버(118), 후면커버(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진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30)와, 터브(13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140)과, 터브(130)내 공기를 가열 순환시키는 공기공급장치(160)와, 터브(130) 상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면커버(112)에 대하여 노출된 상태로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 디스펜서(300) 및 상면커버(112)와 연장면을 형성하며 세제 디스펜서(300)을 커버하는 디스펜서 커버(200)를 구비한다.As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는 세제 디스펜서(300)이 캐비닛(110) 상부의 일부가 개폐됨에 따라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캐비닛(110)의 상부는 캐비닛(110)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면커버(112) 및 세제 디스펜서(300)을 차폐 및 노출시키는 디스펜서 커버(200)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디스펜서 커버(200)는 캐비닛의 상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캐비닛(110)의 상면 전방 모서리를 형성한다. 세제 디스펜서(300) 및 디스펜서 커버(200)에 대해서는 세탁장치(100)의 설명 이후에 상세히 하도록 한다.A
또한, 캐비닛(110)의 전방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11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 내지 건조 등의 행정을 수행하는 특정 코스를 입력하는 컨트롤 패널(120)이 설치된다. 컨트롤 패널(120)은 사용자가 세탁 내지 건조 행정 과정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와, 사용자가 선택한 행정 및 세탁장치(100)의 작동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한다.In addition, a
여기서, 캐비닛(110)의 상면커버(112)의 경우 상면커버(112)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면커버(112)의 내측부가 함입되는 함입면(113)이 형성되며, 상면커버(112)의 양측에는 양 측면커버(118)와의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4)이 구비된다.Here, in the case of the
상기 터브(130)는 캐비닛(110) 내측에 세탁수를 저수하도록 구비되며, 터브(130)의 후방에는 드럼(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50)가 장착된다. 또한, 터브(130)와 캐비닛(110) 사이에는 터브(130)를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 및 댐퍼(132) 등을 포함한다.The
또한 터브(130)에는 터브(130)로 세탁수를 급수하도록 급수밸브(134) 및 급수호스(133)를 포함하는 급수부(132) 및 의류의 세탁 후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138) 및 배수호스(137)를 포함하는 배수부(136)가 구비된다.Also, the
한편, 급수부(132)의 급수밸브(134)는 온수 및 냉수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온수의 급수를 위한 밸브에는 온수급수라인(135d)이 연결된다. 또한, 냉수의 급수를 위한 급수밸브(134)의 경우 급수원으로 공급되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3-way 밸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수의 급수를 위한 3-way 밸브에는 제 1, 2급수라인(135d)(135b), 예비급수라인(135c)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술한 제 1, 2급수라인(135a)(135b), 예비급수라인(135c), 온수급수라인(135d)의 경우 모두 세제 디스펜서(300)로 연결되며, 세제 디스펜서(300)을 통하여 단순 급수되거나, 세제 디스펜서(300)에 투입된 액체/분발세제, 에비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등과 혼합되어 터브(130)로 공급될 수 있다. 온수급수라인(135d), 제 1, 2급수라인(135a)(134b), 예비급수라인(134c)의 기능에 대해서는 세제 디스펜서(300)의 설명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상기 드럼(140)은 터브(13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140)의 내측에는 도어(111)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드럼(14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탈수공(141)이 형성되며, 드럼(140)의 내측에는 드럼(140)이 회전될 때 드럼(14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리프트(142)가 형성된다. 리프트(142)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따라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공급장치(160)는 터브(130)의 공기를 가열 및 순환시켜 터브(130)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드럼(140) 내에 위치하는 세탁물을 건조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160)는 터브(13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162)와, 흡기부(162) 상부에 위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63)과, 송풍팬(163)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는 히터(164)와, 히터(164)에 의해 가열된 공기 드럼(140) 내부로 공급하는 토출부(165)를 구비한다.The
여기서, 흡기부(162)는 터브(130) 후방 일측 외주면상에 위치하여 터브(130)내 공기가 직접 유입되며, 토출부(165)는 터브(130) 전방 중앙에 연결되어 드럼(140) 내측으로 공기가 직접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흡기부(162)와 토출부(165)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덕트(161)가 구비되며, 히터(164) 및 송풍팬(163)은 덕트(161)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덕트(161)의 경우 흡기부(162)에서 토출부(165)로 연결되며, 터브(130)의 후방 일측에서 터브(130) 전방 중앙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Here, the
