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9535B1 -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535B1
KR102119535B1 KR1020170008355A KR20170008355A KR102119535B1 KR 102119535 B1 KR102119535 B1 KR 102119535B1 KR 1020170008355 A KR1020170008355 A KR 1020170008355A KR 20170008355 A KR20170008355 A KR 20170008355A KR 102119535 B1 KR102119535 B1 KR 102119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129A (ko
Inventor
박종필
고요한
정근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0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35B1/ko
Priority to PCT/KR2017/015179 priority patent/WO2018135764A1/ko
Priority to PL17892214T priority patent/PL3486967T3/pl
Priority to US16/321,721 priority patent/US11303001B2/en
Priority to CN201790001078.2U priority patent/CN209515763U/zh
Priority to EP17892214.2A priority patent/EP34869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8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H01M2/204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양극과 음극이 적층되어 있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의 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에 있어서, 복수의 극판들로부터 외향 돌출된 전극 탭들은 전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드 단부의 대향 단부인 제 2 리드 단부는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리드 단부와 제 2 리드 단부 사이의 리드 본체는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대면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나 청정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
현재 이러한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충방전 특성과 수명특성을 나타내고 친환경적인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젤리-롤형과 스택형의 혼합 형태인 진일보한 구조의 전극조립체로서, 일정한 단위 크기의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풀셀(full cell) 또는 양극(음극)/분리막/음극(양극)/분리막/양극(음극) 구조의 바이셀(bicell)을 긴 길이의 연속적인 분리막 필름을 이용하여 폴딩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가 개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이차전지 중 리튬 이차전지는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각형 전지에서 복수의 극판들 및 분리막들이 적층되어 있는 전극조립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탭이 차지하는 부피 및 전극 탭과 연결되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 리드가 차지하는 부피는 이차전지의 부피를 과도하게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나아가, 이차전지가 장착되는 디바이스 내부에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사공간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는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0)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본체(20)의 내부에 전극조립체(30)가 내장되어 있고, 그것의 전극 탭들(31, 32)이 두 개의 전극리드들(40, 41)에 각각 용접되어 전지케이스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실링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의 돌출 방향으로 리드가 위치한 형태를 가지며, 탭-리드 결합부 및 리드가 차지하는 부분은 전지 용량에 기여하지 못하는 부분으로서 전지 전체의 에너지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하고 신규한 구조의 전지가 도입되고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하는 바,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면서 디바이스 소형화에 적합한 전지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극 리드의 일측 단부가 전극 탭들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대향 단부는 셀 케이스에 외면에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극판들이 적층 방향에 평행하게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대면하도록 리드 본체를 위치시킨 경우, 전극리드가 전극조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전지에서 탭-리드 결합부 및 전극 리드가 차지하는 불필요한 사공간을 줄이고, 전지가 내장되는 디바이스의 내부공간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양극과 음극이 적층되어 있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의 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로서, 복수의 극판들로부터 외향 돌출된 전극 탭들은 전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드 단부의 대향 단부인 제 2 리드 단부는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리드 단부와 제 2 리드 단부 사이의 리드 본체는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대면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셀 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이며,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단부가 전극조립체와 리드 본체가 대면하는 말단 부위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고정되고, 라미네이트 시트의 타측 단부는 제 2 리드 단부와 리드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전극리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타측 단부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여 셀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극 탭들과 탭-리드 결합부가 돌출 되어 일정한 부피를 차지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용량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공간이 존재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이차전지의 용량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는 전극 탭들과 탭-리드 결합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절감하여,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리드는 전극 탭들의 외향 돌출 방향에 