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7387B1 -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387B1
KR102117387B1 KR1020140012951A KR20140012951A KR102117387B1 KR 102117387 B1 KR102117387 B1 KR 102117387B1 KR 1020140012951 A KR1020140012951 A KR 1020140012951A KR 20140012951 A KR20140012951 A KR 20140012951A KR 102117387 B1 KR102117387 B1 KR 10211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deck
semi
residence
submersible drilling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501A (ko
Inventor
이수호
문현우
안성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3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3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 데크 하측에 거주구가 배치됨으로써, 상부 데크와 컬럼의 연결부의 구조 강성의 보강과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구조적 안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음과 냄새로부터 분리된 쾌적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부 데크의 상측에 거주구가 배치되지 않아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부 데크 아래에 수밀구조 탱크를 다수 확보하여 건현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ARRANGEMENT SCHEME OF LIVING QUARTER IN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거주구와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상부 데크 하측에 배치한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은 해저에 매장된 원유와 가스의 시추를 목적으로 하는 시추설비이다.
반잠수식 시추선은 자동 위치 제어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드릴링 작업시 안정성이 높고, 깊고 거친 바다에서도 시추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심해유전 개발시 반잠수식 시추선과 같은 시추 설비를 이용해 최대 시추 수심(Water Depth)과 최대 시추 깊이(Drilling Depth)가 점점 깊어지는 추세이다. 반면, 드릴십(Drill Ship)은 넓은 수선면적으로 인해 데크 적치량을 늘릴 수 있지만, 선박 형태이기 때문에 드릴링 작업성은 저하된다.
도 1은 종래 반잠수식 시추선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잠수식 시추선은 부력을 형성하는 폰툰(Pontoon)(1)과, 폰툰(1)의 상부에 설치되고 시추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며 중앙부에 시추 작업이 가능하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는 상부 데크(Upper deck)(2)와, 폰툰(1)과 상부 데크(2)를 연결하는 복수의 컬럼(Column)(3)과, 문풀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릭(Derrick)(4)을 구비한다.
상기 데릭(4)은 트러스(truss) 구조로 형성되며, 시추 작업시 굴착 공에 설치되는 굴착 파이프(drillging pipe)와, 해저에 굴착 작업시 지반 붕괴를 방지하도록 굴착 공 주위에 설치되는 파이프인 케이싱(casing)과, 해저에서부터 반잠수식 시추선 사이에 설치되는 일련의 파이프인 라이저(riser) 등 해저로 내려지는 구조물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데크(2)의 일 측에는 작업자들의 생활 공간이자 문화 공간인 거주구(Living Quarter)(5)가 마련된다. 거주구(5) 상부에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헬리 데크(6)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거주구와 작업장이 같은 높이에 위치하므로, 소음과 냄새 등에 취약하고 시추선 전체의 무게중심(VOG)이 높아져 선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번호 제10-2013-005125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 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상부 데크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상부 데크와 컬럼의 연결부의 구조 강성의 보강과 해양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구조적 안정을 구현함은 물론 소음과 냄새로부터 분리된 쾌적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는 상부 데크 하측에 거주구가 설치된다. 오수 수집 탱크와 같은 수밀구조 탱크 등도 상부 데크 하측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거주구는 상기 상부 데크의 바닥면과 파도의 영향을 받는 물보라 지역(Splash Zone)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저면 구조는 아치 형 또는 마주보는 2개의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상기 상부 데크의 저면으로 돌출된 독립된 하나의 단일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데크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각 컬럼을 기준으로 별개의 블록으로 상기 상부 데크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데크와 컬럼의 연결부 모서리가 완만한 각도를 유지하여 강성이 보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데크의 가운데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하여 에어 갭(Air Gap; 해수면과 상부 데크 저면의 시추선이 갑작스런 상하이동에 의해 압력을 받는 현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에서 상기 상부 데크 쪽으로 이동을 위하여 컬럼의 내부 혹은 외부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데크의 하측에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이 배치됨으로써, 상부 데크와 컬럼의 연결부의 구조 강성의 보강과 해양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구조적 안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음과 냄새로부터 분리된 쾌적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데크의 상측에 거주구가 배치되지 않아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부 데크 아래에 수밀구조 탱크를 다수 확보하여 건현(乾舷)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반잠수식 시추선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에 있어서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형상이 아치형인 도면이고,
