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47B1 -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bridges - Google Patents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bridg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1747B1 KR102121747B1 KR1020190073183A KR20190073183A KR102121747B1 KR 102121747 B1 KR102121747 B1 KR 102121747B1 KR 1020190073183 A KR1020190073183 A KR 1020190073183A KR 20190073183 A KR20190073183 A KR 20190073183A KR 102121747 B1 KR102121747 B1 KR 1021217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cement
- upper structure
- coupled
- information
- r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잭과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을 조절하는 보조 인상부재;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부 구조물의 초기 변위값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재가 결합되는 변위 구동부; 상기 변위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밀착패널의 회전량 정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제2센서부재로 구성되는 변위 측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초기 변위량값, 상기 밀착패널의 회전량 정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인상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구조물에 대한 변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위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lift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a frame portion configur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hydraulic jack; An auxiliary pulling member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and adjusting a displacement amount of the upper structure; A displacement driving unit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and coupled with a first sensor member for measuring an initial displacement value of the upper structur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that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and comprises a second sensor member for acquiring and transmitting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contact panel and position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pper structure. ;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member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by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itial displacement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 members, rot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 panel, and And analyzing the position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pper structure to generate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for the upper structure where the impression is mad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based on the generated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밀착되게 고정되며,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을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정밀하게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상부 구조물의 인상을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fixed in a radially close manner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and measures the displacement of the superstructure to control the displacement of the superstructure in real time, thereby ensuring safety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that can precisely raise the superstructure and shorten a working time for raising the superstructure.
일반적으로, 교량은 다른 구조물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된다. 특히 교량의 상부구조(거더, 슬래브)와 하부구조(교대, 교각)사이에 놓여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교량받침(Shoe)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차량운행에 의한 충격하중과 교량받침의 부식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진다.In general, aging progresses over time as bridges, like other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bridge support (Shoe) placed between the superstructure (girder, slab) of the bridge and the substructure (alternation, pier) support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uperstructure. The performance decrease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orrosion, so replacement is performed regularly.
이러한 교량받침의 교체 작업 시 우선적으로 상부구조를 인상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통상은 유압잭을 포함한 인상장치를 교대 전면이나 교각 상면에 설치하고, 상부구조가 인상된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교체작업 기간 동안에도 계속해서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상부구조로부터 전달되는 연직하중은 물론 상부구조의 온도에 의한 신축팽창이나 지지부에서의 거더 변위를 직접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to replace the bridge bearing, the upper structure must first be raised. To this end, a lifting device including a hydraulic jack is usual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ridg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while the superstructure is raised, during the replacement period of the bridge bearing. Also, while continuously supporting the superstructure, it should be able to directly accommodat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girder at the support 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superstructure as well as the vertical load transmitted from the superstructur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교량을 떠받치는 인상 장치를 유압잭으로 구성하고, 교량이 들어올려지는 변위를 각 인상 장치 설치 위치에서 측정하고, 상기 변위가 모두 동일하도록 유압잭을 작동시키어 교량을 동조 인상하거나 인하하였다.In view of this, conventionally, the lifting device for supporting the bridge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jack, the displacement at which the bridge is lifted is measur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lifting device, and the hydraulic jack is operated so that all the displacements are the same, thereby synchronizing the bridge. Or cut it.
이에, 교량의 인상 시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안전성을 확보해야함과 동시에 교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상 작업을 임시 중단한 상태에서 교량의 변위량에 대한 조절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고, 변위량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 인상 작업을 다시 진행해야 하는 등 교량의 인상을 위한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른 작업비용의 상승, 인건비 상승, 유지 보수에 대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Accordingly, when displacement occurs when the bridge is pulled up, safety must be secur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djustment work on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bridge in a state where the pulling up operation is temporarily stopped to minimize damage to the bridge. In the meantime, it is necessary to take a long time to raise the bridge, such as having to perform the raising work again, and thus, there is no choice but to increase the working cost, increase labor costs, and incur huge costs for maintenance.