평행하게 제 2 리드 단부와 리드 본체 및 제 1 리드 단부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리드 단부가 전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리드 단부가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게 리드 본체의 일부가 180도 수평 절곡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리드는, 전극 탭들의 외향 돌출 방향에 평행하게 리드 본체 및 제 1 리드 단부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리드 단부가 전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고, 제 2 리드 단부를 형성하는 보조 리드가 리드 본체에 추가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보조 리드는 리드 본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며, 리드로서 작동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기 전극 탭들과 제 1 리드 단부의 결합 부위가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대면하도록 90도 수직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대면되도록 절곡됨으로써,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전극 탭들 및 전극리드가 돌출된 구조인 경우 발생하는 불필요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반드시, 90도로 절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전극 탭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전극조립체의 측면 쪽으로 75 내지 105도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전극조립체 측면 방향으로 과도하게 절곡된 경우에는, 전극판의 측면과 전극탭이 접촉하여 쇼트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전지 안전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리드는 외부의 충격에도 절곡된 형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면 좋고, 절곡된 전극 탭과 전극조립체의 측면 사이에 보호부재를 넣은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원발명의 전극리드의 형상은 평평한 일단위의 리드를 절곡하거나, 두단위의 리드를 서로 용접함으로써 제작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극리드의 제조 시 본원발명의 리드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전극리드가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대면하여 전극 리드가 전극조립체의 면에 위치함으로써 전극리드가 전극조립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지 않아 불필요한 사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전극 탭과 연결된 전극 리드 부위는 전극조립체의 측면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존재하게 되어, 전지셀이 동일한 용량을 유지하며 부피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따. 또한, 이 후에 설명하는 내용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이용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전지셀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용접 공정 등이 불필요하고, 간이하게 전지 모듈을 구성할 수 있게되므로, 제조 비용 및 제조 공정 상의 이점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 2 리드 단부의 크기는 제 2 리드 단부가 위치하는 셀 케이스 외면의 평면 크기를 기준으로 10% 내지 95%의 범위인 것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 2 리드 단부가 외부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부분에 해당되며, 상기 범위 내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제 2 리드 단부의 크기가 클수록 전지 저항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셀 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단부가 전극조립체와 리드 본체가 대면하는 말단 부위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고정되고, 라미네이트 시트의 타측 말단은 제 2 리드 단부와 리드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리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타측 단부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여 셀 케이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리드 본체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 사이에는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의 경우, 각 전극을 권취하는 분리막시트가 리드 본체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 사이에 개재되며, 스택형 전극조립체의 경우, 최외곽의 전극 판 위에 분리막을 더 개재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전극 탭과 전극 리드는 양극 또는 음극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들은 제 1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어 있고, 음극 탭들은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양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는 양극 리드의 제 2 리드 단부는 셀 케이스의 제 1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음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는 음극리드의 제 2 리드 단부는 상기 제 1 외면의 반대면인 셀 케이스의 제 2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셀 케이스는 두 단위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되고, 일단위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전극조립체의 전면을 감싸지 않으며, 양극리드의 리드 본체 및 제 2 리드 단부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음극 리드의 리드 본체에 의해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음극 리드의 리드 본체 및 제 2 리드 단부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양극리드의 리드 본체에 의해 고정되며, 두 단위 라미네이트 시트의 고정되지 않은 말단은 전극조립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열융착하여 셀 케이스를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 리드 단부와 음극 리드 단부는 전극조립체의 서로 다른 외면에 위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전극 탭 및 전극리드가 차지하는 사공간을 감소시켜 전지셀의 에너지 밀도가 향상되므로, 상기 전지셀로 구성되는 전지 모듈의 에너지 밀도도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지 모듈에서 전지셀들은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셀 케이스 외면들이 상호 대면하는 구조로 적층 배열될 수 있다. 