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680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3680B1 KR102123680B1 KR1020180074537A KR20180074537A KR102123680B1 KR 102123680 B1 KR102123680 B1 KR 102123680B1 KR 1020180074537 A KR1020180074537 A KR 1020180074537A KR 20180074537 A KR20180074537 A KR 20180074537A KR 102123680 B1 KR102123680 B1 KR 1021236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suction
- air
- filter mechanism
- clean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1싸이클론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하여 회전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흡입 모터;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 하우징을 둘러싸며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프리 필터 주변에 배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기구를 포함한다.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ction unit; A first cyclone unit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second cyclone unit separating dust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 suction motor including an impeller rotated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unit; A motor housing disposed to surround the impeller; A pre-filter surrounding the motor housing and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And a filter mechanism that filters air discharged from the intake motor and has a filter disposed around the pre-fil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inhaling or wiping dust or foreign objects in the area to be cleaned.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vacuum cleaner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the user directly moves the vacuum cleaner, and an automatic vacuum cleaner that performs cleaning while driving on its own.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ual vacuum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 handheld vacuum cleaner, a stick vacuum cleaner,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acuum clean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27088호(등록일 2012.03.08.)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A handheld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27088 (registration date 2012.03.08.), which is a prior document.
상기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흡입관과, 기류 생성기, 원심 분리 장치, 전원 및 핸들을 포함한다. The hand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tube, an air flow generator, a centrifugal separator, a power source, and a handle.
또한, 상기 기류 생성기는 모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모터 및 팬 어셈블리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모터 앞쪽에 프리모터 필터가 구비되고, 모터 뒤쪽에 포스트모터 필터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airflow generator is located in the motor housing and has a motor and fan assembly. In addition, a pre-motor filter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otor, and a post-motor filt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otor.
이때, 필터의 장시간 사용 시 필터가 먼지가 쌓일 수 있으며, 필터가 청소되지 않으면 필터에 쌓인 먼지가 유동 저항으로 작용하여 흡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ilter is used for a long time, the filter may accumulate dust, and if the filter is not cleaned, th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acts as a flow resistan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프리모터 필터가 기류 생성기와 원심 분리기 사이에 위치되므로, 포스트모터 필터가 외측의 하우징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제품을 분해하여야 필터에 접근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literature, since the pre-motor filter is located between the airflow generator and the centrifugal separator, the post-motor filter is surrounded by the outer housing, so the product must be disassembled to access the filter. have.
또한, 원심 분리 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모터 측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구조와 모터를 지난 공기를 포스트모터 필터로 안내하는 구조가 별도로 존재하므로, 부품의 개수가 많아지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structure for guiding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ifugal separator to the motor side and a structure for guiding air passing through the motor to a post-motor filter,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유동 가이드가 흡입 모터의 흡입 유로와 배기 유로를 형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a reduced number of parts since one flow guide forms the suction flow path and the exhaust flow path of the suction moto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이 컴팩트 해지면서도 흡입 모터로 유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의 폭이 확보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ensuring the width of the air passage for flowing to the suction motor while the product is compa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이루는 바디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be limited deformation of the body forming the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 기구 및 프리 필터의 분리가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capable of separating a filter mechanism and a pre-filter.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1싸이클론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하여 회전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흡입 모터;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을 둘러싸며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프리 필터 주변에 배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기구를 포함한다. The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uction unit; A first cyclone unit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second cyclone unit separating dust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 suction motor including an impeller rotated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unit; A motor housing disposed to surround the impeller; A pre-filter surrounding the impeller and the motor housing and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And a filter mechanism that filters air discharged from the intake motor and has a filter disposed around the pre-filter.
상기 필터의 외경은 상기 프리 필터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filter.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프리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housing may include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상기 필터 기구가 상기 흡입 모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면, 상기 프리 필터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filter mechanism is separ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ction motor, the pre-filt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흡입 모터를 수용하며 개구를 포함하는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바디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may further include a body including an opening, and the pre-filter may be accommodated into the body through the opening.
