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9959B1 -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959B1
KR102119959B1 KR1020180115157A KR20180115157A KR102119959B1 KR 102119959 B1 KR102119959 B1 KR 102119959B1 KR 1020180115157 A KR1020180115157 A KR 1020180115157A KR 20180115157 A KR20180115157 A KR 20180115157A KR 102119959 B1 KR102119959 B1 KR 10211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excluding
hardness
steel
impact tough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708A (ko
Inventor
유승호
정영진
조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1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959B1/ko
Priority to CN201980063013.4A priority patent/CN112752861B/zh
Priority to JP2021516742A priority patent/JP7240486B2/ja
Priority to EP19866287.6A priority patent/EP3859040A4/en
Priority to PCT/KR2019/012322 priority patent/WO2020067685A1/ko
Publication of KR2020003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9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21D1/25Hardening, combined with annealing between 300 degrees Celsius and 600 degrees Celsius, i.e. heat refining ("Vergü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경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기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고경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38~0.50%, 실리콘(Si): 0.5~2.0%, 망간(Mn): 0.6~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5%, 몰리브덴(Mo): 0.01~0.8%, 바나듐(V): 0.01~0.08%,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2% 이하(0은 제외)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니켈(Ni): 0.5% 이하(0은 제외),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85~98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1~10%의 베이나이트 및 1~1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WEAR RESISTANT STEEL HAVING EXCELLENT HARDNESS AND IMPACT T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경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기계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고경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토목, 광산업, 시멘트 산업 등 많은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건설기계, 산업기계들의 경우 작업시 마찰에 의한 마모가 심하게 발생됨에 따라 내마모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의 적용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후강판의 내마모성과 경도는 서로 상관이 있어, 마모가 염려되는 후강판에서는 경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보다 안정적인 내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후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 내부(t/2 근방, t = 두께)에 걸쳐 균일한 경도를 갖는 것(즉, 후강판의 표면과 내부에서 동일한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 후강판에서 고경도를 얻기 위해 압연 후 Ac3 이상의 온도로 재가열 후 소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에서는 C 함량을 높이고, Cr와 Mo 등의 경화능 향상원소를 다량 첨가함으로써 표면경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극후물 강판의 제조를 위해서는 강판의 중심부에 경화능의 확보를 위하여 더 많은 경화능 원소의 첨가가 요구되며, C와 경화능 합금을 다량으로 첨가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용접성 및 저온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화능의 확보를 위해 경화능 합금 첨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고경도의 확보로 내마모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강도 및 고충격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86-16695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내마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고강도 및 고충격인성을 갖는 고경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38~0.50%, 실리콘(Si): 0.5~2.0%, 망간(Mn): 0.6~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5%, 몰리브덴(Mo): 0.01~0.8%, 바나듐(V): 0.01~0.08%,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2% 이하(0은 제외)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니켈(Ni): 0.5% 이하(0은 제외),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85~98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1~10%의 베이나이트 및 1~1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중량%로, 탄소(C): 0.38~0.50%, 실리콘(Si): 0.5~2.0%, 망간(Mn): 0.6~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5%, 몰리브덴(Mo): 0.01~0.8%, 바나듐(V): 0.01~0.08%,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2% 이하(0은 제외)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니켈(Ni): 0.5% 이하(0은 제외),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여 조압연 바를 얻는 단계; 상기 조압연 바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Ac3+30℃ 이상의 온도에서 Ms-50℃ 이하까지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가속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두께 60mm 이하이면서 고경도 및 우수한 저온인성을 갖는 내마모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 설명되는 합금조성의 함량은 중량%이다.