도 4는 마주보는 2개의 삼각형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배치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에 있어서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형상이 아치형인 도면이고, 도 4는 마주보는 2개의 삼각형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100)은 부력을 형성하는 폰툰(Pontoon)(110)과, 폰툰(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시추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며 중앙부에 시추 작업이 가능하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는 상부 데크(Upper deck)(120)와, 폰툰(110)과 상부 데크(1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컬럼(Column)(130)과, 문풀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릭(Derrick)(140)과, 상부 데크(120)의 하부에 설치된 상부 구조물(15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서는, 상부 데크(120)의 하측에 거주구(151) 및/또는 오수 수집 탱크와 같이 수밀구조 탱크(152)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15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150)이란 거주구(151)와 수밀구조 탱크(152)는 물론 기타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거주구(151)는 상기 상부 데크(120)의 바닥면과 파도의 영향을 받는 물보라 지역(Splash Zone)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 데크(120)의 하측에는 거주구(151) 뿐만 아니라 오수 수집탱크, 액체 화물 탱크와 같은 수밀구조 탱크(15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151) 및/또는 오수 수집 탱크와 같이 수밀구조 탱크(152)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150)의 저면 구조는 아치형(도 3 참조)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마주보는 2개의 삼각형(도 4 참조)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151)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152)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150)은 상기 상부 데크(120)의 저면으로 돌출된 독립된 하나의 단일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데크(120)의 하측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데크(120)와 컬럼의 연결부 모서리가 완만한 각도를 유지하여 강성이 보강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상부 데크(120)의 가운데 높이는 그대로 유지하여 에어 갭(Air Gap; 해수면과 상부 데크(120) 저면이 시추선의 갑작스런 상하이동에 의해 압력을 받는 현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주구(151)에서 상기 상부 데크(120) 쪽으로 이동을 위하여 컬럼(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엘리베이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배치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200)은 부력을 형성하는 폰툰(Pontoon)(210)과, 상기 폰툰(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시추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이 설치되며 중앙부에 시추 작업이 가능하도록 문풀(Moonpool)이 형성되는 상부 데크(Upper deck)(220)와, 상기 폰툰(210)과 상부 데크(2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컬럼(Column)(230)과, 문풀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릭(Derrick)(240)과, 상부 데크(220)의 하측에 설치된 구조물(25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서는, 상부 데크(220)의 하측에 거주구(251)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252)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25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거주구(251)는 상기 상부 데크(220)의 바닥면과 파도의 영향을 받는 물보라 지역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 데크(220)의 하측에는 거주구(251) 뿐만 아니라 수밀구조 탱크(252)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서는, 구조물(150)이 상기 상부 데크(120)의 저면으로 돌출된 독립된 하나의 단일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데크(120)의 하측에 탑재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에서는, 각 구조물(250)이 상기 상부 데크(220)의 각 컬럼(230)을 기준으로 별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데크(220)의 하측에 탑재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상부 데크(220)의 가운데 높이는 그대로 유지하여 에어 갭(Air Gap; 해수면과 상부 데크(220) 저면이 시추선의 갑작스런 상하 이동에 의해 압력을 받는 현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주구(251)에서 상기 상부 데크(220) 쪽으로 이동을 위하여 컬럼(2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엘리베이터(2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데크의 하측에 거주구 및/또는 수밀구조 탱크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이 배치됨으로써, 상부 데크와 컬럼의 연결부의 구조 강성의 보강과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구조적 안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소음과 냄새로부터 분리된 쾌적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데크의 상측에 거주구가 배치되지 않아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상부 데크 아래에 수밀 구조탱크를 다수 확보하여 건현(乾舷)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반잠수식 시추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은 반잠수식 시추선뿐만 아니라 다른 해상 부유식 구조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반잠수식 시추선
