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2768B1 -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 Google Patents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68B1
KR102122768B1 KR1020190094881A KR20190094881A KR102122768B1 KR 102122768 B1 KR102122768 B1 KR 102122768B1 KR 1020190094881 A KR1020190094881 A KR 1020190094881A KR 20190094881 A KR20190094881 A KR 20190094881A KR 102122768 B1 KR102122768 B1 KR 10212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wire rope
fastened
cr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술
Original Assignee
나재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재술 filed Critical 나재술
Priority to KR102019009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을 유지하고 다수개의 지지구(111)를 구비하여 외향으로 체결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와; 상기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측에 결합하여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부터 팽창하는 확장지지부(121)를 형성하되 최외각 꼭지점을 외부와이어로프(110)의 지지구(111)에 관통시켜 체결하고 최내각 꼭지점을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내부와이어로프(120)와; 상기 각각의 외부와이어로프(110)를 사이에 가로 세로로 설치하되 외부와이어로프(110)에 체결한 유동와이어로프(114)의 연결고리(115)에 감겨 체결하는 교차와이어로프(130); 및 상기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 설치하되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최내각 꼭지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41)을 형성한 중앙지지구(140)로 구성하므로, 외력에 따른 표면적을 증대시키거나 위치를 가변하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대량 토사나 낙석의 발생에도 이들의 유입 등 최대한 억제하여 압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의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낙석의 발생, 유실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예방하고 사면의 초기 거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사면의 붕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WIRENET ASSEMBLY FOR REINFORCING SLOPE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면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사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지반의 거동에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훼손시 부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가 포함된 도로를 건설할 때에 절취 등으로 인하여 인공적으로 절개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서는 암반내 불연속면의 이완 현상에 의하여 암편이 모암으로부터 분리되어 낙석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석이 대규모로 무너져 내리는 암반 붕괴가 우려되므로 낙석방지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낙석방지시설의 구축에는 그 기능에 따라 보강공법과 보호공법으로 구분되고, 보강공법에는 절취공법, 면정리, 앵커, 록볼트, 콘크리트 버팀벽, 콘크리트 블록공법, 숏크리트, 배수 공법 등이 있고, 보호공법에는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낙석방지옹벽, 피암터널, 식생공법 등이 있다.
낙석방지망의 일례로서 절취 사면 또는 경사면에 보호그물을 덮고 그 위에 종방향 및 횡방향의 와이어로프를 일한 간격으로 설치하되, 이들의 교차지점을 고정구로 고정하거나 앵커볼트 등으로 지반에 정착시키는 와이어로프 안전망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로써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서의 낙석 발생을 억제하고,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도록 낙석방지망 밑으로 유도함으로써 각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 안전망은 크게 포켓식과 커튼식으로 구분되고, 포켓식 안전망은 PVC 코팅망을 암반 벽면에 밀착시킨 후 수 미터 간격으로 와이어로프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시킨 후 각 교차지점을 선택하여 결착클립으로 고정시키고 일정한 위치마다 와이어로프의 저항력 확대를 위하여 앵커볼트를 암반에 고정하여 PVC 코팅망 및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커튼식 안전망은 중간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과 좌우 측면에만 앵커볼트를 보강하는 것으로 주로 암반의 균열이 심하고 풍화의 진행이 빠른 연암이나 풍화암으로 구성된 절개면에서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6663호 (20010915 공개)에는 절취사면에 격자형으로 천공된 다수 개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심재와 상기 심재를 지중에 정착하기 위하여 구멍의 선단에 주입된 그라우팅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중앙에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판상의 지압판; 상기 지압판 위로 설치되며 상기 지압판보다 크기가 작은 평판과 상기 평판의 하부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판의 중앙에는 상기 보강재의 심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벽에는 90도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정착구; 상기 보강재의 심재를 상기 정착구 위에 정착, 고정하는 라이너 스크류와 너트; 및 상기 정착구의 가이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격자형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정착구를 서로 결속하는 연결와이어;로 구성된 연결 와이어를 이용한 사면보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967호(20101231공개)에는 교차 방향으로 결합되는 로프부재 및 상기 로프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네트를 