또한, 공기의 흐름관점에서 송풍팬(163)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히터(164)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터브(130)의 외주면에서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가열하고 터브(130)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세탁물을 건조한 습한 공기는 터브(130) 내부와 터브(130)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터브(130)의 내측면에서 응축되어 건조한 공기로 변환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를 건조한 공기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터브(130) 내부의 습한 공기의 일부를 터브(130) 외부로 배출하고, 터브(130)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일부 터브(130)로 유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여기서, 터브(130), 드럼(140), 공기공급장치(160) 등의 구성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브, 드럼, 공기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종래 기술보다 개선된 터브, 드럼, 공기공급장치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Here, the
이러한 세탁장치(100) 작동 모습을 간략히 보면, 급수부(132)를 통해 터브(130)로 세탁수가 유입되고, 드럼(140)의 회전에 의해 세탁, 헹굼,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한편, 세탁, 헹굼시 세탁수는 배수부(136)를 통해서 터브(13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탁과 헹굼 후 세탁물의 탈수행정이 진행되어 세탁과정이 완료된다.To briefly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또한, 건조행정이 진행될 경우 공기공급장치(160)의 송풍팬(163)에 의해 터브(13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며, 공기공급장치(160)의 히터가 공기를 가열한다. 이에 가열된 공기는 터브(130)와 공기공급장치를 순환하면서 드럼(14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건조한다. 여기서, 세탁물을 건조한 공기는 터브(13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터브(130)의 내주면에서 응축되어 배수부(136)에 의해 터브(130) 외부로 배수된다.In addition, when the drying process is in progress, the air inside the
한편, 상술한 세탁장치(100)의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는 세탁을 위한 세제를 투입하여야 되며,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세탁장치(100)의 상부에 마련된 디스펜서 커버(200)를 개방하여 세제 디스펜서(300)에 액상세제, 분발세제, 섬유유연제, 보조세제 등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before 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세제 디스펜서의 설치 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상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etergent dispenser in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 디스펜서(300)은 캐비닛(110) 내측 터브(130) 전방 상면에 위치하며, 디스펜서 커버(200)의 개방에 따라 노출되도록 구비된다.4 to 5, the
상기 세제 디스펜서(300)은 캐비닛(110) 상부에 설치되며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로 형성된다. 세제 디스펜서(300)에는 분말/액체세제, 예비세제, 섬유유연제, 보조세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다수의 투입홀(312)(313)(317)이 형성된다.The
또한 세제 디스펜서(300)은 선택적으로 투입되는 분말/액체세제, 예비세제, 섬유유연제, 보조세제 등을 별도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하여 터브(130)로 공급하는 세제공급호스(176)가 터브(130)와 연결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술한 공기공급장치(160)의 토출부(165)의 경우 터브(130)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공기공급장치(160)의 덕트(161)는 터브(130) 후방 일측에서 토출부(165)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이에 세제 디스펜서(300)의 경우 공기공급장치(160)의 토출부(165) 또는 덕트(16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중앙부(구체적으로는 공기공급장치(160)의 토출부(165)의 상측에는 별도의 투입홀이 형성되지 않으며 공기공급장치(160)의 덕트(161) 선단과, 토출부(165)가 위치하는 덕트공간부(315)가 형성된다.Thus, in the case of the
즉, 세제 디스펜서(300)은 중앙부에 덕트(161) 선단과 토출부(165)가 위치하는 덕트공간부(315)가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에 분말/액체세제, 예비세제, 섬유유연제, 보조세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다수의 투입홀(312)(313)(317)이 분리되어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제 디스펜서(300)의 일측에는 분말/액체세제, 예비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312)(313)이 위치하며, 세제 디스펜서(300)의 타측에는 섬유유연제, 보조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홀(317)이 위치한다.That is, the
또한, 세제 디스펜서(300)의 일측과 타측은 각기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설치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또는 타측)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를 타측(또는 일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세제 디스펜서에 대해서는 세탁장치에 대하여 설명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etergent dispens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fter the laundry device.
