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51B1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Google Patents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2551B1 KR102122551B1 KR1020140086066A KR20140086066A KR102122551B1 KR 102122551 B1 KR102122551 B1 KR 102122551B1 KR 1020140086066 A KR1020140086066 A KR 1020140086066A KR 20140086066 A KR20140086066 A KR 20140086066A KR 102122551 B1 KR102122551 B1 KR 1021225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grance
- storage container
- warning
- vehicle
- bubble tr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386 air fresh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발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향제 저장실과 방향제 저장실의 방향제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를 갖는 방향제 저장용기 및, 방향제 저장용기의 배출구측 방향제를 차실내로 분무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차량용 발향장치에 있어서, 배출구로부터 노즐로 유입되는 방향제 속의 기포를 포획할 수 있도록, 방향제 저장용기의 배출구측부분에 설치되는 기포 트랩(Trap)부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ent diffusing device for a vehicl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mixed with a fragrance,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grance repellent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ragrance storage chamber and a fragrance storage container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ragrance can be discharged from the fragrance storage chamber, and a nozzle spraying the fragrance on the outlet side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into the vehicle compartment. In, it is provided with a bubble trap (Trap) member that is installed in the outlet side portion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so as to trap the air bubbles in the fragrance flowing into the nozzle from the out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발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발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cent device that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mixed with the fragrance,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자동차의 실내는 좁고 밀폐되어 있으므로 오염되기 쉽다. 특히, 차실내에는 각종 세균과 곰팡이 등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들 세균과 곰팡이 때문에 많은 악취가 발생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차량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발향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The interior of a car is narrow and sealed, so it is easy to be contaminated. In particular, various bacteria and fungi inhabi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many odors are generated due to these bacteria and fungi. Therefore, most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scent diffusing device for removing odors.
발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몸체부(1)와, 몸체부(1)에 설치되는 방향제 저장용기(3)와, 방향제 저장용기(3)에 저장된 방향제를 차실내로 분사하는 노즐부(5)를 포함한다.The scent diffusing device, as shown in FIG. 1, is a body part 1 fixedly installed in a vehicle, a
방향제 저장용기(3)는, 액상의 방향제를 저장하고 있으며, 내부에 저장된 방향제를 몸체부(1)의 압력실(1a)로 공급한다. 이러한 방향제 저장용기(3)는, 카트리지 타입(Cartridge Type)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방향제가 소진되면, 새것으로 교환이 가능하다.The
노즐부(5)는, 몸체부(1)에 일체로 설치되며, 압전 진동판(5a)과, 압력실(1a)을 사이에 두고 압전 진동판(5a)과 마주보며 설치되는 노즐판(5b)을 구비한다. The
압전 진동판(5a)은,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진동하면서 압력실(1a)로 이송된 액상의 방향제를 미세 액적(液滴)으로 만들어준다. The
노즐판(5b)은, 미세 기공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압전 진동판(5a)에 의해 생성된 미세 액적 형태의 방향제를 외부로 분출한다. 특히, 차실내로 분출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악취를 제거하고 차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발향장치는, 방향제 저장용기(3)에 저장된 방향제에 기포가 섞여 있을 시에,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가 노즐판(5b)의 미세 기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음을 일으킨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cent diffusing device, when air bubbles are mixed in the air freshener stored in the air
특히, 방향제 저장용기(3)의 방향제는,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출렁거리면서 유동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방향제에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다량의 기포가 노즐판(5b)의 미세 기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음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air freshener of the air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쾌적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결점 때문에 많은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due to these problems, there is a defect in which comfort in the vehicle cabin is deteriorated, and many consumers are complaining because of these defects.