포함하며 고정수단에 의해 경사지에 고정되는 네트 조립체에 의해 경사지를 덮는 낙석방지 구조물로서, 상기 고정수단은 경사지의 표면층을 안정화시키도록 경사지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앵커이며, 상기 앵커 및 네트 조립체는 경사지에 있는 확인된 암석 덩어리의 이동을 억제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낙석방지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와이어로프 안전망은, 발파 등으로 인하여 절취되어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크고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안전망이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지 못하여,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약화되고, 낙석 발생의 억제력이 떨어지며, 암석 덩어리가 쉽게 분리되어 각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와이어로프 안전망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와이어로프의 연결 및 설치가 복잡하고,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이 선 발명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84005호(20150126공고)도 있으나 이는 지반 거동에 따른 압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여 강한 지반 거동에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고 설치 및 시공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사면의 거동을 쉽게 인지할 수 없어 초기의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을 도로의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낙석의 발생, 유실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사면의 초기 거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사면의 붕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면에 낙석방지망과 와이어넷을 함께 신속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넷 조립체는 사각형상을 유지하고 다수개의 지지구를 구비하여 외향으로 체결하는 외부와이어로프와, 상기 외부와이어로프의 내측에 결합하여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부터 팽창하는 확장지지부를 형성하되 최외각 꼭지점을 외부와이어로프의 지지구에 관통시켜 체결하고 최내각 꼭지점을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내부와이어로프와, 상기 각각의 외부와이어로프를 사이에 가로 세로로 설치하되 외부와이어로프에 체결한 유동와이어로프의 연결고리(115)에 감겨 체결하는 교차와이어로프; 및 상기 내부와이어로프의 중앙 설치하되 내부와이어로프의 최내각 꼭지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중앙지지구로 구성한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넷 조립체를 이용한 공법은 사각 형상을 유지하는 외부와이어로프의 내측으로 내부와이어로프를 체결하고 내부와이어로프로 다수개의 마름모 형상을 유지하도록 꼭지점에 지지클립을 체결하도록 하며 외부와이어로프 각변 측의 내부와이어로프를 중앙지지구에 감싸도록 체결하여 중앙으로 부터 팽창하는 확장지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이어넷조립단계와; 상기 와이어넷조립단계가 완료되면, 사면에 가로 세로로 교차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바둑판 형상으로 설치공간을 다수개 형성하는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와; 상기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가 완료되면, 교차와이어로프의 교차로 형성된 설치공간의 내부 각각에 와이어넷을 조립하고 인근하는 와이어넷을 지지구의 유동와이어로프로 상호 연결하되 지지구와 지지구를 연결하는 유동와이어로프를 교차와이어로프에 감아 연결고리를 형성하도록 체결하는 와이어넷고정단계; 및 상기 와이어넷고정단계가 완료되면 와이어넷 내부와이어로프의 내부꼭지점을 감싸는 중앙지지구를 록볼트로 지중에 고정시키는 중앙지지구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은 교차와이어로프로 형성시킨 내부이 각각이 와이어넷을 체결하여 하므로 훼손시 부분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따른 표면적을 증대시키거나 위치를 가변하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대량 토사나 낙석의 발생에도 이들의 유입 등 최대한 억제하여 압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의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낙석의 발생, 유실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예방하고 사면의 초기 거동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사면의 붕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며 사면에 낙석방지망과 와이어넷을 함께 신속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지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다른 지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다른 지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결착조립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결착조립구 내부측 조립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결착조립구 외부측 조립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중앙지지구 조립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10 는 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넷 조립체의 중앙지지구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넷 조립체는 사각형상을 유지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와; 상기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측에 결합하여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되 중앙으로 부터 팽창 지지하는 확장지지부(121)을 형성하는 내부와이어로프(120)와; 상기 각각의 외부와이어로프(110)를 사이에 가로 세로로 설치하는 교차와이어로프(130); 및 상기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 설치하되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으로 지지꼭지점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하는 중앙지지구(140)로 구성한다.
