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7962B1 -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962B1
KR102117962B1 KR1020190066378A KR20190066378A KR102117962B1 KR 102117962 B1 KR102117962 B1 KR 102117962B1 KR 1020190066378 A KR1020190066378 A KR 1020190066378A KR 20190066378 A KR20190066378 A KR 20190066378A KR 102117962 B1 KR102117962 B1 KR 102117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tainer
extinguishing agent
spray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솔
윤송이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앤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앤에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앤에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9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9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형 스프레이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소화약제가 충전된 용기 본체(11)와,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유입관(12)과, 상기 용기 본체(11)의 상측에 설치된 배출관(14)을 포함하는 압축 용기(10);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12)과 배출관(14)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20); 및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3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30)은 배출관(14)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유입부(31)와, 상기 유입부(31)와 직각을 이루며 연통되게 형성된 토출부(32)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32)는 초입 토출구(32a)와 최종 토출구(32b)를 포함하되, 상기 초입 토출구(32a)에서 최종 토출구(32b)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된 스프레이 소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 노즐(30)의 토출부(32)가 소정 각도로 확개되어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a container body 11 fil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an inlet pipe 12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1, and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 A compression container 10 including a discharge pipe 14;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vessel 10,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ipe 12 and the outlet pipe 14; And an injection nozzle 3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o spray an extinguishing agent, the injection nozzle 30 having an inlet portion 31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ipe 14, and It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32 formed at a right ang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ion 31, the discharge portion 32 includes a primary discharge port 32a and a final discharge port 32b, but at the primary discharge port 32a A spray fire extinguisher having a diameter that is increased toward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ion 32 of the injection nozzle 30 is expa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radius is wide and the fire can be effectively extinguished.

Description

확산형 스프레이 소화기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확산형 스프레이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분사 노즐이 소정 각도로 확개되어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최적의 분사 영역 및 분사 거리 등을 가지는 확산형 스프레이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lates to a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having a wide fire extinguishing radius and an optimum spray area and an injection distance by expanding the spray nozzle at a predetermined angle.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동주택 등의 대형 건물에는 자동소화설비가 설치되고 있다. 자동소화설비는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소화약제 저장조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사노즐을 통해 자동으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그러나 자동소화설비는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주기적인 점검과 부품의 교체를 필요로 하여, 일반 가정이나 소형 건물 등에서는 사용되기 어렵다. Generally,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re installed in large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utomatically extinguishes the fire by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ed in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age tank through the spray nozzle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However,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requires a large initial installation cost and requires periodic inspection and replacement of parts,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general homes or small buildings.

이에, 일반 가정이나 소형 건물 등에서는 구입 부담이 적은 스프레이 소화기(또는 에어로졸 캔 소화기)를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0768785호 및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84375호 등에는 위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Therefore, in a general home or a small building, a spray extinguisher (or aerosol can extinguisher) having a small purchase burden is provided and u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8785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4375 disclose techniques related to the abo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소화기는 밀폐형의 압축 용기(1)와, 상기 압축 용기(1)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2)와, 상기 압축 용기(1)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3)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분사 노즐(3)의 상단에는 누름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축 용기(1)는 금속 캔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다. 상기 개폐 밸브(2)는 압축 용기(1)를 개폐 조작하는 것으로서, 이는 유입관(2a)과 배출관(2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in general, a spray extinguisher is coupled to an airtight compression container 1, an opening/closing valve 2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 to extinguish the medicine. The injection nozzle 3 for spraying is set as a basic configuration. In addition, a pressing portion 3b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jection nozzle 3. The compression container 1 is composed of a metal can, and the extinguishing agent is filled with high pressure therein. The on-off valve 2 is to open and close the compression container 1,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ipe 2a and the outlet pipe 2b.

상기 누름부(3b)를 눌러 배출관(2b)을 하강시키게 되면, 개폐 밸브(2)가 개방되어 압축 용기(1) 내에 충전된 고압의 소화약제는 유입관(2a) 및 배출관(2b)을 통과한 다음, 분사 노즐(3)의 토출부(3a)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눌렀던 누름부(3b)를 놓으면, 개폐 밸브(2) 내에 설치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배출관(2b)이 원위치(상승)되면서 개폐 밸브(2)가 폐쇄되어 소화약제의 분사가 멈추게 된다. When the discharge pipe (2b) is lowere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3b), the on-off valve (2) is opened and the high-pressure fir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 the compression vessel (1) passes through the inlet pipe (2a) and the outlet pipe (2b). Then, it is in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3a of the injection nozzle 3. Then, when the pressed pressing portion 3b is released, the discharge pipe 2b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rising) with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nstalled in the opening/closing valve 2, and the opening/closing valve 2 is closed to stop spraying of the extinguishing agent.

위와 같은 스프레이 소화기는 작고 가벼워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프레이 소화기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분사 노즐(3)에 형성된 토출부(3a)가 동일한 직경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어 화재 진압 반경이 작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약제가 토출부(3a)를 통해 거의 일직선 형태로 분사되어 소화약제의 분사 영역(화재 진압 반경)이 좁고 일직선상의 일정 지점에 거의 집중적으로 분사되어 소화 효율이 떨어지며 소화약제의 사용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spray fire extinguisher as described above is small and lightweight for easy storage and handling, and can be used by anyone. However, the conventional spray fire extinguisher has an inefficient problem, for example, because the discharge portion 3a formed in the injection nozzle 3 is formed to have a long diameter with the same diameter, as shown in FIG. 1. Specifically, th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in an almost straight form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3a, so that the spraying area (fire suppression radius) of the extinguishing agent is narrow and almost intensively sprayed at a certain point in a straight line to reduce the extinguishing efficiency and the amount of the extinguishing agent used. There are many problems.

