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21185B1 -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 Google Patents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85B1
KR102121185B1 KR1020190069324A KR20190069324A KR102121185B1 KR 102121185 B1 KR102121185 B1 KR 102121185B1 KR 1020190069324 A KR1020190069324 A KR 1020190069324A KR 20190069324 A KR20190069324 A KR 20190069324A KR 102121185 B1 KR102121185 B1 KR 10212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harging
data
unit
wireless ear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배
박구택
김원영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8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digital music play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45C2011/00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을 충전 케이스에 장착하여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이어폰에서 충전 케이스로 가는 제1 데이터와 충전 케이스에서 무선 이어폰으로 가는 제2 데이터를 통로로 통일하거나,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간의 데이터 교환 통로와 충전 통로를 통일함으로써,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들의 개수를 줄여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harging a wireless earphone by mounting the wireless earphone in a charging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nifying the first data from the wireless earphone to the charging case and the second data from the charging case to the wireless earphone, or by unifying the data exchange passage and charging passage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the wireless earphone and By reducing the number of connecting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harging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while improving the freedom of design.

Description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나 음향기기 등의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서 전자기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earphone technology for wirelessly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ting it to a user by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ound device.

일반적으로 무선 이어폰은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형태로 사용된다.In general, the wireless earphone is made in a form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carry, but is used in a form worn on the user's ear.

무선 이어폰은 휴대전화기나 음향기기 등의 전자기기(이하 '전자기기'라 함)와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기기로부터의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 후, 이를 재생하여 사용자의 귀에 출력시킴으로써 음악을 감상하거나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Wireless earphones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sound devices, to receive sound signals from electronic devices wirelessly, and play them back to the user's ears. By outputting, it supports listening to music or making voice calls.

위와 같은 무선 이어폰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블루투스 모듈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로서는 반복적으로 충전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축전지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무선 이어폰은 내장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다시 충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용의 충전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용의 충전장치로서는, 무선 이어폰의 보관과 함께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형태의 충전 케이스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충전 케이스에 무선 이어폰을 장착시킴으로써 충전 케이스의 직류 전원이 무선 이어폰으로 공급되어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무선 이어폰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에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충전 단자(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함)가 필요하다. 물론, 대개의 경우 2개의 무선 이어폰이 쌍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므로, 충전 케이스에는 총 4개의 충전 단자가 필요하다.The above wireless earphone is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battery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rresponding Bluetooth module. At this time, as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 a storage battery is used so that i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used. Accordingly, the wireless earphone needs to be recharged when the built-in battery is discharged, and a dedicated charging device must be provided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 As a dedicated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 as described above, a charging case of a type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 with storage of the wireless earphone has been widely applied. That is, by attaching the wireless earphone to the charging case, the DC power of the charging case is supplied to the wireless earphone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 In order to charge the wireless earphone, two charging terminals (including a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are required. Of course, in most cases, two wireless earphones are paired, so a total of four charging terminals are required in the charging case.

한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에 관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진보되어가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의 충전 케이스는 휴대용 충전기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축전지를 구비하게 되었으며, 무선 이어폰이 장착된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만 충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축전지의 전력이 최대한 절약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간에 서로의 축전 잔량에 관한 정보를 교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를 더욱 향상시키고 있는 제품도 판매되고 있으며, 무선 이어폰의 펌웨어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에는 충전 케이스를 통해 무선 이어폰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는 기술도 보급되어 있다.Meanwhile, technologies related to wireless earphones and charging cases are also continually advanced. For example, the recent charging case is equipped with a large-capacity battery so that it can also be used as a portable charger. have. In addition, products are being sold that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exchang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storage between each other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and displaying them, and when the firmware of the wireless earphone needs to be upgraded. Technology to upgrade the firmware of wireless earphones through a charging case is also spread.

위와 같이 진보되어가는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에 관한 기술은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간 전기적인 접점을 늘릴 것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2개의 충전 단자는 기본적으로 요구되고, 무선 이어폰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감지 단자가 요구된다. 그리고 무선 이어폰에서 충전 케이스로 정보를 전송하려면 무선 이어폰에 데이터 전송용 단자가 필요하고, 무선 이어폰에서 충전 케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려면 무선 이어폰에 데이터 수신용 단자가 필요하며, 이에 대응되는 단자들이 충전 케이스에도 구비되어야만 한다. 또한, 근래에는 무선 이어폰이 충전 중일 경우에 충전 케이스로 음향을 출력시킬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에는 음향 신호용 단자가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which is advanced,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Two charging terminals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 are basically required, and a sensing terminal is required to detect the attachment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to transmi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earphone to the charging case, the wireless earphone needs a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earphone, the wireless earphone needs a data reception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terminals are charged case It must also be equipped with. In addition, recently, products are being released that can output sound to the charging case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being charged. In this case,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require a terminal for an audio signal.

위와 같이,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에 관한 기술적 발전은 그에 비례하여 각종 전기적인 단자들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고급 사양의 제품들일수록 전기적인 단자들의 개수가 많아진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requires various electrical terminals in proportion to this, and therefore, the number of electrical terminals increases in products with higher specifications.

