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4748B1 - 붕대 - Google Patents

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748B1
KR102114748B1 KR1020180093844A KR20180093844A KR102114748B1 KR 102114748 B1 KR102114748 B1 KR 102114748B1 KR 1020180093844 A KR1020180093844 A KR 1020180093844A KR 20180093844 A KR20180093844 A KR 20180093844A KR 102114748 B1 KR102114748 B1 KR 10211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age
woven fabric
tape
adhesive portion
add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070A (ko
Inventor
윤병길
허지현
김민수
김문규
박지혜
정지희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7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7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61F13/000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06Wound bandages emergency bandages, e.g. for first 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61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with adhesive 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붕대에 관한 것으로 혼자서도 쉽게 붕대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붕대는 직조물의 말단에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로 반창고를 떼어 붙일 필요가 없어 혼자서도 붕대를 감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테이프의 일 구성인 필름부는 붕대가 말아 감겨 보관될 때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급하게 붕대를 감는 도중에도 쉽게 붕대의 말단을 찾아낼 수 있으며 다른 일반 붕대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붕대를 감았을 때 접착부와 마주보는 직조물의 일면 부분에 다공성 코팅층이 구비되어 접착력이 향상되어 쉽게 붕대가 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보조테이프가 직조물의 일면에 구비되어 붕대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붕대의 테이프가 부착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긴급하게 처치할때도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붕대{Bandages}
본 발명은 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붕대는 상처가 나거나 골절되었을 경우 붕대를 환부에 감고 별도의 반창고 등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의료진 등 누군가의 도움을 못 받고 혼자서 한손으로 치료를 해야 할 경우 쉽고 간단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붕대에 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고일자 2014년04월21일, 등록번호 10-1383836)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의료용 붕대로서, 붕대의 양측단부에 붕대 표면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수단과 이를 보조할 보조고정수단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명을 포함한 다양한 붕대들에 있어서, 응급 상황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처치가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혼자 응급처치를 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처치할 수 있는 기술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혼자서도 붕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감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붕대는 환부에 말아 감쌀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이상으로 길게 마련되며 외부를 향하는 일면과 환부를 향하는 타면이 있고 보관을 위해 둥글게 말아 감을 수 있는 직조물; 및 상기 직조물이 환부를 감쌀 때 상기 직조물 말단을 상기 직조물의 일면에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직조물 타면의 양쪽 말단에 일측이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직조물과 접착이 가능한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의 타측에 부착되어 상기 직조물의 일면과 접착부의 타측간 접착을 방지하며 상기 직조물의 폭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접착부에 비해 길게 마련되어 상기 직조물 말단을 고정하는 것이 필요할 때는 상기 접착부의 타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상기 직조물의 일면과 접착부의 타측간 접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조물은 상기 접착부의 타측과 접착되는 상기 직조물의 일면상의 말단에 접착력을 높이는 다공성 코팅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조물의 일면에 부착면 일부가 부착되며 상기 직조물의 말단을 고정할 때 부착면 일부를 이탈시켜 직조물의 일면 말단을 접착시켜 붕대를 고정하는 보조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조물의 외부를 향하는 일면과 환부를 향하는 타면이 구분되도록 상기 직조물의 양면을 구분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조물의 말단에 구비된 테이프의 일 구성인 필름부는 붕대가 말아 감겨 보관될 때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급하게 붕대를 감는 도중에도 쉽게 붕대의 말단을 찾아낼 수 있으며 다른 일반 붕대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그리고 붕대를 감았을 때 접착부와 마주보는 직조물의 일면 부분에 다공성 코팅층이 구비되어 접착력이 향상되어 쉽게 붕대가 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보조테이프가 직조물의 일면에 구비되어 붕대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붕대의 테이프가 부착된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 또는 정보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긴급하게 처치할 