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6977B1 -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977B1
KR102116977B1 KR1020130040028A KR20130040028A KR102116977B1 KR 102116977 B1 KR102116977 B1 KR 102116977B1 KR 1020130040028 A KR1020130040028 A KR 1020130040028A KR 20130040028 A KR20130040028 A KR 20130040028A KR 102116977 B1 KR102116977 B1 KR 10211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oped
ring resonator
waveguide
therm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191A (ko
Inventor
양문승
조성호
모하메드 라킵 우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977B1/ko
Priority to US13/973,521 priority patent/US9207469B2/en
Publication of KR2014012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9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02F1/0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0Temperature independ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비열 광 변조기는 도파로로부터 입력되는 광을 받으며, 상기 도파로로 변조된 광을 출력하며 중앙에 리지부가 형성된 링 공진기와, 상기 링 공진기에서 상기 리지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 공진기에 전계를 형성하는 전기를 주입하는 경로인 제1콘택 및 제2콘택과, 상기 리지부를 덮는 폴리머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지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트렌치를 폴리머를 채워서 형성된 층이다.

Description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Athermal optical mod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비열 광학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변화에 의한 방출 파장의 변화가 적은 광학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전(opto-photonic) 소자는 신호 전송을 광학 소자를 이용하며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해 전기를 사용한다. 광전 소자에 사용되는 광 변조기는 주로 반도체 기판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며, 광신호를 전달하는 소자는 CMOS 공정과 호환가능한 실리콘(Si)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광 변조기는 마흐 젠더 형과 링 공진기 형이 있다. 마흐 젠더 형에 비해서 링 공진기 형 광변조기는 크기가 작고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이 낮다.
그러나, 실리콘을 포함한 광 변조기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굴절율이 달라지고 따라서 실리콘의 높은 열적-광학 계수(thermo-optic coefficient)로 이송(propagation) 파장이 달라지며, 결과적으로 원하는 광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 기판의 광 변조기는 온도에 대한 파장 변화가 0.11 nm/K 일 수 있다.
온도에 따른 파장 변화를 최소화하며, 기존 CMOS 공정과 호환이 가능한 공정으로 제조되는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는:
도파로;
상기 도파로로부터 입력되는 광을 받으며, 상기 도파로로 변조된 광을 출력하며 중앙에 리지부가 형성된 링 공진기;
상기 링 공진기에서 상기 리지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 공진기에 전계를 형성하는 전기를 주입하는 경로인 제1콘택 및 제2콘택; 및
상기 리지부를 덮는 폴리머층;을 구비한다.
상기 링 공진기는 절연층 상에서 상기 공진기의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과,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과,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과,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택은 상기 p+ 도핑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콘택은 상기 n+ 도핑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상에서 상기 링 공진기를 덮는 보호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택과 상기 제2 콘택은 상기 보호층에서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을 노출시키는 비아를 채운 금속메탈이다.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은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 중 상기 링 공진기에서 외측에 형성된 콘택에는 상기 도파로와 마주보는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지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트렌치를 채워서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트렌치의 폭은 상기 리지부의 폭 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리지부는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파로 및 상기 링 공진기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의 제조방법은:
소이 기판의 상부 실리콘층을 식각하여 도파로 및 링 공진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링 공진기를 도핑하여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 및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링 공진기 상으로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을 노출시키는 비아를 형성하고 상기 비아를 메탈로 채워 제1 콘택 및 제2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 사이에서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을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에 폴리머층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비열 특성을 가진 폴리머가 리지부를 감싸므로 비열 광 변조기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안정된 파장을 가진다.
또한, 제1 콘택 및 제2 콘택이 링 공진기의 링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므로 링 공진기의 전계 형성이 빠르고, 안정되며, 결과적으로 출력 광의 파장이 일정하게 된다.
또한, 고온 공정인 전극 공정 이후에 폴리머층을 트렌치에 형성하므로, 폴리머층의 폴리머가 고온 전극공정에 의해 녹아서 소자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다.
도 2는 상기 도 1의 II-II' 선단면도다.