그러나 무선 이어폰은 귀에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형이면서 가벼울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하나의 무선 이어폰 당 많은 접속단자가 구비되면 그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가 까다롭고, 조밀하게 설치하여야 하는데서 오는 조립작업의 곤란함도 수반되므로, 궁극적으로 생산단가가 상승된다. 그리고 많은 단자 수로 인한 대형화 및 무게의 증가로 착용 상의 불편함도 증폭될 수 있다.However, the wireless earphone needs to be worn on the ear, so it needs to be small and light. However, if a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per one wireless earphone is provide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assembly work that is required to be densely installed is also accompanied, and thus the production cost is ultimately increased. In addition, discomfort in wearing may be amplified due to an increase in weight and weight due to a large number of terminal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068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60680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에 설치되는 단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duce the number of terminals installed in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는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로부터 오는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재생하여 출력시키는 무선 이어폰;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이어폰은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향신호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및 스피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전원부;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스피커 및 제1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 케이스로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케이스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스는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상기 제1 접속부에 대응되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제2 접속부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제어부로 필요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충전 케이스로부터 오는 전원으로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충전용 단자;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1 데이터용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전원부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충전용 단자;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1 데이터용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제2 데이터용 단자; 를 포함한다.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to wirelessly reproduce and output sound signals from the electronic device as sound; And a charging case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wireless earphon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 audio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processed by the sound processing unit; A first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and the speaker, and is provided to be rechargeable;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the speaker,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ts necessary first data to the charging case;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case. The charging case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wireless earphone sid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can be charged, and the first control unit is required. 2 A seco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data; Includ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a first charging terminal provided to be able to charge the first power source with power coming from the charging case; A first ground terminal paired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a first data terminal enabling the first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or to receive the second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 second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A second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paired with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data terminal that corresponds to the first data terminal, and allows the second control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or the second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It includes.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의 전송시간과 수신시간을 분리하여 상기 제1 데이터용 단자와 상기 제2 데이터용 단자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separate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so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hrough the first data terminal and the second data terminal have a time difference. Control to be done.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after receiving the second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is completed. Can be implemented.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first data from the first control unit is completed.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는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로부터 오는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재생하여 출력시키는 무선 이어폰;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이어폰은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향신호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및 스피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하며, 충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전원부;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스피커 및 제1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 케이스로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케이스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스는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상기 제1 접속부에 대응되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제2 접속부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제어부로 필요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알리는 장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충전 케이스로부터 오는 전원으로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충전용 단자; 및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전원부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충전용 단자;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가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었다고 알려오면,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기 전에 데이터 교환 모드로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상기 제2 충전용 단자를 통해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게 한 후,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상기 제2 충전용 단자를 통해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킨다.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ly reproduces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a charging case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s. Including, The wireless earphon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 audio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processed by the sound processing unit;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and the speaker, and being provided to be charged;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the speaker,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ts necessary first data to the charging case;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case. The charging case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wireless earphone sid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can be charged, and the second requir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 seco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data; And a mounting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and informing the second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unit is capable of charging the first power unit with power coming from the charging case. A first charging terminal provided; And a first ground terminal paired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 second charging terminal for su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paired with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in a data exchange mode before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when the mounting detection unit notifies that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thereby controlling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After data exchange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through a second charging terminal, the first power supply unit is switch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by switching to a charging operation mode. Charge it.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교환 모드 시간 동안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의 전송시간과 수신시간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상기 제2 충전용 단자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 time of the first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during the data exchange mode time and the second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e first control unit By separating and receiving tim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o be controlled with a time difference.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after receiving the second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is completed. Can be implemented.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first data from the first control unit is completed. Can be implemented.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충전 작동 모드의 도중에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로 충전 작동을 정지시키고 데이터 교환 모드로 전환한 후 다시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전원부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charging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by stopping charging operation at a set time or period during the charging operation mode, switching to a data exchange mode, and then switching to a charging operation mode again.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들의 개수가 줄어 설계의 자유도가 상승하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의 특징 부위를 발췌한 발췌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가 실제 구현된 제품에 대한 제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의 특징 부위를 발췌한 발췌도이다.
도 6은 도 4의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가 실제 구현된 제품에 대한 제품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earphone and a charging case s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cerpt from the feature por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of FIG. 1.
FIG. 3 is a product diagram of a product in which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of FIG. 1 are actually implemented.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earphone and a charging case s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cerpt from a feature por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of FIG. 4.
FIG. 6 is a product diagram of a product in which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of FIG. 4 are actually implemented.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기술적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for the sake of brevity, overlapping technical content is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에 대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earphone and a charging case set (EC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는 한 쌍의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ECS) includes a pair of wireless earphones 100 and a charging case 200.

