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986B1 -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986B1 KR102121986B1 KR1020180080685A KR20180080685A KR102121986B1 KR 102121986 B1 KR102121986 B1 KR 102121986B1 KR 1020180080685 A KR1020180080685 A KR 1020180080685A KR 20180080685 A KR20180080685 A KR 20180080685A KR 102121986 B1 KR102121986 B1 KR 1021219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alyst
- combustion
- gaseous fuel
- reaction chamber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4—Gas or vapour treating; Treating by using liquids vaporisable upon contacting spent cataly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8/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catalysts, in general
- B01J38/02—Hea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의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방법의 순서도이다.
10, 210, 310, 410: 제1연소영역 11, 211, 411: 부분산화구간
12, 212, 412: 완전연소구간 20, 220, 320, 420: 제2연소영역
21, 221, 341, 441: 잔류 카본 제거용 공기 공급부
30, 230, 330, 430: 반응 챔버 31, 231, 333: 유입구
32, 232, 335: 유출구 40, 41, 42: 사이클론
111, 311, 421: 연료 공급부 112, 312: 부분산화 다공판
121, 321: 연료 연소용 공기 공급부 122, 322: 완전연소 다공판
213: 격벽 331: 제1챔버
332: 제2챔버 334: 토출구
431: 도입관 432: 하방 개방부재
433: 상방 개방부재 442: 다공판
RGS, RGS2: 재생공간
Claims (28)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유입구로 유입되는 코킹 촉매를 재생공간에서 재생한 후 재생된 촉매를 유출구로 유출하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상기 제1연소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소영역은
공급되는 기상 연료의 연소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완전연소구간과 부분산화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산화구간은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상방에 구비되는 부분산화 다공판
을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소영역은
상기 반응 챔버 내부의 상기 유출구 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잔류 카본 제거용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삭제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유입구로 유입되는 코킹 촉매를 재생공간에서 재생한 후 재생된 촉매를 유출구로 유출하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상기 제1연소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소영역은
공급되는 기상 연료의 연소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완전연소구간과 부분산화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산화구간은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상방에 하나 또는 복층으로 구비되는 부분산화 다공판
을 포함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과 코킹 촉매를 상기 부분산화 다공판에서 혼합 및 열전달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연소구간은
상기 기상 연료의 완전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 연소용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연료 연소용 공기 공급부의 상방에 하나 또는 복층으로 구비되는 완전연소 다공판
을 포함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완전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도록 연료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완전연소 다공판에서 혼합 및 열전달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의 유동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영역은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수평 방향에서 복수의 구간들로 구획하여 상하로 신장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연소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 방향에서 상기 제1연소영역을 복수로 구획하고,
상기 제2연소영역은
상기 격벽의 하부에서 하나로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소영역은
상기 반응 챔버 내부의 상기 유출구 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제1연소영역의 복수 구간들에 공급하는 잔류 카본 제거용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유입구로 유입되는 코킹 촉매를 재생공간에서 재생한 후 재생된 촉매를 유출구로 유출하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상기 제1연소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소영역은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수평 방향에서 복수의 구간들로 구획하여 상하로 신장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소영역의 복수의 구간들은
공급되는 기상 연료의 연소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완전연소구간과 부분산화구간
을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부분산화구간은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상방에 하나 또는 복층으로 구비되는 부분산화 다공판
을 포함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과 코킹 촉매를 상기 부분산화 다공판에서 혼합 및 열전달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유입구로 유입되는 코킹 촉매를 재생공간에서 재생한 후 재생된 촉매를 유출구로 유출하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상기 제1연소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소영역은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수평 방향에서 복수의 구간들로 구획하여 상하로 신장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소영역의 복수의 구간들은
공급되는 기상 연료의 연소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완전연소구간과 부분산화구간
을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완전연소구간은