전지셀들을 적층 배열 구조에서 전극 리드가 상호 대면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 모듈에서 적층 배열된 전지셀들은 비용접 상태로 전극리드들이 상호 물리적 접촉을 이루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용접 공정 없이 전지셀을 적층시켜 전지 모듈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전지 모듈의 제조 공정이 간이해지고, 제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리드가 전극조립체의 면에 위치하여, 탭-리드 결합부 및 전극 리드가 차지하는 불필요한 사공간을 감소시켜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고, 전지셀이 내장되는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로 구성된 전지 모듈은 비용접 방식으로 전지셀을 물리적으로 접촉시켜 전지 모듈을 구성시킴으로써, 전지 모듈 제조 공정을 간이화 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는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파우치형 전지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전극 리드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가 형성된 전지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가 형성된 전지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양극리드와 음극리드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각각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가 각각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대면하도록 90도 수직 절곡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대향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가 형성된 전지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들로 구성된 전지 모듈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전극리드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적층된 전극리드가 도시되어 있다.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141) 들의 외향 돌출 방향으로 돌출된 전극리드의 단부는 제 1 리드 단부(111)로서 이를 통해 전극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의 제 1 리드 단부(111)의 대향 단부(131')가 180도 수평 절곡됨으로써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 2 리드 단부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가 형성된 전지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제 1 리드 단부의 대향 단부(131')가 수평 절곡되어 제 2 리드 단부(131)를 형성하고,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대면하도록 위치한 전지셀을 도시하고 있다. 리드 본체(121)와 제 2 리드 단부(131) 사이에 셀 케이스가 되는 라미네이트 시트(161)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게 되며,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61)는 전극조립체의 겉면을 감싸고 고정된 말단의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리드 본체(121)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161)의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말단들은 열융착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셀 케이스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가 형성된 전지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단위의 전극리드를 절곡하여 제 2 리드 단부(131)를 형성하는 도 3의 전지셀과는 달리, 제 2 리드 단부(131)를 형성하는 보조 리드를 리드 본체(121)에 결합시켜 형성된 전지셀을 도시하고 있다. 보조리드 또한,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게 되며, 리드 본체(121)에 보조리드를 용접하는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리드는 리드 본체(121)에 결합되어 제 2 리드 단부(131)가 되므로, 리드 본체(121)와 제 2 리드 단부(131) 사이에 라미네이트 시트(161)의 일측 말단이 고정된다.
도 5는 양극리드와 음극리드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각각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양극리드 제 1 리드 단부(111)와 및 음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112)가 각각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대면하도록 90도 수직 절곡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양극리드와 음극리드는 전극조립체의 서로 다른 최외곽 면에 적층되어 있고, 양극 탭과 음극 탭은 전극조립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어 각각 양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111)와 음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112)에 결합되어 있다. 각 전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를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대면되도록 90도 수직 절곡함으로써, 전극 탭과 전극리드의 돌출된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사공간(S)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지셀의 부피 대비 전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대향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가 형성된 전지셀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전지셀을 도시하고 있다. 전극조립체의 극판들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각각 위치하는 양극리드, 음극리드 및 두 단위의 라미네이트 시트(161, 162)로 구성된다. 일단위의 라미네이트 시트(161)는 전극조립체의 전면을 감싸지 않고, 양극리드의 리드 본체 및 제 2 리드 단부(131)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트(161)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음극 리드의 리드 본체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하나의 라미네이트 시트(162)는 음극 리드의 리드 본체 및 제 2 리드 단부(132)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트(162)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양극리드의 리드 본체에 의해 고정된다. 라미네이트 시트(161, 162)의 고정되지 않은 말단은 전극조립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열융착하여 셀 케이스를 제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들로 구성된 전지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들(100, 200, 300)을 각 전지셀들의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셀 케이스의 외면이 상호 대면하도록 적층 배열함으로써, 외면에 노출된 전극리드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모듈(1000)을 도시하고 있다. 적층된 전지셀 자체의 중량에 의해 전극리드들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나아가, 전지 모듈의 케이스를 전지셀들의 적층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전지셀들의 유동이 방지되어 전극 리드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지셀들의 전극리드를 상호 결합시키는 용접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양극과 음극이 적층되어 있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의 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로서,
