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8407B1 -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07B1
KR102118407B1 KR1020130141007A KR20130141007A KR102118407B1 KR 102118407 B1 KR102118407 B1 KR 102118407B1 KR 1020130141007 A KR1020130141007 A KR 1020130141007A KR 20130141007 A KR20130141007 A KR 20130141007A KR 102118407 B1 KR102118407 B1 KR 10211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receiver
wireless
transmi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536A (ko
Inventor
권혁춘
김남윤
정수연
정희원
한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4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407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63068.2A priority patent/CN105745815A/zh
Priority to PCT/KR2014/011137 priority patent/WO2015076561A1/ko
Priority to CN202011054969.9A priority patent/CN112421801B/zh
Priority to US15/037,916 priority patent/US10454308B2/en
Publication of KR2015005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536A/ko
Priority to US16/596,322 priority patent/US1109515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07B1/ko
Priority to US16/896,675 priority patent/US11011939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을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의 요구 전력 정보에 따라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맞는 전력으로 분배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효율적인 전력 전송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ISTRIBUTING OF WIRELESS CHARGING POWER FOR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충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휴대폰에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무선 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진 방식을 이용한 충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충전이 필요한 무선 전력 수신기(예컨대, 휴대 단말)가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예컨대, 충전 패드)에 위치하게 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만일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충전 영역에 놓여질 경우에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필요한 전력과, 송전되는 전력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각에 대한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과,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송신 가능한 전력이 다를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전력 공급 능력에 따라 별도의 설정없이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무선 전력 수신기의 특성, 하드웨어적 설계,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와의 거리, 충전 위치 등의 다양한 충전 상황에 따라 충전 효율도 달라질 것이다. 게다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보다 효율적인 전력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력을 조절해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력을 전송하여 충전하는 과정과, 제2무선 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구 전력 정보를 근거로 전력 재분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2무선 전력기로 전력을 분배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량을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전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을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의 요구 전력 정보에 따라 각 무선 전력 수신기에 맞는 전력으로 분배함으로써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효율적인 전력 전송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표준에 따르면 공진 방식 무선 충전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Power Transmission Unit; PTU)가 무선 전력 수신기(Power Receive Unit; PRU)와 통신이 연결된 후, PRU와 PTU는 스태틱 신호를 통해 자신의 스태틱 파라미터를 교환함으로써 자신의 상태를 상대방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복수의 PRU에서 최소 요구 전력 정보(limitation power)를 PTU로 전송함으로써, PTU에서는 각 PRU로의 충전 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RU에서 PTU로 최소 요구 전력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예컨대, PRU 다이내믹(PRU dynamic) 신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새롭게 정의된 다른 신호 또는 기정의된 다른 신호에 의해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충전 시스템 동작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에 무선으로 각각 전력(1-1, 1-2, 1-n)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수행한 인증된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하여서만 무선으로 전력(1-1, 1-2, 1-n)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1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는 소정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패킷(2-1, 2-2, 2-n)을 처리하거나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PDA, PMP,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로 무선으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공진 방식을 통하여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공진 방식을 채택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100)가 전자기 유도 방식을 채택한 경우, 전력제공장치(100)와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cm 이하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는 무선 전력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나, 무선 전력 수신에 필요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정보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100) 제어 정보 등을 무선 전력 송신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송신 신호의 정보에 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는 각각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 각각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각각의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가 충전이 완료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는 무선 전력 수신기(110-1, 110-2, 110-n) 각각에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d)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충전 기능의 디스에이블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수신기는 무선 충전 기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212) 및 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252) 및 통신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요구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직류 파형의 형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이를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 파형으로 변환하여 교류 파형의 형태로 공급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내장된 배터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다른 구성 요소에 공급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일정한 교류 파형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다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아울러, 전력 송신부(211)는 교류 파형을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추가적으로 공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의 전자기파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가 공진회로로 구현되는 경우, 공진회로의 루프 코일의 인덕턴스(L)는 변경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전력 송신부(211)는 전자기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어부(212)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2)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2)의 