또한, 종래에 사용되던 변위 측정 장치는 케이블 릴에 감겨 있는 케이블을 교량에 부착하여 케이블 릴이 풀리는 길이를 측정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In addition, th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used in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measuring displacement by attaching a cable wound on a cable reel to a bridge and measuring the length at which the cable reel is loosene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교량의 상하 방향의 변위만을 전제로 측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교량이 측방으로 변위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측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변위 측정 방식은 여러 측정 위치에서 상하 변위에 편차가 발생할 때 이를 근거로 교량이 기울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었을 뿐이어서, 여러 측정 위치에서 상하 변위에 편차가 없으면서 교량이 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a method of measuring only the displac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idge,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e measured when the bridge is displaced laterall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displacement measurement method, it was only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bridge could be tilted based on the deviation in the vertical displacement at various measurement positions, so that the bridge was laterally lateral without deviation in the vertical displacement at various measurement posi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grasp the displacemen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밀착되게 인상장치를 고정하여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교정되어야 할 상부 구조물의 편심정보, 기울기(회전량) 정보를 포함하는 변위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변위량 정보를 바탕으로 인상장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정밀하게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by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and an eccentric information, tilt ( Rotation amount) by obtaining the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ulling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to provide an upper structure pulling device for the bridge that can safely and accurately raise the upper structure.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의 인상 작업과 변위량 조절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상부 구조물의 인상을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 및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at can perform the lifting operation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adjustment of the upper structure at the same tim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for raising the upper structure and reduce the required cost. have.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 및 인상장치로 가해지는 하중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인상장치, 제어장치 및 작업자 간의 실시간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안전한 인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인상이 완료된 후에도 상부 구조물에 대한 신축에 따른 변위량, 회전에 의한 변위량 정보를 획득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가받침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real-tim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ifting device, the control device and the operator while real-time monitoring of the displacement applied during the lifting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load applied to the pulling device, so that the upper structure can be safely raised.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supporting device as the correction is performed by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displacement amount by rotation and the displacement amount by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even after the pulling is completed. It has a purpose.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f course included in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ving means or embodiments of the subject even if not explicitly stated.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잭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받침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패널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을 조절하는 보조 인상부재;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그 상부면이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전 위치 정보와,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의 기울어진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변위값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재가 결합되는 변위 구동부; 후방부에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변위 구동부와 접촉되면서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변위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선단부에 회전 지지홈이 함몰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축과, 상기 회전몸체의 일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만큼 회전하는 밀착패널과, 상기 밀착패널의 선단부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밀착패널의 회전량 정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제2센서부재로 구성되는 변위 측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초기 변위량값, 상기 밀착패널의 회전량 정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인상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구조물에 대한 변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위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xed fram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ydraulic jack, the support fram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frame,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frame A frame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panel; An auxiliary pull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and configur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adjusting a displacement amount generated when the upper structure is pulled up;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impression member,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the position information before the impress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tructure based on the axis center of the auxiliary impression member A displacement driving unit to which a first sensor member for measuring an initial displacement value including angle information is coupled; When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and rotates over a certain angle, a rotating body that limits rotational opera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and one side Rotational guide shaft in which the rotation support groove is recessed at the distal end, and extende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and a contact panel that rotates by the amount of displacement generated when the upper structure is pulled up. , Displacement measur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contact panel, the second sensor member to obtain and transmit the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contact panel, the position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member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by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nitial displacement valu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 members, rotation information of the contact panel, and And analyzing the position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pper structure to generate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for the upper structure where the impression is mad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based on the generated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 보조 인상부재, 변위 구동부 및 변위 측정부는 상기 유압잭의 원주면을 따라 90° 간격으로 총 4개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인상부재, 변위 구동부 및 변위 측정부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하나만 구동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and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are composed of a total of four at 90°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ydraulic jack,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and The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be driven to drive only one or two or more to be driven simultaneously at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구동부에는, 내벽면 및 바닥면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블럭과, 선단부가 상기 회전몸체의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밀착패널의 상측에 대한 회전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제1센서부재가 결합되는 상부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each of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nd improves the support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lock