탄소(C): 0.38~0.50%
탄소(C)는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는 강에서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경화능 향상을 위하여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0.38%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만일 그 함량이 0.5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 및 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의 함량을 0.38~0.5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함량의 하한은 0.3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4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 함량의 상한은 0.4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8%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4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리콘(Si): 0.5~2.0%
실리콘(Si)은 탈산과 고용강화에 따른 강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또한, 실리콘은 Ms(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온도) 이하로 과냉 후 일정 온도에서 열처리 시 시멘타이트(Fe3C) 형성을 억제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함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효과를 유효하기 얻기 위해서는 0.5%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이 열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i의 함량을 0.5~2.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 함량의 하한은 0.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Si 함량의 상한은 1.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망간(Mn): 0.6~1.6%
망간(Mn)은 페라이트 생성을 억제하고, Ar3 온도를 낮춤으로써 소입성을 효과적으로 상승시켜 강의 강도 및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물재의 경도 확보를 위해서는 상기 Mn을 0.6%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6%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n의 함량을 0.6~1.6%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n 함량의 하한은 0.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7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Mn 함량의 상한은 1.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4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인(P): 0.05% 이하(0은 제외)
인(P)은 강 중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원소이면서,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P의 함량을 가능한 한 낮추어서 0.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상기 P 함량은 0.0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15%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황(S): 0.02% 이하(0은 제외)
황(S)은 강 중 MnS 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S의 함량을 가능한 한 낮추어서 0.02%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수준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상기 S 함량은 0.0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3%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은 강의 탈산제로서 용강 중에 산소 함량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이러한 Al의 함량이 0.07%를 초과하게 되면 강의 청정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l의 함량을 0.07%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강공정시 부하, 제조비용의 상승 등을 고려하여 0%는 제외한다. 상기 Al 함량은 0.06%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4%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크롬(Cr): 0.1~1.5%
크롬(Cr)은 소입성을 증가시켜 강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경도 확보에도 유리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위해서는 0.1% 이상으로 Cr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5%를 초과하게 되면 슬라브를 만들기 위한 연주 작업 시 냉각 중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r의 함량을 0.1~1.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r 함량의 하한은 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r 함량의 상한은 1.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몰리브덴(Mo): 0.01~0.8%
몰리브덴(Mo)은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키며, 특히 후물재의 경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Mo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Mo 역시 고가의 원소로서 그 함량이 0.8%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용접성이 열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o의 함량을 0.01~0.8%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o 함량의 하한은 0.0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Mo 함량의 상한은 0.7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6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나듐(V): 0.01~0.08%
바나듐(V)은 열간압연 후 재가열시 VC 탄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고,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0.01%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만일 그 함량이 0.08%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V의 함량을 0.01~0.08%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 함량의 하한은 0.0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1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V 함량의 상한은 0.0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6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6%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보론(B)은 소량의 첨가로도 강의 소입성을 유효하게 상승시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에 유효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하면 오히려 강의 인성 및 용접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함량을 50ppm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함량의 하한은 2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ppm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5pp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B 함량의 상한은 40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ppm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0pp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코발트(Co): 0.02%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는 강의 소입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의 강도와 더불어 경도 확보에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0.02%를 초과하게 되면 강의 소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고가의 원소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0.02% 이하로 Co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o 함량의 하한은 0.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2%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3%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o 함량의 상한은 0.0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1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상술한 합금조성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물성의 확보에 유리한 원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켈(Ni): 0.5% 이하(0은 제외),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니켈(Ni): 0.5% 이하(0은 제외)