상기 제1싸이클론부 및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싸이클론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을 수직하게 배치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흡입 모터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상측에 상기 흡입 모터가 위치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dust container for storing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nd the second cyclone unit,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unit is vertically arranged and the dust container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motor. In a position to be positioned, the suction motor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상기 임펠러는 상기 흡입 모터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mpeller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유동 가이드의 내주면이 흡입 유로를 형성하고, 유동 가이드의 외주면이 배기 유로를 형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guide forms a suction flow path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guide forms an exhaust flow path, it is to provide a cleaner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 가이드에 제1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벽이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흡입 모터로 유동하기 위한 제1공기 유로의 폭이 확보되어 공기 유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path forming wall forming the first air flow path in the flow guide protrudes outward, the width of the first air flow path for flowing to the suction motor is secured, and air flow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 형성벽에 보강 리브가 구비됨에 따라, 바디가 유로 형성벽 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inforcing rib is provided on the flow path forming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deformed toward the flow path forming wal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기구가 바디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필터 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mechanism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can be clea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임펠러가 흡입 모터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흡입 모터가 위치되므로, 프리 필터가 흡입 모터의 상측부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필터 기구의 분리 시 프리 필터의 상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ction motor is positioned so that the impeller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the pre-filter can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so that when the filter mechanism is separated, it can be separ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e-filt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측을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의 필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필터 기구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필터 커버에 인너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과 제2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7 is a view looking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 7.
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 7;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frame is coupled to the filter cover of FIG. 11.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lter mechanism is coupled to the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low guide.
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tor housing and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ir flow in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elow, and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The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본체(2)는, 제1바디(10)와, 상기 제1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는 직접 결합되거나 중간의 매개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그리고, 상기 흡입부(5)의 중앙부가 대략적으로 상기 제1바디(10)와 상기 제2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디(10)가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한다. The dust separator may include, for example, a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The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는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st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 분리부가 단일의 싸이클론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he dust separation unit has a single cyclone portion, and in this case,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10, 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 역할을 한다. The
상기 본체(2)는 상기 제1바디(10)의 하측을 개폐하는 바디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1바디(10)를 개폐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상기 제1바디(10) 내에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1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 커버(16)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A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는 상기 제1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1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2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The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이고, 상기 먼지 저장 가이드(124)와 상기 제1바디(10) 사이 공간이 제1먼지 저장부(121)이다.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 바디 커버(16)는 상기 제1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The body cover 16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상기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2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1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The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배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8)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일 예로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상측에 위치된다. For example, the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부에 위치된다.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pass through the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 모터(2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흡입 모터(2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샤프트(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임펠러(200)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 모터(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샤프트(202)의 연장선(임펠러(200)의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상기 제1바디(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분리부의 제1싸이클론부(11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An extension line of the shaft 202 (also referred to as a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200) may pass through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hat is, th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When the flow loss of air is reduced, the suction power may be increased and the use time of the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각 모터 하우징(2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바디(12)와 이격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외주면은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한다. According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유동 가이드(22)가 제1공기 유로(232)와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하고, 각 공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 수가 줄어들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제1공기 유로(232)는 흡입 유로 역할을 하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The first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The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When defining the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1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Since the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holding and using the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연장부(310)와, 상기 제1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제1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1연장부(310)에서 상기 흡입부(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2연장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The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상기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in the state where the user grips the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은 사용자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상기 핸들(30)은 조작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제2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를 통하여 청소기(흡입 모터)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상기 조작부(326)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조작부(31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상기 조작부(326)를 조작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316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또한, 