도 3a 내지 도 3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단면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10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II-II' 선단면도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110) 상에 절연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층(112) 상에는 도파로(120)와 링 공진기(ring resonator)(130)가 형성된다. 도파로(120)와 링 공진기(130)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파로(120)와 링 공진기(130)는 소이(SOI: silicon on insulation) 기판의 상부 실리콘층(114)에 형성될 수 있다. 링 공진기(130)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링 공진기(130)는 링 형상뿐만 아니라 타원 링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 공진기(130)는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131),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132),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133), 및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134)을 포함한다. 링 공진기(13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134),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133),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132), 및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1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P+ 도핑부분(131)과 n+ 도핑부분(134)은 각각 1018 ~ 1019 /cm3 농도로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일 수 있으며, p 도핑부분(132)과 n 도핑부분(133)은 각각 1015 ~ 1017 /cm3 농도로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링 공진기(130)에서 중앙에 형성된 n 도핑부분(133)과 p 도핑부분(132)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p+ 도핑부분(131)과 n+ 도핑부분(134) 보다 돌출된 리지부(R)를 구성한다. 링 공진기(130)에서 광은 주로 리지부(R)를 통해서 이동된다. 링 공진기(130)의 직경은 대략 1~50㎛일 수 있다. 리지부(R)의 높이는 대략 90~150nm 일 수 있으며, 도파로(12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다. 리지부(R)의 단면 폭은 대략 200nm ~ 1000nm 일 수 있다. 도파로(120) 및 리지부(R) 사이의 폭은 대략 200nm ~ 1000nm 일 수 있다.
절연층(112) 상에서 도파로(120) 및 링 공진기(130)는 보호층(140)으로 덮여 있다. 보호층(140)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40)은 절연층(112)과 함께 광 이송경로의 클래딩으로 작용할 수 있다.
링 공진기(130)의 p+ 도핑부분(131)에는 제1 콘택(161)이 접촉되며, n+ 도핑부분(134)에는 제2 콘택(162)이 접촉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140)에는 p+ 도핑부분(131)과 n+ 도핑부분(134)를 각각 노출시키는 비아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아홀에는 비아 메탈이 채워져 있다. 이 비아 메탈이 제1 콘택(161) 및 제2 콘택(162)이다. 제1 콘택(161)과 제2 콘택(162)도 도 1에서 보듯이 링 공진기(130)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콘택(161)이 링 형상인 경우, 도 1에서처럼 도파로(120)에 인접한 영역에는 개구부(161a)가 형성된다. 개구부(161a)는 제1 콘택(161)이 도파로(120) 및 링 공진기(130) 사이의 광의 이동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실리콘층(114) 상에서 제1 콘택(161) 및 제2 콘택(162) 사이에 트렌치(T)가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T)는 리지부(R)를 내포하도록 형성된다. 트렌치(T)의 폭(W1)은 리지부(R)의 폭(W2) 보다 크다. 트렌치(T)는 링 공진기(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트렌치(T) 내에는 폴리머가 채워져 있다. 폴리머가 채워져서 형성된 폴리머층(150)은 예컨대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층(150)은 대략 100nm ~ 5㎛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층(150)은 도 2에서 보면 그 상부가 노출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머층(150) 상으로 보호층(140)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구조는 도 3D를 참조한다.
보호층(140) 상에서 제1 콘택(161) 및 제2 콘택(162)과 각각 연결된 제1 전극패드(171) 및 제2 전극패드(172)가 형성되어 있다.
도파로(120)로 입력된 광은 도파로(120)를 지나면서 개구부(161a)를 통해서 링 공진기(130)로 전이된다. 전이된 광은 링 공진기(130)를 순환한 뒤, 개구부(161a)를 통해서 도파로(120)로 다시 전이되어서 출력된다. 이 때, 제1 전극패드(171) 및 제2 전극패드(172)를 통해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링 공진기(130)를 통해서 도파로(120)로 이송된 광의 주파수가 변조된다. 도파로(120)로부터 출력된 광을 검출시 검출된 주파수에 따라서 광신호가 정해진다.