and an upper panel to which the first sensor member is coupled while limiting the rot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ct panel while the tip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구동부에는, 상기 변위 구동부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그 선단부측 중앙부로 상기 회전 가이드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축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구동 제어홀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하우징과,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며, 선단부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축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제어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 지지홈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 연결부재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 연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each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th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guide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the insertion groove It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control member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on guide shaft, a drive control housing including a drive control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Provided, the drive mean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istal end portion, coupl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drive shaf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rotational support groove while sliding movement along the drive control hole is ma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connecting member and a transfer mean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drive connecting member and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drive means to slide the drive connecting memb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방사형으로 밀착되게 인상장치를 고정하여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교정되어야 할 상부 구조물의 편심정보, 기울기(회전량) 정보를 포함하는 변위량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변위량 정보를 바탕으로 인상장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전하고 정밀하게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pulling device in a radially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the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including eccentric information, tilt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upper structure to be corrected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By obtaining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ulling device based on the obtained displacem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precisely raise the upper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구조물의 인상 작업과 변위량 조절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상부 구조물의 인상을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 및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adjustment of the displacement amount,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for raising the upper structure and reducing the required c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 및 인상장치로 가해지는 하중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인상장치, 제어장치 및 작업자 간의 실시간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al-time monitoring of the displacement applied during the lifting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load applied to the pulling device, by real-tim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ifting device, the control device and the operator, the upper structure of th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when rai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상이 완료된 후에도 상부 구조물에 대한 신축에 따른 변위량, 회전에 의한 변위량 정보를 획득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가받침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the impression is completed,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as a supporting device by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isplacement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due to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so that correction is made. .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저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의 변위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raising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4 and 5 is a view showing a displacement driving unit of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structure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저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의 변위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vice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structure pulling device of th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S. 4 and 5 are displacement driving parts of the upper structure pulling device of the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sh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유압잭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유압잭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유압잭과 함께 상부 구조물을 인상시키거나, 또는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만큼 상부 구조물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As shown,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hydraulic jack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it is to be installed in multiple number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ydraulic jack , It is configured to raise the upper structure together with the hydraulic jack under the control of the
이러한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이하, 인상장치라고 함.)는 유압잭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면을 따라 90° 간격으로 총 4개로 구성되며,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structure pull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ulling device) is composed of a total of four at 90°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ased on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hydraulic jack, and individually driven control under the control of the
이와 같은, 인상장치는 유압잭의 외주면을 감싸며,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부(110), 프레임부(1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보조 인상부재(120), 보조 인상부재(120)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변위 측정부(130), 변위 측정부(130)를 회전 작동시켜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시키는 변위 구동부(140), 변위 구동부(140)에 구성되고, 상부 구조물의 인상 전, 초기 변위값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재(150) 및 변위 측정부(130)의 상측 단부에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을 측정하는 제2센서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uch, the pulling device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ydraulic jack,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프레임부(110)는 유압잭의 몸체부를 감싸면서 밀착되게 구성되며, 유압잭의 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112)과, 이 고정 프레임(112)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보조 인상부재(120)가 장착되는 받침 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The
고정 프레임(112)은 상단측 내면이 유압잭의 몸체부 상단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그 상단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패널(116)이 구성된다. The
이때, 고정 프레임(112)의 연장패널(116)은 통상의 연결 플랜지 등과 같은 패널 및 고정볼트 등에 의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즉, 유압잭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로 구성되는 인상장치들 마다 각각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112)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압잭과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받침 프레임(114)은 고정 프레임(112)의 하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인상장치를 하부 구조물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며, 보조 인상부재(120)의 하단부가 장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upporting