상기 제1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조작부(326)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1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조작부(326)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제2연장부(320)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한 표시부(32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배터리(40)의 잔량, 흡입 모터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상기 표시부(3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발광부는 상기 제2연장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은 상기 제1연장부(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의 하방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의 후면과 상기 제1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410)과 상기 제1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The rear surface of th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2)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일 예로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다수의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522)는 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제2바디(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제2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The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22)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cleaning using the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 필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프리 필터(29)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프리 필터(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리 필터(29)를 가압할 수 있다. The
일 예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프리 필터(29)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For example,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의 하측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필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필터 기구의 단면 사시도이다. 6 is a view showing a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FIG. 7 is a view looking a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of FIG. 7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echanism, and FIG. 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mechanism of FIG. 7.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5 to 9, the
일 예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기 임펠러(200)가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임펠러(200)를 커버하도록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 필터(29)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프리 필터(29)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the pre-filter 29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상기 프리 필터(29)는 손잡이(29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프리 필터(29)의 손잡이(29a)를 잡고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상기 프리 필터(29)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The pre-filter 29 may include a
상기 필터 기구(50)는,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560)와, 상기 필터(560)를 지지하는 필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560)는 일 예로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필터)일 수 있다.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필터(56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필터(56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며, 상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유동 가이드(22)이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필터(560)가 형성하는 영역에 상기 프리 필터(29)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60)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둘러싼다.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pre-filter 29 may be accommodated in an area formed by the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제2바디(12)와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be coupled to the
상기 필터 프레임은, 인너 프레임(501)과, 인너 프레임(501)을 둘러 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5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may include an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외주면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내주면은 이격되며,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사이에 상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필터 프레임은,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560)의 상측을 커버하는 배기 그릴(520)과, 상기 필터(560)의 하측을 커버하는 필터 커버(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fram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면부(502)와, 상기 상면부(502)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둘레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상기 둘레부(503)는, 제1부분(503a)과, 상기 제1부분(503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부분(503a)의 직경 보다 직경이 큰 제2부분(50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부분(503a)과 상기 제2부분(503b)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1부분(503a)과 상기 제2부분(503b) 사이에는 상기 배기 그릴(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506)가 형성될 수 있다. A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상기 안착부(506)는 상기 상면부(502)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둘레부(5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안착부(506)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기 그릴(52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경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506)의 외경 및 상기 제2부분(503b)의 외경은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상면부(502) 및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이 상기 배기 그릴(52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안착부(506)에 안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인너 데코부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에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512)가 구비된다. The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는 상기 후크(51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홀(508)이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후크 결합홀(508)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에는 상기 후크(512)를 상기 후크 결합홀(508)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50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0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가 상기 안내홈(507)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과 정렬되면 상기 후크(512)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에 삽입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상기 배기 그릴(520)이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안착부(50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 그릴(5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2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o this end, a
따라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의 후크(512)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안내홈(507) 및 상기 배기 그릴(520)의 안내홈(5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데코부재(510)는 상기 배기 그릴(5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기 그릴(520)을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 고정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은 상기 배기 그릴(5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은 상기 배기 그릴(52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 예로 융착에 의해서 상기 배기 그릴(5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 그릴(520)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고정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이 상기 배기 그릴(5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는 상기 배기 그릴(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544)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이 상기 배기 그릴(520)과 고정되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550)과 상기 인너 프레임의 둘레부(503) 사이에 필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수용 공간에 상기 필터(56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560)가 상기 필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560)는 상기 공기 배출구(52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된다. When the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되는 아우터 데코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배기 그릴(520)의 둘레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상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하단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546)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아우터 테코부재(5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에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5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554)가 수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홈(542)이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때,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552)는 일 예로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일 수 있다. An
