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7415B1 -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 Google Patents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15B1
KR102117415B1 KR1020190136279A KR20190136279A KR102117415B1 KR 102117415 B1 KR102117415 B1 KR 102117415B1 KR 1020190136279 A KR1020190136279 A KR 1020190136279A KR 20190136279 A KR20190136279 A KR 20190136279A KR 102117415 B1 KR102117415 B1 KR 10211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maxilla
tragedy
instantaneous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환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안태환
주식회사 로믹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환, 주식회사 로믹코리아 filed Critical 안태환
Priority to KR102019013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15B1/ko
Priority to PCT/KR2020/014154 priority patent/WO2021085903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은, 상악골의 전비극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접촉되는 상악골 접촉면과; 상기 전비극의 저면에 접촉되는 전비극 접촉면과; 상기 상악골 접촉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IMPLANT FOR SURGERY IMPROVING NASOLABIAL ANGLE}
본 발명은 성형 수술용 삽입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비순각을 개선하기 위한 수술용 삽입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코 성형 수술은 코를 높이는 확대 코 성형(augmentation rhinoplasty) 수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코를 높이는 수술뿐만 아니라 코끝을 함께 올리는 수술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코끝을 올리는데 어떤 소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수술 방법이 수행되고 있다. 코끝 수술에는 귀연골, 비중격연골, 늑연골 등의 자가 연골(autologous cartilages)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가 연골은 그 양이 한정적이고, 채취부위의 합병증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코끝 수술에 사용되는 인공 재료(alloplastic materials)로는 메드포어, PCL 메쉬 플레이트(polycaprolactone mesh plate), 실리콘 등이 있다. 이러한 인공 재료는 장단점을 가지며, 이 중 실리콘은 코 성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 보형물은 저렴하고 조직 안정성이 뛰어나고, 재수술 시에 제거가 용이하며, 콧대 성형과 더불어 코끝까지 동시에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코 성형을 한 후에 코가 점차 짧아지는 캡슐 구축(capsular contracture) 현상과, 코끝 피부가 점차 얇아져 생기는 돌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보형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동양인들은 비순각(코와 입술이 연결되는 각도)이 70도 내외의 예각인 경우가 많은데, 비순각 개선을 위한 대체 보형물 개발이 필요하다. 비순각이 95도 내외인 경우가 심미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순각을 95도 내외로 만들 수 있는 비순각 개선 수술을 위한 수술용 삽입물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7523호(2000.09.15.)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비순각을 개선하는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은, 상악골의 전비극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접촉되는 상악골 접촉면과; 상기 전비극의 저면에 접촉되는 전비극 접촉면과; 상기 상악골 접촉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상악골 접촉면 및 상기 외측면은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상기 외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비극 접촉면은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은 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악골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악골 접촉면 및 상기 외측면 간의 두께는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전비극 접촉면은 상기 상악골 접촉면의 상단변 및 상기 외측면의 상단변 간에 연결되고, 상기 상악골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으로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순각을 개선하는 수술을 함에 있어서 인공 삽입물을 제공하여, 환자의 비순각을 개선하는 수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사람의 두개골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을 전비극 접촉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을 저면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을 AA방향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을 상악골 접촉면이 정면이 되도록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이 두개골 모형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사람의 두개골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람의 두개골은 위턱을 구성하는 상악골(20)을 포함한다. 상악골(20)은 코의 비중격연골의 아래 부분에 접촉되는 전비극(21)을 포함한다. 상악골(20)의 전비극(21)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영역 및 전비극(21)이 서로 이루는 각도와 전비극(21)의 돌출 정도는 비순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을 전비극 접촉면(120)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을 저면(140)이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을 AA방향으로 절단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을 상악골 접촉면(110)이 정면이 되도록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이 두개골 모형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코기둥과 인중이 만나는 부위에 삽입되어 비순각을 개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상악골 접촉면(110), 전비극 접촉면(120), 외측면(130) 및 저면(14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PCL(polycaprolactone)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PCL 재료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le)이 우수한 물질이다. 생분해성 고분자(biodegradable polymer) 물질인 PCL(polycaprolactone)은 체내에서 우수한 생체적합성(biocompatible) 및 무독성(ton-toxic)을 갖는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생체 이식물로서의 구조적 안정성과 강한 유지력을 갖는 PCL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PCL을 이용한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감마 소독(gamma sterilized)된 다공성 PCL 메쉬를 사용할 수 있다. PCL 메쉬는 지름이 약 0.3mm인 섬유구조물로 구성되고, 0/60/120°의 레이-다운 패턴(lay-down pattern)을 가진 다공성 상호 연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PCL 메쉬는 70%의 공극률(porosity)를 가질 수 있다.