니켈(Ni)은 일반적으로 강의 강도와 더불어 인성을 향상시키는데에 유효한 원소이다. 다만, 그 함량이 0.5%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Ni를 첨가하는 경우 0.5%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i 함량의 하한은 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Ni 함량의 상한은 0.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3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구리(Cu)는 강의 소입성을 향상시키며, 고용강화로 강의 강도 및 경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이러한 Cu의 함량이 0.5%를 초과하게 되면 표면결함을 발생시키며, 열간가공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Cu를 첨가하는 경우 0.5%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u 함량의 하한은 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u 함량의 상한은 0.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은 강의 소입성 향상에 유효한 원소인 B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원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Ti은 질소(N)와 결합하여 TiN 석출물을 형성시켜 BN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고용 B를 증가시켜 소입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Ti의 함량이 0.02%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TiN 석출물이 형성되어 강의 인성이 열위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Ti의 첨가시 0.02%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 함량의 하한은 0.00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5%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Ti 함량의 상한은 0.01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은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되어 오스테나이트의 경화능을 증대시키고, Nb(C,N) 등의 탄질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강도의 증가 및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데에 유효하다. 다만, 상기 Nb의 함량이 0.05%를 초과하게 되면 조대한 석출물이 형성되며, 이는 취성파괴의 기점이 되어 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Nb의 첨가시 0.05%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b 함량의 하한은 0.00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Nb 함량의 상한은 0.0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칼슘(Ca): 2~100ppm
칼슘(Ca)은 S과의 결합력이 좋아 CaS를 생성함으로써 강재 두께 중심부에 편석되는 MnS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Ca의 첨가로 생성된 CaS는 다습한 외부 환경 하에서 부식 저항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를 위해서는 2ppm 이상으로 상기 Ca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함량이 100ppm을 초과하게 되면 제강조업시 노즐 막힘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a의 첨가시 그 함량을 2~100ppm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a 함량의 하한은 2.5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ppm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5pp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a 함량의 상한은 70pp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ppm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0pp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상술한 합금원소 외에 부가적으로 비소(As): 0.05% 이하(0은 제외), 주석(Sn): 0.05% 이하(0은 제외) 및 텅스텐(W): 0.05% 이하(0은 제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s는 강의 인성 향상에 유효하며, 상기 Sn은 강의 강도 및 내식성 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W은 소입성을 증가시켜 강도 향상과 더불어 고온에서의 경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다. 다만, 상기 As, Sn 및 W의 함량이 각각 0.05%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강의 물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s, Sn 및 W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그 함량을 각각 0.0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s, Sn 및 W 함량의 하한은 각각 0.0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0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As, Sn 및 W 함량의 상한은 각각 0.0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0.0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 내마모강의 미세조직은 마르텐사이트를 기지조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85~98면적%의 마르텐사이트, 1~10%의 베이나이트 및 1~1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나이트는 페라이트에 비해서는 경한 상(hard phase)이지만, 마르텐사이트에 비해서는 연질 상(soft phase)이어서 기가급의 내마모강의 주 조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경우, Ac3 온도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열처리 하면서 상온까지 급속히 냉각할 때 미처 마르텐사이트로 상변태(phase transformatoin)되지 못하고 남은 것으로서 마르텐사이트에 비해 탄소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이 85% 미만이면 목표 수준의 강도 및 경도의 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9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르텐사이트는 마르텐사이트 상과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상을 포함하며, 이와 같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상을 포함하는 경우 강의 인성을 보다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마르텐사이트 분율의 하한은 8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7%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8%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마르텐사이트 분율의 상한은 9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6%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나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저온 충격인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나이트의 분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저온에서의 충격인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연하기 때문에 경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역시 저온 충격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인성은 크게 증가하나 경도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베이나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의 하한은 각각 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4%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나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 분율의 상한은 각각 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7%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표면 경도를 550~650HB로 확보하는 동시에, -40℃의 저온에서 47J 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단, 상기 HB는 브리넬경도기로 측정된 강의 표면 경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내마모강은 경도(HB)와 충격흡수에너지(J)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고경도 외 저온인성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면 경도만 높고 충격인성이 열위하여 관계식 1을 만족하지 아니하거나, 충격인성은 우수하나 표면 경도가 목표 값에 미치지 못하여 관계식 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최종 목표로 하는 고경도 및 저온인성 특성을 보증할 수 없게 된다.
[관계식 1] 0.61 ≤ HB÷J×(1-Vm÷100) ≤ 1.13 (단, 상기 HB는 브리넬경도기로 측정된 강의 표면 경도, J는 -40℃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 값, Vm은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분율을 나타냄.)