이 밖에도, 종래의 발향장치는,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 예를 들면, 공조장치 부분에 설치될 경우, 방향제 저장용기(3)의 방향제가 소진되었는 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cent diffusing device, when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the driver cannot easily check, for example, when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unit,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fragrance of the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는, 방향제가 완전히 소진되어, 방향제의 냄새가 발생되지 않아야만 비로소 방향제의 소진을 인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se drawbacks, most users have pointed out that the fragrance is completely exhausted, and the fragrance can be recognized only when the fragrance is not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가 노즐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제한함으로써,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limit the air bubbles mixed with the fragrance to the nozzle side, 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noise caused by air bubbles, the vehicle scent device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ent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comfort in a vehicle cabin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configuration 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향제의 소진 여부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를 미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ent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configured to notify the user in advance of whether the fragrance is exhausted, so that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can be replaced before the fragrance is exhaus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를 미리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제의 소진으로 인한 "방향제 방출 중지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발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perfume storage container to be replaced in advance before the perfume is exhau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 release of perfume" due to exhaustion of the perfume, through which,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It is to provide a vehicle scent device for improving th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는, 방향제 저장실과 상기 방향제 저장실의 방향제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를 갖는 방향제 저장용기 및,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의 배출구측 방향제를 차실내로 분무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차량용 발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노즐로 유입되는 방향제 속의 기포를 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의 배출구측부분에 설치되는 기포 트랩(Trap)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vehicle 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grance storage container having a fragrance storage chamber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storage chamber can be discharged, and the fragrance on the outlet side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sprayed into the vehicle compartment In the vehicle scent diffusing device including a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bble trap (Trap) member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portion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so as to capture the air bubbles in the fragrance flowing into the nozzle from the outlet Is done.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포 트랩부재는, 상기 배출구의 상류측부분을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상기 방향제 저장실로부터 상기 배출구로의 방향제 통과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방향제의 통과과정에서 상기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를 포획할 수 있는 다수의 기포 트랩홀(Trap Hol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ubble trap member is installed to intercept the upstream portion of the outlet, allows the passage of the fragrance from the fragrance storage chamber to the outlet, and at the same time, bubbles mixed with the fragrance during the passage of the fragran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air trap holes (Trap Hole) that can capture.
그리고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의 소진(消盡)을 미리 경고하는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은,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에 저장된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싱부와; 상기 수위센싱부에서 입력된 방향제 수위에 따라 방향제의 소진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에 따라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방향제 소진을 경고하는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further includes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means for warning in advance of exhaustion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the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means, water level sensing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Wealth;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ragrance is exhausted according to the fragrance level input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signal output unit for warning the user of the fragrance exhaustion by outputting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그리고 상기 수위센싱부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상기 기포 트랩부재와, 상기 기포 트랩부재에 전기를 인가하는 인가전극과, 상기 기포 트랩부재보다 높은 수위의 방향제 저장실부분에 설치되는 어스(Earth)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의 방향제 수위 저하에 따른 상기 기포 트랩부재와 상기 어스전극 간의 정전용량값 변화를 통해 상기 방향제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포 트랩부재와 어스전극간의 정전용량값이 변화될 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includes the bubble trap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 applying electrode for applying electricity to the bubble trap member, and an earth electrode installed in the air freshener storage chamber portion at a higher level than the bubble trap member. And; Detecting the fragrance level through a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bubble trap member and the earth electrode according to a decrease in the fragrance level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bubble trap member and the earth electrode is changed, a control signal is output.
그리고 상기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는, 경고램프(Lamp)와 경고부저(Buz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빛과 경고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rfume exhausting warning signal output un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warning lamp (Lamp) and a warning buzzer (Buzze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do.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에 의하면, 방향제 배출구측부분에 기포를 포획할 수 있는 기포 트랩부재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가 노즐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cent diffu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bubble trap member capable of trapping air bubbles is installed in the air outlet side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ir bubbles mixed with the air from flowing into the nozzle side.
또한,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가 노즐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제한하는 구조이므로,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bubbles mixed with the fragrance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nozzle sid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또한,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in the vehicle interior, thereby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배출구측의 기포 트랩부재를 통해 방향제의 유동과 출렁거림을 최소화시키는 구조이므로, 방향제의 유동과 출렁거림으로 인한 기포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minimizing the flow and sway of the fragrance through the air bubble trap member on the outlet 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air bubbles due to the flow and sway of the fragrance, and through this,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air bubbles is fundamental. It has the effect of limiting.
또한, 방향제의 소진를 미리 감지한 다음,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는구조이므로,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를 미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haustion of the fragrance is detected in advance and the structure is notified to the user in advance,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to be replaced before the fragrance is exhausted.
또한,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를 미리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므로, 방향제의 소진으로 인한 "방향제 방출 중지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to be replaced before the fragrance is exhaus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p of fragrance release" due to the exhaustion of the fragrance,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in the vehicle cabin. It has the effect.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발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발향장치를 구성하는 기포 트랩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scent devic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cent diffu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bubble trap member constituting the scent diffu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vehicle scent diffu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용 발향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First, before looking at the features of the vehicle 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the vehicle scent device with reference to FIG. 2.