사용자의 손의 미끄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부(552)가 상기 아우터 테코부재(550)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필터 커버(570)는 일 예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57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 사이에 수용된 필터(560)를 커버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 커버(570)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의 하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 및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일 예로 융착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530, 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dy.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부재(530, 58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공기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구비되는 후크 결합홀(508)을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너 실링부재(530)(또는 제1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9 and 10, the sealing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상면부(502)에서 하방으로 실링 리브(50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504)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리브(504)는 상기 상면부(501)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sealing
따라서, 상기 실링 리브(504)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사이에는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의 일부는 상기 공간에 끼워진다. Therefor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하면, 상기 제2부분(503b)의 내주면 및 실링 리브(504)의 하면에 접촉한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된다. The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너 실링부재(230)가 상기 둘레부(503)의 제1부분(503a)의 하면, 상기 제2부분(503b)의 내주면 및 실링 리브(504)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되므로,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후크 결합홀(508)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ealing memb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인너 실링부재(230)에 의해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ir leakage may be prevented by a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 기구(50)의 외면과 상기 제2부재(12)의 내주면 사이에는 틈새가 생길 수 있다. In order for the
상기 실링부재(530, 580)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필터(56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바디(12) 사이 틈새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우터 실링부재(580)(또는 제2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s (530, 580), the air of the second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는 상기 필터 커버(570)에 끼움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 커버(570)와 인서팅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부재(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가 지지되기 위한 지지면(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25)은 상기 제2부분(12)의 일부분의 두께가 커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실링부재(580)가 상기 지지면(125)에 안착될 수 있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제2공기 유로(234)의 공기가 상기 아우터 프레임(540)과 상기 제2부재(12)의 내주면 사이 틈새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in the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는 상기 본체(2)의 제2바디(12)의 상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아우터 데코부재(5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리고,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560)의 일부는 상기 본체(2)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And, while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가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도 상기 필터(560)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필터(56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필터(560)의 면적이 증가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필터 커버에 인너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ner frame coupled to the filter cover of FIG. 11, and FIG. 13 is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a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커버(570)는, 인너 바디(571)와, 상기 인너 바디(571)와 이격되는 아우터 바디(572)와, 상기 인너 바디(571)와 상기 아우터 바디(572)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573)를 포함할 수 있다. 10 to 14, the
상기 인너 바디(571)와 상기 아우터 바디(572)는 각각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상기 연결 바디(573)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5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상기 인너 바디(571)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509)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 지지리브(5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프레임 지지리브(575)는 상기 인너 바디(57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상기 인너 바디(571)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의 결합을 위한 리브 결합부(577)가 구비될 수 있다. A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바디(571)는 연장부(5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76)는 상기 인너 바디(57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576)에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상기 리브 결합부(577)는 상기 프레임 지지리브(575)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Therefore, the
상기 리브 결합부(577)가 하향 경사지는 이유는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회전 방식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고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ason why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승하는 경우, 상기 필터 기구(50)가 분리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상기 필터 기구(5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결합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필터 기구(50)에 회전력이 가해져야 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본체(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의도치 않게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리브 결합부(577)는 후술할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돌기(229)가 수용되는 슬롯(5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578)은 홈이거나 홀일 수 있다. The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하면(509)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50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09a)는 상기 필터 커버(570)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리브(575)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상기 인너 프레임(501)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에 형성된 고정 리브(228)가 수용되기 위한 리브 수용부(579)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509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인너 프레임(501)이 상기 필터 커버(5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함몰부(509b)는 상기 결합 리브(577)의 상방에서 상기 결합 리브(577)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및 하강 과정에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8)가 상기 함몰부(509b)와 상기 리브 결합부(577) 사이의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함몰부(509b)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rotating and lowering the
따라서, 상기 리브 수용부(579)도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리브 수용부(579)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필터 커버(570) 사이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고정 리브(228)는 상기 인너 프레임(501)과 상기 필터 커버(57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Therefore, the rib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는 가이드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220)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제1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 형성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ow guide 22 may include a
상기 유로 형성벽(222)은 상기 가이드 바디(222)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low
이때, 공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유로 형성벽(222)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llow the air to flow smoothly, the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부에 상기 흡입 모터(20)가 위치되는데, 상기 본체(2)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상기 유동 가이드(22)와 상기 흡입 모터(20)와의 갭이 크지 않으면, 공기 유동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돌출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의 단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공기 유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low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부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으면서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필터 기구(50)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로 형성벽(222)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The flow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상측부 외경은 상기 인너 프레임(501)의 둘레부(503)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때,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측부가 상기 필터 기구(50)에 수용되어 상기 인너 실링부재(530)가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일부가 상기 필터 기구(50)의 내측에 수용되므로, 상기 청소기(1)의 높이가 증가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art of the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프리 필터(29)의 하단을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지지부(225)는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내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A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하단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26, 27)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226)가 구비될 수 있다. A lower portion of the