때도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사람의 팔에 말아 감았을 때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테이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의 직조물 말단에 색상을 다르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는 사용자 스스로 팔에 붕대를 감는 등 작업 수행이 제한되는 상황이나 긴급한 상황에서 빨리 붕대를 환부에 감아야 하는 상황 등에 유리할 수 있도록 직조물(100) 및 테이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조물(100)은 환부에 말아감쌀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이상으로 길게 마련되며 외부를 향하는 일면과 환부를 향하는 타면이 있고 보관을 위해 둥글게 말아 감을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천, 고무, 스펀지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특정 재질에 있어 제한되지 않고 쉽게 말아감아 환부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다.
테이프(200)는 직조물(100)이 환부를 감쌀 때 직조물(200) 말단을 직조물(200) 일면에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접착부(210) 및 필름부(220)를 포함한다. 테이프(200)가 직조물(100)의 한쪽 또는 양측 말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양쪽에 구비된 경우, 한쪽은 환부 주변에 붕대를 접착시키고 한쪽은 붕대를 말아 감았을 때 남은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조물(100)의 타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접착부(210)는 직조물(200)의 타면상의 양쪽 또는 한쪽 말단에 일측이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은 직조물(200)과 접착이 가능하다. 접착부(210)는 접착제 또는 접착시트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양쪽에 테이프가 있는 경우 한쪽 테이프는 환부 주변에 부착되는 바, 부착되더라도 자극 등이 없는 유해하지 않은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름부(220)는 접착부의 타측에 부착되어 직조물(200)의 일면과 접착부(210)의 타측간 접착을 방지하며 직조물(200)의 폭 길이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접착부(210)에 비해 길게 마련되어 직조물(210) 말단을 고정하는 것이 필요할 때는 접착부(210)의 타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직조물(200)의 일면과 접착부(210)의 타측간 접착이 가능하게 한다. 즉, 필름부(220)가 붕대의 폭 방향으로 하여 접착부(210)보다 길게 마련되어 필름부(220)가 약간 접착부(210)와 강하게 접착되어 있어도 별도의 도구나 손톱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가락으로 돌출 부위를 잡고 떼어낼 수 있어 긴급한 상황에서도 스스로 붕대를 감을 수 있게 돕는다. 또한, 이러한 필름의 일부 또는 전체를 돋보이는 색상 등으로 마련하면 붕대를 말아 감아 보관중일 때에도 돌출되어 있는 필름부를 통해 일반 붕대와 본 발명에 따른 붕대를 구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긴급하게 스스로 붕대를 감는 상황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붕대를 쉽게 선택할 수 있게 돕는다.
도 3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부에 붕대를 감았을 때 테이프(200)와 맞닿는 직조물의 부분, 즉, 접착부의 타측과 접착되는 직조물의 일면상의 말단에는 다공성 코팅층(3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접착부(210)와 접착력이 높은 재질로 마련되어지나 공기가 통하지 않으면 환부에 욕창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다공성으로 직조물(100)과 마찬가지로 공기가 통해야 한다. 또한, 다공성 코팅층(300)의 많은 구멍에 접착부(210)의 접착제 등이 스며들어 더 결속력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조물의 일면에 부착면 일부가 부착되며 직조물의 말단을 고정할 때 부착면 일부를 이탈시켜 직조물의 일면 말단을 접착시켜 붕대를 고정하는 보조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테이프(400)는 상술한 테이프(200)에 의한 붕대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보조테이프(400)는 손쉽게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직조물(100)의 일면 말단이 테이프(200)로 고정되고서 마찰 등에 의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직조물(100)의 타면 말단도 별도로 고정하여 마무리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긴급한 상황을 가정할 때 테이프(200)가 붙어있는 직조물(100)의 타면과 그렇지 않은 일면을 단번에 구별하지 못하고 붕대를 감으면 다시 붕대를 풀고 감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즉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직조물(100)의 양면을 구분하는 표시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조물의 타면에 '부착면' 등의 정보를 기입하거나 필름부(220)의 색상을 돋보이게 하는 등 다양한 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조물 타면의 말단에만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러 보관되어 있는 붕대들 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돌출된 필름부를 보고 찾아낸 다음, 색상으로 구별되는 직조물의 일면과 타면을 확인한 뒤 직조물의 타면에 있는 테이프에서 필름부를 떼어낸다. 환부 주위 피부에 그 테이프를 붙여 붕대를 1차 고정하고나서 붕대를 당겨 감은 뒤 다시 다른 테이프에서 필름부를 떼어내 붕대 말단을 직조물에 테이프를 붙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당한 위치의 직조물 일면 말단에 위치한 다공성 코팅층에 맞게 테이프를 붙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테이프를 통해 직조물 말단 타면을 깔끔하게 정돈하여 붕대가 다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 등은 말단 뿐 아니라 붕대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마련되어 불필요하게 붕대를 낭비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쓸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직조물
110: 외부를 향하는 일면
120: 환부를 향하는 타면
200: 테이프
210: 접착부
220: 필름부
300: 다공성 코팅층
400: 보조 테이프