한 쌍의 무선 이어폰(100)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전자기기(도시되지 않음)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로부터 오는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재생하여 출력시킨다. 2개의 무선 이어폰(100) 중 하나(R)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착용되고, 다른 하나(L)는 사용자의 왼쪽 귀에 착용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 사용자의 한쪽 귀에만 착용하여 사용자에게 모노 음향을 제공하도록 하나의 무선 이어폰(100)만 구비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이어폰(100)은 무선 통신부(110), 음향 처리부(120), 스피커(130), 제1 전원부(140), 제1 제어부(150), 제1 접속부(160)를 구비한다.The pair of wireless earphones 10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r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to reproduce and output an acoustic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s sound. One (R) of the two wireless earphones 100 is worn on the user's right ear, and the other (L) is worn on the user's left ear to provide stereo sound to the user.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it may be possible to use only one wireless earphone 100 so as to provide a mono sound to the user by wearing only one ear of the user. The wireless earphon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sound processing unit 120, a speaker 130, a first power supply unit 140, a first control unit 150, and a first connection unit 160.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통신회로를 가지는 블루투스와 같은 전자도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부(110)의 주요한 역할은 전자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오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처리부(120)로 보내는 것이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무선 이어폰(100)으로 전자기기를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110)가 사용자의 조작 명령 등을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서 무선 이어폰(100)에 휴대전화와의 음성 통화를 위해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110)가 마이크에 의해 생성된 음성신호를 휴대전화로 무선 송신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as an electronic tool such as Bluetooth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The main rol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to receive the sound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and send it to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Furthermore, when the user is allowed to remotely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wireless earphone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will also serve to transmit a user's operation command or the like to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when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for voice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wireless earphone 10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phone to the mobile phone. It can also serve to transmit wirelessly.

음향 처리부(120)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온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 등을 구비함으로서, 무선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30)로 보낸다.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n amplifying circuit or the like that amplifies the sound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rocesse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sends it to the speaker 130.

스피커(130)는 음향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음향신호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킨다.The speaker 130 generates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processed by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제1 전원부(140)는 전술한 무선 통신부(110), 음향 처리부(120) 및 스피커(130) 등 제반 구성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above-describe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and the speaker 130,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Have

제1 제어부(150)는 무선 통신부(110), 음향 처리부(120), 스피커(130) 및 제1 전원부(140)를 제어하며, 충전 케이스(200)로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는 제1 전원부(140)에 구비된 축전지의 전원 잔량 등 무선 이어폰(100)에 대한 현재의 상태 정보 등일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the speaker 130,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and transmits necessary first data to the charging case 200. Here, the first data may be current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earphone 100, such as the remaining power of the storage battery provided in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제1 접속부(160)는 무선 이어폰(100)을 충전 케이스(20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접속부(160)는 도 2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제1 충전용 단자(161), 제1 그라운드 단자(162), 제1 데이터용 단자(163) 및 제1 감지용 단자(164)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less earphone 100 to the charging case 200. As illustrated in the excerpt of FIG. 2,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includes a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 first ground terminal 162, a first data terminal 163, and a first sensing terminal 164. It includes.

제1 충전용 단자(161)는 충전 케이스(200)로부터 오는 전원으로 제1 전원부(140)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is provided to allow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to be charged with power coming from the charging case 200.

제1 그라운드 단자(162)는 제1 충전용 단자(161)와 쌍을 이루며, 제1 전원부(140)의 충전을 위해 마련된다.The first ground terminal 162 is paired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is provided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제1 데이터용 단자(163)는 제1 제어부(150)가 충전 케이스(200)에 있는 제2 제어부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되며, 더불어 충전 케이스(200)로부터 오는 제2 데이터의 수신 통로로서도 기능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데이터용 단자(163)가 제1 제어부(150)에서 충전 케이스(200)로 보내는 제1 데이터의 이동 통로로서의 기능과 충전 케이스(200)에서 제1 제어부(150)로 오는 제2 데이터의 이동 통로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진다. 여기서 제2 데이터는 충전 케이스(200)에서 무선 이어폰(100)으로 보내는 정보로서, 충전 케이스(200)에 구비된 축전지의 현재 충전 상태, 무선 이어폰(200)에 대한 작동 모드 선택 명령, 펌웨어, 사용자에 의해 충전 케이스(20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조작 명령 등일 수 있다.The first data terminal 163 is provided for the first control unit 150 to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in the charging case 200, and also receives the second data from the charging case 200. It also functions as a passag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ata terminal 163 functions as a movement path of the first data sent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50 to the charging case 200 and from the charging case 200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It has a function as a moving path for the second data to come. Here, the second data is information sent from the charging case 200 to the wireless earphone 100, the current charging state of the storage battery provided in the charging case 200, an operation mode selection command for the wireless earphone 200, firmware, and a user By this, it may be various manipulation commands input through the charging case 200.

제1 감지용 단자(164)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었음을 충전 케이스(20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first sensing terminal 164 is provided to enable the charging case 200 to detect that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200.

충전 케이스(200)는 장착된 무선 이어폰(100)을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충전 케이스(200)는 제2 전원부(240), 제3 전원부(242), 제2 제어부(250), 제2 접속부(260) 및 장착 감지부(270)를 포함한다.The charging case 200 is provided to charge the mounted wireless earphone 100. The charging case 200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 third power supply unit 242, a second control unit 250, a second connection unit 260, and a mounting detection unit 270.