상기 기상 연료의 완전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 연소용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연료 연소용 공기 공급부의 상방에 하나 또는 복층으로 구비되는 완전연소 다공판
을 포함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완전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도록 상기 완전연소 다공판에서 혼합 및 열전달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는
상기 제1연소영역을 형성하는 제1챔버, 및
상하 방향에서 상기 제1챔버의 하단을 수용하고 상기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챔버보다 확장된 제2연소영역을 형성하는 제2챔버
를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토출구보다 높은 상기 제2챔버의 측방에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소영역은
상기 제2챔버 내부의 상기 토출구 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잔류 카본 제거용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기 제2챔버의 하부에서 상부 및 중심에서 외측으로 더 형성되며,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의 유동 방향은,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재생 촉매의 유동 방향은 상기 제2챔버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더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유입구로 유입되는 코킹 촉매를 재생공간에서 재생한 후 재생된 촉매를 유출구로 유출하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상기 제1연소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 챔버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코킹 촉매를 도입하는 도입관,
상기 도입관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방 개방부재, 및
상기 하방 개방부재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도입관의 하단을 수용하여 상기 반응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는 상방 개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소영역은
공급되는 기상 연료의 연소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완전연소구간과 부분산화구간
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산화구간은
상기 상방 개방 부재와 상기 하방 개방부재 사이에 설정되고,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상방에 구비되는 부분산화 다공판
을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삭제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연소구간은
상기 도입관과 상기 상방 개방부재 사이에 설정되고,
상기 기상 연료의 완전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연료 연소용 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유입구로 유입되는 코킹 촉매를 재생공간에서 재생한 후 재생된 촉매를 유출구로 유출하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상기 제1연소영역에 연결되는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기 유출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반응 챔버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코킹 촉매를 도입하는 도입관,
상기 도입관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방 개방부재, 및
상기 하방 개방부재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도입관의 하단을 수용하여 상기 반응 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는 상방 개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소영역은
상기 하방 개방 부재의 외측에 구비되어,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공기를 상기 제1연소영역에 공급하는 잔류 카본 제거용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잔류 카본 제거용 공기 공급부의 상방에 상기 하방 개방 부재와 상기 반응 챔버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는 다공판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공판은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과 덜 재생된 코킹 촉매를 더 혼합 및 열전달하여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더 산화 제거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또는 외곽에서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의 유동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며 촉매를 재생시키는 반응 챔버;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기상 연료의 부분산화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생성하여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완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1연소영역; 및
추가로 공급되는 공기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는 제2연소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연소영역은
공급되는 기상 연료의 연소에 따라 구분되어 상기 반응 챔버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완전연소구간과 부분산화구간
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산화구간은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상방에 구비되는 부분산화 다공판
을 포함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고,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의 유동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의 흐름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또는 외곽에서 중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의 유동 방향은,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형성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 반응 챔버 내에서 제1방향으로 코킹 촉매를 유동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반응 챔버 내에서 상기 제1방향에 역류하는 제2방향으로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부분산화로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공급하여 제1연소영역에서 코킹 촉매에 열을 공급하고, 생성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을 연소시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제2단계; 및