한국 등록특허 제10-0768785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68785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8437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4375

이에, 본 발명은 분사 노즐의 토출부를 소정 각도로 확개시킴으로써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확산형 스프레이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의 분사 영역, 분사 거리 및 분사 형태 등을 가져 화재 진압능이 우수하고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확산형 스프레이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effectively extinguishing a fire with a wide fire extinguishing radius by expanding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usion type spray extinguisher having an optimal spraying area, spraying distance and spraying form, and having excellent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and reduc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소화약제가 충전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유입관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된 배출관을 포함하는 압축 용기; A compression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body fil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an inlet pipe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a discharge pipe installed above the container body;

상기 압축 용기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 및 An opening/closing valv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and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nd

상기 압축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includes a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extinguishing agent,

상기 분사 노즐은 배출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직각을 이루며 연통되게 형성된 토출부를 포함하며, The injection nozzle includes an inlet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nd an outlet portion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ortion at right angles,

상기 토출부는 초입 토출구와 최종 토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초입 토출구에서 최종 토출구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된 스프레이 소화기를 제공한다. The discharge portion includes a primary discharge port and a final discharge port, and provides a spray extinguisher having a diameter that increases from the primary discharge port toward the final discharge port.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분사 노즐은 하기 (a) 내지 (c)를 따른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spray nozzle follows (a) to (c) below.

(a) A : 1.4mm ~ 1.8mm(a) A: 1.4mm ~ 1.8mm

(b) B : 2.5mm ~ 3.0mm(b) B: 2.5mm ~ 3.0mm

(c) L : 6.0mm ~ 6.5mm(c) L: 6.0mm ~ 6.5mm

여기서, A는 초입 토출구의 직경(내경)이고, B는 최종 토출구의 직경(내경)이며, L은 초입 토출구와 최종 토출구 간의 거리이다. Here, A is the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primary outlet, B is the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final outlet, and L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outlet and the final outl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는, 상기 분사 노즐이 압축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분리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injection nozz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mpression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 노즐의 토출부가 소정 각도로 확개되어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분사 영역, 분사 거리 및 분사 형태 등을 가져 화재 진압능 등이 우수하고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injection nozzle is expa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radius is wide and the fire can be effectively extinguish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n optimal spraying area, spraying distance and spraying type, and thus has excellent fire suppression ability and the like,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u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를 구성하는 분사 노즐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 분리 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iew of a spray nozzle constituting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4.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제2", "일측" 및 "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 "and/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each component is the above term. It is not limited by the field.

본 발명은 제1형태에 따라서, 소화기에 설치되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분사 노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2형태에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스프레이 소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형태에 따라서 스프레이 소화기에 설치되어 분사 노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노즐 분리 방지부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ray nozzle of a fire extinguishing agent that is installed on a fire extinguisher and sprays an extinguishing agent, having a wide fire extinguishing radius and capable of effectively extinguishing a fir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ray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the spray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nstalled in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to prevent separation of a spray nozz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스프레이 소화기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노즐 및 노즐 분리 방지부재를 함께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provided only to aid i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nozzle and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the spray fire extingui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를 구성하는 분사 노즐의 단면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각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및 비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ray nozzle constituting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hickness may be enlarged to express each layer and region clear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hickness, size, and ratio indicated in the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는 밀폐형의 압축 용기(10)와,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20)와,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30)을 포함한다. 2 and 3, the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sed compression container 10, an on-off valve 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t is coupled to the injection nozzle 30 to spray the extinguishing agent.

상기 압축 용기(10)는 밀폐된 구조로서, 이는 예를 들어 원통형 등의 형상을 갖는다. 압축 용기(10)에는 소화약제가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다. 압축 용기(10)는, 구체적으로 소화약제가 충전된 용기 본체(11)와,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유입관(12)과, 상기 용기 본체(11)의 상측에 설치된 배출관(14)을 포함한다. 이때, 배출관(14)은 용기 본체(11)의 상측에 설치되되, 이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14)의 상단은 분사 노즐(30)에 결합된다.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s a closed structure, which has,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s fil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at high pressure.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ncludes, in particular, a container body 11 fil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an inlet pipe 12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1, and a discharge pipe installed above the container body 11 ( 14). At this time, the discharge pipe 14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4 is coupled to the injection nozzle (30).

상기 용기 본체(11)는 금속재 및/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금속 캔으로서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등의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2)과 배출관(14)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의 튜브(tub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는 통상과 같이 커링부(15) 및 함몰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링부(15) 및 함몰부(16)는 금속 캔으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11)의 제조 시에 상판(11a)의 커링(curing)에 의해 형성된다. The container body 1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or a plastic material, which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or aluminum alloy (Al alloy) as a metal can. And the inlet pipe 12 and the outlet pipe 14,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a tube (tub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addition, a curing portion 15 and a recessed portion 16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as usual. The curling part 15 and the recessed part 16 are formed by the curling of the top plate 11a when manufacturing the container body 11 made of a metal can.