제2 전원부(240)는 제1 전원부(140)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2 전원부(240)는 대용량 축전지를 가지고 있어서 전원을 제1 전원부(140)로 직접 공급할 수 있지만, 제3 전원부(242)를 통한 외부의 전원을 제1 전원부(140)로 공급하는 전기 회로도 가지고 있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has a large-capacity battery, so that power can be directly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but an electrical circuit diagram for supplying external power through the third power supply unit 242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Have.

제3 전원부(242)는 외부의 전원을 이용해 제2 전원부(240)를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제3 전원부(242)는 외부의 교류 전원을 필요한 전압으로 낮추고 직류 전원으로 전환하여 제2 전원부(240)로 공급함으로써 제2 전원부(240)가 충전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제3 전원부(242)는 제2 전원부(240)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는 용도로 이용됨과 아울러 외부기기와 제2 제어부(250) 간의 통신 용도로 이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50)가 제3 전원부(242)에 접속된 외부기기(컴퓨터 등)로부터 펌웨어를 받아서 해당 펌웨어를 제2 접속부(260)를 통해 무선 이어폰(100)으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이어폰(100)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third power supply unit 242 is provided to charg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using an external power supply. That is, the third power supply unit 242 lowers the external AC power to a required voltage and converts it into a DC power supply and supplies it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so that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can be charged. In this way, the third power supply unit 242 may be implemented to be used to apply DC power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nd to b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firmware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supply unit 242, and transmits the firmware to the wireless earphone 10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thereby wireless earphones It may be implemented to update the firmware of (100).

제2 제어부(250)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면 제2 전원부(240)의 전원이 제2 접속부(260)를 통해 무선 이어폰(100) 측의 제1 전원부(140)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1 전원부(140)가 충전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전원부(240)는 제1 제어부(150)로 필요한 제2 데이터를 전송하기도 한다.When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20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on the wireless earphone 100 side. )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140 can be charged.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may transmit necessary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제2 접속부(260)는 제1 접속부(160)에 대응되어서 제1 접속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를 위해 도 2의 발췌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 접속부(260)는 제2 충전용 단자(261), 제2 그라운드 단자(262), 제2 데이터용 단자(263) 및 제2 감지용 단자(264)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60 corresponds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0. To this end, as referred to in the excerpt of FIG. 2,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includes a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 second ground terminal 262, a second data terminal 263, and a second sensing Terminal 264.

제2 충전용 단자(261)는 제1 충전용 단자(161)와 대응되며, 제1 전원부(140)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corresponds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is provided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제2 그라운드 단자(262)는 제1 그라운드 단자(162)와 대응되며, 충전을 위한 단자로서 제2 충전용 단자(261)와 쌍을 이룬다.The second ground terminal 262 corresponds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162 and is paired with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s a terminal for charging.

제2 데이터용 단자(263)는 제1 데이터용 단자(163)와 대응되며, 제2 제어부(250)가 제1 제어부(150)로부터 오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제2 제어부(250)가 제1 제어부(150)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즉, 제2 데이터용 단자(263)는 제1 데이터용 단자(163)와 함께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The second data terminal 263 corresponds to the first data terminal 163,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first data coming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50, or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he second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That is, the second data terminal 263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data terminal 163.

제2 감지용 단자(264)는 제1 감지용 단자(164)와 대응됨으로써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호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된다.The second sensing terminal 264 is interconnected or disconn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200 b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164.