실리콘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지고 따라서 실리콘의 높은 열적-광학 계수(thermo-optic coefficient)로 이송되는 광의 파장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원하는 광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폴리머층(150)은 실리콘 보다 상대적으로 열적-광학 계수가 낮다. 폴리머층(150)을 포함하는 비열 광 변조기는 온도에 대한 파장 변화가 0.5 pm/K 일 수 있다. 따라서, 비열 광 변조기는 안정적으로 거의 동일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콘택(161) 및 제2 콘택(162)은 링 공진기(13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 전극패드(171) 및 제2 전극패드(172)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링 공진기(130)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링 공진기(130)에 일정한 전계를 형성되므로, 비열 광 변조기는 안정된 광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열 광 변조기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리콘 기판(210) 상에 절연층(212) 및 상부 실리콘층(2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소이(SOI: silicon on insulator) 기판을 준비한다. 상부 실리콘층(214)을 패터닝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로(도 1의 120 참조)와 링 공진기(230)를 형성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편의상 도파로를 생략하였다.
링 공진기(230)는 돌출된 리지부(R)를 포함한다. 반도체 공정에서 잘 알려진 임플랜트 공정으로 순차적으로 도핑하여 링 공진기(230)의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231),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232),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233), 및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234)을 형성한다. p 도핑부분(232) 및 n 도핑부분(233)은 리지부(R)에 해당된다. 편의상 p+ 도핑부분(231)이 도파로(220)와 마주보는 외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P+ 도핑부분(231)과 n+ 도핑부분(234)은 각각 1018 ~ 1019 /cm3 농도로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일 수 있으며, p 도핑부분(232)과 n 도핑부분(233)은 각각 1015 ~ 1017 /cm3 농도로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상부 실리콘층(214) 상으로 제1 보호층(240)을 형성한다. 제1 보호층(240)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240)의 상면으로부터 p+ 도핑부분(231) 및 n+ 도핑부분(234)을 각각 노출시키는 비아(240a)를 형성하고 비아(240a)를 메탈로 채워 제1 콘택(241) 및 제2 콘택(242)을 형성한다. 제1 콘택(241) 및 제2 콘택(24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콘택(241)은 리지부(R)에서 외곽에, 제2 콘택(242)은 리지부(R)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 콘택(241)에서 도파로(220)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광 경로를 위해 개구부(도 1의 161a 참조)가 형성된다. 개구부는 도 1로부터 잘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보호층(240) 위에는 전극층(미도시)을 도포한 후, 전극층을 패터닝하여 제1 콘택(241) 및 제2 콘택(242)과 각각 연결된 제1 전극패드(251) 및 제2 전극패드(272)를 형성한다.
제1 보호층(240) 상으로 제1 전극패드(251) 및 제2 전극패드(252)를 덮는 제2 보호층(260)을 형성한다. 제2 보호층(260)은 제1 보호층(24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260)은 후속의 폴리머층 형성공정에서 폴리머가 제1 전극패드(251) 및 제2 전극패드(25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콘택(241) 및 제2 콘택(242) 사이에서 리지부(R)를 노출시키는 트렌치(T)를 형성한다. 트렌치(T)의 폭(W1)은 리지부(R)의 폭(W2) 보다 크게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스핀코팅 방법으로 트렌치(T)에 폴리머를 채운다. 결과물을 폴리머층(270)이라 칭한다. 폴리머로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를 사용할 수 있다. 트렌치(T)를 채운 폴리머는 제2 보호층(260) 위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폴리머층(270) 위로 마스크층(280)을 형성한다. 마스크층(280)은 오염 방지를 위한 것으로 대략 100nm ~ 1㎛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층(280)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마스크층(280)을 패터닝하여 제1 전극패드(251) 및 제2 전극패드(252) 상방으로 홀(282)을 형성한다. 홀(282)에 노출된 폴리머층(270) 및 제2 보호층(260)을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제1 전극패드(251) 및 제2 전극패드(252)를 노출시킨다. 제2 보호층(260) 및 마스크층(280)은 건식 식각 또는 습식 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층(270)은 산소 플라즈마 식각방법을 사용하여 식각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고온 공정인 전극 공정 이후에 폴리머층을 트렌치에 형성하므로, 폴리머층의 폴리머가 고온 전극공정에 의해 녹아서 소자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층 상으로 마스크층을 형성하므로, 실리콘 기판 상에서 다른 소자와의 집적 공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비열 광 변조기 110: 실리콘 기판
112: 절연층 114: 상부 실리콘층
120: 도파로 130: 링 공진기
140: 보호층 150: 폴리머층
161, 162: 콘택 171, 172: 전극 패드
R: 리지부 T: 트렌치

Claims (14)

  1. 도파로;
    상기 도파로로부터 입력되는 광을 받으며, 상기 도파로로 변조된 광을 출력하며 중앙에 리지부가 형성된 링 공진기;