세부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통신부(253)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3)는 CSMA/CA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통신 방식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통신부(213)에서 수행하는 특정 통신 방식으로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송신기(200)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213)는 상기 신호를 유니캐스트(uni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용량, 배터리 잔량, 충전 횟수, 사용량, 배터리 용량, 배터리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충전 기능을 제어하는 충전 기능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충전 기능 제어 신호는 특정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무선 전력 수신부(251)를 제어하여 충전 기능을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하게 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전력 정보는 유선 충전 단자의 인입, SA 모드로부터 NSA 모드로의 전환, 에러 상황 해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3)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Notic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상이한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아웃-밴드(out-band) 형식으로 통신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송신부(211) 및 통신부(213)가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인-밴드(in-band) 형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2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각종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200)가 주관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의 무선 전력 수신기(250)의 가입과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한 충전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과정은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200)는 전력 송신부(211), 제어부 및 통신부(212, 213), 구동부(214), 증폭부(215) 및 매칭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250)는 전력 수신부(251), 제어부 및 통신부(252, 253), 정류부(254), DC/DC 컨버터부(255), 스위치부(256) 및 로드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4)는 기설정된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구동부(214)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의 전압 값은 제어부 및 통신부(212, 21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구동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류는 증폭부(215)로 출력될 수 있다. 증폭부(215)는 기설정된 이득으로 직류 전류를 증폭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 및 통신부(212, 2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증폭부(215)는 교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216)로부터 바라본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출력 전력이 고효율 또는 고출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제어부 및 통신부(212,213)의 제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다. 매칭부(216)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및 통신부(212, 213)는 코일 및 커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와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는 입력된 교류 전력을 전력 수신부(251)로 송신할 수 있다. 전력 송신부(211) 및 전력 수신부(251)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는 6.78MHz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 및 통신부(212, 213)는 무선 전력 수신기(250) 측의 제어부 및 통신부(252,253)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양방향 2.4GHz 주파수로 통신(WiFi, ZigBee, BT/BLE)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수신부(251)는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정류부(254)는 전력 수신부(25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직류 형태로 정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리지 다이오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C/DC 컨버터부(255)는 정류된 전력을 기설정된 이득으로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부(255)는 출력단(259)의 전압이 5V가 되도록 정류된 전력을 컨버팅할 수 있다. 한편, DC/DC 컨버터부(255)의 전단(258)에는 인가될 수 있는 전압의 최솟값 및 최댓값이 기설정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DC/DC 컨버터부(255) 및 로드부(257)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6)는 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드부(257)는 스위치부(256)가 온 상태인 경우에 DC/DC 컨버터부(255)로부터 입력되는 컨버팅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S401).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환경을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S402).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절약 모드(power save mode)에 진입할 수 있다(S403). 전력 절약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이종의 검출용 전력 비콘 각각을 각각의 주기로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서는 도 6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검출용 전력 비콘(power beacon)(404, 405)을 인가할 수 있으며,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각각의 전력 값의 크기는 상이할 수도 있다.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검출용 전력 비콘들(404,405)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하여 통신부를 구동시켜 무선 전력 송신기(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를 널(Null)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배치에 의한 로드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저전력 모드(S408)로 진입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 대하여서도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수신된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S409).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PTU searching)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0).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BLE 기반의 어드버타이즈먼트(Advertsement) 신호로,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래할 때까지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기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응답 신호(PRU Respnse)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1). 여기에서 응답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 사이의 연결(connection)을 형성(form)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스태틱(stat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2). 여기에서, PRU 스태틱(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PRU 스태틱(static) 신호는 하기 <표 1>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eld Octets Description Use Units
Optional fields validity 1 Defines which optional fields are populated Mandatory
PRU ID 2 ID of PRU Mandatory
PRU Category 1 Category of PRU Mandatory
PRU Information/Capabilities 1 Capabilities of PRU (bit field) Mandatory
Hardware rev 1 Revision of the PRU HW Mandatory
Firmware rev 1 Revision of the PRU SW Mandatory
maximum power desired 1 Maximum power desired by PRU Mandatory mW*100
VRECT _ MIN _ STATIC 2 VRECT _MIN(static, first estimate) Mandatory mV
VRECT _ HIGH _ STATIC 2 VRECT _HIGH(static, first estimate) Mandatory mV
VRECT _ SET 2 VRECT _ SET Mandatory mV
△R1 value 2 Delta R1 caused by PRU Optional .01 ohms(assume tabletop PTU)
RRX _ IN value 2 RRX _ IN value Mandatory Mohms
Rectifier imped xform 1 Rectifier impedance transformation Mandatory 0~5(0~250).02x resolution