이하, 본 발명 내마모강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한다. 상기 슬라브 가열온도가 1050℃ 미만이면 Nb 등의 재고용이 충분하지 못하며, 반면 그 온도가 1250℃를 초과하게 되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불균일한 조직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1050~12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의 하한은 10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8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1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의 상한은 12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18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재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여 조압연 바를 얻는다. 상기 조압연시 그 온도가 950℃ 미만이면 압연 하중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약압하 됨으로써 슬라브 두께 방향 중심까지 변형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공극과 같은 결함이 제거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면, 그 온도가 1050℃를 초과하게 되면 압연과 동시에 재결정이 일어난 후 입자가 성장하게 되어 초기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지나치게 조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압연 온도는 950~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압연 온도의 하한은 9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7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8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조압연 온도의 상한은 10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0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조압연 바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다. 상기 마무리 열연압연 온도가 850℃ 미만이면 2상역 압연이 되어 미세조직 중에 페라이트가 생성될 우려가 있으며, 반면 그 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최종 조직의 입도가 조대하게 되어 저온인성이 열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온도는 850~9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온도의 하한은 8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7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88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온도의 상한은 94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4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93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열연강판을 Ac3+30℃ 이상의 온도에서 Ms-50℃ 이하까지 가속 냉각시킨다. 상기 Ac3는 오스테나이트 변태온도이며, Ms는 마르텐사이트의 변태가 시작되는 온도이다. 즉, 상기 가속 냉각은 열간압연 후 얻어지는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을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각개시온도가 Ac3+30℃ 미만일 경우 압연 후 재결정된 오스테나이트의 크기가 조대화되어 저온충격 인성이 열위해질 뿐만 아니라 공냉 페라이트가 생성됨에 따라 최종 미세조직의 분균질해지고 강도 및 경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속냉각개시 온도는 Ac3+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냉각개시 온도는 Ar3+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Ar3+8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Ar3+10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속냉각정지온도가 Ms-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변태를 위한 구동력이 부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마르텐사이트는 생성되지 않고 대신에 베이나이트 또는 애시큘러 페라이트와 같은 마르텐사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 상(soft phase)이 발달하게 되어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미세조직 분율을 확보하기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속냉각정지온도는 Ms-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냉각정지온도는 Ms-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Ms-10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Ms-15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 냉각시 냉각속도는 5℃/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냉각속도는 강판의 두께 1/4 위치(quarter)가 기준이다. 상기 냉각속도가 5℃/s 미만인 경우에는 가속냉각정지온도가 Ms-50℃ 이하로 낮다고 해도 상변태를 위한 구동력이 낮아지게 되어 연질상인 베이나이트 또는 애시큘러 페라이트 생성이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속냉각시 냉각속도는 5℃/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속냉각속도는 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5℃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설비 한계를 고려하여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을 필요에 따라 템퍼링과 같은 후속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는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을 350~600℃의 온도범위까지 승온한 후 1.3t+5분~1.3t+20분(t: 판 두께)간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템퍼링 온도가 350℃ 미만이면 템퍼드 마르텐사이트의 취화 현상이 발생하여 강의 강도 및 인성이 열위할 우려가 있다. 반면, 그 온도가 600℃를 초과하게 되면 재가열 및 냉각을 통해 높아진 마르텐사이트 내 전위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경도가 목표 값 대비 하락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템퍼링 시간이 1.3t+20분(t: 판 두께)을 초과하게 되면 역시 급속냉각 후 발생한 마르텐사이트 조직 내의 높은 전위 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경도가 급격히 하락하게 된다. 한편, 상기 템퍼링 시간은 1.3t+5분(t: 판 두께) 이상이 되어야 한다. 