    복수의 극판들로부터 외향 돌출된 전극 탭들은 전극리드의 제 1 리드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드 단부의 대향 단부인 제 2 리드 단부는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리드 단부와 제 2 리드 단부 사이의 리드 본체는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에 대면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셀 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외주변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이며,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단부가 전극조립체와 리드 본체가 대면하는 말단 부위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고정되고, 라미네이트 시트의 타측 단부는 제 2 리드 단부와 리드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됨으로써 전극조립체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고, 전극리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타측 단부가 열융착에 의해 밀봉하여 셀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본체와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면 사이에는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전극 탭들의 외향 돌출 방향에 평행하게 제 2 리드 단부와 리드 본체 및 제 1 리드 단부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리드 단부가 전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리드 단부가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게 리드 본체의 일부가 180도 수평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전극 탭들의 외향 돌출 방향에 평행하게 리드 본체 및 제 1 리드 단부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리드 단부가 전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고, 제 2 리드 단부를 형성하는 보조 리드가 리드 본체에 추가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들과 제 1 리드 단부의 결합 부위는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대면하도록 90도 수직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셀 케이스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 2 리드 단부의 크기는 제 2 리드 단부가 위치하는 셀 케이스 외면의 평면 크기를 기준으로 10% 내지 9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의 양극 탭들은 제 1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어 있고, 음극 탭들은 제 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는 양극리드의 제 2 리드 단부는 셀 케이스의 제 1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음극 탭들에 결합되어 있는 음극리드의 제 2 리드 단부는 상기 제 1 외면의 반대면인 셀 케이스의 제 2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셀 케이스는 두 단위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되고, 일단위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전극조립체의 전면을 감싸지 않으며, 양극리드의 리드 본체 및 제 2 리드 단부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음극 리드의 리드 본체에 의해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음극 리드의 리드 본체 및 제 2 리드 단부에 의해 라미네이트 시트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고 대향 말단이 전극조립체와 양극리드의 리드 본체에 의해 고정되며,
    두 단위 라미네이트 시트의 고정되지 않은 말단은 전극조립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열융착하여 셀 케이스를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에서 전지셀들은 전극리드가 위치하는 셀 케이스의 외면들이 상호 대면하는 구조로 적층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배열된 전지셀들은 비용접 상태로 전극리드들이 상호 물리적 접촉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KR1020170008355A 2017-01-18 2017-01-18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Active KR102119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55A KR102119535B1 (ko) 2017-01-18 2017-01-18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PCT/KR2017/015179 WO2018135764A1 (ko) 2017-01-18 2017-12-21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PL17892214T PL3486967T3 (pl) 2017-01-18 2017-12-21 Ogniwo akumulatorowe zawierające wyprowadzenie elektrody skierowane do zewnętrznej powierzchni zespołu elektrodowego
US16/321,721 US11303001B2 (en) 2017-01-18 2017-12-21 Battery cell including electrode lead located so as to face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CN201790001078.2U CN209515763U (zh) 2017-01-18 2017-12-21 电池单元和包括该电池单元的电池模组
EP17892214.2A EP3486967B1 (en) 2017-01-18 2017-12-21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55A KR102119535B1 (ko) 2017-01-18 2017-01-18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29A KR20180085129A (ko) 2018-07-26
KR102119535B1 true KR102119535B1 (ko) 2020-06-05

Family

ID=6290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55A Active KR102119535B1 (ko) 2017-01-18 2017-01-18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03001B2 (ko)
EP (1) EP3486967B1 (ko)