Rectifier efficiency 1 Efficiency of rectifier Mandatory 0-100%(0-255)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상기 <표 1>과 같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PTU 스태틱(static)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S413).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TU 스태틱(static)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의 용량(capability)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 및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PRU 스태틱(static) 신호 및 PTU 스태틱(static) 신호를 송수신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4, S415).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에서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정류부 후단의 전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부트(Boot) 상태(S427)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 내에 각 상황에 따라 재조정된 전압 설정값을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PRU 스태틱 신호에 의해 최초 설정된 전압 설정값을 상황에 맞게 재조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하고(S416),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 신호인 PRU 제어(PRU control)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7). 전력 송신 모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송신하는 PRU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충전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정보 및 허여(permis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무선 전력 송신기(400)가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경우에 송신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주기, 예를 들어 250ms의 주기로 송신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제어 신호에 따라서 설정을 변경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18,S419). 무선 전력 수신기(450)가 송신하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전압, 전류, 무선 전력 수신기 상태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450)의 상태를 온(On)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표 2>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eld Octets Description Use Units
Optional fields 1 Defines which optional fields are populated Mandatory
VRECT 2 Voltage at diode output Mandatory mV
IRECT 2 Current at diode output Mandatory mA
VOUT 2 Voltage at charge/battery port Optional mV
IOUT 2 Current at charge/battery port Optional mA
Temperature 1 Temperature of PRU Optional Deg C from -40C
VRECT _ MIN _ DYN 2 VRECT_MIN_LIMIT(dynamic value) Optional mV
VRECT _ SET _ DYN 2 Desired VRECT(dynamic value) Optional mV
VRECT _ HIGH _ DYN 2 VRECT_HIGH_LIMIT(dynamic value) Optional mV
PRU alert 1 Warnings Mandatory Bit field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표 2>에서와 같이 선택적 필드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전류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압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DC/DC 컨버터의 후단의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VRECT _ MIN 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VRECT _ SET 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VRECT _ HIGH _ DYN) 및 경고 정보(PRU ale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상황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압 설정값들(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소 전압값 정보(VRECT _ MIN 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적 전압값 정보(VRECT _ SET _ DYN),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정류부의 후단의 최대 전압값 정보(VRECT _ HIGH _ DYN) 등)을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의 해당 필드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RU 다이내믹 신호를 수신한 PTU는 상기 PRU 다이내믹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전압 설정값들을 참조하여 각 PRU로 전송할 무선 충전 전압을 조정한다.
경고 정보는 하기의 <표 3>과 같은 데이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7 6 5 4 3 2 1 0
over voltage over current over temperature charge complete TA detect transition restart request RFU
경고 정보는, <표 3>과 같이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유선 충전 단자 인입 감지(TA detect), SA 모드/ NSA 모드 전환(transition), 재충전 요청(restart request) 등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PRU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를 충전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가지는 경우 충전을 인에이블하도록 하는 PRU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PRU 제어 신호는 충전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250ms 마다 송신될 수 있거나, 파라미터 변경이 있을 때 송신될 수 있다. PRU 제어 신호는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에는 송신되어야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S420). 경고 신호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로 송신되거나 또는 PRU 경고(alert)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표 3>의 PRU 경고(alert) 필드에 에러 상황을 반영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에러 상황을 지시하는 단독 경고 신호(예컨대, PRU 경고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4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400)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래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22). 무선 전력 수신기(450)는 널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42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5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5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5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601, 6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동일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동일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은 가장 소형의 무선 전력 수신기, 예를 들어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1)을 출력한 이후에 상이한 크기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3 검출 전력(612)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이한 크기의 제 3 검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3 검출 전력의 전력량 각각은 카테고리 1 내지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검출 전력(611)는 카테고리 5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2)는 카테고리 3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613)는 카테고리 1의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601, 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601, 602) 및 제 3 검출 전력(611, 612, 613, 614, 6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6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5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5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05).
한편,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5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6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물체가 이물질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5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물체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물체를 이물질로 결정할 수 있다.