장착 감지부(270)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됨으로써 제1 감지용 단자(164)와 제2 감지용 단자(264)가 접속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2 제어부(250)로 보고함으로써 제2 제어부(250)가 무선 이어폰(100)의 충전에 필요한 제어 동작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착 감지부(270)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로부터 탈거됨으로써 제1 감지용 단자(164)와 제2 감지용 단자(264)의 접속이 해제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2 제어부(250)로 보고함으로써 제2 제어부(250)가 충전 작동 모드에서 휴지 모드나 자체 충전 모드 등으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 장착 감지부(270)는 무선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감지용 단자(161)와 제2 감지용 단자(261)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장착 감지부(270)는 무선 이어폰(100) 측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무선 이어폰(100) 측에서 충전 케이스(200)로 충전 작동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려 보내도록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The mounting detection unit 270 detects this when the first earphone terminal 164 and the second detector terminal 264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earphone 100 by being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200, thereby detecting the second earphone 250 ) To allow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o start a control operation required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 100.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ensing terminal 164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64 is released because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removed from the charging case 200,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70 detects the wireless earphone 100 and detects it. 2 By reporting to the control unit 25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can be switched from the charging operation mode to the idle mode or self-charging mode.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70 may be configured with a wireless proximity sensor, etc.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terminal 161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61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70 may be configured on the wireless earphone 100 side, in this case, the wireless earphone 100 side should be implemented to send a command to start the charging operation to the charging case 200 .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의 특징적인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characteristic opera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EC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어서 제1 접속부(160)와 제2 접속부(260)가 연결되면, 제1 감지용 단자(164)와 제2 감지용 단자(264)의 접속에 따라 장착 감지부(270)가 이를 제2 제어부(250)로 보고한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250)는 휴지 모드에서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고, 더불어 제1 제어부(150)로 휴지 모드에서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할 것을 명령한다. 또한, 제2 제어부(250)는 제1 제어부(150)로 자신의 현재 정보(제2 전원부의 충전 상태 등)나 무선 이어폰(100)의 현재 상태(제1 전원부의 충전 상태 등)를 요구하는 명령과 같은 제2 데이터를 설정된 정책에 따라 주기적이거나 특정 시점마다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제어부(150)로부터 무선 이어폰(100)의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제1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1 데이터에 기반하는 적절한 충전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250) 간의 데이터 교환은 모두 상호 접속된 제1 데이터용 단자(164)와 제2 데이터용 단자(264)를 통로로 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250)가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의 전송시간과 수신시간을 분리하여 작동할 필요가 있다. 즉,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250)는 제1 데이터용 단자(164)와 제2 데이터용 단자(264)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제어 작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일 예로는 제2 제어부(250)에서 제1 제어부(150)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면, 제1 제어부(150)가 수신이 완료된 제2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으로 제1 데이터를 제2 제어부(250)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로는 제1 제어부(150)에서 제2 제어부(250)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면, 제2 제어부(250)가 수신이 완료된 제1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으로 제2 데이터를 제1 제어부(150)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것이다.When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20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etection terminal 164 and the second detection terminal 264 is performed. Accordingly, the mounting detection unit 270 reports 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unit 250 instructs to switch from the idle mode to the charging operation mode, and also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to switch from the idle mode to the charging operation mode.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quests the first control unit 150 for its current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or the current state of the wireless earphone 100 (such as the charging state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The second data such as the command is sent periodically or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policy. Accordingly, when the first data regar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receiv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 appropriate charging operation based on the first data is performed. Of course, the data exchange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data terminal 164 and the second data terminal 264 that are interconnec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need to operate by separate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im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at is,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perform a control operation so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made through the first data terminal 164 and the second data terminal 264 is performed at a time difference. It needs to be don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the first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first data as the feedback for the second data that has been received. 250). In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50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second data as the feedback for the first data that has been received. 150).

참고로, 도 3은 도 2의 제1 접속부(160)와 제2 접속부(260)가 구현된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에 대한 실제 제품도로서,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200) 간에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면서도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가 통합됨으로써 각각 4개의 접속 단자(161 내지 164 / 261 내지 264)만이 구비되어짐을 보여주고 있다.For reference, FIG. 3 is an actual product diagram of a wireless earphone and a charging case set (ECS)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of FIG. 2 are implemented, and the wireless earphone 100 and the charging case ( It is shown that only four connection terminals 161 to 164/261 to 264 are provided as data exchange is possible whi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s are integrated.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에 대한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earphone and a charging case set (EC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같이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는 한 쌍의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ECS) includes a pair of wireless earphones 100 and a charging case 200.

한 쌍의 무선 이어폰(100)은 상호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무선 통신부(110), 음향 처리부(120), 스피커(130), 제1 전원부(140), 제1 제어부(150), 제1 접속부(160)를 구비한다.The pair of wireless earphones 10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each othe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the speaker 130,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 160).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오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처리부(120)로 보낸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sound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and sends it to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음향 처리부(120)는 무선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30)로 보낸다.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processe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sends it to the speaker 130.

스피커(130)는 음향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음향신호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킨다.The speaker 130 generates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processed by the sound processing unit 120.

제1 전원부(140)는 제반 구성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제1 제어부(150)는 제반 구성을 제어하며, 충전 케이스(200)로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제어부(150)는 데이터 교환 모드와 충전 작동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교환 모드는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200)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모드이고, 충전 작동 모드는 무선 이어폰(100)에 대한 충전 모드이다.The first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transmits necessary first data to the charging case 200. The first control unit 150 in this embodiment may have a data exchange mode and a charging operation mode. Here, the data exchange mode is a mode for exchanging data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100 and the charging case 200, and the charging operation mode is a charging mode for the wireless earphone 100.

제1 접속부(160)는 무선 이어폰(100)을 충전 케이스(20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접속부(160)는 도 5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제1 충전용 단자(161), 제1 그라운드 단자(162) 및 제1 감지용 단자(164)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속부(160)에 제1 데이터용 단자가 구비되지 않으며, 그 대신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20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충전용 단자(161)가 활용된다.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is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less earphone 100 to the charging case 200. The first connection part 160 includes a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 first ground terminal 162, and a first sensing terminal 164 as in the excerpt of FIG. 5.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is not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the first data, instead, the charging terminal 161 is used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100 and the charging case 200. .