상기 소화약제는 화재에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소화약제는 가스, 액상, 폼(foam) 및/또는 분말형 등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과 같다. 상기 압축 용기(10)는 소화약제의 자체 압력에 의하거나, 소화약제와 함께 충전된 추진제에 의해 고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진제는 질소(N2), 이산화탄소(CO2) 및/또는 압축공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소화약제는 적절한 분사 거리 및 폭발 위험의 방지 등을 위해 압축 용기(10) 내에 약 7.0kgf/㎠의 압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The extinguish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extinguished by extinguishing the fire. The extinguish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gas, liquid, foam, and/or powder, etc., as is usual.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may have a high pressure by the pressure of the extinguishing agent itself or by a propellant filled with the extinguishing agent. The propellant may be selected from nitrogen (N 2 ), carbon dioxide (CO 2 ), and/or compressed air. At this tim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may be filled at a pressure of about 7.0kgf/cm 2 in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for proper spraying distance and prevention of explosion risk.

상기 개폐 밸브(20)는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압축 용기(1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개폐 밸브(20)는 에어로졸 캔 형태의 소화기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폐 밸브(20)는, 예를 들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화약제의 흐름을 개폐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탄성적인 작동을 위한 스프링과, 기밀성을 위한 가스켓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밸브(20)는 상기 유입관(12)과 배출관(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화약제의 흐름을 개폐한다. The opening/closing valve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o open and close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he on-off valve 20 may have a structure commonly applied to a fire extinguisher in the form of an aerosol can. The opening/closing valve 20 includes, for example, a housing, a valve bod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flow of the extinguishing agent, a spring for elastic operation of the valve body, a gasket for airtightness, and the like. can do. The on-off valve 20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ipe 12 and the outlet pipe 14 to open and close the flow of the extinguishing agent.

상기 분사 노즐(3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재로 구성되며, 이는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사 유로(31)(32)를 갖는다. 상기 분사 노즐(30)은 소화약제의 분사 유로(31)(32)로서,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유입부(31)와, 소화약제가 토출되는 토출부(32)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분사 노즐(30)은 플라스틱재의 노즐 몸체(30')와, 상기 노즐 몸체(30')의 상단에 형성된 누름부(33)와, 상기 노즐 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부(31) 및 토출부(3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노즐 몸체(30')는 상부 몸체(34)와 하부 몸체(35)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35)가 상부 몸체(34)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35)는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함몰부(16)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30)은 통상과 같이 최외측 말단에 형성된 확장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36)는 토출부(32)에서 단차(36a)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토출부(32)의 끝단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The injection nozzle 30 is made of,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which has an injection passage 31 and 32 through which an extinguishing agent is injected. The injection nozzle 30 is an injection flow path 31 and 32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includes an inlet part 31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flows and a discharge part 32 through which th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injection nozzle 30 is a nozzle body 30' of plastic material, a pressing portion 3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nozzle body 30', and the inside of the nozzle body 30' It includes an inlet portion 31 and a discharge portion 32 formed in. In addition, the nozzle body 30' includes an upper body 34 and a lower body 35, but the lower body 35 may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upper body 34. At this time, the lower body 35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16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30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portion 36 formed at the outermost end as usual. The expansion portion 36 is formed to have a step 36a in the discharge portion 32, which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32.

상기 유입부(31)는 노즐 몸체(30')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32)는 노즐 몸체(30')의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소화약제는 분사 노즐(30)의 내부에서 수직 흐름과 수평 흐름을 갖는다. 상기 유입부(31)는 배출관(14)과 연통되게 끼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32)는 유입부(31)와 연통되어 있다. 즉, 상기 토출부(32)는 유입부(31)와 직각을 이루면서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The inlet portion 31 is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nozzle body 30', and the discharge portion 32 is formed horizontally inside the nozzle body 30', and the extinguishing agent is a spray nozzle 30 It has a vertical flow and a horizontal flow inside. The inlet portion 31 is fitt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ipe 14.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3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ortion 31. That is, the discharge part 32 is integrally formed to communicate while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inlet part 31.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33)를 눌러 배출관(14)을 하강시키게 되면, 개폐 밸브(20)가 개방되어 용기 본체(11) 내에 충전된 고압의 소화약제는 유입관(12) 및 배출관(14)을 통과한 다음, 분사 노즐(3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4)을 통과한 소화약제는 분사 노즐(30)의 유입부(31)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한 다음, 유입부(31)와 토출부(32)의 분기점에서 직각으로 꺾인 후, 토출부(32)를 따라 수평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눌렀던 누름부(33)를 놓으면, 개폐 밸브(20) 내에 설치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배출관(24)이 원위치(상승)되면서 개폐 밸브(20)가 폐쇄되어 소화약제의 분사가 멈추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ischarge pipe 14 is lowered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33, the high-pressure fir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1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inlet pipe 12 and discharge pipe 14 ), and then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30. At this time,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 vertically rises along the inlet portion 31 of the injection nozzle 30, and then bends at a right angle at the branch points of the inlet portion 31 and the outlet portion 32, It is injected horizontally along the discharge portion (32). And when the released pressing portion 33 is released, the opening/closing valve 20 is closed while the discharge pipe 2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rising) with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nstalled in the opening/closing valve 20 to stop the injec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토출부(32)는 초입 토출구(32a)와 최종 토출구(32b)를 포함하되, 상기 초입 토출구(32a)에서 최종 토출구(32b)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토출부(32)는 소정 각도로 벌어진 확개면(S)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부(31)와 연통된 토출 시작점에서부터 토출 최종점까지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확개형의 토출 구조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rt 32 includes an initial discharge port 32a and a final discharge port 32b, but toward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from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It has a structure with an expanded diameter. That is, the discharge portion 32 includes an enlarged surface S that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s an enlarged discharge structure in which a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a discharge start poin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ortion 31 to a discharge end point.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개형의 토출부(32)에 의해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일직선상의 분사 형태에 비해 소화약제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확산, 분사되어 소화약제의 분사 영역(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소화약제가 일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아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extinguishing radius is wide and the fire can be effectively extinguished by the expanded discharge part 32. Specifical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aight injection type, the extinguishing agent is diffused and spray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so the spraying area (fire suppression radius) of the extinguishing agent is wide, and the amount of the extinguishing agent used is not concentrated at a certain point. Can s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분사 노즐(30)은 아래의 (a) 내지 (c)를 따른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nozzle 30 follows (a) to (c) below.