차량용 발향장치는, 발향장치 본체(10)와, 발향장치 본체(1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제 저장용기(20)와,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설치되는 노즐(30)을 포함한다.The vehicle scent device includes a scent device
발향장치 본체(10)는, 차량(A)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용기 장착부(12)를 구비하며, 이 용기 장착부(12)에는, 방향제 저장용기(20)가 교체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scent diffusing device
방향제 저장용기(20)는, 액상의 방향제를 저장하고 있는 내부의 방향제 저장실(22)과, 방향제 저장실(22)의 방향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4)를 구비한다. The
이러한 방향제 저장용기(20)는, 발향장치 본체(10)의 용기 장착부(12)에 거꾸로 끼워져 수직한 상태로 장착되며, 이렇게 장착된 방향제 저장용기(20)는, 배출구(24)가 하부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가, 중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측의 배출구(24)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e
이러한 구성의 방향제 저장용기(20)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방향제가 소진되면, 새것으로 교환이 가능하다.The
노즐(30)은,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배출구(24)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진동 노즐판(32)을 구비한다.The
진동 노즐판(32)은,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배출구(24)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초음파 발진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음파 진동하면서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배출구(24)측 방향제를 미세 액적(液滴)으로 만들어주고, 만들어진 미세 액적의 방향제를 미세 기공(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분출한다. The vibrating
따라서, 분출된 방향제가 차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차실내로 도입된 방향제가 차실내의 악취를 제거하고 차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Thus, the ejected fragran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vehicle interior. By doing so, the fragrance introduced into the vehicle interior can remove odors in the vehicle interior and maintain a comfortable atmosphere in the interior.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향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Next, the features of the vehicle scent diffu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향장치는,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방향제 저장실(22)에 설치되는 기포 트랩(Trap)부재(40)를 구비한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scent diffu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기포 트랩부재(40)는, 원형의 판체로서, 방향제 저장실(22)의 배출구(24)측부분에 설치된다. 특히, 배출구(24)의 상류측부분을 가로막도록 설치된다.The
이러한 기포 트랩부재(40)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기포 트랩홀(Trap Hole)(42)이 천공되어 있다. 2 and 3, a plurality of
이들 다수의 기포 트랩홀(42)은, 방향제 저장실(22)의 방향제가 배출구(24)측으로 이동하면서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향제에 섞여있는 기포(B)를 포획하도록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air
따라서, 방향제에 섞여있는 기포(B)들이 배출구(24)로 도입되지 못하게 한다. 이로써,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B)들이 노즐(30)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Therefore, the air bubbles (B) mixed with the fragrance ar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outlet (24). Thereby, the air bubbles (B) mixed with the fragrance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그 결과, 기포(B)로 인한 노즐(30)의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개선시킨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noise of the
여기서, 기포 트랩부재(40)는, 방향제에 섞여있는 기포를 포획하는 역할도 수행하지만, 방향제 저장실(22)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의 유동을 최소화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Here, the
특히, 차량의 주행 진동 때문에,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가 출렁거리면서 유동할 시에, 방향제의 유동과 출렁거림을 최소화시킨다. Particularly, due to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when the fragrance stored in the
따라서, 방향제의 유동과 출렁거림으로 인한 기포(B)의 발생을 최소화시킨다. 이로써, 기포(B)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한한다.Therefore, it minimizes the generation of bubbles (B) due to the flow and fragrance of the fragrance. Thus,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B is fundamentally limit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향장치는,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의 소진(消盡)을 미리 경고해주는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50)을 더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scent diffu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means 50 that warns in advance of exhaustion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50)은,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싱부(52)와, 수위센싱부(52)에서 입력된 방향제 수위에 따라 방향제의 소진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4) 및, 제어부(54)에 제어에 따라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56)를 포함한다.The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means 50 determines whether the fragrance is exhausted according to the water
수위센싱부(52)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상기 기포 트랩부재(40)와, 상기 기포 트랩부재(40)에 전기를 인가하는 인가전극(52a)과, 기포 트랩부재(40)보다 높은 수위의 방향제 저장실(22)부분에 설치되는 어스(Earth)전극(52b)을 포함한다.The water
이러한 수위센싱부(52)는, 전도성 재질의 기포 트랩부재(40)와, 이보다 높은 수위부분에 설치되는 어스전극(52b) 간의 정전용량값 변화를 통해 방향제의 현재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The water
특히, 기포 트랩부재(40)와 어스전극(52b)이 액상의 방향제를 매개로 통전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방향제의 현재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current level of the air freshener according to whether the