상기 외부와이어로프(110)는 양단을 연결턴버클 등으로 연결하여 폐곡선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지지구(111)를 구비하여 외향으로 체결하도록 한다.
나아가, 외부와이어로프(110)의 지지구(111)는 편체를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좌우절곡편 하부에 가이드관을 형성하여 외부와이어로프(110)를 관통시키고 중앙 절곡부분에 유동와이어로프(114) 또는 지지와이어로프(117)를 관통시켜 탄력 설치하되 지지구(111)를 외향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와이어로프(110)의 코너부분 각각에는 지지와이어로프(117)를 결합한 지지구(111)를 체결하여 지지와이어로프(117)를 대각선상으로 형성하므로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교차부분에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한다.
더불어, 지지구(111)의 편체 내측에서 유동와이어로프(114)와 지지와이어로프(117)의 외주연에 탄성부재(112)를 끼우고 유동와이어로프(114)와 지지와이어로프(117)의 하단에 가압캡(113)을 부착하여 유동와이어로프(114)와 지지와이어로프(117)를 탄력 설치하도록 한다.
특히 지지구(111)의 유동와이어로프(114)는 외향의 노출부분에 연결고리(115)를 형성시켜 외부와이어로프(120) 사이에서 교차와이어로프(130)를 관통시킬 수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지지구(111)는 유동와이어로프(114)의 좌우측에 상기와 같이 지지구(111)의 편체를 각각 탄력설치하여 연접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를 연결함과 동시에 연결고리(115)를 교차와이어로프(130)에 체결하도록 하거나, 일측에 지지고리(116)를 형성하여 최외각 와이어넷의 외부와이어로프(110)에 연결고리(115)로 교차와이어로프(130)를 체결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고리(116)를 통해 지주(나타내지 않음)를 사면의 지중으로 고정 매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와이어로프(120)는 한가닥의 와이어로프로 형성하되 양단을 연결하여 폐곡선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부측에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마름모 형상을 유지하도록 꼭지점에 지지클립(122a, 122b)을 체결하도록 하되 최외각 꼭지점를 외부와이어로프(110)의 지지구(111)에 관통시켜 체결한다.
특히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최내각 꼭지점을 중심부의 중앙지지구(140)에 각각 가이드하여 감싸도록 체결하여 형성하되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최외각과 최내각의 꼭지점 사이에 형성하는 꼭지점을 지지클립(122a,122b)으로 연접시켜 결합시킴과 동시에 일정압력에서 지지클럽(122a,122b)의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해제하도록 형성하므로 내부와이어로프(12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확장지지부(121)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와이어로프(130)는 와이어넷 사이에 가로와 세로로 설치하여 각각의 교차와이어로프(130)의 양단에 지지고리(134)를 형성하여 마감지주(나타내지 않음)로 지중에 고정할수 있도록 에 결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교차부분에는 결착공(133)을 형성한 결착조립구(131)를 구비하여 볼트링 등으로 견고하게 결착시키되, 결착조립구(131)에 체결공(132)을 형성하여 외부와이어로프(110)의 지지구(111)에 탄력설치한 지지와이어로프(117)의 일측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교차와이어로프(130)에는 외부와이어로프(110)에 체결한 유동와이어로프(114)의 연결고리(115)를 관통시켜 상호 체결하므로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지지구(140)는 중앙에 록볼트(149)를 관통시켜 형성하고 외주연에 가이드홈(141)을 형성하며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142)를 천공하되 체결공(143)에 이탈방지볼트(143)로 결합하여 가이드홈(141)을 감싸는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 마감캡을 결합하여 마감처리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록볼트(149)의 하측에서 순차적으로 가압너트(148)와 고정구(145) 및 차단구(147)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되 고정구(145)의 외주연에는 확장날개(146)를 형성하여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격관(나타내지 않음) 끼워 확장날개(146)를 타격하여 펼치므로서 천공홀의 내주연에 확장날개(146)를 압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와이어넷 조립체를 이용한 공법은 사각 형상을 유지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측으로 내부와이어로프(120)를 체결하고 내부와이어로프(120)를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되 각각의 마름모형상을 유지하도록 꼭지점에 지지클립(122a, 122b)을 체결하도록 하고 외부와이어로프(110) 각변 측의 내부와이어로프(120)를 중앙지지구(140)에 각각 가이드하여 감싸도록 체결하는 와이어넷조립단계와; 상기 와이어넷조립단계가 완료되면, 사면에 가로 세로로 교차와이어로프(130)를 설치하여 바둑판 형상으로 설치공간을 다수개 형성하는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와; 상기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가 