(a) A : 1.4mm ~ 1.8mm(a) A: 1.4mm ~ 1.8mm

(b) B : 2.5mm ~ 3.0mm(b) B: 2.5mm ~ 3.0mm

(c) L : 6.0mm ~ 6.5mm(c) L: 6.0mm ~ 6.5mm

여기서, A는 초입 토출구(32a)의 직경(내경)이고, B는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내경)이며, L은 초입 토출구(32a)와 최종 토출구(32b) 간의 거리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초입 토출구(32a)의 직경(A)은 1.4mm ~ 1.8mm이고, 상기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B)은 2.5mm ~ 3.0mm이며, 상기 초입 토출구(32a)와 최종 토출구(32b) 간의 거리(L)는 6.0mm ~ 6.5mm인 것이 좋다. Here, A is the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primary discharge port 32a, B is the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and L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discharge port 32a and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Specifical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A) of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is 1.4mm ~ 1.8mm, the diameter (B) of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2.5mm ~ 3.0mm,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L between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and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6.0 mm to 6.5 mm.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B)은 유입부(31)의 내경(C)보다 작다. 즉, 도 3에서, A < B < C이다. 아울러, 상기 최종 토출구(32b)를 통해 분사된 소화약제의 분사 거리는 최소 3m 이상 유지되는 것이 좋다. 이때, 3m 이상의 분사 거리를 유지하는 경우, 적정 각도로 분사되어 화재 진압에 효과적이고, 화염으로부터 사용자가 보호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B of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portion 31. That is, in Fig. 3, A <B <C. In addition, the spray distance of the extinguishing agent sprayed through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preferably maintained at least 3 m. At this time, when maintaining the spraying distance of 3m or more, it is sprayed at an appropriate angle, effective in extinguishing the fire, and the user can be protected from the flame.

본 발명에서 A, B 및 L을 일정한 수치 범위로 특정하고 있는 상기 (a) 내지 (c)의 구성은 압축 용기(10)의 충전압력, 유입부(31)의 직경(내경) 및 배출관(14)의 직경(외경) 등을 고려하고, 이러한 충전압력 및 직경에서 최적의 분사 영역(분사 각도), 분사 거리 및 분사 형태 등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의의가 있다. 이는 아래와 같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a) to (c) in which A, B and L are specified in a certain numerical range is the filling pressure of the compression vessel 10, the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inlet 31, and the discharge pipe 14 Considering the diameter (outer diameter) and the like, there is a tech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the optimum injection area (injection angle), injection distance and injection type at such filling pressure and diameter. This is as follows.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소화기의 경우, 상온에서 약 7.0kgf/㎠의 충전압력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상온은 소화기가 보관되는 실내의 온도로서, 이는 약 15℃ ~ 25℃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용기(10)(스프레이 캔)는 적절한 분사 거리 및 폭발 위험의 방지 등을 위해 약 7.0kgf/㎠(상온 기준)의 압력, 구체적으로는 6.8kgf/㎠ ~ 7.2kgf/㎠의 압력으로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있다. 이는 또한 국내 법규(약 35℃의 온도에서 8.0kgf/㎠ 이하)를 따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입부(31)의 내경(C)은 약 4mm, 구체적으로는 3.8mm ~ 4.2mm 범위 내에 있다. 즉, 상기 유입부(31)의 내경(C)은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설치된 배출관(14)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배출관(14)의 규격(외경)에 의해 약 4mm를 갖는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spray fire extinguisher, it should have a filling pressure of about 7.0 kgf/cm 2 at room temperature. Here, the room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of the room where the fire extinguisher is stored, which may be about 15°C to 25°C. Specifically, as mentioned above,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spray can) has a pressure of about 7.0 kgf/cm 2 (based on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6.8 kgf/cm 2 ~ for proper spraying distance and prevention of explosion risk, etc. The extinguishing agent is filled at a pressure of 7.2 kgf/cm 2. This is also to comply with domestic regulations (less than 8.0kgf/㎠ at a temperature of about 35℃). 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31 is about 4 mm,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3.8 mm to 4.2 mm. That is,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portion 31 has about 4mm by the standard (outer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14 for fitting with the discharge pipe 14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mpression vessel (10).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압축 용기(10)의 충전압력 약 7.0kgf/㎠ 및 유입부(31)의 내경(C) 약 4mm를 기준으로 하여, 분사 노즐(30)이 상기 (a) 내지 (c)를 만족하는 경우, 기존의 압축 용기(10)와 개폐 밸브(20)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면서 최적의 분사 영역(분사 각도), 분사 거리 및 분사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illing pressure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as above, about 7.0kgf/cm 2 and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31, about 4mm, the spray nozzles 30 are the (a) to ( If c) is satisfied, the existing compression container 10 and the opening/closing valve 20 may be applied as they are without modification, and may have an optimal injection area (injection angle), injection distance, and injection form.