이물질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latch faul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513). 반면, 이물질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S511-N), 가입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519). 예를 들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6에서의 제 1 전력(631 내지 634)을 제 1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을 인가하는 중에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질이 회수되는 경우에는(S515-Y)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없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현재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가 에러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이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513). 한편, 이물질이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515-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517).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5의 제 2 전력(651,652) 및 제 3 전력(661 내지 665)을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이물질이 배치된 경우에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에서 인가하는 전력에 기초한 임피던스 변경에 의거하여 이물질의 회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5 및 6의 실시 예에서의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은 이물질의 배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물질의 배치 이외에도 다양한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기와 교차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의 경우에서도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교차 연결 발생 시, 초기 상태로의 복귀가 요구되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수가 요구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상에 배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교차 연결을 랫치 실패 모드 진입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교차 연결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 시의 무선 전력 송신기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제어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S7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초기 설정을 리셋할 수 있다(S703).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705). 여기에서, 전력 절약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전력 송신부에 전력량이 상이한 이종의 전력을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의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하는 구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을 제 2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2 검출 전력(801, 802)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2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제 3 주기로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 3 기간 동안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의 각각의 전력 값은 상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동일할 수도 있다.
한편, 제 2 검출 전력(801, 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을 전력 수신부로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일 지점에서 바라보는 임피던스가 변경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801, 802) 및 제 3 검출 전력(811, 812, 813, 814, 815)이 인가되는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3 검출 전력(815)을 인가하는 중, 임피던스가 변경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707).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7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이종의 전력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05).
한편, 임피던스가 변경되어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에는(S7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09). 여기에서, 저전력 모드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력량을 가진 구동 전력을 인가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전력 송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을 수신하여 제어부 및 통신부를 구동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는 구동 전력(820)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와 소정의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는 인증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가 관장하는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에서와 같이 충전 전력(821)을 인가할 수 있으며, 충전 전력은 무선 전력 수신기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러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기준 지점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과전압 또는 과전류 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온도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온도 센싱 수단은 무선 전력 송신기의 기준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준 지점의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과온도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전압, 전류 등의 측정값에 따라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 등의 상태로 판단될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충전 전력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낮춤으로써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를 방지한다. 이때, 낮춰진 무선 충전 전력의 전압값이 설정된 최소값(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기 정류부 후단의 최소 전압값(VRECT _ MIN _ DYN))보다 낮아지면 무선 충전이 중단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압 설정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에러가 도시되었지만, 에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 배치되는 것,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에 대하여서도 무선 전력 송신기가 유사한 과정으로 동작함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713-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1).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713-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715).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과 같이 제 1 전력(831 내지 835)를 인가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 동안 램프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에러 발생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S715). 한편, 이물질 또는 무선 전력 수신기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71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재진입할 수 있다(S71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8의 제 2 전력(851,852) 및 제 3 전력(861 내지 865)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상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제어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9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인가하는 전력량의 시간 축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로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1).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추가적으로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로 가입시킬 수 있다(S903).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에도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905).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충전 전력의 합계를 전력 수신부에 인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의 S901 단계 내지 S905 단계에 대한 일 실시 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검출 전력(1001, 1002) 및 제 3 검출 전력(1011 내지 1015)을 인가하는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하고, 검출 전력(1020)을 유지하는 저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충전 전력(1030)을 인가하는 전력 송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를 무선 전력 네트워크에 가입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합계의 전력량을 가지는 제 2 충전 전력(1040)을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양자에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S905), 에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S907). 여기에서, 에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치, 교차 연결,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과온도(over temperature) 등일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S907-N),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2 충전 전력(1040)의 인가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에러가 발생하면(S907-Y), 무선 전력 송신기는 랫치 실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09).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의 제 1 전력(1051 내지 1055)를 제 1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11).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 1 전력(1051 내지 1055)의 인가 중 임피던스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임피던스가 초기 수치로 복귀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무선 전력 수신기 및 제 2 무선 전력 수신기 모두가 회수된 것으로 판단되면(S911-Y),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913).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 10과 같이 제 2 검출 전력(1061, 1062) 및 제 3 검출 전력(1071 내지 1075)을 각각 제 2 주기 및 제 3 주기로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충전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러 발생 시 용이하게 무선 전력 수신기 또는 이물질이 회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1100)는 통신부(11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1120) 및 공진기(resonator)(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기(1150)는 통신부(115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1152), 전력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1153), 무선 전력 집적회로(Wireless Power Integrated Circuit; WPIC)(1154), 공진기(resonator)(1155),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Interface Power Management IC; IFPM)(1157), 유선 충전 어댑터(Travel Adapter; TA)(1158) 및 배터리(115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0)는 통신부(1151)와 소정의 방식, 예를 들어 BLE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통신부(1151)는 <표 2>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무선 전력 송신기(1100)의 통신부(11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정보, 전류 정보, 온도 정보 및 경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의 출력 전력 값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기(1150)에 과전압, 과전류, 과온도가 인가되면,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전압 또는 전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전력 증폭기(112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값이 증가될 수 있다.