PCL은 고분자 에스테르 결합의 가수분해에 의해 정상적인 대사 경로를 통해 재흡수 되고, 쉽게 배설되는 안전한 무독성 생체 흡수 물질이다. PCL 메쉬는 다공성 특징을 가지며, 이로 인해 체내 이식 후 혈액과 세포 내용물이 모세혈관 작용을 통해 기공으로 흡수되어 감염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PCL 메쉬는 크기와 모양을 정교하고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이식 재료로 사용하기 편리하며, 분해 되는데 2년 이상 걸려 그 강도가 오래 유지되고, 평생 체내에 남아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잠재적인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PCL을 이용한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압력을 받더라도 변형되지 않고 견딜 수 있다. 또한, PCL을 이용한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으므로 수술 후에도 환자의 코와 인중의 형상 및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PCL 외의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으며, 감염 위험이 적고, 압력이나 충격에 대한 강도가 충분한 다른 재료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악골 접촉면(110)은 상악골(20)의 전비극(2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접촉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악골 접촉면(110)은 양 끝단으로부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외측면(130)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악골 접촉면(110)은 일반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상악골(20)의 전비극(2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대응됨으로써,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이 수술에 의해 삽입된 경우 상악골(20)의 부착된 영역에 대한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전비극 접촉면(120)은 전비극(21)의 저면에 접촉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비극 접촉면(120)은 상악골 접촉면(110)의 상단 변으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전비극 접촉면(120)은 상악골 접촉면(110)의 상단변 및 외측면(130)의 상단변 간에 연결되게 제공될 수 있다. 전비극 접촉면(120)은 양 끝단으로부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비극 접촉면(120)은 상악골 접촉면(110)으로부터 외측면(130)으로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비극 접촉면(120)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위방향을 경사지는 전비극(21)의 저면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이 수술에 의해 삽입된 경우 전비극(21)의 저면에 대한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외측면(130)은 상악골 접촉면(110)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측면(130)은 전비극 접촉면(120)의 상단변으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다. 외측면(130)은 양 끝단으로부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외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이 수술에 의해 삽입된 경우 수술된 부위가 보다 자연스러운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130)은 위 방향으로 갈수록 상악골 접촉면(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이 수술에 의해 삽입된 경우, 코기둥과 인중이 이루는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악골 접촉면(110) 및 외측면(130) 간의 두께는 양 끝단으로부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끝단이 얇게 제공됨으로써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이 제공된 영역과 제공되지 않은 영역 간의 경계에서의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수술 후 보다 자연스러운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운데는 두껍게 제공됨으로써 비순각 개선 효과는 충분히 가질 수 있다.
저면(140)은 상악골 접촉면(110)의 하단변 및 외측면(130)의 하단변 간에 연결되게 제공된다. 저면(140)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의 저면(140)의 형상은 상악골 접촉면(110) 및 외측면(13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저면(140)의 형상은 평평하게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목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측면에서 바라볼 때,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의 상단에서 전비극 접촉면(120)의 상단까지의 거리(D1)는 7 내지 80mm로 제공될 수 있다. 상악골 접촉면(110)의 상단에서 전비극 접촉면(120)의 상단까지의 거리(D2)는 4 내지 50mm로 제공될 수 있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의 상단의 높이(D3)는 4 내지 50mm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면(130)의 상단의 높이(D4)는 6mm 내지 75mm로 제공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의 하단에서 외측면(130)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까지의 거리(D5)는 6 내지 70mm로 제공될 수 있다. 상악골 접촉면(110)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에서 외측면(130)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까지의 거리(D6)는 3 내지 40mm로 제공될 수 있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 간의 수평 직선 거리(D7)는 8 내지 100mm로 제공될 수 있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에서의 외측면(130) 및 상악골 접촉면(110) 간의 수평 거리(D8)는 0.5mm에서 10mm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에서 바라볼 때,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의 상단에서 전비극 접촉면(120)의 상단까지의 거리(D1)는 8mm로 제공될 수 있다. 상악골 접촉면(110)의 상단에서 전비극 접촉면(120)의 상단까지의 거리(D2)는 5mm로 제공될 수 있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의 상단의 높이(D3)는 5mm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면(130)의 상단의 높이(D4)는 7.5mm로 제공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의 하단에서 외측면(130)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까지의 거리(D5)는 7mm로 제공될 수 있다. 상악골 접촉면(110)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에서 외측면(130)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까지의 거리(D6)는 4mm로 제공될 수 있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 간의 수평 직선 거리(D7)는 10mm로 제공될 수 있다.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의 양 끝단에서의 외측면(130) 및 상악골 접촉면(110) 간의 수평 거리(D8)는 1mm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가지나, 환자에 맞게 적절한 크기로 절단되거나 그라인딩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100)은 코기둥과 인중이 만나는 부위에 삽입되고, 그 형상에 의해, 삽입된 부위의 뼈에 밀착도 높은 형상으로 제공되어 비순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상악골 21: 전비극