    상기 링 공진기에서 상기 리지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링 공진기에 전계를 형성하는 전기를 주입하는 경로인 제1콘택 및 제2콘택;
    상기 리지부를 덮는 폴리머층; 및
    상기 폴리머층의 주위를 감싸는 보호층을 구비하되,
    상기 링 공진기는:
    절연층 상에서 상기 공진기의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된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과,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p 도핑부분과, 상대적으로 저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과,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n+ 도핑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열 광 변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은 상기 p+ 도핑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콘택은 상기 n+ 도핑부분에 연결된 비열 광 변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과 상기 제2 콘택은 상기 보호층에서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을 노출시키는 비아를 채운 금속메탈인 비열 광 변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은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 중 상기 링 공진기에서 외측에 형성된 콘택에는 상기 도파로와 마주보는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비열 광 변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 및 상기 제2 콘택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리지부를 노출시키는 트렌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트렌치를 채운 비열 광 변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링 형상인 비열 광 변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폭은 상기 리지부의 폭 보다 넓은 비열 광 변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부는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을 포함하는 비열 광 변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 및 상기 링 공진기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비열 광 변조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40028A 2013-04-11 2013-04-11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11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28A KR102116977B1 (ko) 2013-04-11 2013-04-11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US13/973,521 US9207469B2 (en) 2013-04-11 2013-08-22 Athermal optical modul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28A KR102116977B1 (ko) 2013-04-11 2013-04-11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91A KR20140123191A (ko) 2014-10-22
KR102116977B1 true KR102116977B1 (ko) 2020-05-29

Family

ID=5168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028A Active KR102116977B1 (ko) 2013-04-11 2013-04-11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07469B2 (ko)
KR (1) KR102116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3865B1 (ja) * 2012-12-27 2014-02-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導波路素子及び光変調器
KR102116977B1 (ko) * 2013-04-11 2020-05-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FR3009893B1 (fr) * 2013-08-26 2016-12-3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jonction pin en arete et a zones dopees espacees,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e modulateurs electro-optique en silicium et photo-detecteurs en germanium
US10928659B2 (en) * 2014-02-24 2021-02-23 Rockley Photonics Limited Optoelectronic device
US10921616B2 (en) 2016-11-23 2021-02-16 Rockley Photonics Limited Optoelectronic device
US11150494B2 (en) 2015-03-05 2021-10-19 Rockley Photonics Limited Waveguide modulator structures
US9733498B2 (en) * 2015-10-09 2017-08-1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k resonator based on a composite structure
US11101256B2 (en) * 2016-11-23 2021-08-24 Rockley Photonics Limited Optical modulators
CN110325900B (zh) 2016-12-02 2023-11-17 洛克利光子有限公司 波导光电器件
GB2559458B (en) 2016-12-02 2020-06-03 Rockley Photonics Ltd Waveguide device and method of doping a waveguide device
JP6855323B2 (ja) * 2017-05-24 2021-04-0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FR3084481B1 (fr) * 2018-07-25 2021-07-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odulateur-commutateur athermique a deux anneaux superposes
WO2020115852A1 (ja) * 2018-12-06 2020-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ッハツェンダ型光変調器