완료되면,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교차로 형성된 설치공간의 내부 각각에 와이어넷을 조립하고 인근하는 와이어넷을 지지구(111)로 고정하여 연결하되 지지구(111)의 유동와이어로프(114)로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감는 연결고리(115)로 결합하는 와이어넷고정설치단계; 및 상기 와이어넷고정단계가 완료되면 와이어넷 각각의 내부와이어로프(120)의 내부꼭지점을 감싸는 중앙지지구(140)를 록볼트(149)로 지중에 고정시키는 중앙지지구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넷조립단계는 내부와이어로프(120)를 한가닥으로 형성하고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부측에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여 각각의 마름모 형상을 유지하도록 꼭지점에 지지클립(122a, 122b)을 체결하도록 하며 최외각 꼭지점을 외부와이어로프(110)에 지지구(111)로 체결하되 최내각 꼭지점을 중심에 형성시켜 중앙지지구(140)에 각각 가이드하여 감싸도록 조립한다.
여기서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최외각과 최내각의 꼭지점 사이에 형성하는 꼭지점을 지지클립(122a,122b)으로 연접시켜 결합시키되 일정이상 압력에서 지지클럽(122a,122b)을 파쇄시켜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측 내부와이어로프(12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확장지지부(121)를 시키도록 하므로 낙석이나 지반의 거동에 따른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적이 가변하여 넓어지므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는 낙석방지망을 설치한 사면 등에 순차적으로 교차와이어로프(130)은 가로 세로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교차와이어로프(130)의 양단에 마감지주에 결합하여 지중에 고정시킨다.
이때, 교차와이어로프(130)의 양단에 형성한 고정고리(118)에 지주 등을 이용하여 지중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교차부분에 결착조립구(131)를 체결하여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교차와이어로프(130)의 설치로 내부에 형성하는 공간은 와이어넷을 충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와이어넷의 외부와이어로프(110)와 교차와이어로프(130)가 적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넷고정단계는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교차로 형성된 설치공간의 내부에 와이어넷을 위치시키고 외부와이어로프(110)와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체결한 지지구(111)와 인접하는 와이어넷의 지지구(111)를 유동와이어로프(114)으로 연결하여 체결한다.
이때 와이어넷 사이에 위치하는 교차와이어로프(130)에 유동와이어로프(114)를 감아 연결고리(115)를 형성시키 절단없이 외부와이어로프(110)와 내부와이어로프(120) 및 교차와이어로프(1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와이어로프(114)의 연결고리(115)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외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지지구(111)의 편체 내측에서 유동와이어로프(114)와 지지와이어로프(117)의 외주연에 압축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2)를 끼우고 유동와이어로프(114)와 지지와이어로프(117)의 하단에 가압캡(113)을 부착하여 유동와이어로프(114)를 탄력 설치하므로 외력에 따른 에너지를 이상적으로 흡수하여 안정성과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앙지지구고정단계는 중앙지지구(140)의 센터공을 통해 지중으로 록볼트(149)을 매설하여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록볼트(140)를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격관(나타내지 않음) 끼워 확장날개(146)를 타격하여 펼치므로서 천공홀의 내주연에 확장날개(146)를 압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중앙지지구(140)의 센터공에 관통시켜 체결하도록 하므로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와이어넷 110 : 외부와이어로프
111 : 지지구 112 : 탄성부재
113 : 가압캡 114 : 유동와이어로프
115 : 연결고리 116 : 지지고리
117 : 지지와이어로프 118 : 체결고리
120 : 내부와이어로프 121 : 확장지지부
122a,122b : 지지클립 130 : 교차와이어로프
131 : 결착조립구 132 : 체결공
133 : 결착공 134 : 지지고리
140 : 중앙지지구 141 : 가이드홈
142 : 체결공 143 : 이탈방지볼트
144 : 세팅너트 145 : 고정구
146 : 확장날개 147 : 차단구
148 : 가압너트 149 : 록볼트

Claims (5)

  1. 사각형상을 유지하고 다수개의 지지구(111)를 구비하여 외향으로 체결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와; 상기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측에 결합하여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고 중앙으로 부터 팽창하는 확장지지부(121)를 형성하되 최외각 꼭지점을 외부와이어로프(110)의 지지구(111)에 관통시켜 체결하고 최내각 꼭지점을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내부와이어로프(120)와; 상기 외부와이어로프(110)를 다수개 인접하여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인접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와 외부와이어로프(110) 사이에 가로 세로로 설치하되 외부와이어로프(110)에 체결한 유동와이어로프(114)의 연결고리(115)에 감겨 체결하는 교차와이어로프(130); 및 상기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 설치하되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최내각 꼭지점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41)을 형성한 중앙지지구(140)로 구성하되;