공진기(1130)로부터의 충전 전력은 공진기(1155)에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공진기(1155)로부터 수신된 충전 전력을 정류하고, DC/DC 컨버팅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컨버팅된 전력을 통신부(1151)를 구동하거나 또는 배터리(1159)를 충전하도록 한다.
한편,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는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는 30핀 커넥터 또는 USB 커넥터 등의 유선 충전 단자가 인입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1159)를 충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7)는 유선 충전 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처리하여 배터리(1159) 및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 출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는 무선으로 수신된 전력 또는 유선으로 수신된 전력과 무선 전력 수신기(1150)의 구성 요소 각각에 인가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AP(1152)는 전력 관리 집적회로(1153)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보고하기 위한 PRU 다이내믹(Dynamic)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5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에 연결되는 노드(1156)에는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도 연결될 수 있다. 유선 충전 어댑터(1158)에 유선 충전 커넥터가 인입되는 경우에는, 노드(1156)에 기설정된 전압, 예를 들어 5V가 인가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집적회로(1154)는 노드(1156)에 인가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유선 충전 어댑터의 인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전력 분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진기 효율이 100%라고 가정했을 때 PTU(1200)의 충전 가능 전력이 10W이며, PRU1(1210)에서의 최대 요구 전력이 7W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PTU(1200)는 PRU1(1210)에서의 최대 요구 전력 및 최소 요구 전력(limitation power)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PRU1(1210)에 대한 최대 요구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최대 요구 전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TU(1200)는 PRU1(1210)으로 전력 전송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이어, 추가로 PRU2(1220)가 들어오게 되면, BLE ADV로 부터 Connection 연결 한 후, PTU(1200)는 PRU2(1220)에서의 최대 요구 전력 및 최소 요구 전력 정보를 PRU2(12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PTU(1200)가 전력량을 계산하여, 전력 재분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PRU1(1210) 및 PRU2(1220)에서의 최대 요구 전력이 각 7W이지만, 최소 요구 전력(limitation power)이 각 5W이므로, PTU(1200)는 PRU1(1210) 및 PRU2(1220)로 각각 5W씩의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요구 전력은 PRU에서 최대로 수신할 수 있는 전력을 나타내며, 최소 요구 전력은 PRU에서 수신할 수 있는 최소 전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PRU1(1210)에서의 최소 요구 전력이 5W라고 하면, PRU1(1210)는 5W~7W 이내에 속하는 전력은 모두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최소 요구 전력은 단계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U1(1210)에서 최소 요구 전력이 10W=>5W=>3W라고 설정된 경우 PRU1(1210)는 PTU(1200)로부터 10W, 5W, 3W에 해당하는 전력만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PRU2(1220)가 새롭게 들어오게 되면, PTU(1200)는 PRU2(1220)에서의 최대 요구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PRU1(1210)에 대한 전력을 10W에서 5W로 낮춘다. 이에 따라 PRU2(1220)로는 5W로 충전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또는 PRU2(1220)로 PRU2(1220)에서의 단계별 최소 요구 전력 정보를 근거로 PRU2(1220)에게 줄 수 있는 전력을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PRU2(1220)는 최소 요구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PTU(1200)는 PRU1(1210) 및 PRU2(1220)와 각각 연결된 이후에 각각의 PRU1(1210) 및 PRU2(122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통해 이러한 최소 요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전력을 전송하기 전 준비 단계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PRU의 요구 사항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에는 고정된(Fixed) 값 예컨대, 최대 요구 전력 정보를 비롯하여 단계별 최소 요구 전력 또는 고정된 최소 요구 전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PTU와 PRU 간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는 PRU1(1210) 및 PRU2(1220)에서 전력을 조절해야 하는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PTU(1200)로 전송될 수 있다. PTU(1200)는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예컨대, PRU의 수가 변경되거나, 어느 하나의 PRU가 완충되거나 PRU에서의 충전 모드가 변경되거나 충전이 제거되는 등 각 상황에 따라 새로운 전력값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중에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전류가 너무 많이 흐를 경우, 또는 전압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 PRU는 PTU에게 재조정된 VRECT 값을 전송함으로써 충전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PRU에서 충전 모드가 CC(Continous current) 모드에서 CV(continuous voltage) 모드로 바뀌거나, CV 모드에서 완충이 되었을 때, 많은 전력의 전달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PTU는 각 PRU로의 전력값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충전 전력을 재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PTU(1200)는 PRU1(1210) 및 PRU2(1220)로 현재 충전 전력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PTU(1200)는 PRU1(1210) 및 PRU2(1220) 각각으로 5W씩의 전력을 