WO2021065578A1 (ja) * 2019-10-04 2021-04-08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光変調素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617A1 (ja) * 2010-03-05 2011-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サーマル光導波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20B1 (ko) 1998-11-10 2007-02-27 라이트웨이브 마이크로시스템스 코오포레이션 열광학 폴리머를 포함하는 광소자
US6647185B2 (en) 2001-01-09 2003-11-11 Vitesse Semiconductor Corporation Optical interferometric modulator integrated with optical monitoring mechanism
US7085443B1 (en) * 2003-08-15 2006-08-01 Luxtera, Inc. Doping profiles in PN diode optical modulators
US8149492B2 (en) 2004-03-31 2012-04-03 Google Inc. Optical modulator
US7751654B2 (en) * 2005-03-04 2010-07-06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Electro-optic modulation
US7643714B2 (en) 2005-06-28 2010-01-0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Nanophotonic devices in silicon
WO2007061986A1 (en) 2005-11-22 2007-05-3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speed and low loss gesi/si electro-absorption light modula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using selective growth
KR20070092059A (ko) * 2006-03-08 2007-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링 공진기를 이용한 광변조기 및 그의 제조방법
US7343054B1 (en) 2007-01-04 2008-03-11 Fujitsu Limited Integrated electro-optic module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JP2009258527A (ja) * 2008-04-21 2009-11-05 Hitachi Ltd 光学素子
US8488917B2 (en) * 2008-09-24 2013-07-16 Cornell University Electro-optic modulator
JP2011018617A (ja) * 2009-07-10 2011-01-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01287196B1 (ko) * 2009-12-03 2013-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검출기 및 그 제조방법
US8805130B2 (en) * 2010-03-16 2014-08-12 Cornell University Semiconductor high-speed integrated electro-optic devices and methods
SG182132A1 (en) * 2010-12-29 2012-07-30 Agency Science Tech & Res An optical modulator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5455955B2 (ja) * 2011-03-23 2014-03-26 株式会社東芝 リング光変調器
JP5752629B2 (ja) * 2012-03-26 2015-07-22 株式会社東芝 アサーマル・リング光変調器
KR102116977B1 (ko) * 2013-04-11 2020-05-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617A1 (ja) * 2010-03-05 2011-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サーマル光導波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07469B2 (en) 2015-12-08
US20140307300A1 (en) 2014-10-16
KR20140123191A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977B1 (ko) 비열 광 변조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4685408B (zh) 在光学装置上的部件隔离
US10078233B2 (en) Optical waveguide resonators
EP1779161B1 (en) Pn diode optical modulators fabricated in rib waveguides
TWI434086B (zh) 使用pn二極體之高速矽光學調變的方法及設備
JP6622228B2 (ja) 光変調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8958678B2 (en) Electro-optice device comprising a ridge waveguide and a PN j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device
WO2011101632A1 (en) Electro-optic device
CN105140316A (zh) 带有集成加热器的ge/si雪崩光电二极管及其制作方法
US20120201488A1 (en) Phase Shift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487263B (zh) 硅基脊型波导调制器及其制造方法
US8728837B2 (en) Enhancing uniformity of slab region thickness in optical components
JPWO2016157687A1 (ja) 電気光学装置
KR102163885B1 (ko) 전계흡수 광변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5452943A (zh) 控制光学设备中的电吸收介质的组成
CN104749718B (zh) 具有波导的集成光电子器件和系统以及其制造方法
JP2007531031A (ja) シリコン上に集積された高周波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変調器
GB2594408A (en)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2366164B1 (ko) 마흐-젠더 전기 광학 변조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173539A (ja) 電気光学変調器
US943595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aveguide including a semi-conducting junction
JP5824929B2 (ja) 光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5204059B2 (ja) 光検出器の製造方法
JP2017156454A (ja) 光変調器とその製造方法
JP6649194B2 (ja) 光位相・強度シフ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