100: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110: 상악골 접촉면
120: 전비극 접촉면 130: 외측면
140: 저면

Claims (5)

  1. 상악골의 전비극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접촉되는 상악골 접촉면;
    상기 전비극의 저면에 접촉되는 전비극 접촉면;
    상기 상악골 접촉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 및
    상기 상악골 접촉면의 하단변 및 상기 외측면의 하단면 간에 연결되는 저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악골 접촉면 및 상기 외측면은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상기 외측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전비극 접촉면은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외측면은 위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악골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고,
    상기 상악골 접촉면 및 상기 외측면 간의 두께는 양 끝단으로부터 상기 양 끝단 간의 가운데로 갈수록 두꺼워지고,
    감마 소독된 다공성 PCL 메쉬로 제공되는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양 끝단의 상단에서 상기 전비극 접촉면의 상단까지의 거리,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악골 접촉면의 상단에서 상기 전비극 접촉면의 상단까지의 거리, 상기 양 끝단의 상단의 높이, 상기 외측면의 상단의 높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양 끝단의 하단에서 상기 외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까지의 거리, 상기 상악골 접촉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에서 상기 외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위치되는 하단까지의 거리, 상기 양 끝단 간의 수평 직선 거리 및 상기 양 끝단에서의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상악골 접촉면 간의 수평 거리의 비는 8:5:5:7.5:7:4:10:1로 제공되는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36279A 2019-10-30 2019-10-30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Active KR10211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79A KR102117415B1 (ko) 2019-10-30 2019-10-30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PCT/KR2020/014154 WO2021085903A1 (ko) 2019-10-30 2020-10-16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79A KR102117415B1 (ko) 2019-10-30 2019-10-30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852A Division KR20210052168A (ko) 2020-05-26 2020-05-26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415B1 true KR102117415B1 (ko) 2020-06-09

Family

ID=7108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279A Active KR102117415B1 (ko) 2019-10-30 2019-10-30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7415B1 (ko)
WO (1) WO20210859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8102A (zh) * 2020-12-31 2021-04-09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设置在鼻嵴前上方的填充假体及假体模型
WO2021085903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로믹코리아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23Y1 (ko) 2000-04-06 2000-09-15 박흥식 전비극 이식편
KR20100008951U (ko) * 2009-03-03 2010-09-13 송기찬 턱 성형용 보형물
KR101505385B1 (ko) * 2014-10-06 2015-03-25 이규식 코 성형용 연골 지지대
KR101999501B1 (ko) * 2019-03-06 2019-07-11 송형민 코 성형용 콧기둥 보형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415B1 (ko) * 2019-10-30 2020-06-09 안태환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523Y1 (ko) 2000-04-06 2000-09-15 박흥식 전비극 이식편
KR20100008951U (ko) * 2009-03-03 2010-09-13 송기찬 턱 성형용 보형물
KR101505385B1 (ko) * 2014-10-06 2015-03-25 이규식 코 성형용 연골 지지대
KR101999501B1 (ko) * 2019-03-06 2019-07-11 송형민 코 성형용 콧기둥 보형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903A1 (ko) * 2019-10-30 2021-05-06 주식회사 로믹코리아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CN112618102A (zh) * 2020-12-31 2021-04-09 北京大学第三医院(北京大学第三临床医学院) 一种设置在鼻嵴前上方的填充假体及假体模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903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Total ear reconstruction using porous polyethylene
KR102117415B1 (ko)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US20120135376A1 (en) Collagen Biomaterial Wedge
US10111988B2 (en) Porous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polytetrafluoroethylene (versions), dental implant, vascular implant and tissue implant for substitution plasty of soft tissues
KR102061194B1 (ko) 코 수술용 삽입물
KR101741255B1 (ko) 두께 구배를 가지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CN107280789B (zh) 一种牙种植体
CN100500115C (zh) 多孔纳米碳-聚乙烯醇水凝胶人工角膜
CN210811770U (zh) 一种用于植入物的可吸收塑性屏障
KR20210052168A (ko) 비순각 개선 수술용 삽입물
CN103284807A (zh) 人工牙种植体
KR102344360B1 (ko) 다공성 상호 연결 구조를 갖는 코 수술용 삽입물
CN209136989U (zh) 一种具有凹槽结构的颅骨修复补片
KR200459611Y1 (ko) 턱 성형용 보형물
CN212261575U (zh) 一种增加种植体基台周围软组织封闭作用的两段式种植体
CN212879681U (zh) 一种双翼鼻翼基底假体
CN113069229A (zh) 一种具有多段结构的3d打印根骨植入体
CN209678756U (zh) 鼻用软骨组织生长塑形模体
CN201920937U (zh) 一种防滑人工假体植入体
CN209203569U (zh) 膜配适钉
CN210582692U (zh) 一种具有多孔结构的根形种植牙
CN221731069U (zh) 一种复合鼻假体结构
CN215688780U (zh) 一种mt结构式鼻头支架
Şengezer et al. Reconstruction of the microtic external ear in adults using porous polyethylene implant
CN210170230U (zh) L形卡槽式医用硅胶假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9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