상기 가이드 바디(220)의 체결부(226)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체결부재(S1)가 상방에서 상기 체결부(22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체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체결부재(S1)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및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관통한 후에 상기 배출 가이드(28)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적은 개수를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구조 및 조립 방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 fastening member S1 may be fastened to the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필터 기구(5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 리브(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고정 리브(22)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되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의 하면에 고정 돌기(229)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guide 22 may include a
한편,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는 보강 리브(2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과 이격된다. Meanwhile, a reinforcing
상기 보강 리브(227)는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서 상기 제2바디(1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상기 유동 가이드(22)가 상기 제2바디(12)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2바디(12)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향하여 변형될 우려가 있다. Thus, when th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보강 리브(227)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바디(1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2바디(12)가 상기 보강 리브(22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2바디(12)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inforcing
상기 유로 형성벽(222)이 상기 가이드 바디(220)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보강 리브(227)가 상기 유로 형성벽(222)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 리브(227)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low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기구가 유동 가이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filter mechanism is coupled to the flow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low guide .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결합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5 and 1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upling process of the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필터 기구(50)의 하측 일부를 상기 제2바디(12)에 수용시킨다. The lower part of the
그러면, 상기 필터 기구(50)의 리브 수용부(579)과 상기 고정 리브(228)가 정렬될 수 있다. T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용이하게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리브 수용부(579)의 높이는 상기 고정 리브(228)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고정 리브(228)가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8)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 Since the fixed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돌기(229)가 상기 리브 결합부(577)의 슬롯(578)에 삽입되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 즉, 유동 가이드(22)와의 결합이 완료된다. When the fixing
한편,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기 본체(2)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228)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기구(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고정 리브(228)에 의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228)가 상기 리브 수용부(579)에서 빠지면 상기 필터 기구(50)와 상기 본체(2)의 결합이 해제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parate the
이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과 제2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tor housing and a secon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제2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5 and 17, the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에는 상기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73)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 사이에는 제1실러(2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은 상기 유동 가이드(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과 상기 유동 가이드(22) 사이에는 제2실러(2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도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관통홀(273)을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8 is a view showing air flow in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청소기(1)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17 and 18, the air flow in the cleaner 1 will be described.
상기 흡입 모터(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1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The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로 유동된다.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로 유동된 공기는 재차 먼지와 분리된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in the first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2먼지 저장부(123)에 저장된다. 반면,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되어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상승한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상기 제2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의 관통홀(273)을 통과한 후에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 유로(232)의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 내의 흡입 모터(20)를 통과한다. 공기는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20)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8)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8)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가이드(272)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한다.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29 passes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560)를 지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The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1: 청소기 2: 본체
3: 핸들부 5: 흡입부
20: 흡입 모터 22: 유동 가이드
26: 상부 모터 하우징 27: 하우 모터 하우징1: cleaner 2: body
3: Handle part 5: Suction part
20: suction motor 22: flow guide
26: upper motor housing 27: how motor housing
Claims (7)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1싸이클론부;
상기 제1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제2싸이클론부;
상기 흡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하여 회전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흡입 모터;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모터 하우징;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을 둘러싸며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프리 필터; 및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프리 필터 주변에 배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기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Suction part;
A first cyclone unit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 second cyclone unit separating dust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 suction motor including an impeller rotated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unit;
A motor housing disposed to surround the impeller;
A pre-filter surrounding the impeller and the motor housing and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And
A cleaner comprising a filter mechanism for filtering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and having a filter disposed around the pre-filter.
상기 필터의 외경은 상기 프리 필터의 외경 보다 큰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diameter of the filter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filter.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프리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housing includes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상기 필터 기구가 상기 흡입 모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면, 상기 프리 필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lter mechanism is separ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ction motor, the pre-fil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흡입 모터를 수용하며 개구를 포함하는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 필터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바디 내부로 수용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ody that receives the suction motor and includes an opening,
The pre-filter is a cleaner that is received into the body through the opening.