상기 템퍼링 시간이 1.3t+5분(t: 판 두께) 미만이 될 경우 강판의 폭과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열처리 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위치별 물성 편차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처리 후에는 공냉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템퍼링 온도의 하한은 36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7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8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템퍼링 온도의 상한은 5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6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55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템퍼링 시간의 하한은 1.3t+6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t+7분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3t+8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템퍼링의 상한은 1.3t+18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3t+16분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1.3t+15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정조건을 거친 본 발명의 열연강판은 60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후강판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0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 및 2의 합금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준비한 후, 상기 강 슬라브에 대하여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강 슬라브 가열-조압연-열간압연-가속냉각-(템퍼링)을 실시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강판에 대하여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뒤,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미세조직은 임의의 크기로 시편을 절단하여 경면을 제작한 후 나이탈 에칭액을 이용하여 부식시킨 다음 광학현미경과 전자주사현미경을 활용하여 강판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1/4t 위치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경도 및 인성은 각각 브리넬 경도 시험기(하중 3000kgf, 10mm 텅스텐 압입구) 및 샤르피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면 경도는 판 표면을 2mm 밀링 가공한 후 3회 측정한 것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샤르피 충격시험 결과는 1/4t 위치에서 시편을 채취한 후 -40℃에서 3회 측정한 것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구분 합금조성(중량%)
C Si Mn P S Al Cr Mo V B Co
비교강1 0.30 0.57 1.56 0.012 0.003 0.03 0.78 0.02 0.01 0.0012 -
비교강2 0.52 0.69 0.79 0.011 0.002 0.02 0.34 0.55 0.05 0.0003 0.01
비교강3 0.46 0.45 1.19 0.013 0.003 0.03 0.50 0.14 - 0.0020 -
발명강1 0.42 0.75 1.00 0.008 0.001 0.03 0.15 0.52 0.02 0.0015 0.01
발명강2 0.48 0.82 0.83 0.008 0.002 0.02 0.25 0.48 0.01 0.0021 0.01
발명강3 0.39 0.54 1.51 0.009 0.001 0.03 0.87 0.36 0.03 0.0018 0.01
발명강4 0.45 1.29 1.27 0.008 0.001 0.03 0.59 0.71 0.01 0.0017 0.01
구분 합금조성(중량%)
Ni Cu Ti Nb Ca As Sn W Ac3(℃) Ms(℃)
비교강1 1.12 0.02 0.008 0.035 - - - - 748 335
비교강2 0.56 0.16 0.013 0.017 - - 0.01 - 771 277
비교강3 0.06 0.21 0.015 0.026 0.001 - - 0.01 743 300
발명강1 0.31 0.02 0.012 0.008 0.001 - 0.01 - 775 320
발명강2 0.44 0.13 0.017 0.015 0.001 0.01 - 0.01 776 296
발명강3 0.12 0.05 0.015 0.023 0.001 - 0.01 - 761 313
발명강4 0.05 0.28 0.017 0.012 0.001 0.01 - 0.01 804 297
구분 강종No. 슬라브
가열
온도
(℃)
조압연
온도
(℃)
마무리
열간
압연
온도
냉각
개시
온도
(℃)
냉각
종료
온도
(℃)
냉각
속도
(℃/s)
템퍼링 온도
(℃)
템퍼링 시간
(분)
두께
(mm)
비교예1 비교강1 1161 1048 931 840 21 26 - - 30
비교예2 1153 1050 943 842 26 25 402 54 30
비교예3 1165 1023 950 881 256 14 - - 50
비교예4 비교강2 1163 1045 913 768 35 51 465 23 10
비교예5 1162 1021 941 883 72 17 - - 40
비교예6 1170 1030 950 887 43 12 396 81 50
비교예7 비교강3 1157 1049 922 824 354 34 - - 20
비교예8 1162 1038 941 875 41 15 - - 45
비교예9 1154 1019 954 889 18 8 202 98 60
발명예1 발명강1 1162 1031 918 811 215 48 413 36 20
비교예10 1163 1039 945 856 81 19 - - 40
발명예2 1151 1042 939 874 225 8 393 88 60
비교예11 발명강2 1162 1045 845 766 276 17 - - 25
발명예3 1163 1042 941 870 191 22 430 61 40
발명예4 1166 1041 946 886 127 16 461 75 50
발명예5 발명강3 1160 1040 930 840 123 35 - - 20
발명예6 1156 1043 943 861 130 28 - - 30
비교예12 1160 1044 942 892 20 4 580 107 60
발명예7 발명강4 1167 1040 920 838 138 41 400 30 15
발명예8 1160 1043 943 855 146 30 - - 30
발명예9 1158 1044 942 872 153 17 - - 50
구분 미세조직(면적%) 표면경도
(HB)
충격인성
(J, @-40℃)
관계식 1
M+TM B RA
비교예1 99 1 - 548 12 0.46
비교예2 99 1 - 502 37 0.14
비교예3 81 14 5 523 59 1.68
비교예4 99 1 - 662 24 0.28
비교예5 99 1 - 716 6 1.19
비교예6 99 1 - 670 18 0.37
비교예7 62 35 3 406 87 1.77
비교예8 98 2 - 675 7 1.93
비교예9 99 1 - 641 16 0.4
발명예1 91 4 5 624 60 0.94
비교예10 79 21 - 526 63 1.75
발명예2 91 6 3 609 55 1.00
비교예11 67 33 - 518 64 2.67
발명예3 90 6 4 633 58 1.09
발명예4 93 4 3 617 62 0.7
발명예5 92 3 5 623 59 0.84
발명예6 91 5 4 612 58 0.95
비교예12 69 31 - 523 65 2.49
발명예7 92 6 2 598 53 0.90
발명예8 91 6 3 604 52 1.05
발명예9 93 3 4 581 56 0.73
M: 마르텐사이트, TM: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B: 베이나이트, RA: 잔류 오스테나이트
[관계식 1] HB÷J×(1-Vm÷100) (단, 상기 HB는 브리넬경도기로 측정된 강의 표면 경도, J는 -40℃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 값, Vm은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분율을 나타냄.)