    상기 외부와이어로프(110)에는 편체를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한 지지구(111)를 구비하고 지지구(111)의 양단에 외부와이어로프(110)를 관통시켜 결합하며 중앙 절곡부분에 유동와이어로프(114)나 지지와이어로프(117)를 길이방향으로 관통시켜 탄력설치하되 지지구(111)의 유동와이어로프(114)에는 외향의 노출부분에 연결고리(115)를 형성하여 외부와이어로프(120) 사이에서 형성하는 교차와이어로프(130)에 감아 체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중앙지지구(140)는 중앙에 록볼트(149)를 관통시켜 형성하고 외주연에 가이드홈(141)을 형성하며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체결공(142)를 천공하되 체결공(143)에 이탈방지볼트(143)로 결합하여 가이드홈(141)을 감싸는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록볼트(149)의 하측에서 순차적으로 가압너트(148)와 고정구(145) 및 차단구(147)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2. 사각 형상을 유지하는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측으로 내부와이어로프(120)로 체결하고 내부와이어로프(120)를 다수개의 마름모 형상을 유지하도록 꼭지점에 지지클립(122a, 122b)을 체결하도록 하며 외부와이어로프(110)의 각변 측 내부와이어로프(120)를 중앙지지구(140)에 감싸도록 체결하여 중앙으로 부터 팽창하는 확장지지부(121)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이어넷조립단계와; 상기 와이어넷조립단계가 완료되면, 사면에 가로 세로로 교차와이어로프(130)를 설치하여 바둑판 형상으로 설치공간을 다수개 형성하는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와; 상기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가 완료되면, 교차와이어로프(130)의 교차로 형성된 설치공간의 내부 각각에 와이어넷을 조립하고 인근하는 와이어넷을 지지구(111)의 유동와이어로프(114)로 상호 연결하되 지지구(111)와 지지구(111)를 연결하는 유동와이어로프(114)를 교차와이어로프(130)에 감아 연결고리(115)를 형성하도록 체결하는 와이어넷고정단계; 및 상기 와이어넷고정단계가 완료되면 와이어넷 각각의 내부와이어로프(120)의 내부꼭지점을 감싸는 중앙지지구(140)를 록볼트(149)로 지중에 고정시키는 중앙지지구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와이어넷조립단계는 외부와이어로프(110)의 내부측에 다수개의 마름모형상을 형성하여 각각의 마름모 형상을 유지하도록 꼭지점에 일정압력에서 분리하는 지지클립(122a, 122b)을 체결하도록 하고, 상기 교차와이어로프고정단계는 교차와이어로프(130)의 양단에 마감지주에 결합하여 지중에 고정시키고 교차부분에 결착조립구(131)를 체결하여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넷고정단계는 외부와이어로프(110)와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체결한 지지구(111)와 인접하는 와이어넷의 지지구(111)를 유동와이어로프(114)로 연결하여 체결하고 와이어넷 사이에 위치하는 교차와이어로프(130)에 유동와이어로프(114)를 감아 연결고리(115)를 형성시키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지지구(111)의 편체 내측에서 유동와이어로프(114)나 지지와이어로프(117)의 외주연에 탄성부재(112)를 끼워 탄력 설치하고, 상기 중앙지지구고정단계는 중앙지지구(140)의 센터공을 통해 지중으로 록볼트(149)을 매설하여 내부와이어로프(120)의 중앙부분을 고정하도록 하되 록볼트(140)의 확장날개(146)를 확장시켜 지중에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넷 조립체를 이용한 공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4881A 2019-08-05 2019-08-05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Active KR102122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81A KR102122768B1 (ko) 2019-08-05 2019-08-05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881A KR102122768B1 (ko) 2019-08-05 2019-08-05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768B1 true KR102122768B1 (ko) 2020-06-15

Family