KR (1) KR102119535B1 (ko)
CN (1) CN209515763U (ko)
PL (1) PL3486967T3 (ko)
WO (1) WO2018135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8261B2 (ja) * 2017-03-16 2021-07-21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組電池及びエンジン始動用電池
CN110612634A (zh) * 2017-11-17 2019-12-24 株式会社Lg化学 用于气体分析的单电池的加压治具和包括该治具的气体分析装置
KR102751962B1 (ko) * 2020-01-15 2025-01-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탭 절곡 장치 및 방법
KR20210152253A (ko) *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220032930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가 비대칭 구조로 형성된 전지 셀 및 이를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가 보강된 전지 모듈
US12334258B2 (en) * 2020-12-31 2025-06-17 Hyundai Motor Company Energy storage module
KR102636036B1 (ko) * 2021-06-07 2024-02-13 비나텍주식회사 방열구조를 가지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CN114464927B (zh) * 2021-12-31 2024-04-02 北京卫蓝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ntc材料的自适应电加热电芯、电池系统及ntc材料
DE212023000160U1 (de) * 2022-12-20 2024-10-3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iezelle und Batteriemodul, das diese Zelle einschließt
KR20240166696A (ko) 2023-05-18 2024-1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어셈블리
KR20240166693A (ko) 2023-05-18 2024-1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0569A1 (en) 2010-12-24 2013-10-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ic storage device
WO2016157370A1 (ja) * 2015-03-30 2016-10-06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及び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6823B2 (ja) * 2000-07-10 2011-05-25 株式会社Gsユアサ 密閉形電池
JP3864041B2 (ja) 2000-07-25 200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池
FR2814568B1 (fr) * 2000-09-25 2005-11-25 David Trechnievski Assistant personnel electronique intelligent
KR20040054128A (ko) 2002-12-17 2004-06-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060033643A (ko) 2004-10-15 2006-04-19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벳에 의해 전극탭과 리드선이 접합되는 적층형리튬이차전지의 전극탭 처리방법
JP4599314B2 (ja) 2006-02-22 2010-12-15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電池パック及び自動車
KR20070096651A (ko) 2006-03-27 2007-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리튬 이차전지
CN101523656B (zh) * 2006-07-31 2011-09-14 株式会社Lg化学 具有结构改进的上密封部分的二次电池
JP5830953B2 (ja) * 2010-11-17 2015-12-0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101441530B1 (ko) * 2011-06-09 2014-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9991498B2 (en) * 2013-09-09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7408659B (zh) * 2014-10-10 2020-11-13 株式会社Lg化学 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KR102100932B1 (ko) 2015-05-08 2020-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다변화할 수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KR101969388B1 (ko) * 2015-06-15 2019-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0569A1 (en) 2010-12-24 2013-10-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ic storage device
WO2016157370A1 (ja) * 2015-03-30 2016-10-06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密閉型電池及び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29A (ko) 2018-07-26
WO2018135764A1 (ko) 2018-07-26
US20200127269A1 (en) 2020-04-23
US11303001B2 (en) 2022-04-12
CN209515763U (zh) 2019-10-18
PL3486967T3 (pl) 2022-03-21
EP3486967A1 (en) 2019-05-22
EP3486967B1 (en) 2022-02-02
EP3486967A4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535B1 (ko) 전극조립체의 외면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US20210351463A1 (en) Pouch Type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0891078B1 (ko) 안전성과 용량이 증가된 리튬 이차전지
KR101379957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0866767B1 (ko)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KR100813813B1 (ko) 안전성이 증가된 이차전지
JP6340431B2 (ja) 非対称構造及び湾入構造を含む電池セル
JP6284532B2 (ja) ずれた配列構造の電極組立体を含む電池セル
KR102618844B1 (ko) 배터리 단자 용 리드 탭
JP2013534361A (ja) 改善したリード構造の二次電池
KR101139016B1 (ko)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 전지
US10629944B2 (en) Battery cell
KR20140102385A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KR20170070401A (ko) 전극판에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749729B1 (ko) 이차전지
US20110189534A1 (en) Rechargeable battery
CN110337741B (zh) 电池单元和制造电极引线的方法
KR101846486B1 (ko) 일체형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576583B1 (ko) 배터리 셀
KR101994842B1 (ko)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전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또는 캐패시터
KR20220034533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00092672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JP2012129486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