110: 폰툰(Pontoon)
120: 상부 데크(Upper deck)
130: 컬럼(Column)
140: 데릭(Derrick)
150: 구조물
151: 거주구
152: 수밀구조 탱크
160: 엘리베이터
200: 반잠수식 시추선
210: 폰툰
220: 상부 데크
230: 컬럼
240: 데릭
250: 구조물
251: 거주구
252: 수밀구조 탱크

Claims (9)

  1. 부력을 형성하는 폰툰;
    상기 폰툰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데크; 및
    상기 폰툰과 상부 데크를 연결하는 복수의 컬럼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데크의 하측에 거주구 및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이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 및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은 상기 상부 데크의 저면으로 돌출된 독립된 하나의 단일 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데크의 하측과 컬럼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데크의 바닥면과 물보라 지역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거주구 및 수밀구조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저면 구조가 아치 형 또는 마주보는 2개의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상부 데크와 컬럼의 연결부 모서리가 완만한 각도를 유지하여 강성이 보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데크의 가운데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하여 에어 갭(Air Gap)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에서 상기 상부 데크 쪽으로 이동을 위하여 컬럼의 외주 또는 내부 어느 한 곳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20140012951A 2014-02-05 2014-02-05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211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51A KR102117387B1 (ko) 2014-02-05 2014-02-05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51A KR102117387B1 (ko) 2014-02-05 2014-02-05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01A KR20150092501A (ko) 2015-08-13
KR102117387B1 true KR102117387B1 (ko) 2020-06-01

Family

ID=5405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51A Expired - Fee Related KR102117387B1 (ko) 2014-02-05 2014-02-05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649A (ko) 2015-09-04 2017-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작업 지원선 장착형 시추 해양구조물 및 그 시추작업 지원선 장착형 시추 해양구조물의 운용방법
KR101751846B1 (ko) 2015-09-04 2017-06-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작업 지원선 장착형 시추 해양구조물 및 그 시추작업 지원선 장착형 시추 해양구조물의 운용방법
CN111301624A (zh) * 2020-04-14 2020-06-19 山东省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2455A1 (en) * 1998-03-31 2002-07-18 Kellogg Stanley Groedecke Semi-submersible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58B1 (ko) * 2009-03-05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효율적인 분체 이송 구조를 갖는 반잠수식 시추기지선
CN102762445B (zh) * 2009-09-14 2015-04-22 爱德船务服务有限公司 回收和部署船舶的近海装置
KR101292324B1 (ko) 2011-11-09 2013-07-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반잠수식 시추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2455A1 (en) * 1998-03-31 2002-07-18 Kellogg Stanley Groedecke Semi-submersible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01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62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KR102001278B1 (ko) 낮은 수직운동의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40026370A (ko) 밸러스트 작용 가능한 회전 대칭형 선체 및 문풀을 갖는 생산 유닛
KR20010085480A (ko) 저요동성 반잠수형 선박
CN105292391A (zh) 一种浮式钻井生产储油装置泵舱设计
KR102117387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AU2008294758A1 (en) A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KR101290804B1 (ko) 반잠수식 시추선
US20120114421A1 (en)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NO337402B1 (no) Et flytende skrog med stabilisatorparti
KR101793959B1 (ko)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KR20150021611A (ko) 버티컬폰툰 타입 세미 리그
KR101400216B1 (ko) 반잠수식 해양 설비의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아지무스 스러스터 설치 방법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101593977B1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20150059200A (ko) 유빙 방지 장치를 구비한 반잠수식 시추선
KR20140006276A (ko) 스러스터를 구비하는 반잠수식 시추선
US20100186653A1 (en) Extended-deck jack-up
KR101466055B1 (ko) 슬로싱 저감 장치
KR20150004309U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30051259A (ko) 반잠수식 시추선
KR102477560B1 (ko) 복합 해양구조물
KR20150053042A (ko) 반 잠수식 시추선의 푼툰 상하동요 저감장치
KR101713855B1 (ko) 시추용 파이프가 적재되는 해치 커버가 구비된 시추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2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