제1 충전용 단자(161)는 충전 작동 모드에서 충전 케이스(200)로부터 오는 전원으로 제1 전원부(140)가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데이터 교환 모드에서는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 간의 데이터 교환용으로 활용된다.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can be charged with power coming from the charging case 200 in the charging operation mode. In the data exchange mode, data between the wireless earphone 100 and the charging case is provided. It is used for exchange.

제1 그라운드 단자(162)는 제1 충전용 단자(161)와 쌍을 이루며, 제1 전원부(140)의 충전을 위해 마련된다.The first ground terminal 162 is paired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is provided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제1 감지용 단자(164)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었음을 충전 케이스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first sensing terminal 164 is provided to enable the charging case to detect that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200.

충전 케이스(200)는 장착된 무선 이어폰(100)을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충전 케이스(200)는 제2 전원부(240), 제3 전원부(242), 제2 제어부(250), 제2 접속부(260) 및 장착 감지부(270)를 포함한다.The charging case 200 is provided to charge the mounted wireless earphone 100. The charging case 200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a third power supply unit 242, a second control unit 250, a second connection unit 260, and a mounting detection unit 270.

제2 전원부(240)는 제1 전원부(140)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제3 전원부(242)는 외부의 전원을 이용해 제2 전원부(240)를 충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The third power supply unit 242 is provided to charge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using an external power supply.

제2 제어부(250)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면 제1 전원부(140)의 충전에 앞서서 그 전에 데이터 교환 모드로 작동을 제어하여 제2 데이터를 제1 제어부(150)로 보내고, 제1 제어부(150)로부터 오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한 후, 충전 전환 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명령을 제1 제어부(150)로 보내고, 더불어 자신도 충전 전환 모드로 전환하면서 제1 데이터에 기반한 충전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제1 전원부(150)를 충전시킨다.When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20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in the data exchange mode prior to charging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to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 and after receiving the first data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50, sends a command requesting to switch to the charge switching mode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als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50 is charged by performing a charging operation based on 1 data.

제2 접속부(260)는 제1 접속부(160)에 대응되어서 제1 접속부(160)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를 위해 도 5의 발췌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 접속부(260)는 제2 충전용 단자(261), 제2 그라운드 단자(262) 및 제2 감지용 단자(264)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60 corresponds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0. To this end, as referred to in the excerpt of FIG. 5,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includes a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 second ground terminal 262 and a second sensing terminal 264.

제2 충전용 단자(261)는 제1 충전용 단자(161)와 대응된다. 따라서 제2 충전용 단자(261)와 제1 충전용 단자(161)가 접속하면, 데이터 교환 모드이지 충전 작동 모드인지에 따라서 제1 충전용 단자(161)와 제2 충전용 단자(261)가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250) 간의 데이터 교환 통로로 기능하거나 충전 통로로 기능하게 된다.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corresponds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ccordingly, whe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re connecte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re connected according to whether the data exchange mode is the charging operation mode. It functions as a data exchange path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or functions as a charging path.

제2 그라운드 단자(262)는 제1 그라운드 단자(162)와 대응된다.The second ground terminal 262 corresponds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162.

제2 감지용 단자(264)는 제1 감지용 단자(164)와 대응됨으로써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호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된다.The second sensing terminal 264 is interconnected or disconn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200 by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ing terminal 164.

장착 감지부(270)는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 후 이를 제2 제어부(250)로 보고한다.The mounting detection unit 270 detects whether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200 and reports 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의 특징적인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characteristic opera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ase set (EC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무선 이어폰(100)이 충전 케이스(200)에 장착되어서 제1 접속부(160)와 제2 접속부(260)가 연결되면 제1 감지용 단자(164)와 제2 감지용 단자(264)가 상호 접속하게 되고, 이를 장착 감지부(270)가 제2 제어부(250)로 보고한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250)는 휴지 모드에서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기에 앞서서 데이터 교환 모드로 전환된다. 이렇게 데이터 교환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2 제어부(250)는 제1 제어부(150)로 제2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1 제어부(150)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1 데이터를 제2 제어부(250)로 보낸다. 이 때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교환은 제1 충전용 단자(161)와 제2 충전용 단자(261)를 통로로 해서 이루어진다. 그래서 제2 제어부(250)가 제1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면, 제2 제어부(250)가 제1 제어부(150)로 충전 작동 모르로 전환할 것을 명령하고, 그와 더불어 자신도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여 제1 충전용 단자(161)와 제2 충전용 단자(261)를 통해 제2 전원부(240)의 전원을 제1 전원부(140)로 보냄으로써 제1 전원부(140)가 충전될 수 있게 한다.When the wireless earphon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20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are connected, the first sensing terminal 164 and the second sensing terminal 264 are mutually connected. The installation detection unit 270 reports 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 unit 250 is switched to the data exchange mode before switching from the idle mode to the charging operation mode. In the state of being switched to the data exchange mode,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second data and then receives the first data. Send to the control unit 250. At this time, the data exchange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s passages. So,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250 completes the reception of the first data, the second control unit 250 commands the first control unit 150 to switch to the charging operation mode, and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50 also enters the charging operation mod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can be charged by switching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40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do.