상기 디스펜서 커버(200)는 세탁장치(100)의 상면 전방측(구체적으로 세제 디스펜서(300)의 상부)에 세탁장치(1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세제 디스펜서(300)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The
또한, 디스펜서 커버(200)와 상면커버(112)는 세탁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되는 동일한 연장면을 갖고 있어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면커버(112)와 인접하게 되는 디스펜서 커버(200)는 상면커버(112)의 상면 형상에 대하여 연장되는 연장면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술한 디스펜서 커버(200)의 경우 세탁장치(100)의 상면 전방을 형성함과 동시에 세탁장치(100)의 전면커버(117)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즉, 디스펜서 커버(200)의 경우 세탁장치(10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세탁장치(100)의 전면커버(117)로 연장되는 연결면(212)에 의해 세탁장치(100)의 상면과 전면이 미려한 외형으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또한, 상면커버(112)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114)의 경우 상면커버(112)의 양측에서 디스펜서 커버(2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커버(112) 및 디스펜서 커버(200)의 양측을 마감한다. 디스펜서 커버(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세제 디스펜서(300)의 설명이후에 상세히 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ergent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제 디스펜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의 유로연결을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ergent dispenser of a laund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portion of a detergent dispen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eter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flow path connection of the dispenser.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제 디스펜서(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첩되어 결합되는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을 구비하며, 각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는 각기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As shown, the
여기서, 상기 덮개부(310)는 세제덮개부(311), 연결덮개부(314), 보조세제덮개부(3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부(320)은 세제부(321), 연결부(334), 보조세제부(336)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수부(360)은 세제집수부(361), 경사유로(364), 보조세제집수부(367)로 이루어진다. 덮개부, 유로부, 집수부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에는 상술한 공기공급장치(160)의 덕트(161) 및 토출부(16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후방 중앙측에 공기공급장치(160)의 덕트(161) 및 토출부(165)가 삽입되는 덕트공간부(315)가 각각 함입되어 형성된다.The
여기서 덕트공간부(315)의 경우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며,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의 각 구성부를 구획하는 기준이 된다. 이에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에 형성되는 덕트공간부(315)의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 in the case of the
한편, 세제 디스펜서(300)이 덕트공간부(315)에 의해 구분될 경우 덕트공간부(315)에 의해 구분되는 세제 디스펜서(300)의 일측과 타측에 액체세제/분발세제, 예비세제, 표백제, 섬유유연제 등의 투입위치를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세제 디스펜서(300)의 일측에는 분발/액체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홀(312), 세제투입함(325)과, 추가적인 예비세제를 투입하는 예비세제투입홀(313)과, 예비세제투입함(329)을 위치시키고, 세제 디스펜서(300)의 타측에는 보조세제투입홀(317)과, 섬유유연제투입함(342) 및 표백제투입함(339)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세제와 보조세제의 투입위치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편리함을 줄 수 있다.That is, on one side of the
상기 덮개부(310)은 유로부(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로부(320)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로들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부(310)은 유로부(320)의 세제부(3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세제덮개부(311)와, 유로부(320)의 연결부(334)를 커버하는 연결덮개부(314)와 유로부(320)의 보조세제부(336)을 커버하는 보조세제덮개부(316)을 구비한다.The