송출한다는 정보를 각각의 PRU1(1210) 및 PRU2(122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PTU(1200)의 충전 가능 전력이 10W이며, PRU1(1310)는 CC 모드로 충전 중이며, PRU2(1320)에서 CV 완충 또는 CV 모드 전환 또는 충전기 제거 등에 따라 전력이 조절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PRU2(1320)에서 충전 모드가 CC 모드에서 CV 모드로 바뀌거나, CV 모드에서 완충이 되었을 때, 많은 전력의 전달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PTU(1300)로부터 충전 범위를 벗어나면 즉, PTU(1300) 상에서 PRU2(1320)가 제거되면, 전력 전달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PRU2(1320)에서의 전력 전달이 필요치 않게 되면, PTU(1300)은 충전 공급 전력 용량을 다시 계산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TU(1300)은 PRU1(1310)에 대해 최소 요구 전력으로 전송하던 전력을 최대 요구 전력으로 전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U1(1310)에서의 최대 요구 전력이 7W이며, 최소 요구 전력(limitation power)이 5W라고 할 경우 PTU(1300)은 PRU1(1310)에 대해 5W로 충전하던 것을 7W로 높여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추가로 PRU가 들어오게 되면, PTU(1300)은 전력량을 계산하게 되는데, 만일 계산 결과 전력 재분배를 통해 현재 충전 중인 PRU에서 요구하는 최소 요구 전력을 송출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추가로 들어온 PRU를 거절할 수 있다. 즉, 추가로 들어온 PRU에 대해서는 충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최소 요구 전력으로 전송하던 전력을 최대 요구 전력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PTU(1300)은 PRU1(1310)에 로드 스위치 오프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RU1(1310)는 로드 스위치를 오프하여 리셋팅(re-setting)하게 된다. 그러면 PTU(1300)은 PRU1(1310)와의 전력을 다시 제어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PRU 설정 알고리즘은 구현 이슈로, PRU1(1310)의 급격한 전압 변화를 줄이기 위해 PRU1(1310)을 먼저 내리고 PRU2를 켤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 분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PTU(1400)의 충전 가능 전력이 5W이며, PRU1(1410)는 최대 요구 전력이 7W이며, 최소 요구 전력이 5W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PTU(1400)의 충전 가능 전력 5W는 PRU1(1410)의 최대 요구 전력 7W보다 적지만, PRU1(1410)의 최소 요구 전력 5W는 만족하므로, 충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PTU(1400)는 PRU1(1410)의 최대 요구 전력을 제공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PRU1(1410)의 최소 요구 전력을 보고 PTU(1400)가 줄 수 있는 전력을 알려줄 수 있다. 그러면, PRU1(1410)는 요구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PRU에서의 방법은 예컨대, PTU가 조절 셋팅하거나 PRU가 요구 전력 셋팅하는 것이 가능하며, 충전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PTU는 PRU로부터의 최소 요구 전력(limitation power) 정보 및/또는 조절 전력(reduce power)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PRU로의 공급 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Claims (15)

  1.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공진 회로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통신부를 통해,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포함하는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부를 통해, 식별하는 과정과,
    만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게 알리는 과정과,
    상기 공진 회로를 통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 각각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전력 정보는,
    최소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포함하는 요구 전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해 제공 가능한 최대 전력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의 합보다 적은지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 각각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한 후에,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로의 알림에 대응하여,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조절된 요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충전 모드가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을 재계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에게,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제1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공진 회로;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포함하는 제2무선 전력 수신기의 요구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며,
    만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게 알리며,
    상기 공진 회로를 통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 각각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력 송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전력 정보는,
    최소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포함하는 요구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의해 제공 가능한 최대 전력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의 합보다 적은지를 식별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 각각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전송한 후에,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로 무선 전력의 수신을 시작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충전 모드가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전력을 재계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가 상기 제2무선 전력 수신기가 원하는 최대 전력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무선 전력 수신기에게 알리는, 무선 전력 송신기.