먼저, 상기 (a)와 (b)에 있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즉 상기 초입 토출구(32a)의 직경(A)이 너무 크고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B)이 너무 작아 A와 B의 차이가 없거나 작은 경우, 종래와 같이 일직선상의 분사 형태를 가져 분사 영역(화재 진압 반경)이 좁다. 그리고 상기 초입 토출구(32a)의 직경(A)이 너무 작고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B)이 너무 크게 형성되어 A와 B의 차이가 너무 큰 경우, 소화약제의 퍼짐이 심하고 분사압이 떨어져 분사 거리가 짧아진다. First, in the above (a) and (b), when out of the range, that is, the diameter (A) of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is too large and the diameter (B) of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too small A and B When there is no difference or a small difference, the injection region (fire suppression radius) is narrow as it has a conventional injection shape. And when the diameter (A) of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is too small and the diameter (B) of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formed too large, the difference between A and B is too large, the spread of the extinguishing agent is severe and the injection pressure falls. The spraying distance is shortened.

또한, 상기 (c)에 있어, A와 B는 각각 (a)와 (b)를 따르되, L이 6.0mm 미만으로서 너무 짧으면, 소화약제의 일부가 아래로 처지거나 균일한 분포를 갖기 어렵다. 즉, L이 6.0mm 미만인 경우, 대부분의 소화약제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3m 이상으로 분사되기는 하지만, 일부의 소화약제가 최종 토출구(32b)의 근방에서 아래로 처지거나, 분사된 후의 소화약제가 동심원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편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유입부(31)에서 토출부(32)로 직각으로 꺾이면서 유입부(31)의 내경(C)보다 급격히 작아진 초입 토출구(32a)의 분기점에서 발생되는 심한 와류 현상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A와 B는 각각 (a)와 (b)를 따르되, L이 6.5mm를 초과하여 너무 길면, 일직선상의 분사 형태와 가까워질 수 있고, 토출부(32)가 너무 길어진다. In addition, in (c) above, A and B follow (a) and (b), respectively, but if L is too short as less than 6.0 mm, it is difficult for a por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to sag downward or to have a uniform distribution. That is, when L is less than 6.0mm, most of th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at 3m or more at a predetermined angle, but some extinguishing agent is sagging down near the final outlet 32b, or the extinguishing agent after spraying is concentric Eccentricity may occur without being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phase.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a severe vortex phenomenon occurring at the branching point of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which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inlet portion 31 to the discharge portion 32, and is sharp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portion 31. In addition, A and B follow (a) and (b), respectively, but if L is too long, exceeding 6.5 mm, it may become closer to a linear injection form, and the discharge portion 32 may be too lo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 용기(10)의 충전압력 약 7.0kgf/㎠와 유입부(31)의 내경(C) 약 4mm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B)은 유입부(31)의 내경(C)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a), (b) 및 (c)를 따르는 경우, 기존의 압축 용기(10) 및 개폐 밸브(20)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면서 최적의 분사 영역(분사 각도), 분사 거리 및 분사 형태 등을 갖는다. 즉, 소정 각도로 확산, 분사되어 화재 진압 반경이 적절히 넓으면서 최소 3m 이상으로서 분사 거리가 길고, 동심원상에 균일한 분포로 분사되어 우수한 화재 진압능 및 소화약제 절감 효과 등을 갖는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illing pressure of the compression vessel 10, about 7.0kgf/cm 2 and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31, about 4mm, the diameter B of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is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C) of the inlet portion 31, if (a), (b) and (c), while the existing compression vessel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20 can be applied as it is It has an optimal injection area (injection angle), injection distance, and injection type. That is, by spreading and spraying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e extinguishing radius is appropriately wide, and the spraying distance is long as a minimum of 3 m or more, and is sprayed in a uniform distribution on concentric circles, thereby having excellent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and saving effect on extinguishing agents.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A, B 및 L값이 다른 분사 노즐(30)의 시편들에 대하여 분사 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분사 시험은 분사 노즐(30)의 토출부(32)를 지면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이때, 아래의 [표 1]에서, 분사 거리는 토출부(32) 끝단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지점까지의 소화약제 분사 거리이다. 그리고 처짐 발생은 토출부(32) 끝단에서부터 약 2m 이내의 거리에서 처짐이 발생한 경우를 "○", 처짐 발생이 없는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또한, 분포도는 분사 거리 약 2m 지점에서의 동심원 안에 분포된 소화약제 분포도(10초간 분사 후)이다. [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the injection test for the specimens of the injection nozzles 30 having different A, B and L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test was conducted while the discharge part 32 of the spray nozzle 30 was kept horizontal to the ground. At this time, in the [Table 1] below, the injection distance is the distance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32 to the point where it is kept horizontal. In addition, the occurrence of deflection was denoted as "○" when the deflection occurred within a distance of about 2 m from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32, and "X" when no deflection occurred.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is the distribu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distributed in a concentric circle at a spray distance of about 2m (after spraying for 10 seconds).