여기서, 덮개부(310)의 세제덮개부(311), 연결덮개부(314), 보조세제덮개부(316)은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각각 연결되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제덮개부(311)과 보조세제덮개부(316)의 사이에는 상술한 덕트공간부(315)가 형성되며, 세제덮개부(311)과 보조세제덮개부(316)은 연결덮개부(314)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그리고 세제덮개부(311)에는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투입홀(312) 및 추가적인 예비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예비세제투입홀(3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세제덮개부(316)에는 표백제 및 섬유유연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보조세제투입홀(317)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한편, 세제덮개부(311)과 보조세제덮개부(316)의 외측에는 각각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이 결합된 이후에 캐비닛(110)에 고정되기 위한 체결부(318)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상기 유로부(32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세탁수에 미리 투입된 세제 및 예비세제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세제부(321)와, 세제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일부를 보조세제부(336)로 안내하는 연결부(334)와, 연결부(334)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에 미리 투입된 표백제 또는 섬유유연제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보조세제부(336)을 구비한다.The
여기서 세제부(321)은 액체세제 또는 분말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투입함(325) 및 예비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예비세제투입함(329)가 형성된다. 세제투입함(325) 및 예비세제투입함(329)의 하부는 유로부(320)의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세제투입함(325) 및 예비세제투입함(329)의 후방은 투입된 세제가 세탁수와 같이 집수부(360)의 세제집수부(361)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세제투입함(325)의 상부 외주면으로는 공급되는 세탁수가 세제투입함(325)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순환유로(328)이 형성되며, 제 1순환유로(328)의 내주면에는 제 1순환유로(328)을 통과하는 세탁수가 세제투입함(325)의 외주면에서 넘쳐흐를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오버플로우 단턱(328a)이 형성된다. 여기서 오버플로우 단턱(328a)의 경우 제 1순환유로(328)을 이동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또한, 예비세제투입함(329)의 상부 외주면으로는 공급되는 세탁수가 예비세제투입함(329)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순환유로(332)가 형성되며, 제 2순환유로(332)의 내주면에는 제 2순환유로(332)를 통과하는 세탁수가 예비세제투입함(329)의 외주면에서 넘쳐흐를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오버플로우 단턱(3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오버플로우 단턱(332a)의 경우 제 2순환유로(332)를 이동하는 세탁수의 이동방향에 따라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econd
한편, 세제부(321)의 후방측에는 세제투입함(325), 예비세제투입함(329), 섬유유연제투입함(342)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다수의 연결부(322)(323)(324)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세제투입함(325)로 온수를 급수하기 위한 온수급수라인 연결부(322)와, 세제투입함(325)로 냉수를 급수하기 위한 제 1급수라인 연결부(323)와, 제 1급수라인(135a)과 동시 공급될 경우 제 1급수라인(135a)의 세탁수와 같이 보조세제부(336)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예비급수라인 연결부(324)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여기서, 온수급수라인 연결부(322)에는 제 1순환유로(328)의 일측에 연결되어 온수급수라인에서 공급되는 온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온수유로(326)이 형성된다. 한편, 온수급수라인(135d)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온수급수라인 연결부(322) 및 온수유로(326)을 통해 제 1순환유로(328)로 공급되며, 제 1순환유로(328)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단턱(328a)을 통하여 세제투입함(325)로 공급된다(도 10 참고).Here, the hot water supply
한편, 제 1급수라인 연결부(323)에는 제 1순환유로(328)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 1급수라인(135a)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 1급수유로(327)이 구비되며, 예비급수라인 연결부(324)에는 예비급수라인(135c)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예비급수유로(331)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first water supply
여기서, 제 1급수유로(327)과 예비급수유로(331)은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제 1급수유로(327)과 예비급수유로(331)의 교차되는 교차부위에서 제 1급수유로(327)과 예비급수유로(331)의 급수방향에 대향되는 위치의 중앙부에는 세탁수를 섬유유연제투입함(342)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보조세제부급수유로(333)가 형성된다.Here, the first