제어부(5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기포 트랩부재(40)와 어스전극(52b)간의 정전용량값이 변화될 시에, 즉, 기포 트랩부재(40)와 어스전극(52b)가 통전되지 않을 시에, 현재,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방향제의 수위가 배출구(24)측까지 낮아져서 소진될 우려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제어신호(S1)를 출력한다.The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56)는, 경고램프(Lamp)와 경고부저(Buz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제어부(54)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S1)에 따라 경고빛과 경고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The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따라서, 사용자에게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방향제가 소진되고 있음을 미리 경고해준다. 이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20)를 미리 교체할 수 있게 한다. Therefore, the user is warned in advance that the fragrance of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발향장치에 의하면, 방향제 배출구(24)측부분에 기포를 포획할 수 있는 기포 트랩부재(40)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가 노즐(30)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제한한다.According to the scent diffu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또한,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가 노즐(30)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제한하는 구조이므로,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bubbles mixed with the air freshener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또한, 기포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air bubb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in the vehicle cabin, thereby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배출구(24)측의 기포 트랩부재(40)를 통해 방향제의 유동과 출렁거림도 최소화시키는 구조이므로, 방향제의 유동과 출렁거림으로 인한 기포(B)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포(B)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한한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flow and sway of the fragrance through the
또한, 방향제의 소진를 미리 감지한 다음,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는구조이므로,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20)를 미리 교체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xhaustion of the fragrance is detected in advance, and the structure is notified to the user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또한, 방향제가 소진되기 전에 방향제 저장용기(20)를 미리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이므로, 방향제의 소진으로 인한 "방향제 방출 중지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abov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0: 발향장치 본체 12: 용기 장착부
20: 방향제 저장용기 22: 방향제 저장실
24: 배출구 30: 노즐(Nozzle)
32: 진동 노즐판 40: 기포 트랩(Trap)부재
42: 기포 트랩홀(Trap Hole) 50: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
52: 수위센싱부 52a: 인가전극
52b: 어스(Earth)전극 54: 제어부
56: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 A: 기포
S1: 제어신호10: scent diffusing device body 12: container mounting portion
20: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2: fragrance storage room
24: Outlet 30: Nozzle
32: vibrating nozzle plate 40: bubble trap (Trap) member
42: Bubble Trap Hole 50: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means
52: water
52b: Earth electrode 54: Control unit
56: air freshener warning signal output A: air bubbles
S1: Control signal
Claims (5)
상기 배출구(24)로부터 상기 노즐(30)로 유입되는 방향제 속의 기포를 포획함과 동시에 방향제 저장실(22)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의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배출구(24)측부분에 설치되는 기포 트랩(Trap)부재(40)와,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되어 있는 방향제의 소진(消盡)을 미리 경고하는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 소진 경고수단(50)은,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싱부(52)와;
상기 수위센싱부(52)에서 입력된 방향제 수위에 따라 방향제의 소진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4) 및;
상기 제어부(54)에 제어신호(S1)에 따라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방향제 소진을 경고하는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56)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센싱부(52)는,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 상기 기포 트랩부재(40)와, 상기 기포 트랩부재(40)에 전기를 인가하는 인가전극(52a)과, 상기 기포 트랩부재(40)보다 높은 수위의 방향제 저장실(22)부분에 설치되는 어스(Earth)전극(52b)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제 저장용기(20)의 방향제 수위 저하에 따른 상기 기포 트랩부재(40)와 상기 어스전극(52b) 간의 정전용량값 변화를 통해 상기 방향제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기포 트랩부재(40)와 어스전극(52b)간의 정전용량값이 변화될 시에, 제어신호(S1)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장치.A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0) having a fragrance storage chamber (22) and an outlet (24) through which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storage chamber (22) can be discharged, and the fragrance (24) side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0) in the vehicle interior In the vehicle scent device comprising a nozzle 30 for spraying,
At the same time as to trap air bubbles in the fragrance introduced into the nozzle 30 from the outlet 24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flow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fragrance storage chamber 22, the outlet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0 ( 24) a bubble trap member 40 installed on the side portion,
It includes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means (50) for warning in advance of exhaustion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0),
The fragrance exhausting warning means 50,
A water level sensing unit 52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fragrance stored in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0;
A control unit 54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ragrance is exhausted according to the fragrance level input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52;
It includes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signal output unit 56 for outputting a fragrance exhaustion warning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S1) to the control unit 54 to warn the user of the fragrance exhaustion,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52,
The air bubble trap member 4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application electrode 52a for applying electricity to the air bubble trap member 40, and the air bubble trap member 40 at a higher level than the air freshener storage chamber 22 It includes an earth electrode (52b) to be installed;
Detecting the fragrance level through a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bubble trap member 40 and the earth electrode 52b according to a decrease in the fragrance level of the fragrance storage container 20;
The control unit 54,
When the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bubble trap member 40 and the earth electrode (52b) is changed, the vehicle scent diff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1).
