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867B1 - Speed Gate - Google Patents
Speed G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867B1 KR102113867B1 KR1020190088896A KR20190088896A KR102113867B1 KR 102113867 B1 KR102113867 B1 KR 102113867B1 KR 1020190088896 A KR1020190088896 A KR 1020190088896A KR 20190088896 A KR20190088896 A KR 20190088896A KR 102113867 B1 KR102113867 B1 KR 1021138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rod
- horizontal
- rotated
- r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피드 게이트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121)이 구비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20); 상기 구동축(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구동축(121)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 로드(130);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제 1 로드(13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 2 로드(140); 2개의 수평방향링크(151)와 2개의 수직방향링크(152)가 사각형을 이루며,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각각의 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2 로드(14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4절링크(150);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 일측단부가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4절링크(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 3 로드(170);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제 3 로드(17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됨으로써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도어(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ed 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frame 110; A drive shaft 121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and provided, and a driving motor 120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he first rod 13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shaft 12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21; A second rod 140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d 130 and rotat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rod 130; The two horizontal direction links 151 and the two vertical direction links 152 form a square, and each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link 151 and the vertical direction link 152 is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d 14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d 140 is hinged to any one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s of the horizontal link 151 and the vertical link 152 A four-section link 150 rotat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rod 140; A four-section link rotation fixing unit 160 for fixing the horizontal link 151 of each of the four-section links 150 to be rotatable; A third rod 170, which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each horizontal link 151 of each of the four section links 150 and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our section links 1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opening and closing door 180 tha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d 17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being rota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third rod 170.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입통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스피드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모터축과 결합되는 크랭크의 회전에 의해 4절 링크를 회동시킴으로써 링크에 결합되는 도어를 개폐되도록 하는 스피드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d gate tha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access passage, and relates to a speed gate that opens and closes a door coupled to a link by rotating a four-section link by rotation of a crank coupled with a motor shaft.
종래에는 기업체 및 관공서와 같은 건물의 출입구나, 지하철 및 놀이공원과 같은 시설물의 출입구에는 관리인이나 보안요원이 출입자를 일일이 확인하여 통제하였다. 그로 인해 출입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출입통제를 위해 관리인이나 보안요원을 다수 배치해야 하는 인력 낭비의 문제가 있었다.In the past, administrators and security personnel have checked and controlled the access of the entrances of buildings such a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offices, and entrances of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amusement parks.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of delaying the access time, and there was a problem of wasting manpower that requires a large number of managers or security personnel to be placed for access control.
많은 출입자를 관리인이나 보안요원이 통제함에 따른 출입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고 소수의 인원으로 다수의 출입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출입이 허가된 다수의 출입자가 마그네틱 티켓이나 RF카드 등의 식별카드를 사용하여 출입을 원할 때, 식별카드를 통한 인식이 성공함에 따라 자동으로 출입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피드 게이트가 설치된다.In order to prevent delays in access time due to the control of a large number of visitors or security personnel,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a large number of visitors with a small number of persons, a large number of authorized visitors can use magnetic tickets, RF cards, etc. When entering and exiting using the identification card, a speed gate is installed to automatically open or close the access passage as recogni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card is successful.
종래의 스피드 게이트는 턴타입 게이트(Turn Type Gate)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게이트 도어(Gate Door)의 개폐방식에 따라 슬라이드타입 게이트(Slide Type Gate), 스윙타입 게이트(Swing Type Gate)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게이트가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speed gates have been mainly used for turn type gates (Turn Type Gate), and recently, slide type gates, swing type gates, and swing type gates are used depending on how the gate doors are opened and closed. Gates of the same various structures are used.