한편, 제 1급수라인(135a)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1급수라인 연결부(323) 및 제 1급수유로(327)을 통해 제 1순환유로(328)의 타측으로 공급되며, 제 1순환유로(328)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단턱(328a)을 통하여 세제투입함(325)로 공급된다(도 10 참고).Meanwhil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즉, 세제투입함(325)의 제 1순환유로(328)의 경우 온수급수라인(135d)에서 공급되는 온수 및 제 1급수라인(135a)에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온수급수유로(135d) 및 제 1급수유로(327)을 통하여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한편, 예비급수유로(331)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예비급수라인 연결부(324) 및 예비급수유로(331)을 통해 예비세제투입함(329)로 공급되며, 제 2순환유로(332)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단턱(332a)을 통하여 예비세제투입함(329)로 공급된다(도 10 참고).Meanwhile,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preliminary
여기서, 보조세제부급수유로(333)의 경우 연결부(334)에 형성된 연결유로(335)를 통하여 보조세제부(336)로 연결된다.Here,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detergent-supply
보조세제부(336)은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섬유유연제투입함(342) 및 표백제투입함(339)이 형성된다. 섬유유연제투입함(342) 및 표백제투입함(339)의 상측에는 섬유유연제투입함(342) 및 표백제투입함(339)에 투입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세탁수 등이 오버플로우되는 오버플로우홀(341)이 형성되며, 섬유유연제투입함(342) 및 표백제투입함(339)의 하부에는 섬유유연제투입함(342) 및 표백제투입함(339)에 투입된 섬유유연제 및 표백제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펀유로(344)가 설치된다. 사이펀유로(344)의 경우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여기서, 섬유유연제투입함(342)의 경우 연결부(334)에 형성된 연결유로(335)가 연장되며, 예비급수라인(135c)에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예비급수라인 연결부(324) 및 예비급수유로(331), 연결부(334)의 연결유로(335)를 통하여 세탁수를 공급받는다(도 9참고).Here, in the case of the fabric
한편, 표백제투입함(339)의 후방에는 제 2급수라인(135b)이 연결되는 제 2급수라인 연결부(337)이 마련되고, 제 2급수라인 연결부(337)에는 표백제투입함(339)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제 2급수유로(338)이 형성된다. 이에 표백제투입함(339)의 경우 제 2급수라인(135b)에서 공급되는 세탁수가 제 2급수라인 연결부(337) 및 제 2급수유로(338)을 통해서 세탁수를 공급받는다(도 10참고).On the other hand, a second water supply
상기 집수부(360)은 유로부(3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유로부(320)의 세제투입함(325), 예비세제투입함(329), 섬유유연제투입함(342), 표백제투입함(339)에 투입된 각종 세제 및 보조제들을 공급되는 세탁수와 함께 터브(1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The
이러한 집수부(360)은 집수된 세제 및 세탁수가 터브(130)로 토출되는 토출구(363)이 구비되는 세제집수부(361)와, 섬유유연제 및 표백제가 집수되는 보조세제집수부(367)과 세제집수부(361)과 보조세제집수부(367)을 연결하는 경사유로(36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집수부(360)의 세제집수부(361), 보조세제집수부(367), 경사유로(364)는 일체로 형성된다.The
또한, 세제집수부(361)과 보조세제집수부(367)의 사이에는 상술한 덕트공간부(315)가 형성되며, 세제집수부(361)과 보조세제집수부(367)은 경사유로(364)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여기서, 세제집수부(361), 보조세제집수부(367), 경사유로(364)의 하면은 각 집수부(361)(367)(364)에 집수된 세제 및 세탁수가 세제집수부(361)에 마련된 토출구(363)을 통하여 터브(13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된다.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도 11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먼저 보조세제집수부(367)의 하면은 보조집수부(360)의 일측에 연결된 경사유로(364) 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경사면(368)이 형성되고, 경사유로(364)의 하면은 보조집수부(360)의 제 1경사면(368)에서 세제집수부(361) 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경사면(365)가 형성된다. 그리고 세제집수부(361)의 하면은 경사유로(364)의 제 2경사면(365)에서 토출구(363)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3경사면(362)가 형성된다.11 to 13, first,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따라서 세제집수부(361)에 투입된 세제는 세제집수부(361)의 제 3경사면(362)을 따라 토출구로 배출되어 터브(130)에 투입되며, 보조세제집수부(367)에 투입된 섬유유연제 및 표백제는 보조세제집수부(367)의 제 1경사면(368)을 따라 경사유로(364)로 유입되고, 경사유로(364)에 유입된 섬유유연제 및 표백제는 경사유로(364)의 제 2경사면(365)을 따라 세제 집수부(360)에 유입되어 세제 집수부(360)의 제 1경사면(368)에 의해 토출구(363)로 배출되어 터브(130)에 투입된다.Accordingly, the detergent introduced into the