상기 표 1 내지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9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을 만족하고, 우수한 표면경도와 충격인성을 확보함으로써 관계식 1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조조건은 만족하나, 본 발명의 합금조성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2, 3, 5, 6, 8은 본 발명의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을 만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표면경도, 충격인성 또는 관계식 1을 만족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4, 7, 9 또한 본 발명의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을 만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표면경도, 충격인성 또는 관계식 1을 만족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은 만족하나, 본 발명의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0, 11, 12는 본 발명의 미세조직 종류 및 분율을 만족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표면경도 또는 충격인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관계식 1을 만족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중량%로, 탄소(C): 0.38~0.50%, 실리콘(Si): 0.5~2.0%, 망간(Mn): 0.6~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5%, 몰리브덴(Mo): 0.01~0.8%, 바나듐(V): 0.01~0.08%,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2% 이하(0은 제외), 니켈(Ni): 0.45% 이하(0은 제외)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85~98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1~9%의 베이나이트 및 1~1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며,
    경도(HB)와 충격흡수에너지(J)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관계식 1] 0.61 ≤ HB÷J×(1-Vm÷100) ≤ 1.13 (단, 상기 HB는 브리넬경도기로 측정된 강의 표면 경도, J는 -40℃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 값, Vm은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분율을 나타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강은 비소(As): 0.05% 이하(0은 제외), 주석(Sn): 0.05% 이하(0은 제외) 및 텅스텐(W): 0.05% 이하(0은 제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강은 경도가 550~650HB이고, -40℃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가 47J 이상인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단, 상기 HB는 브리넬경도기로 측정된 강의 표면 경도를 나타냄.)
  4. 삭제
  5. 중량%로, 탄소(C): 0.38~0.50%, 실리콘(Si): 0.5~2.0%, 망간(Mn): 0.6~1.6%, 인(P): 0.05% 이하(0은 제외), 황(S): 0.02% 이하(0은 제외), 알루미늄(Al): 0.07% 이하(0은 제외), 크롬(Cr): 0.1~1.5%, 몰리브덴(Mo): 0.01~0.8%, 바나듐(V): 0.01~0.08%, 보론(B): 50ppm 이하(0은 제외), 코발트(Co): 0.02% 이하(0은 제외), 니켈(Ni): 0.45% 이하(0은 제외)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구리(Cu): 0.5% 이하(0은 제외), 티타늄(Ti): 0.02% 이하(0은 제외), 니오븀(Nb): 0.05% 이하(0은 제외) 및 칼슘(Ca): 2~100ppm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050~125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강 슬라브를 950~1050℃의 온도범위에서 조압연하여 조압연 바를 얻는 단계;
    상기 조압연 바를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열연강판을 Ac3+30℃ 이상의 온도에서 Ms-50℃ 이하까지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가속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미세조직이 85~98면적%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1~9%의 베이나이트 및 1~10%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며, 경도(HB)와 충격흡수에너지(J)는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내마모강을 얻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관계식 1] 0.61 ≤ HB÷J×(1-Vm÷100) ≤ 1.13 (단, 상기 HB는 브리넬경도기로 측정된 강의 표면 경도, J는 -40℃에서의 충격흡수에너지 값, Vm은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분율을 나타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비소(As): 0.05% 이하(0은 제외), 주석(Sn): 0.05% 이하(0은 제외) 및 텅스텐(W): 0.05% 이하(0은 제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속 냉각된 열연강판을 350~600℃의 온도범위까지 승온한 후 1.3t+5분~1.3t+20분(t: 판 두께)간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의 제조방법.