본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교환 모드 시 제1 충전용 단자(161)와 제2 충전용 단자(261)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물론, 시간차를 두고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을 하는 방식은 앞선 제1 실시예에서 든 2가지 예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data exchange mod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made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161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61 are controlled with a time difference. Of course, in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time difference, the two examples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충전 작동 모드의 도중에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로 충전 작동을 정지시키고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교환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제1 제어부(150)와 제2 제어부(250) 간에 필요한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진 후 다시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제1 전원부(140)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fter the charging operation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in the middle of the charging operation mode and the data exchange mode is switch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necessary data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15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50 It may be preferably considered to be implemented to control charging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40 in a manner of switching back to the charging operation mode.

참고로, 도 6은 도 5의 제1 접속부(160)와 제2 접속부(260)가 구현된 무선 이어폰과 충전 케이스 세트(ECS)에 대한 실제 제품도로서, 무선 이어폰(100)과 충전 케이스(200) 간에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면서도 충전 통로와 데이터 송수신 통로가 모두 통합됨으로써 각각 3개의 접속 단자(161, 162 및 164 / 261, 262 및 264)만이 구비되어짐을 보여주고 있다.For reference, FIG. 6 is an actual product diagram of a wireless earphone and a charging case set (ECS)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unit 16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260 of FIG. 5 are implemented, and the wireless earphone 100 and the charging case ( It is shown that only three connection terminals 161, 162, and 164/261, 262, and 264 are provided, respectively, by exchanging data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hile allowing data exchange between 2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들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describ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100: 무선 이어폰
110 : 무선 통신부
120 : 음향 처리부
130 : 스피커
140 : 제1 전원부
150 : 제1 제어부
160 : 제1 접속부
161 : 제1 충전용 단자 162 : 제1 그라운드 단자
163 : 제1 데이터용 단자 164 : 제1 감지용 단자
200 : 충전 케이스
240 : 제2 전원부
242 : 제3 전원부
250 : 제2 제어부
260 : 제2 접속부
261 : 제2 충전용 단자 262 : 제2 그라운드 단자
263 : 제2 데이터용 단자 264 : 제2 감지용 단자
100: wireless earphone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sound processing unit
130: speaker
140: first power supply
150: first control unit
160: first connection
161: first charging terminal 162: first ground terminal
163: Terminal for first data 164: Terminal for first detection
200: charging case
240: second power supply
242: third power supply
250: second control unit
260: second connection
261: 2nd charging terminal 262: 2nd ground terminal
263: Terminal for second data 264: Terminal for second detection

Claims (9)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로부터 오는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재생하여 출력시키는 무선 이어폰;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이어폰은,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향신호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및 스피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충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전원부;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스피커 및 제1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 케이스로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케이스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스는,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상기 제1 접속부에 대응되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제2 접속부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제어부로 필요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충전 케이스로부터 오는 전원으로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충전용 단자;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제1 데이터용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전원부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충전용 단자;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제1 데이터용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2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제2 데이터용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의 전송시간과 수신시간을 분리하여 상기 제1 데이터용 단자와 상기 제2 데이터용 단자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A wireless earphon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reproduces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s sound; And
A charging case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wireless earphon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 audio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processed by the sound processing unit;
A first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and the speaker, and is provided to be rechargeable;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the speaker,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ts necessary first data to the charging case;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case; Including,
The charging case,
A second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wireless earphone sid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can be charged, and the second requir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 seco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data;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first charging terminal provided to charg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with power coming from the charging case;
A first ground terminal paired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A first data terminal that enables the first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or to receive the second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second charg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paired with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nd
A second data terminal that corresponds to the terminal for the first data and enables the second control unit to receive the first data or the second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It includes,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separate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so tha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first data terminal and the second data terminal have a time difference. Controlled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second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is completed.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first data from the first control unit is completed.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로부터 오는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재생하여 출력시키는 무선 이어폰;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이어폰은,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한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음향 처리부;
상기 음향 처리부에서 처리된 음향신호에 따른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및 스피커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하며, 충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전원부;
상기 무선 통신부, 음향 처리부, 스피커 및 제1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 케이스로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충전 케이스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마련되는 제1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케이스는,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상기 제1 접속부에 대응되어서 상기 제1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부;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전원부의 전원이 상기 제2 접속부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제어부로 필요한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알리는 장착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충전 케이스로부터 오는 전원으로 상기 제1 전원부가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충전용 단자; 및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전원부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충전용 단자; 및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충전용 단자와 쌍을 이루는 제2 그라운드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가 상기 무선 이어폰이 상기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었다고 알려오면,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기 전에 데이터 교환 모드로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상기 제2 충전용 단자를 통해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게 한 후,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상기 제2 충전용 단자를 통해 상기 제1 전원부를 충전시키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A wireless earphon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and reproduces and outputs an acoustic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s sound; And
A charging case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wireless earphon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 audio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peaker generating sound according to the sound signal processed by the sound processing unit;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and the speaker, and being provided to be charged;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processing unit, the speaker, and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transmits necessary first data to the charging case;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case; Including,
The charging case,
A second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When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the power of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is supplied to the wireless earphone side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so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can be charged, and the second required by the first control unit A seco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data; And
A mounting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on the charging case and notifying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first charging terminal provided to charge the first power supply unit with power coming from the charging case; And
A first ground terminal paired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 second charg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first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paired with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ncluding,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in the data exchange mode before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unit when the mounting detection unit notifies the wireless earphone that the wireless earphone is mounted in the charging case, thereby charging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After data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through a terminal, the device is switched to a charging operation mode to charge the first power unit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교환 모드 시간 동안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 데이터의 전송시간과 수신시간을 분리하여 상기 제1 충전용 단자와 상기 제2 충전용 단자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과 수신이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 time of the first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to the second control unit and the second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to the first control unit during the data exchange mode time Controls such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s performed at a time difference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by separating and receiving time.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second data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is completed.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에서 상기 제2 제어부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부로부터 오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제어부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second data to the first control unit after the reception of the first data from the first control unit is completed.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충전 작동 모드의 도중에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로 충전 작동을 정지시키고 데이터 교환 모드로 전환한 후 다시 충전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전원부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무선 이어폰 및 충전 케이스 세트.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control unit controls charging of the first power supply unit by stopping charging operation at a set time or period during the charging operation mode, switching to a data exchange mode, and switching to a charging operation mode again.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KR1020190069324A 2019-06-12 2019-06-12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Active KR102121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24A KR102121185B1 (en) 2019-06-12 2019-06-12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324A KR102121185B1 (en) 2019-06-12 2019-06-12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185B1 true KR102121185B1 (en) 2020-06-12