이때, 받침 프레임(114)에는 보조 인상부재(120)의 승하강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통상의 진동 흡수부재가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보조 인상부재(120)는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변위가 발생한 상부 구조물을 일정 높이만큼 인상시켜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유압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이러한 보조 인상부재(12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구동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보조 인상부재(120) 중 1개씩 단독으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이 동시에 승강하면서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즉, 보조 인상부재(120)는 유압잭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상,하,좌,우 방면에 설치된 보조 인상부재(120)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을 하면서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방면에 위치하는 보조 인상부재(120)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변위 측정부(130)는 보조 인상부재(12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에 대한 정보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변위 측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변위 구동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 가이드축(134)이 형성되는 회전몸체(132)와, 회전몸체(132)의 일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밀착패널(136)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회전몸체(132)는 후방부에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일정 각도 이상상측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할 변위 구동부(140)의 상부패널(146)과 접촉하면서 회전 작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회전 가이드축(134)은 회전몸체(132)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변위 구동부(140)의 내부에 구성되는 구동 제어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이때, 회전 가이드축(134)의 선단부에는 후술할 구동수단(220)의 구동축(222)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몸체(132)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 지지홈(134a)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밀착패널(136)은 회전몸체(132)의 상부 일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그 상부면이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에 따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밀착패널(136)은 상부 구조물의 변위 발생시 회전 가이드축(134)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밀착패널(136)에는 그 선단부측에 상부 구조물의 인상시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하 방향, 또는 측면 방향에 대한 변위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변위 발생시 이에 대한 변위량을 측정하여 제어장치(300)로 전송하는 제2센서부재(160)가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제2센서부재(160)는 제어장치(300)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밀착패널(136)의 회전량에 대한 정보와, 밀착패널(136)과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의 접촉위치에 대한 변경정보를 수집하여 제어장치(300)로 전송한다. The
즉, 제2센서부재(160)는 밀착패널(136)의 회전량에 대한 정보를 통해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장치(300)로 전송하고, 밀착패널(136)과 상부 구조물 간의 접촉위치에 대한 변경값을 통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편심정보)를 획득하여 제어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에 대한 변위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이때, 밀착패널(136)과 상부 구조물 간의 접촉위치에 대한 변경값은 상부 구조물이 인상되면서 유압잭의 축 중심으로부터 이동되는 위치 이동값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change value for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변위 구동부(140)는 보조 인상부재(12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그 상부면이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내부에 변위 측정부(130)의 회전몸체(132)가 내장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또한, 변위 구동부(140)는 회전몸체(132)와 일체로 구성되는 밀착패널(136)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변위 구동부(140)는 내벽면 및 바닥면에 각각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회전몸체(13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블럭(142)이 구성된다. Each of the
또한, 변위 구동부(140)는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선단부가 회전몸체(132)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변위 측정부(130)의 상측에 대한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상부패널(14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부패널(146)에는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접하는 상부면에 구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전 위치(편심) 정보와, 보조 인상부재(120)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변위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초기 변위값을 제어장치(300)로 전송하는 제1센서부재(150)가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즉, 본 발명은 제1센서부재(150)로부터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의 위치 정보와 각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위치 이동 정보와 밀착패널(136)의 회전량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인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부 구조물이 이동해야 할 위치량 및 회전량으로 이루어진 변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위량 정보를 바탕으로 상부 구조물의 정밀한 인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한편, 본 발명의 변위 구동부(140)에는 변위 측정부(130)의 회전 가이드축(13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제어 하우징(210)과,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회전 가이드축(134)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20)과, 회전 가이드축(134)과 구동수단(220)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 연결부재(230)와, 구동 연결부재(2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수단(250)이 더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구동 제어 하우징(210)은 변위 구동부(140)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회전 가이드축(134)과 동일중심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그 선단부측 중앙부로 회전 가이드축(13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The
또한, 구동 제어 하우징(210)은 삽입홈의 내주면으로 회전 가이드축(134)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2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변위 구동부(140)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구동 제어 하우징(210) 중 어느 하나에는 삽입홈과 연통되고, 구동 연결부재(230)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구동 제어홀(21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구동수단(220)은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기 전, 회전 가이드축(134)과 연결된 밀착패널(136)을 회전시켜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을 이루도록 한다. The driving means 220 is to provide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이러한 구동수단(220)은 구동 연결부재(230)가 결합되는 구동축(222)이 구성된다. The driving means 220 includes a driving
구동 연결부재(230)는 구동축(222)의 선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구동수단(220)의 회전력을 회전 가이드축(134)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송수단(250)의 구동 여부에 따라 구동 제어홀(2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회전 가이드축(134)의 회전 지지홈(134a)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The
즉, 상기 구동 연결부재(230)는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기 전 밀착패널(136)이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회전 가이드축(134)의 회전 지지홈(134a)에 삽입되어 구동수단(220)의 구동축(222)을 연결하여 구동수단(220)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이드축(134)이 회전하면서 밀착패널(136)의 상향 회전 작동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하고,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질 때에는 회전 지지홈(134a)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회전 가이드축(134)이 단독으로 구동 제어 하우징(210)의 삽입홈 내에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변위 발생시 밀착패널(136)이 상부 구조물의 변위 발생 위치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한편, 이송수단(250)은 구동 연결부재(230)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구동수단(220)의 일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통상의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LM 가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fer means 250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이러한 이송수단(250)은 제어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구동수단(220)으로부터 구동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구동하여 구동 연결부재(230)가 회전 가이드축(134)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veying means 250 is configured to be driven only when a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ans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제어장치(300)는 제1 및 제2센서부재(150, 160)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150, 16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초기 변위량값, 밀착패널(136)의 회전량 정보,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상부 구조물에 대한 변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위량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미도시)로 전송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보조 인상부재(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이때, 제어장치(300)는 상기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 정보가 상부 구조물의 상측에 대한 변위량 정보인 경우, 4개의 보조 인상부재(120)들 중에서 상측에 위치(도 3 기준)하는 보조 인상부재(120) 만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변위량 정보가 상부 구조물의 상,하,좌,우 방향 모두 변위가 발생한 정보인 경우에는 상기 4개의 보조 인상부재(120)를 모두 구동하도록 제어하되, 각각의 위치에 따른 변위량 정보에 대응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이에, 본 발명은 유압잭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이루어지면서 발생하는 사방(상,하,좌,우)에 대한 변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부 구조물의 인상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구조물의 변위 발생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isplacement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right) that occurs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by the hydraulic jack,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that occurs when the upper structure is raised.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displacement of the superstructure.