< 분사 시험 결과 >                           <Results of injection test> 비 고Remark A
[mm]
A
[mm]
B
[mm]
B
[mm]
L
[mm]
L
[mm]
분사 거리
[m]
Spraying distance
[m]
처짐 발생Sagging 분포도Distribution
시편 1
Psalm 1
1.61.6 2.82.8 6.06.0 약 4.1 About 4.1 XX 균일Uniformity
시편 2
Psalm 2
1.21.2 3.43.4 6.06.0 약 2.6 About 2.6 XX 균일Uniformity
시편 3
Psalm 3
1.61.6 2.82.8 5.65.6 약 3.2About 3.2 균일Uniformity
시편 4
Psalm 4
1.21.2 3.43.4 5.65.6 약 2.5About 2.5 편심 현상Eccentric phenomenon

상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A, B 및 L값이 상기 (a) 내지 (c)를 따른 경우에 최소 3m 이상의 분사 거리를 확보하면서 처짐 발생이 없고 균일한 분포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A와 B의 차이가 크고 L이 작으면, 처짐과 편심이 심하게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values of A, B, and L were in accordance with (a) to (c) abov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ag and uniform distribution while securing a spray distance of at least 3 m or more. . In particula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A and B is large and L is small, it was found that deflection and eccentricity are severely gener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는 분사 노즐(30)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뚜껑(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40)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45)(도 2 참고)나 결합홈(47)(도 6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40)의 결합돌기(45)나 결합홈(47)에는 상기 압축 용기(10)의 커링부(15)가 걸리거나 끼움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커링부(15)에 뚜껑(40)의 결합돌기(45)가 걸림을 통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d 40 coupl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pray nozzle (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40, a coupling protrusion 45 (see FIG. 2) or a coupling groove 47 (see FIG. 6) may be formed. The coupling protrusion 45 or the coupling groove 47 of the lid 40 may be coupled to the crimping portion 15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hrough hooking or fitting. In FIG. 2, the coupling protrusion 45 of the lid 40 is illustrated on the curling portion 15 through engage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는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프레이 소화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 분리 방지부재(5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s follows.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ay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ure 4;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는, 상기 분사 노즐(30)이 압축 용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는 분사 노즐(30)의 상측에서 끼워져 압축 용기(10)와 결합된다. 이러한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재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4 to 6,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is to prevent the injection nozzle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which is fitted and compressed at the upper side of the injection nozzle 30 It is combined with the container 10.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may be, for example, transparent or translucent as a plastic material.

상기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는 분리 방지부(51)와, 상기 분리 방지부(51)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52)과, 상기 분리 방지부(51)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차단부(53)와, 상기 차단부(53)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된 측벽부(54)와, 상기 측벽부(54)에 형성된 결합부(55)를 포함한다.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1, an insertion hole 5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1, and a block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1 It includes a 53, a side wall portion 54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blocking portion 53, and a coupling portion 55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54.

상기 분리 방지부(51)는 분사 노즐(30)의 하부 몸체(35)에 밀착되어 분사 노즐(30)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삽입홀(52)에는 분사 노즐(30)의 상부 몸체(34)가 삽입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사 노즐(30)의 하부 몸체(35)는 상부 몸체(34)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34)는 삽입홀(52)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하부 몸체(35)의 표면(35a)에는 분리 방지부(51)의 하측면이 밀착된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body 35 of the injection nozzle 3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jection nozzle 30. The upper body 34 of the injection nozzle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2. As mentioned above, the lower body 35 of the injection nozzle 3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upper body 34.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upper body 34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 and is exposed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35a of the lower body 35 has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51 underneath. The sides are in close contact.

또한, 상기 차단부(53)는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함몰부(16) 상에 위치된다. 상기 차단부(53)는 함몰부(16)에 소화약제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 용기(10)에는 상판(11a)의 커링 시에 함몰부(16)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함몰부(16)에는 소화약제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약제의 분사 시에 상기 함몰부(16) 내부로 소화약제가 유입되거나, 소화기의 보관 시에 상기 함몰부(16)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53)는 함몰부(16) 상에 위치되어 소화약제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In addition, the blocking portion 53 is located on the depression 16 formed at the top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he blocking part 53 blocks the inflow of an extinguishing agent or a foreign substance into the depression 16. As mentioned above, a depression 16 is formed in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when the upper plate 11a is cured. An extinguishing agent or a foreign substance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pression 16 to be stacked. For example, when spraying an extinguishing agent, an extinguishing age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pression 16, or a foreign material may be introduced into the depression 16 when the fire extinguisher is stored and stacked. The blocking portion 53 is located on the depression 16 to block the inflow of extinguishing agents or foreign substances.

상기 측벽부(54)는 압축 용기(10)의 상단 측면에 밀착된다. 즉, 상기 측벽부(54)는 압축 용기(10)의 커링부(15)에 끼워져 밀착된다. 상기 결합부(55)는 압축 용기(10)와 노즐 분리 방지부재(50) 간의 결합력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이는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커링부(15)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55)는 돌기 또는 홈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측벽부(54)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 구조를 예시하였다. 이때, 돌기 구조의 결합부(55)는 측벽부(54)의 내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wall portion 5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hat is, the side wall portion 54 is fitted to the sealing portion 15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o be in close contact. The coupling portion 55 is intended to promot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and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which is coupled to the curling portion 15 formed on the top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he coupling portion 55 may have a protrusion or groove structure, and in the drawing, a protrusion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54 is illustrate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55 of the protrusion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54.