한편, 본원 발명의 세제 디스펜서(300)의 경우 액체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액체제제투입가이드(370)가 구비된다. 즉, 덮개부(310), 유로부(320), 집수부(360)로 형성된 세제 디스펜서(300)의 경우 세제투입함(325)에 직접 액체세제를 투입할 경우 세탁수의 급수와 함께 세제가 바로 공급되어 원하지 않는 시기에 액체 세제가 공급될 수 있는 문제점 있다. 따라서 액체 세제의 투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이펀 현상에 의해 액체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액체세제투입가이드(370)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도 14는 세제 디스펜서(300)에서 액체세제투입가이드(370)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액체세제투입가이드(370)는 유로부(320)의 세제투입함(325)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며 액체세제가 저장되는 액체세제저수부(371)가 구비되며, 액체세제저수부(371)의 내측에는 사이펀 형상에 의해 액체세제저수부(371)의 내측에 저수된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사이펀유로(375)가 구비된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liquid
이러한 액체세제저수부(371)의 일측에는 액체세제투입가이드(370)를 착탈하기 위한 손잡이(372)가 구비되며, 액체세제사이펀유로(375)의 일측에는 액체세제의 투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투입경계돌기(374)가 구빈된다. 또한 액체세제투입가이드(370)의 하부에는 액체세제투입가이드(370)가 세제투입함(325)에 안착될 때 액세제투입가이드(37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73)가 구비된다.One side of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상부패널 및 디스펜서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Hereinafter, a dispens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anel and a dispenser cover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ens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200)는 세탁장치(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세제 디스펜서(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브라켓(220)과 도어 브라켓(220)에 의해 이동경로가 안내되며 개방시 상면커버(112)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세제 디스펜서(300)을 개방하는 슬라이딩 도어(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 디스펜서(300)과 상면커버(112)의 사이에는 디스펜서 커버(200)의 슬라이딩 도어(210)가 이동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15, the
슬라이딩 도어(210)는 세탁장치(100)의 전방 상면, 즉 상면커버(112)의 전방에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210)의 외면은 상면커버(112)의 상면에 대하여 연장되는 면을 갖는다. 즉, 상면커버(112)의 상면의 경우 상면커버(112)의 강도 보강을 위한 함입면(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면에는 상면커버(112)의 함입면(113)에 대하여 연장되는 함입면(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장치(100)의 상면은 상면커버(112)의 함입면(113) 및 슬라이딩 도어(210)의 함입면(211)에 의해 하나의 함입되는 형상을 갖는다.The sliding
또한,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모서리의 경우 캐비닛(110)의 전면커버(117)의 외형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면(212)이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는 세탁장치(100)의 전방 상부 모서리를 형성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ront edge of the sliding
여기서,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의 경우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면(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상면에서 전면커버(117)의 전면은 연결면(212)에 의해 연속되는 곡면에 의해 형성된다.Here, in the case of the front edge of the sliding
하지만 슬라이딩 도어(210)의 연결면(212)의 경우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경우 세탁장치(100)의 전방 모서리는 슬라이딩 도어(210), 연결면(212), 전면커버(117)로 이루어지는 3개의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한편, 슬라이딩 도어(210)의 양측에는 후술할 도어 브라켓(220)에 의해 안내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형성된다.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의 경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1슬라이딩 돌기(213)의 후방에 제 2슬라이딩 돌기(214)가 형성된다.Meanwhile, first and second sliding
도어 브라켓(220)은 세제 디스펜서(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221)와 몸체부(221)의 양측단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도어(21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3)가 구비된다.