Family

ID=7108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324A Active KR102121185B1 (en) 2019-06-12 2019-06-12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8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8645A (en) * 2021-02-09 2021-05-25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charging box and readable storage medium of charging box
CN112865249A (en) * 2021-02-09 2021-05-28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Charging method and device of wireless earphone, charging box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922433A (en) * 2020-07-10 2022-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WO2022080684A1 (en)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36212B1 (en) 2021-12-13 2022-08-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owering a Wireless Earphone by a Thermoelectric Generator
US20220320879A1 (en) * 2020-06-18 2022-10-06 Bose Corporation Earpiece Charging Case Detection
US12228644B2 (en) 2021-11-16 2025-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nsing wear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79A (en) * 2015-02-25 2016-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20190025495A (en) * 2017-09-01 2019-03-11 크레신 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KR101960680B1 (en) 2018-11-27 2019-03-21 박태수 Earphone charging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779A (en) * 2015-02-25 2016-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20190025495A (en) * 2017-09-01 2019-03-11 크레신 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KR101960680B1 (en) 2018-11-27 2019-03-21 박태수 Earphone charging cas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0879A1 (en) * 2020-06-18 2022-10-06 Bose Corporation Earpiece Charging Case Detection
US11791643B2 (en) * 2020-06-18 2023-10-17 Bose Corporation Earpiece charging case detection
CN113922433A (en) * 2020-07-10 2022-01-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N113922433B (en) * 2020-07-10 2024-0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WO2022080684A1 (en) * 2020-10-12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therefor
CN112838645A (en) * 2021-02-09 2021-05-25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charging box and readable storage medium of charging box
CN112865249A (en) * 2021-02-09 2021-05-28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Charging method and device of wireless earphone, charging box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865249B (en) * 2021-02-09 2023-10-20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Charging method and device of wireless earphone, charging box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838645B (en) * 2021-02-09 2023-11-10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box, charging box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2228644B2 (en) 2021-11-16 2025-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nsing wear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pplied the same
KR102436212B1 (en) 2021-12-13 2022-08-2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owering a Wireless Earphone by a Thermoelectric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185B1 (en)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set
US10735845B2 (en)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US10506324B2 (en) Wireless headset carrying case with digital audio output port
CN106937197B (en) Double-ear wireless earphon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10080075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10104463B2 (en)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2014196B1 (en)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case
EP33892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headset with convenient charging
JP5895403B2 (en) Charg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et
KR20190078949A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 pie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50215695A1 (en) Loudspeaker enclosure system having detachable wireless headphon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291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ed battery charging and loading in a stereo headset
US20190327551A1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KR102197905B1 (en) Charge cradle of the wireless earbud including the dongle function
EP313383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ctive noise cancelling earphone
CN115708361A (en) Wireless earphone, earphone box and wireless earphone system
KR101914539B1 (en) Earphon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KR101556863B1 (en) Cell phone case include bluetooth speaker and charging battery
CN212909978U (en) Earphone wearing detection structure and supra-aural earphone
KR20170011549A (en) Wireless earset
CN212013028U (en) TWS earphone independent power supply circuit and charging box
KR102251322B1 (en) Earphone apparatus and earphone system having the same
KR20200144869A (en) Remote controller having charging function
KR101561782B1 (en) Separated type docking speaker
CN217283324U (en) Bluetooth headset circuit and TWS bluetooth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