또한, 유압잭의 외주면 각 분기점들을 기준으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인상장치와, 상기 다수개의 인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0)에 의해 상부 구조물의 인상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변위량 정보를 생성하여 상부 구조물의 변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상부 구조물의 지지가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by generating displacement information even when the pulling of the upper structure is completed by the plurality of pulling devices configured based on each branch poin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ydraulic jack and 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미기재된 도면부호 "10", "20", "30"은 각각 상부 구조물, 하부 구조물 및 유압잭을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100"은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s "10", "20" and "30" no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upper structure, the lower structure and the hydraulic jack, respectively, and the reference numeral "100" indicates th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will b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as that.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110: 프레임부
112: 고정 프레임 114: 받침 프레임
120: 보조 인상부재 130: 변위 측정부
132: 회전몸체 134: 회전 가이드축
134a: 회전 지지홈 136: 밀착패널
140: 변위 구동부 150: 제1센서부재
160: 제2센서부재 210: 구동 제어 하우징
212: 구동 제어홀 220: 구동수단
222: 구동축 230: 구동 연결부재
240: 회전 지지부재 300: 제어장치100: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110: frame portion
112: fixed frame 114: base frame
120: auxiliary pulling member 130: displacement measuring unit
132: rotating body 134: rotating guide shaft
134a: rotating support groove 136: close contact panel
140: displacement drive unit 150: first sensor member
160: second sensor member 210: drive control housing
212: driving control hole 220: driving means
222: drive shaft 230: drive connecting member
240: rotating support member 300: control device
Claims (1)
상기 받침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구성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을 조절하는 보조 인상부재;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그 상부면이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과 접촉하고,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전 위치 정보와,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의 기울어진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변위값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재가 결합되는 변위 구동부;
후방부에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변위 구동부와 접촉되면서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변위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선단부에 회전 지지홈이 함몰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축과, 상기 회전몸체의 일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 구조물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인상 시 발생하는 변위량만큼 회전하는 밀착패널과, 상기 밀착패널의 선단부측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밀착패널의 회전량 정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제2센서부재로 구성되는 변위 측정부;및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부재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초기 변위량값, 상기 밀착패널의 회전량 정보, 상기 상부 구조물의 위치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인상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구조물에 대한 변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변위량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보조 인상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 보조 인상부재, 변위 구동부 및 변위 측정부는 상기 유압잭의 원주면을 따라 90° 간격으로 총 4개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인상부재, 변위 구동부 및 변위 측정부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하나만 구동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둘 이상이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위 구동부에는,
내벽면 및 바닥면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블럭과,
선단부가 상기 회전몸체의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밀착패널의 상측에 대한 회전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제1센서부재가 결합되는 상부패널과,
상기 변위 구동부의 내벽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며, 그 선단부측 중앙부로 상기 회전 가이드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축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구동 제어홀을 포함하는 구동 제어 하우징과,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며, 선단부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이 구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축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제어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회전 지지홈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 연결부재의 후방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 연결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A frame part including a fixed frame detachably coupled with a hydraulic jack, a support fram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ed frame, and an extension panel formed to extend upwardly at an upper end of the fixed frame;
An auxiliary pull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nd configur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adjusting a displacement amount generated when the upper structure is pulled up;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impression member,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the position information before the impress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tructure based on the axis center of the auxiliary impression member A displacement driving unit to which a first sensor member for measuring an initial displacement value including angle information is coupled;
When a predetermine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and rotates over a certain angle, a rotating body that limits rotational opera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dy,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and one side A rotation guide shaft in which a rotational support groove is recessed at the tip, and is formed to extend to on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and rotates by an amount of displacement generated when the upper structure is pulled up. , Displacement measuring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contact panel, and comprises a second sensor member for acquiring and transmitting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contact panel and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or members ar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by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nitial displacement valu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 members, the rotation amount information of the contact panel, and the upper part It includes; a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for the upper structure on which an impression is made by analyzing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based on the generated displacement amount information.