또한, 상기 측벽부(54)에는 절개 홈(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 홈(56)은 측벽부(54)를 커링부(15)에 끼움 결합 시 탄성적으로 벌어져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측벽부(54)의 하단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벽부(54)에는 뚜껑(50)과의 결합력을 위한 돌기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7)는 측벽부(54)의 외측면 상단이나 중앙에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뚜껑(40)의 결합돌기(45)나 결합홈(47)과 걸림 또는 끼움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뚜껑(40)의 결합홈(47)에 돌기부(57)가 끼움을 통해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하였다. In addition, a cut-out groove 56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54. The incision grooves 56 are elastically opened and coupled when the side wall portion 54 is fitted to the curling portion 15, which may be formed in plural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portion 54. In addition, the side wall portion 54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57 for a coupling force with the lid 50. The protrusion 57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to the top or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54, which is engaged or fitt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5 or the engaging groove 47 of the lid 40. Can be combined through. In FIG. 6, the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57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7 of the lid 40 through fitting is illustr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 노즐(30)의 토출부(32)가 소정 각도로 확개되어 화재 진압 반경이 넓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32)가 초입 토출구(32a) 및 최종 토출구(32b)를 포함하되, 상기한 바와 같은 (a) 내지 (c)를 따르는 경우, 최적의 분사 영역, 분사 거리 및 분사 형태 등을 가져 화재 진압능 등이 우수하고 소화약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를 포함하는 경우, 분사 노즐(30)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함몰부(16)에 소화약제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part 32 of the injection nozzle 30 is expa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radius is wide and the fire can be effectively extinguish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charge portion 32 includes the initial discharge port 32a and the final discharge port 32b, but follows (a) to (c) as described above, the optimum injection area, injection It has excellent fire extinguishing ability with distance and spray type, and can reduce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agent. Additionally, when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50 as described above is included, it prevents the inje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epression 16 while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injection nozzle 30.

10 : 압축 용기 20 : 개폐 밸브
30 : 분사 노즐 31 : 유입부
32 : 토출부 33 : 누름부
34 : 상부 몸체 35 : 하부 몸체
40 : 뚜껑 50 : 노즐 분리 방지부재
10: compression container 20: opening and closing valve
30: injection nozzle 31: inlet
32: discharge portion 33: pressing portion
34: upper body 35: lower body
40: lid 50: nozzl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Claims (3)

삭제delete 소화약제가 충전된 용기 본체(11)와,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 유입관(12)과, 상기 용기 본체(11)의 상측에 설치된 배출관(14)을 포함하는 압축 용기(10);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12)과 배출관(14)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20); 및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3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30)은 배출관(14)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유입부(31)와, 상기 유입부(31)와 직각을 이루며 연통되게 형성된 토출부(32)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32)는 초입 토출구(32a)와 최종 토출구(32b)를 포함하되, 상기 초입 토출구(32a)에서 최종 토출구(32b) 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개된 스프레이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 용기(10)의 용기 본체(11)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충전압력은 6.8kgf/㎠ ~ 7.2kgf/㎠이고,
상기 분사 노즐(30)의 유입부(31)는 3.8mm ~ 4.2mm의 내경(C)을 가지며,
상기 분사 노즐(30)의 토출부(32)는 하기 (a) 내지 (c)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소화기.
(a) A : 1.4mm ~ 1.8mm
(b) B : 2.5mm ~ 3.0mm
(c) L : 6.0mm ~ 6.5mm
(여기서, A는 초입 토출구(32a)의 직경이고, B는 최종 토출구(32b)의 직경이며, L은 초입 토출구(32a)와 최종 토출구(32b) 간의 거리이다.)
A compression container (10) comprising a container body (11) fil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an inlet pipe (12)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1), and a discharge pipe (14) installed above the container body (11). );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vessel 10, the on-off valve 20 is installed between the inlet pipe 12 and the outlet pipe 14; And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ncludes a spray nozzle 30 for spraying a fire extinguishing agent,
The injection nozzle 30 includes an inlet portion 31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ipe 14 and an outlet portion 32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portion 31 at right angles,
The discharge part 32 includes a primary discharge port 32a and a final discharge port 32b.
The filling pressure of th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1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s 6.8kgf/cm 2 ~ 7.2kgf/cm 2,
The inlet 31 of the injection nozzle 30 has an inner diameter (C) of 3.8mm ~ 4.2mm,
A spray extingui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jection portion 32 of the injection nozzle 30 follows (a) to (c) below.
(a) A: 1.4mm ~ 1.8mm
(b) B: 2.5mm ~ 3.0mm
(c) L: 6.0mm ~ 6.5mm
(Here, A is the diameter of the primary outlet 32a, B is the diameter of the final outlet 32b, and L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outlet 32a and the final outlet 32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소화기는, 상기 분사 노즐(30)이 압축 용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 용기(10)는 용기 본체(11)의 제조 시에 상판(11a)의 커링(curing)에 의해 형성된 커링부(15) 및 함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30)은 노즐 몸체(30')와, 상기 노즐 몸체(30')의 상단에 형성된 누름부(33)와, 상기 노즐 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부(31) 및 토출부(32)를 포함하되, 상기 노즐 몸체(30')는 상기 노즐 분리 방지부재(50)에 형성된 삽입홀(52)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부 몸체(34)와,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함몰부(16)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3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35)는 상부 몸체(34)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노즐 분리 방지부재(50)는,
상기 분사 노즐(30)의 하부 몸체(35)에 밀착되는 분리 방지부(51);
상기 분리 방지부(51)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분사 노즐(30)의 상부 몸체(34)가 삽입되는 삽입홀(52);
상기 분리 방지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함몰부(16)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함몰부(16)에 소화약제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53);
상기 차단부(53)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 측면에 밀착되는 측벽부(54); 및
상기 측벽부(54)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된 커링부(15)와 결합되는 결합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소화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pray extinguisher further includes a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that prevents the injection nozzle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includes a curling portion 15 and a depression 16 formed by the curing of the top plate 11a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container body 11,
The injection nozzle 30 includes a nozzle body 30', a pressing portion 33 formed on the top of the nozzle body 30', an inlet portion 31 formed inside the nozzle body 30', and Including the discharge portion 32, the nozzle body 3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52 formed in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and the upper body 34 exposed upward and the compression container ( 10) includes a lower body 35 that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16 formed at the top, the lower body 35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upper body 34,
The nozzl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0,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51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body 35 of the spray nozzle 30;
An insertion hole 5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51 and into which the upper body 34 of the injection nozzle 30 is inserted;
I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51 and is located on the recessed part 16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to block the inflow of an extinguishing agent or a foreign substance into the recessed part 16. Part 53;
A side wall part 54 extending from the blocking part 53 and formed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And
Spray extinguish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55)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54) and coupled to the curling portion (15) formed on top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10).
KR1020190066378A 2019-06-05 2019-06-05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Active KR102117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78A KR102117962B1 (en) 2019-06-05 2019-06-05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378A KR102117962B1 (en) 2019-06-05 2019-06-05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962B1 true KR102117962B1 (en) 2020-06-02