KR1020180115157A 2018-09-27 2018-09-27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11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57A KR102119959B1 (ko) 2018-09-27 2018-09-27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CN201980063013.4A CN112752861B (zh) 2018-09-27 2019-09-23 具有优异的硬度和冲击韧性的耐磨钢及其制造方法
JP2021516742A JP7240486B2 (ja) 2018-09-27 2019-09-23 優れた硬度と衝撃靭性を有する耐摩耗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9866287.6A EP3859040A4 (en) 2018-09-27 2019-09-23 WEAR RESISTANT STEEL WITH EXCELLENT HARDNESS AND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PCT/KR2019/012322 WO2020067685A1 (ko) 2018-09-27 2019-09-23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57A KR102119959B1 (ko) 2018-09-27 2018-09-27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08A KR20200035708A (ko) 2020-04-06
KR102119959B1 true KR102119959B1 (ko) 2020-06-05

Family

ID=6995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157A Active KR102119959B1 (ko) 2018-09-27 2018-09-27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59040A4 (ko)
JP (1) JP7240486B2 (ko)
KR (1) KR102119959B1 (ko)
CN (1) CN112752861B (ko)
WO (1) WO2020067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150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8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2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6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7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4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9B1 (ko) * 2020-12-18 2023-02-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235005B (zh) * 2021-05-12 2021-12-21 江西耐普矿机股份有限公司 一种半自磨机用铸造贝氏体钢、其制备方法及半自磨机铸造贝氏体钢衬板
CN113528974B (zh) * 2021-06-18 2022-06-21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防护用钢及其制备方法
TWI767815B (zh) * 2021-08-05 2022-06-1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耐磨鋼板及其製造方法
CN115725892B (zh) * 2021-08-25 2023-11-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布氏硬度550hb级耐磨钢及其生产方法
CN116024490A (zh) * 2021-10-25 2023-04-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中碳预硬化锯片钢及其制造方法
US20240425944A1 (en) * 2021-10-28 2024-12-26 Arcelormittal Hot rolled an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15927955B (zh) * 2022-11-04 2025-02-07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均质化大功率风电偏航轴承圈用钢、轴承圈及生产工艺
WO2024105428A1 (en) * 2022-11-14 2024-05-23 Arcelormittal High toughness press-hardened steel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024A (ja) 2000-10-06 2002-04-19 Nkk Corp 靭性および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耐摩耗鋼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6954A (ja) 1985-01-18 1986-07-28 Sumitomo Metal Ind Ltd 高靭性耐摩耗鋼
JPH0841535A (ja) * 1994-07-29 1996-02-13 Nippon Steel Corp 低温靱性に優れた高硬度耐摩耗鋼の製造方法
CN101353763A (zh) * 2007-07-23 2009-01-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硬度耐磨热轧带钢及其制造方法
CN101775543B (zh) * 2009-01-14 2011-07-2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Hb400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20071615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내마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2747282B (zh) * 2012-07-31 2015-04-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硬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2876969B (zh) * 2012-07-31 2015-03-0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2747280B (zh) * 2012-07-31 2014-10-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US20150232971A1 (en) * 2012-09-19 2015-08-20 Jfe Steel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excellent corrosive wear resistance
JP6235221B2 (ja) * 2013-03-28 2017-11-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および耐水素脆性を有する耐磨耗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146997B (zh) * 2013-03-28 2015-08-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3205634B (zh) * 2013-03-28 2016-06-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硬度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3205627B (zh) * 2013-03-28 2015-08-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性能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SI2789699T1 (sl) * 2013-08-30 2017-06-30 Rautaruukki Oyj Utrjeni vroče valjani jekleni proizvod in metoda za proizvodnjo le-tega
JP6540764B2 (ja) * 2016-09-16 2019-07-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83375B2 (ja) * 2016-09-28 2019-10-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摩耗鋼板および耐摩耗鋼板の製造方法
KR101899686B1 (ko) * 2016-12-22 2018-10-04 주식회사 포스코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JP6607210B2 (ja) * 2017-02-03 2019-11-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摩耗鋼板および耐摩耗鋼板の製造方法
CN108004469B (zh) * 2017-12-08 2020-07-03 北京科技大学 一种低合金高韧性q-p-t耐磨钢板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024A (ja) 2000-10-06 2002-04-19 Nkk Corp 靭性および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耐摩耗鋼材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52861A (zh) 2021-05-04
EP3859040A4 (en) 2021-10-27
CN112752861B (zh) 2022-05-10
JP2022502569A (ja) 2022-01-11
WO2020067685A1 (ko) 2020-04-02
EP3859040A1 (en) 2021-08-04
KR20200035708A (ko) 2020-04-06
JP7240486B2 (ja)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959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CN110100034B (zh) 高硬度耐磨钢以及制造该高硬度耐磨钢的方法
KR102031446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567B1 (ko) 용접성이 우수한 고망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432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5570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687B1 (ko) 고경도 내마모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1443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646B1 (ko)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내마모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14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50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7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9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2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41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경도 방탄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8555B1 (ko) 절단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내마모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98230A (ko) 심부경도가 우수한 고경도 내마모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7959A (ko) 내마모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