KR1020130141007A 2013-11-19 2013-11-19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11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07A KR102118407B1 (ko) 2013-11-19 2013-11-19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PCT/KR2014/011137 WO2015076561A1 (ko) 2013-11-19 2014-11-19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CN202011054969.9A CN112421801B (zh) 2013-11-19 2014-11-19 无线功率发送器及其控制方法
US15/037,916 US10454308B2 (en) 2013-11-19 2014-11-19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harge power for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s
CN201480063068.2A CN105745815A (zh) 2013-11-19 2014-11-19 为多个无线功率接收器分配无线充电功率的方法
US16/596,322 US11095159B2 (en) 2013-11-19 2019-10-08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harge power for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s
US16/896,675 US11011939B2 (en) 2013-11-19 2020-06-09 Method for distributing wireless charge power for multiple wireless power recei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007A KR102118407B1 (ko) 2013-11-19 2013-11-19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536A KR20150057536A (ko) 2015-05-28
KR102118407B1 true KR102118407B1 (ko) 2020-06-03

Family

ID=5317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007A Expired - Fee Related KR102118407B1 (ko) 2013-11-19 2013-11-19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454308B2 (ko)
KR (1) KR102118407B1 (ko)
CN (2) CN112421801B (ko)
WO (1) WO20150765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76733B2 (en) 2020-11-04 2024-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3548A1 (en) * 2014-03-14 2015-09-17 Emily Cooper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distribution allocation
US10170926B2 (en) 2015-07-27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JP6772190B2 (ja) * 2016-01-21 2020-10-21 マクセル株式会社 非接触送電装置
JP6569810B2 (ja) * 2016-06-06 2019-09-04 富士通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
EP3480588B1 (en) * 2016-07-01 2021-09-29 LG Innotek Co., Lt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CN106329741A (zh) * 2016-10-17 2017-01-11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多负载自适应无线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US10418856B2 (en) 2016-11-16 2019-09-17 X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WO2018104068A1 (en) * 2016-12-05 2018-06-14 Koninklijke Philips N.V. Foreign object detection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WO2018125896A2 (en) * 2016-12-30 2018-07-05 The Wiremold Company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7565711B (zh) * 2017-09-13 2020-04-21 深圳先进技术研究院 无线充电功率分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I650569B (zh) * 2018-05-31 2019-02-11 國立臺北科技大學 電源管理系統及其運作方法
BR112020025252A8 (pt) * 2018-06-29 2023-03-21 Sulzer Mixpac Ag Sistema de controle de dispensação, método de controle de um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e programa de computador
KR102667984B1 (ko) 2019-02-19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수신기의 수신 전력을 조정하는 무선 충전 송신기 및 방법
KR102732914B1 (ko) * 2019-02-19 2024-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171522B2 (en) * 2019-04-24 2021-11-09 Google Llc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US11336127B2 (en) * 2019-08-15 2022-05-17 Mediatek Singapore Pte. Ltd. Calibration of foreign object detection in wireless power systems with authentication
CN111384788B (zh) * 2020-03-17 2022-04-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充电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2671055B (zh) * 2020-11-17 2023-06-02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分配方法和充电设备
CN117118040B (zh) * 2023-10-24 2024-02-02 深圳市金致卓科技有限公司 兼容多设备的无线充电输出调整方法、系统和存储介质
CN117977768B (zh) * 2024-03-19 2024-07-26 深圳市金致卓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电源的无线充电输出方法、系统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4120B (en) * 2004-05-11 2008-04-02 Splashpower Ltd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7912661B2 (en) * 2006-03-31 2011-03-22 Kmg2 Sensors Corporation Impedance analysis technique for frequency domain characterization of magnetoelastic sensor element by measuring steady-state vibration of element while undergoing constant sine-wave excitation
AU2009223084A1 (en) * 2008-03-13 2009-09-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coil primary
US8923015B2 (en) * 2008-11-26 2014-12-30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Primary-side power control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CN102341985B (zh) * 2009-01-06 2015-04-01 捷通国际有限公司 具有装置功率符合性的无线充电系统
CN102334258B (zh) 2009-02-27 2015-08-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地输送功率的方法、输送设备以及输送控制系统