상기 제1싸이클론부 및 상기 제2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싸이클론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을 수직하게 배치하고 상기 먼지통이 상기 흡입 모터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싸이클론부의 상측에 상기 흡입 모터가 위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ust bin for storing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nd the second cyclone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axis of the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portion is vertically arranged and the dust container is positioned to be located under the suction motor,
A cleaner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상기 임펠러는 상기 흡입 모터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impeller is a clean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4537A KR102123680B1 (en) | 2018-06-28 | 2018-06-28 |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4537A KR102123680B1 (en) | 2018-06-28 | 2018-06-28 | Clean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8313A Division KR102720824B1 (en) | 2016-03-31 | 2016-08-25 |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7136A KR20180077136A (en) | 2018-07-06 |
KR102123680B1 true KR102123680B1 (en) | 2020-06-17 |
Family
ID=6292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4537A KR102123680B1 (en) | 2018-06-28 | 2018-06-28 |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3680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917900A1 (en) | 2009-03-13 | 2010-09-13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US20100251507A1 (en) | 2009-03-11 | 2010-10-07 | G.B.D. Corp.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JP2011143209A (en) | 2010-01-12 | 2011-07-28 | Tadashi Ishihara | Hand cleaner provided with multiple filters |
JP2013000137A (en) | 2011-06-10 | 2013-01-07 | Hitachi Appliances Inc | Vacuum cleaner |
US20130091661A1 (en) * | 2011-10-12 | 2013-04-18 | Black & Decker Inc. |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
CN104172986A (en) | 2014-09-02 | 2014-12-03 |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 Handheld cleaning equipment |
WO2017181484A1 (en) | 2016-04-22 | 2017-10-26 |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 Hand-hold vacuum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4775U (en) * | 1975-07-18 | 1977-02-02 | ||
CA2061469C (en) * | 1992-02-19 | 1996-11-19 | Norman V. Soler | Cyclonic back-pack vacuum cleaner |
KR20110066782A (en) * | 2009-12-11 | 2011-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uction motor mounting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KR20110132193A (en) * | 2010-05-31 | 2011-1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Cyclone Dust Collector and Handy Vacuum Cleaner |
KR20160034041A (en) * | 2014-09-19 | 2016-03-29 | 최상훈 | Handy vacuum cleaner |
-
2018
- 2018-06-28 KR KR1020180074537A patent/KR1021236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251507A1 (en) | 2009-03-11 | 2010-10-07 | G.B.D. Corp.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CA2917900A1 (en) | 2009-03-13 | 2010-09-13 |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
JP2011143209A (en) | 2010-01-12 | 2011-07-28 | Tadashi Ishihara | Hand cleaner provided with multiple filters |
JP2013000137A (en) | 2011-06-10 | 2013-01-07 | Hitachi Appliances Inc | Vacuum cleaner |
US20130091661A1 (en) * | 2011-10-12 | 2013-04-18 | Black & Decker Inc. |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
CN104172986A (en) | 2014-09-02 | 2014-12-03 | 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 | Handheld cleaning equipment |
WO2017181484A1 (en) | 2016-04-22 | 2017-10-26 |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 Hand-hold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7136A (en) | 2018-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06519B2 (en) | Vacuum cleaner | |
KR102291609B1 (en) | Cleaner | |
KR102584210B1 (en) | Cleaner | |
KR102022098B1 (en) | Cleaner | |
CN209733830U (en) | Vacuum cleaner | |
KR102180672B1 (en) | Cleaner | |
KR102022096B1 (en) | Cleaner | |
KR102292991B1 (en) | Cleaner | |
KR102180674B1 (en) | Cleaner | |
KR102037329B1 (en) | Cleaner | |
KR102123680B1 (en) | Cleaner | |
KR102123682B1 (en) | Cleaner | |
KR102558087B1 (en) | Cleaner | |
KR102679600B1 (en) | Cleaner | |
CN209733829U (en) | vacuum cleaner | |
KR102785375B1 (en) |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6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82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083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80628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