특히, 스윙타입 게이트는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이용해 게이트 도어를 구동하여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게이트로서, 종래의 스윙타입 게이트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스윙타입 게이트는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에 따라 그 모터의 구동력으로 게이트 도어(1)를 개방상태(실선표시) 또는 폐쇄상태(점선표시)로 이동시켜 출입통로를 개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윙타입 게이트는 게이트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링크의 회전구조(A↔B)가 출입통로측에 치우쳐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출입통로가 폐쇄되는 경우(A→B)에는 내부 링크와 지면에 대략 수직한 각도로 연결되어 있던 게이트 도어(1)가 상측으로 치우쳐서 회전되어야 하므로 반복사용 시 강화유리 등의 무거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도어(1)를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에 많은 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swing-type gate is a gate that opens and closes an access passage by driving a gate door us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a motor, and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wing-type gate is illustrated in FIG. 1. That is, the conventional swing-type gate moves the
또한, 종래의 스윙타입 게이트도어는 개폐 시에 편향된 회전으로 인해 게이트 도어(1)가 반복적인 충격을 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완충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했다. 또한, 출입통로측으로 편향된 내부링크의 회전구조에 의하여 게이트 도어(1)의 개폐 시에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게이트 도어(1)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가 별도로 더 설치되어야 하므로 게이트 장치의 내부구성이 복잡해지고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wing-type gate door has a problem in that th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9390호는 상기한 도 1의 스윙타입 게이트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게시하고 있는데, 게이트 도어를 개폐하는 내부링크의 회전이 좌우 대칭을 이루게 됨으로써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내부링크에 작용하는 작용력이 감소하여 게이트 장치의 고장이 줄어드는 구조를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등록특허는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도어까지 전달하는 구조가 크랭크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모터의 과부하 방지나 고장의 감소로 인해 수명 증가 및 유지비의 절감 효과는 가지나 여전히 크랭크 방식의 채용으로 인한 링크 충격, 진동 및 소음 문제는 남아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89390 discloses a structur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swing-type gate of FIG. 1 described above, and the rotation of the inner link that opens and closes the gate door is symmetrical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motor, We post a structure that reduces the malfunction of the gate device by reducing the action force acting on the internal link. However, the registered patent employs a crank system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to the door.However, due to the prevention of overload of the motor or the reduction of the failure, the lifespan and the maintenance cost are reduced, but the adoption of the crank system is still used. The resulting link impact, vibration and noise problems remain.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838243호(발명의 명칭: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1838243 (invention name: swing type gate device) has been disclosed, which i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상기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는, 지지프레임(10);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수평을 이루면서 일정 각도 내에서 스윙하는 도어(20);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20)의 스윙을 위한 정방향과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 상기 구동모터(30)에서 발생된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제1벨트풀리(50); 상기 지지프레임(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벨트풀리(50)와 함께 회전하는 제2벨트풀리(51)를 구비하는 제1샤프트(40); 상기 지지프레임(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상기 제1샤프트(4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샤프트(41); 상기 제1샤프트(40)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2벨트풀리(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샤프트(4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회전하며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제1회전링크(70); 및 상기 제2샤프트(41)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회전하며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제2회전링크(71)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링크(7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71)에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로드(8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1회전링크(70)와 제2회전링크(71)에는 도어(20)가 동시에 결합되어 제1회전링크(70)와 제2회전링크(71)의 회전에 의해 도어(20)가 개폐되게 된다.The swing type gate device includes a
상기 스윙타입게이트 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구동모터(30)의 회전에 의해 제1샤프트(40)가 회전되면 제1샤프트(41)에 고정된 제1회전링크(70)가 회전되고, 제1회전링크(70)와 제2회전링크(71)에 결합된 연결로드(80)가 회동되게 되며, 연결로드(80)가 회동되면 연결로드(80)에 결합된 제2회전링크(71)가 회전되게 된다. 결국, 구동모터(30)의 정역회전에 의해 제1회전링크(70) 및 제2회전링크(71)가 회전되게 됨으로써 제1회전링크(70)와 제2회전링크(71)에 결합된 도어(20)가 개폐되는 것이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swing type gate device, when the
하지만, 상기 스윙타입 게이트 장치는, 제1회전링크(70)와 제2회전링크(71)가 삼각형 형태의 링크로 이루어지며, 제1샤프트(40) 및 제2샤프트(41)와의 고정되는 부위가 삼각형 형태로 된 제1회전링크(70)와 제2회전링크(71)의 어느 하나의 꼭지점부위에 고정되게 되므로, 좌우 무게중심이 맞지 않게 되어, 제1샤프트(40) 및 제2샤프트(41)에는 한쪽으로 편심(도면에서는 좌측으로 편심)된 무게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샤프트의 좌우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어 샤프트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프레임(10)에 고정시키는 베어링의 편마모를 가져오게 되어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swing-type gate device, the first rotating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에 의해 좌우로 편심된 무게하중을 없앰으로써 샤프트에 걸리는 편심하중을 줄여 회전축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도록 하여 기계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게이트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피드 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eccentric load applied to the shaft by eliminating the eccentric loa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link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rotating shaft is relieved, and the machine life can be extended and the gate can be operated smoothly. It is to provide a speed g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드 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ed gate that can reduce vibration and noise, and extend the maintenance cycle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bearing.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121)이 구비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20);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축(121)에 수직되게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구동축(121)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 로드(130);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로드(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제 1 로드(13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 2 로드(140);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수평방향링크(15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수직방향링크(152)가 사각형을 이루며,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각각의 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2 로드(14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4절링크(150);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부위 및 하부부위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일측면 중앙부위와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 일측단부가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4절링크(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 3 로드(170);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제 3 로드(17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됨으로써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도어(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1)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개폐도어(180)가 삽입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개폐도어 삽입홈(191)이 구비된 본체(1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링크에 의해 좌우로 편심된 무게하중을 없앰으로써 샤프트에 걸리는 편심하중을 줄여 회전축에 가해지는 하중이 완화되도록 하여 기계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게이트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eliminating the eccentric loa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link to reduce the eccentric load applied to the shaft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rotating shaft is relaxe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mach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nables smooth operation of the g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vibration and noise, and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maintenance cycle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bearing.