Family

ID=7109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378A Active KR102117962B1 (en) 2019-06-05 2019-06-05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9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788B1 (en) 2023-04-13 2023-11-21 주식회사 파이어캅 Button cap for spray-type fire extinguishers and spray nozzle
KR20240108591A (en) * 2023-01-02 2024-07-09 정영신 Portable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protective cap of the spray nozz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585A (en) * 2002-04-26 2003-10-08 손대식 straight spray nozzle of fire extinguisher
KR200344303Y1 (en) *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A spray nozzle for a fire extinguisher
KR100768785B1 (en) 2003-02-25 2007-10-22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Aerosol dispensing nozzle
JP2010502409A (en) * 2006-09-11 2010-01-28 ビーアールケイ ブラ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iquid wet chemical fire extinguishing spray
KR20170084375A (en) 2015-11-30 2017-07-20 정영신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585A (en) * 2002-04-26 2003-10-08 손대식 straight spray nozzle of fire extinguisher
KR100768785B1 (en) 2003-02-25 2007-10-22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Aerosol dispensing nozzle
KR200344303Y1 (en) * 2003-12-19 2004-03-12 주식회사 육송 A spray nozzle for a fire extinguisher
JP2010502409A (en) * 2006-09-11 2010-01-28 ビーアールケイ ブラ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iquid wet chemical fire extinguishing spray
KR20170084375A (en) 2015-11-30 2017-07-20 정영신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8591A (en) * 2023-01-02 2024-07-09 정영신 Portable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protective cap of the spray nozzle
KR102767121B1 (en) * 2023-01-02 2025-02-11 정영신 Portable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protective cap of the spray nozzle
KR102604788B1 (en) 2023-04-13 2023-11-21 주식회사 파이어캅 Button cap for spray-type fire extinguishers and spray nozz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962B1 (en) Diffusion type spray fire extinguisher
TWI558942B (en) Safety valve to release excess pressure from portable gas container for prevention of explosion
US20090078903A1 (en) Solid material valve
US7578454B2 (en) Spray device for fire fighting
US105899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spenser to generate different sprays
US20190127142A1 (en) Safety valve of gas container
US10683947B2 (en) Safety valve and gas cylinder having same
KR20110047319A (en) Spray nozzle for spray extinguisher and spray extinguisher using the same
KR100914620B1 (en) Safety valve for portable gas container
WO2009130461A1 (en)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KR101670360B1 (en) Struucture for drain pipe including appartus for fire prevention
CA2473932A1 (en) Automatic valve
KR101252223B1 (en) A fire extinguisher with multi direction spinning
US6799639B2 (en)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head
US11730989B2 (en) Small space fire extinguisher
US12097515B2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US11612774B2 (en) Dual-chamber fire extinguisher
KR101352541B1 (en) Pump for discharge
US6745847B2 (en) Fire extinguishing spray nozzle
KR20170084375A (en) Spray type fire extinguisher
US20240034542A1 (en) Dual press spray head
KR102384070B1 (en) fire extinguisher using oscillating injection of fluid
KR101897739B1 (en) Aerosol can and valve assembly thereof
KR102767121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equipped with a protective cap of the spray nozzle
KR102370545B1 (en) Pumping valve assembly for aerosol sp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