상기 기포 트랩부재(40)는,
상기 배출구(24)의 상류측부분을 가로막도록 설치되며, 상기 방향제 저장실(22)로부터 상기 배출구(24)로의 방향제 통과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방향제의 통과과정에서 상기 방향제에 섞여 있는 기포를 포획할 수 있는 다수의 기포 트랩홀(Trap Hole)(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ubble trap member 40,
It is installed to block the upstream side of the outlet (24), and allows the passage of the fragrance from the fragrance storage chamber (22) to the outlet (24), and at the same time, traps air bubbles mixed with the fragrance during the passage of the fragrance. A vehicle scent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trap holes (42).
상기 방향제 소진 경고신호 출력부(56)는,
경고램프(Lamp)와 경고부저(Buzz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54)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S1)에 따라 경고빛과 경고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perfume exhaustion warning signal output unit 56,
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warning lamp (Lamp) and a warning buzzer (Buzzer), the vehicle smell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and a warning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1) input from the control unit 54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066A KR102122551B1 (en) | 2014-07-09 | 2014-07-09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066A KR102122551B1 (en) | 2014-07-09 | 2014-07-09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847A KR20160006847A (en) | 2016-01-20 |
KR102122551B1 true KR102122551B1 (en) | 2020-06-15 |
Family
ID=5530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6066A Active KR102122551B1 (en) | 2014-07-09 | 2014-07-09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25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4297B1 (en) | 2016-01-20 | 2017-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structure to mount spare tire for antitheft |
KR200488600Y1 (en) | 2016-11-04 | 2019-02-26 | 주식회사 불스원 | Scent diffuser |
KR20210041761A (en) | 2019-10-08 | 2021-04-16 | 주식회사 반디 | Scent exhaling apparatus using the vehicle's usb port pow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1823A (en) * | 2001-02-28 | 2003-09-09 | Pentel Corp | Ink tank for ink jet pri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7084B1 (en) * | 2002-09-09 | 2004-1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roma diffuser for car |
JP4989291B2 (en) * | 2007-04-26 | 2012-08-01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Endoscope cleaning disinfection device |
KR20140085899A (en) * | 2012-12-28 | 2014-07-08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14
- 2014-07-09 KR KR1020140086066A patent/KR10212255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1823A (en) * | 2001-02-28 | 2003-09-09 | Pentel Corp | Ink tank for ink jet pri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847A (en) | 2016-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9238184B2 (en) | Mist-generatmg device for the purpose of sanitizing vehicle interiors and HVAC systems | |
AU2018100587A4 (en) | Vacuum cleaner accessory tool configured to distribute mist | |
KR102122551B1 (en)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
JP2014057952A (en) | Mist generator | |
WO2009055459A1 (en) | Synthetic jet air freshener | |
WO2015143022A2 (en) | Ink jet delivery system comprising an improved fluid mixture | |
JP2009058160A (en) | Electrolyzed water mist generating unit for air cleaner | |
CA2661747C (en) | A mist-generating machine | |
KR101620202B1 (en) | Air freshener for vehicles | |
CN117246108B (en) | Posture self-adjusting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508820B2 (en) | Device for producing water droplets for air humidification and a humidification system with such devices | |
KR102114823B1 (en) | Perfume diffuser for automotive vehicles | |
JP2009072653A (en) | Ultrasonic atomizer | |
JP7397257B2 (en) | ultrasonic sprayer | |
KR102621861B1 (en) | Auto spray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containing the same | |
KR102111315B1 (en) | Scent generator for vehicle | |
JPH06296671A (en) | Deodorization / fragrance generator | |
KR102381092B1 (en) | Perfume emitting device | |
JP4770698B2 (en) | Electrostatic atomizer for vehicles | |
JP2016034608A (en) | Atomization solvent discharge device | |
KR102291477B1 (en) | radical water generating apparatus | |
KR100457084B1 (en) | Aroma diffuser for car | |
JP3148682U (en) | Air purifier | |
KR20230073921A (en) | IoT smart device combin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scent alarm function | |
JP3202226U (en) | Humidifi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