한편, 몸체부(221)는 세제 디스펜서(300)에 형성된 세제투입홀(312), 예비세제투입홀(313), 보조세제투입홀(317) 등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관통공(22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한 쌍의 가이드부(223)는 몸체부(221)의 양단에 수직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커버(112)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한편, 각 가이드부(223)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슬라이딩 도어(210)의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여기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은 한 쌍의 가이드부(223)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제 1가이드 슬릿(224)은 제 2가이드 슬릿(225)의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 1가이드 슬릿(224)과 제 2가이드 슬릿(225)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갖고 있으며, 제 1,2가이드 슬릿(224)(225)의 경우 상면커버(112) 측으로 이동될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가이드 슬릿(224)보다 제 2가이드 슬릿(225)이 더 큰 경사로 형성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224 and 225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한편, 상술한 제 1가이드 슬릿(224)에는 제 1슬라이딩 돌기(213)가 삽입되며, 제 2가이드 슬릿(225)에는 제 2슬라이딩 돌기(214)가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21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을 따라 이동된다.Meanwhile, the first sliding
여기서, 제 1가이드 슬릿(224)과 제 2가이드 슬릿(225)은 각기 다른 경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상단부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에 결합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상단부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210)가 세제 디스펜서(300)을 폐쇄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Here, the first guide slit 224 and the second guide slit 225 are formed with different inclinations,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224 and 225 are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224 and 225 )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또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하단부는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에 결합되는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하단부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딩 도어(210)가 세제 디스펜서(300)을 개방하고 상면커버(112)의 하부로 이동되는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커버(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디스펜서 커버(200)의 초기 상태는 세제 디스펜서(300)을 폐쇄하는 형태이다. 즉, 디스펜서 커버(200)의 슬라이딩 도어(210)가 상면커버(112)의 하부에서 인출되어 세제 디스펜서(300)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이다(도 17 참고). 이때 슬라이딩 도어(21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는 도어 브라켓(220)의 가이드부(223)에 형성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의 상부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도어(210)의 전방 모서리는 세탁장치의 전방 상부 모서리를 형성하다.Accordingly, an operation state of the
한편, 세제 디스펜서(300)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 커버(200)의 슬라이딩 도어(210)를 상면커버(112) 측으로 가압하면, 슬라이딩 도어(210)의 제 1, 2슬라이딩 돌기(213)(214)가 도어 브라켓(220)의 가이드부(223)에 형성된 제 1, 2가이드 슬릿(224)(225)을 따라 이동되면서 슬라이딩 도어(210)가 이동된다.Meanwhile, in order to open the
이때 제 1,2가이드 슬릿(224)(225)의 경우 상면커버(112) 측으로 이동될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도어(210)가 이동됨에 따라 상면커버(112)의 하부 내측이로 삽입되면서 세제 디스펜서가 개방된다(도 18참고).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slits 224 and 225, the lower inner sid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세탁장치(100)의 상면에 세제 디스펜서(300)이 위치하며, 세제 디스펜서(300)을 개폐하는 디스펜서 커버(200)가 세탁장치(100)의 상면에 형성됨으로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0)에 따르면, 세제 디스펜서(300)의 세제부(321)과 보조세제부(336)이 분리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시인성을 제공하여 세제 및 보조세제의 투입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또한, 세탁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커버(112)와 디스펜서 커버(200)가 연속되는 형상에 의해 형성됨으로 세탁장치(100)의 상면의 형상이 일체감있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herefore, change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1)
상기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터브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전방 중앙으로 공기를 순환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터브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부와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부가 분리되는 세제 디스펜서와,
상기 세제 디스펜서의 상부를 개폐하는 디스펜서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세제부와 상기 보조세제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세제부와 상기 보조세제부를 연결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가 위치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Cabinet,
The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drum provided rotatably in the tub,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and an air supply device for circulating and supplying air to the front center of the tub,
Detergent dispenser which is locat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the detergent is added detergen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is added auxiliary detergent is separated,
It has a dispens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etergent dispenser,
The detergent uni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aundry uni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etergent uni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unit and forming a space where the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상기 세제 및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홀이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각 투입홀로 투입된 상기 세제 및 보조세제가 세탁수에 의해 선택적으로 혼합 및 공급되는 유로부와,
상기 유로부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제 및 보조세제가 집수되어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집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detergent dispenser of claim 1, wherein the detergent dispenser
And a cover portion is formed a plurality of input holes to which the detergent and auxiliary detergent is introduced,
A flow path part in which the detergen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introduced into each input hole are selectively mixed and supplied by washing water,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ergent and the auxiliary detergent supplied by the flow path portion is collected and provided with a collecting portion supplied to the tub.