Claims (4)

  1. 환부에 말아 감쌀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이상으로 길게 마련되며 외부를 향하는 일면과 환부를 향하는 타면이 있고 보관을 위해 둥글게 말아 감을 수 있는 직조물; 및
    상기 직조물이 환부를 감쌀 때 상기 직조물 말단을 상기 직조물의 일면에 접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는,
    상기 직조물 타면의 양쪽 말단에 일측이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직조물과 접착이 가능한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의 타측에 부착되어 상기 직조물의 일면과 접착부의 타측간 접착을 방지하며 상기 직조물의 폭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접착부에 비해 길게 마련되어 상기 직조물 말단을 고정하는 것이 필요할 때는 상기 접착부의 타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여 상기 직조물의 일면과 접착부의 타측간 접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조물은
    상기 접착부의 타측과 접착되는 상기 직조물의 일면상의 말단에 접착력을 높이는 다공성 코팅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물의 일면에 부착면 일부가 부착되며 상기 직조물의 말단을 고정할 때 부착면 일부를 이탈시켜 직조물의 일면 말단을 접착시켜 붕대를 고정하는 보조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붕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물의 외부를 향하는 일면과 환부를 향하는 타면이 구분되도록 상기 직조물의 양면을 구분하는 표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KR1020180093844A 2018-08-10 2018-08-10 붕대 Active KR10211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44A KR102114748B1 (ko) 2018-08-10 2018-08-10 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44A KR102114748B1 (ko) 2018-08-10 2018-08-10 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70A KR20200018070A (ko) 2020-02-19
KR102114748B1 true KR102114748B1 (ko) 2020-05-26

Family

ID=6967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44A Active KR102114748B1 (ko) 2018-08-10 2018-08-10 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573B1 (ko) * 2021-08-30 2023-07-1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붕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101A (ja) * 2001-04-04 2002-10-15 Health Kk 包 帯
KR101383836B1 (ko) * 2012-10-18 2014-04-21 임흥빈 고정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붕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237U (ko) * 1989-08-11 1991-04-05
KR19990033951U (ko) * 1998-01-05 1999-08-16 반봉찬 한쪽 또는 양쪽 끝에 접착력이 없는 다색 반창고
WO2015133478A1 (ja) * 2014-03-03 2015-09-11 興和株式会社 足関節用バンデージ
KR101874025B1 (ko) * 2016-11-24 2018-07-05 이현우 수액세트용 접착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101A (ja) * 2001-04-04 2002-10-15 Health Kk 包 帯
KR101383836B1 (ko) * 2012-10-18 2014-04-21 임흥빈 고정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붕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3523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70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087B1 (en) Surgical tape
US6495230B1 (en) Film-based bandage material
US20090105670A1 (en) Thin film wound cover, suction assisted wound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of using the thin film wound cov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60000616A1 (en) Self-Cohesive Tape
JP2000513608A (ja) 包装された医療用接着複合物
JP5916621B2 (ja) パッケージ化された医療用接着剤複合体
JP4594677B2 (ja) 粘着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CN101588844B (zh) 口罩和口罩用被安装构件
KR102114748B1 (ko) 붕대
JP2008531153A (ja) 貼用支援助具付き包帯絆
US20220249807A1 (en) Medical dressing for securing a tubiform component of a medical device
KR101383836B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의료용 붕대
JP5177758B2 (ja)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US20240082042A1 (en) Nasal dilator
US5133706A (en) Disposable diaper with tab fastener
JPH0738138U (ja) 貼付材
JP7257205B2 (ja) 管状体固定具
JP2005342419A (ja) 粘着マスク積層体
JPH09154872A (ja) 医療用貼付材
JPH0673140U (ja) ロール状粘着テープ
JP5271533B2 (ja) 粘着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KR200477166Y1 (ko) 일회용 의료 밴드
US20160135999A1 (en) Bandage System
JP3226028U (ja) 外包装が取外しやすい絆創膏
WO2023032980A1 (ja) 管状体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