US8452235B2 (en) * 2009-03-2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Tracking receiver devices with wireless powe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20120200158A1 (en) * 2009-10-08 2012-08-09 Hitachi,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8686685B2 (en) * 2009-12-25 2014-04-01 Golba, Llc Secure apparatus for wirelessly transferring power and communicating with one or more slave devices
US8482250B2 (en) * 2010-08-06 2013-07-09 Cynetic Designs Ltd. Inductive transmission of power and data through ceramic armor panels
US9047074B2 (en) * 2010-08-30 2015-06-02 Synapsens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apacity in data centers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683088B1 (ko) * 2010-10-01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설정 장치 및 방법
JP5667924B2 (ja) * 2011-04-26 2015-02-12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US9000620B2 (en) 2011-05-31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divid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resonant power transmission system
JP5838333B2 (ja) * 2011-08-01 2016-0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JP6187871B2 (ja) * 2011-10-28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る給電装置及び受電装置
KR101338732B1 (ko) * 2011-11-10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KR101831993B1 (ko) 2011-11-1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의 충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83660A (ko) 2012-01-13 2013-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US9544075B2 (en) * 2012-02-22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latform for wireless identity transmitter and syst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broadcast
DE102012203026A1 (de) * 2012-02-28 2013-08-29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Hochfrequenzsender
EP2822146A4 (en) 2012-02-29 2016-01-06 Chugoku Electric Power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DEVICE, CIRCUIT ARRANGE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WO2013176752A2 (en) * 2012-05-20 2013-11-2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US9685791B2 (en) * 2012-07-09 2017-06-20 Sandisk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to mobile devices
KR101462993B1 (ko) * 2012-12-27 2014-11-19 전자부품연구원 다수 기기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03358B1 (ko) * 2013-03-22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1490732B1 (ko) 2013-04-23 2015-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CN103390924B (zh) * 2013-07-18 2016-01-20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用于电动汽车多接口交流充电桩的能量管理系统的管理方法
US10172019B2 (en) * 2013-09-11 2019-0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LAN
KR20230129621A (ko) 2014-05-26 2023-09-08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접점 전력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76733B2 (en) 2020-11-04 2024-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system,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11939B2 (en) 2021-05-18
US11095159B2 (en) 2021-08-17
US10454308B2 (en) 2019-10-22
WO2015076561A1 (ko) 2015-05-28
CN105745815A (zh) 2016-07-06
US20200303961A1 (en) 2020-09-24
US20160294220A1 (en) 2016-10-06
CN112421801B (zh) 2025-01-10
KR20150057536A (ko) 2015-05-28
CN112421801A (zh) 2021-02-26
US20200044487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407B1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무선 충전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US11159050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s and receivers, and method for permitting a wireless power receiver by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2363633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EP318083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cross connection in wireless charging
JP6588455B2 (ja) 無線充電の間の異常を防止する方法
KR102039376B1 (ko)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전압 설정 방법
CN104756358B (zh) 无线电力接收器和用于在无线电力接收器中设定睡眠模式的方法
EP3269020B1 (en) Method for generating load of wireless power receiv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wireless power receiver
KR102039350B1 (ko)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비정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187962B1 (ko) 무선 충전에서 수신기 검출을 위한 로드 변화 감지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
KR10200335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EP3661068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8009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충전 네트워크에서 응급 정보 전송 방법
CN106030966B (zh) 用于在无线充电中检测负载的方法
KR20240015704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그 동작 방법
KR10202845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CN107968493A (zh) 无线电力接收器、无线电力发送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