상기 세제 디스펜서 상부에 위치하는 도어 브라켓과,
상기 도어 브라켓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상기 세제 디스펜서를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dispenser cover,
A door bracket located above the detergent dispenser,
A laundry device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door bracket and includes a slid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detergent dispenser as it is moved.
Priority Applications (2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014A KR102124480B1 (en) | 2013-11-28 | 2013-11-28 | Washing machine |
JP2016534981A JP6345784B2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RU2016119944A RU2632026C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PCT/KR2014/011484 WO2015080487A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EP17172354.7A EP3241940B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RU2016117272A RU2632033C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TR2018/15641T TR201815641T4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EP14195221.8A EP2878728B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AU2014354442A AU2014354442B2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MX2016006731A MX2016006731A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EP14195193.9A EP2878727B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TR2019/03270T TR201903270T4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EP17173595.4A EP3241942B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EP17172366.1A EP3241941B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AU2014354446A AU2014354446B2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PCT/KR2014/011491 WO2015080491A2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BR112016011867-7A BR112016011867B1 (en) | 2013-11-28 | 2014-11-27 | WASHING MACHINE |
US14/555,891 US9816218B2 (en) | 2013-11-28 | 2014-11-28 |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
CN201410713310.8A CN104674498B (en) | 2013-11-28 | 2014-11-28 | Wash mill |
US14/555,917 US9816219B2 (en) | 2013-11-28 | 2014-11-28 |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
CN201410710349.4A CN104674513B (en) | 2013-11-28 | 2014-11-28 | Washing machine |
US15/584,947 US9834880B2 (en) | 2013-11-28 | 2017-05-02 | Detergent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
US15/616,771 US9809921B2 (en) | 2013-11-28 | 2017-06-07 |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
US15/618,004 US9783923B1 (en) | 2013-11-28 | 2017-06-08 |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014A KR102124480B1 (en) | 2013-11-28 | 2013-11-28 |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824A KR20150061824A (en) | 2015-06-05 |
KR102124480B1 true KR102124480B1 (en) | 2020-06-19 |
Family
ID=5349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6014A Active KR102124480B1 (en) | 2013-11-28 | 2013-11-28 |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44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6998B1 (en) * | 2016-12-23 | 2024-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CN113047002B (en) * | 2019-12-27 | 2024-05-31 | 青岛胶州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dispensing device for washing equip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34118A (en) * | 2004-05-25 | 2005-12-08 | Sharp Corp | Washing machine |
JP2013085873A (en) * | 2011-10-21 | 2013-05-13 | Hitachi Appliances Inc | Drum-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01902B2 (en) * | 1995-11-13 | 2002-07-15 | 三洋電機株式会社 | Cover opening / closing device for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onic equipment |
KR101781870B1 (en) * | 2011-09-02 | 2017-09-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
2013
- 2013-11-28 KR KR1020130146014A patent/KR1021244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34118A (en) * | 2004-05-25 | 2005-12-08 | Sharp Corp | Washing machine |
JP2013085873A (en) * | 2011-10-21 | 2013-05-13 | Hitachi Appliances Inc | Drum-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1824A (en) | 2015-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78727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281340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281339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124480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344059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124479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284361B1 (en) |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