추가로 공기를 공급하여 제2연소영역에서 코킹 촉매의 표면에 잔류하는 카본을 산화 제거하여 코킹 촉매를 재생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연료 공급부와 상기 연료 공급부의 상방에 구비되는 부분산화 다공판을 포함하는 부분산화구간에서 진행되며,
상기 연료 공급부가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을 상기 부분산화구간 및 상기 부분산화 다공판 하방에 공급하여,
기상 연료 또는 기상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의 부분산화로 생성되어 상향 이동하는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이
상기 부분산화 다공판에서 하향 유동하는 코킹 촉매와 서로 혼합 및 열전달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부분산화 된 수소, 일산화탄소 및 고상의 카본으로 코킹 촉매의 반응열을 낮추어 코킹 촉매의 고온 노출을 방지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를 상기 반응 챔버의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를 상기 반응 챔버의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코킹 촉매 및 재생 촉매를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단계 및 상기 제3단계는
상기 기상 연료 및 공기를 상기 반응 챔버의 중심에서 외곽으로 또는 외곽에서 중심으로 흐르게 하는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685A KR102121986B1 (ko) | 2018-07-11 | 2018-07-11 |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685A KR102121986B1 (ko) | 2018-07-11 | 2018-07-11 |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6832A KR20200006832A (ko) | 2020-01-21 |
KR102121986B1 true KR102121986B1 (ko) | 2020-06-26 |
Family
ID=6936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0685A Active KR102121986B1 (ko) | 2018-07-11 | 2018-07-11 |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98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3906A (ko) * | 2021-07-20 | 2023-01-27 | 한국기계연구원 | 유동층 연소 반응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40022A (ja) | 2011-05-24 | 2012-12-10 | Jx Nippon Oil & Energy Corp | 触媒再生方法および触媒再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7807843A (nl) * | 1977-07-28 | 1979-01-30 | Ici Ltd | Verwerken van koolwaterstoffen. |
FR2969643B1 (fr) * | 2010-12-27 | 2014-11-21 | Total Raffinage Marketing | Procede de craquage catalytique pour le traitement d'une coupe a faible carbone conradson |
FR3025438B1 (fr) * | 2014-09-10 | 2018-05-11 | IFP Energies Nouvelles | Regenerateur de catalyseurs. |
KR101771163B1 (ko) * | 2016-02-01 | 2017-08-24 | 한국기계연구원 | 촉매 재생기와 그 재생 방법 |
KR101921696B1 (ko) * | 2016-09-22 | 2018-11-23 | 한국기계연구원 | 촉매 재생기, 유동 촉매 크랙킹 반응 시스템 및 촉매 재생 방법 |
-
2018
- 2018-07-11 KR KR1020180080685A patent/KR10212198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40022A (ja) | 2011-05-24 | 2012-12-10 | Jx Nippon Oil & Energy Corp | 触媒再生方法および触媒再生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3906A (ko) * | 2021-07-20 | 2023-01-27 | 한국기계연구원 | 유동층 연소 반응기 |
KR102576188B1 (ko) * | 2021-07-20 | 2023-09-07 | 한국기계연구원 | 유동층 연소 반응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6832A (ko) | 2020-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1696B1 (ko) | 촉매 재생기, 유동 촉매 크랙킹 반응 시스템 및 촉매 재생 방법 | |
KR100247678B1 (ko) | 코우크스 침적물로 오염된 촉매를 유동층내에서 재생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EP2558552B1 (en) | System for a heat balanced fluid catalytic crackers for light hydrocarbon feeds | |
US8883666B2 (en) | Process for regenerating catalyst in a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 |
RU2555889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ислорода при парореформинге биомассы | |
US11660591B2 (en) | Catalyst regenerator and catalyst regeneration method | |
RU2532547C1 (ru) |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воздуха из охладителя катализат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EP053945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HYDROGENATING ALKANS. | |
US7077997B1 (en) | Stripping apparatus | |
US3843330A (en) | Regeneration apparatus | |
KR102121986B1 (ko) | 다단 연소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 |
KR102232804B1 (ko) | 유동층 촉매 재생기 | |
US7022221B1 (en) | Stripping apparatus and process | |
WO2022236250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indirect catalyst heating | |
KR102088413B1 (ko) | 촉매 재생기 | |
CN114829010B (zh) | 利用补充燃料再生催化剂的方法和设备 | |
US6139720A (en) | FCC process with carbon monoxide management and hot stripping | |
KR102098307B1 (ko) | 액상 연료 개질부를 포함하는 촉매 재생기 | |
KR101652605B1 (ko) | 촉매 재생 장치 및 방법 | |
SU620214A3 (ru) | Способ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крекинга нефт ного сырь | |
CN111655363B (zh) | 用于使催化剂床流化的方法和设备 | |
CN116981509A (zh) | 用于多区流化床反应器中的催化剂再生的集成循环系统及其使用方法 | |
KR102088414B1 (ko) | 촉매 재생기 | |
KR102134390B1 (ko) | 순환 열교환 방식의 촉매 재생기 및 그 재생방법 | |
RU2156161C1 (ru) | Реактор для дегидрирования парафиновых углеводородов c3-c5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