ID=7108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881A Active KR102122768B1 (ko) 2019-08-05 2019-08-05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7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10B1 (ko) * 2021-12-31 2022-10-18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WO2023110260A1 (de) * 2021-12-15 2023-06-22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Rwth) Aachen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Bewehrung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KR20230096631A (ko) * 2021-12-23 2023-06-30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30096630A (ko) * 2021-12-23 2023-06-30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20230103211A (ko) * 2021-12-31 2023-07-07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14A (ja) * 1999-03-02 2000-09-12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防護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2005220963A (ja) * 2004-02-04 2005-08-18 Drive It Waki:Kk アンカーボルト
CN102587395A (zh) * 2012-03-08 2012-07-18 长沙理工大学 一种边坡坡面抗震柔性主动防护网系统
JP2014152551A (ja) * 2013-02-12 2014-08-25 Protec Engineering Co Ltd 斜面の保護構造および保護方法
KR101669517B1 (ko) * 2016-03-11 2016-10-27 주식회사 수아이텍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514A (ja) * 1999-03-02 2000-09-12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防護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2005220963A (ja) * 2004-02-04 2005-08-18 Drive It Waki:Kk アンカーボルト
CN102587395A (zh) * 2012-03-08 2012-07-18 长沙理工大学 一种边坡坡面抗震柔性主动防护网系统
JP2014152551A (ja) * 2013-02-12 2014-08-25 Protec Engineering Co Ltd 斜面の保護構造および保護方法
KR101669517B1 (ko) * 2016-03-11 2016-10-27 주식회사 수아이텍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0260A1 (de) * 2021-12-15 2023-06-22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Rwth) Aachen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Bewehrung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KR20230096631A (ko) * 2021-12-23 2023-06-30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30096630A (ko) * 2021-12-23 2023-06-30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2596500B1 (ko) * 2021-12-23 2023-10-30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596499B1 (ko) * 2021-12-23 2023-10-30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2456310B1 (ko) * 2021-12-31 2022-10-18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30103211A (ko) * 2021-12-31 2023-07-07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2641437B1 (ko) * 2021-12-31 2024-02-27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768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2081865B1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KR10166951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
KR102649243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시공방법
KR102429680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시공방법
KR102641436B1 (ko) 래칫을 이용한 와이어넷 낙석 방지 구조물
KR102009686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JP6114537B2 (ja) 落石防護装置および落石防護工法
KR102458257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3143816U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KR102143454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5490670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2010174470A (ja) 既設落石防護柵の補強構造
KR102114186B1 (ko) 낙석방지용 휀스
KR101484005B1 (ko) 암부착 와이어넷 및 그 연결 방법
KR200445244Y1 (ko)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 캡
KR102596499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2476908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토석류 방지 구조물 시공방법
KR102655752B1 (ko) 낙석방지용 와이어넷 구조
KR102655751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사면 구조물 시공방법
KR102596500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780652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토석류 방지 공법
KR102707668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