The frame part,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the displacement driving part and the displacement measuring part are composed of a total of four at 90°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ydraulic jack, and the auxiliary pulling member, the displacement driving part and the displacement measuring part are only 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It is further controlled to be driven, or two or more are controlled to be driven simultaneously,
In the displacement driving uni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each of which is configur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mproves a support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and support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ting body,
While the tip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limit the rot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ct panel, and the upper panel to which the first sensor member is coupled,
Each of the displacement drive unit is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surface, th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guide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and a rotatio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supporting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on guide shaft A drive control housing including a support member and a drive control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Drive means config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and to which the drive shaf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a tip end;
A driving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driving shaft,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released from the rotation support groove while sliding movement is performed along the driving control hole;
Transfer mean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drive connecting member,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drive means for slidingly moving the drive connecting memb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ft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183A KR102121747B1 (en) | 2019-06-19 | 2019-06-19 |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bridg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183A KR102121747B1 (en) | 2019-06-19 | 2019-06-19 |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bridg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1747B1 true KR102121747B1 (en) | 2020-06-12 |
Family
ID=7108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3183A Active KR102121747B1 (en) | 2019-06-19 | 2019-06-19 |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bridg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74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8359B1 (en) | 2009-06-24 | 2010-03-22 | 우경건설 주식회사 | The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method for which bridge upper structure lifter which does the bridge shue function and this were used |
US20150097150A1 (en) * | 2013-10-03 | 2015-04-09 | China Engineering Consultants, Inc. | Bridge lifting used three-axial parallel mechanism |
-
2019
- 2019-06-19 KR KR1020190073183A patent/KR1021217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8359B1 (en) | 2009-06-24 | 2010-03-22 | 우경건설 주식회사 | The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method for which bridge upper structure lifter which does the bridge shue function and this were used |
US20150097150A1 (en) * | 2013-10-03 | 2015-04-09 | China Engineering Consultants, Inc. | Bridge lifting used three-axial parallel mechanis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4261B1 (en) | Hybrid apparatus for lifting up the upper structure of bridge and lifting method of the upper structure using therreof | |
KR101459063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ing a trench wall element | |
US9828212B2 (en) |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n installation platform in an elevator shaft | |
CN208235351U (en) | A kind of bridge combination guardrail Fast Installation plate device | |
RU2702213C2 (en) | Jacking system for crane | |
CN105358469B (en) | A kind of crane and its control method with telescopic joint | |
US11572256B2 (en) | Mounting system for performing an installation operation in an elevator shaft of an elevator system | |
US4905604A (en) | Mobile switch leveling, lining and tamping machine | |
CN113294138B (en) | Full-sleeve full-rotary drilling machine device | |
KR102121747B1 (en) |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of bridges | |
CS266335B2 (en) | Mobile machine for track working | |
CN108691277A (en) | Three-dimensional adjusting tool for positioning segment prefabricated assembling beam in erection process | |
KR20140017464A (en) | Unloading device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m | |
EP405968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a pad to a railway sleeper | |
KR20230164930A (en) |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reof | |
KR102189580B1 (en) | Slipform system for fabricating caisson | |
CN214195627U (en) | Vertical wallboard of precast concrete calibration installation bearing structure | |
US20020127058A1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d head | |
CN208362867U (en) | A kind of paver conducting wire hanging wire stake | |
CN108611994B (en) | Equipment for bridge repla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337756B1 (en) | Hydraulic-jack testing device of silp-form using in concrete construction | |
CN110714379A (en) | Nested ballastless track bent | |
CN215164466U (en) | Lower sword device and milling machine | |
CN111827384A (en) | A trench wall gripper and a method for creating a trench in the ground | |
CN112296969B (en) | Steel pipe pile storag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