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스피드 게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를 나타낸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스피드 게이트를 나타낸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speed gate.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showing another type of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피드 게이트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ed 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를 나타낸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스피드 게이트를 나타낸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8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showing another type of speed gate,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는 크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10); 구동모터(120); 제 1 로드(130); 제 2 로드(140); 4절링크(150);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 제 3 로드(170); 개폐도어(180);를 포함한다.Speed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플레이트 형태로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배면이 개구된 함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배면이 개구된 함체로 되는 경우에는 절곡에 의해 형성되도록 한다.The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121)이 구비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하다.The
상기 제 1 로드(130)는,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축(121)에 수직되게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구동축(121)과 연동되어 회전된다.The
상기 제 1 로드(130)의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축(121)에 수직되게 고정될 때, 상기 구동축(121)에는 키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로드(13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구동축(12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키가 형성된 구동축결합공을 형성하여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축(121)의 회전시 상기 제 1 로드(130)가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한다.When one end of the
상기 구동축(121)은 스플라인 축으로 되어도 무방하다.The
상기 제 2 로드(14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로드(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제 1 로드(130)와 연동되어 회동된다.The
상기 제 2 로드(140)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 일측면(즉, 상면)에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로드(140)는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 일측면(즉, 상면)에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할 때, 베어링이 개재되어 힌지축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로드(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One end of the
상기 4절링크(15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수평방향링크(15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수직방향링크(152)가 사각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각각의 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4절링크(150)는,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2 로드(140)와 연동되어 회동된다.The four-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는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수평방향링크(151)는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 일측면(즉,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는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 타측면(즉, 배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 및 상기 수직방향링크(152)가 동시에 힌지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 및 상기 수직방향링크(152)가 동시에 힌지결합될 때, 상기 제 1 로드(130)와 상기 제 2 로드(140)의 힌지결합과 마찬가지로, 베어링이 개재되어 힌지축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4절링크(15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4절링크(150)는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가 각각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제 2 로드(140)가 회동될 때, 상기 4절링크(150)는 직사각형 형태에서 평행사변형으로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는,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부위 및 하부부위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일측면 중앙부위와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our-section link
상기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베어링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베어링은 지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베어링에 결합되는 회전축은 수평방향링크(151)에 고정되게 된다.The four-way link
상기 제 3 로드(170)는, 일측단부가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4절링크(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된다. 상기 제 3 로드(170)는 일측단부가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고정될 때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와 수직되게 결합된다.The
여기에서 4각형을 이루는 상기 4절링크(150)의 회동은 상기 4절링크(150) 전체가 임의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의 형상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rotation of the four-
상기 제 3 로드(170)는 일측단부가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 및 수직방향링크(152)는 길이가 일정하고 각각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는 상기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동에 의해서는 4각형을 이루는 상기 4절링크(150)는 사각형의 형상만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제 2 로드(140)가 회동될 때, 상기 4절링크(150)는 직사각형 형태에서 평행사변형으로 형상이 변형되게 되는데, 상기 4절링크(150)가 형상이 변화되게 되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는 경사각도가 변화되도록 회동되게 되고,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에 고정되는 상기 제 3 로드(170)도 경사각도가 변화되도록 회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3 로드(170)의 일측단부가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중앙부위에 수직되게 결합되므로,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회동되게 되면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는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의 중앙부위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는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When the
상기 개폐도어(180)는,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제 3 로드(17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됨으로써 개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opening /
상기 개폐도어(180)는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에 서로 힌지결합되도록 할 때, 베어링이 개재되어 힌지축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3 로드(1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도어(180)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opening /
상기 개폐도어(180)는 강화수지,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수지 또는 유리에는 힌지축이 결합되기 쉽지 않으며, 결합된다 하더라도 마모가 쉽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재 등의 힌지축 결합바(181)를 이용하여 힌지축에 결합시키고 힌지축 결합바(181)를 개폐도어(18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수평방향링크(151)는 회동되게 되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에 결합된 상기 제 3 로드(170)는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의 중앙부위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게 되며, 상기 개폐도어(180)는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므로 상기 개폐도어(180)도 좌우로 회동되어 개폐되게 된다.When the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게 되면 지지프레임(110)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1)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4절링크(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The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4절링크(150)의 상부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Wherein the
이렇게 구동축(121)이 상기 4절링크(150)의 외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는 상기 구동축(121)과 가까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도록 한다.When the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스피드 게이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되어 개폐도어를 개폐하게 된다.The speed 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operated as follows to open and close the open / close door.
우선,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중앙의 수직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개폐도어의 개폐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초기상태는, 도 6에서와 같이, 개폐도어(18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제 1 로드(130)는 구동축(12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로드(130)와 상기 제 2 로드(140)는 일직선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 2 로드(140)는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게 되는데, 도면에서는 좌측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된다. 또, 상기 4절링크(150)는 좌측 상부의 꼭지점이 우측 상부의 꼭지점보다 높은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수평방향링크(151)는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이고,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에 고정된 제 3 로드(170)는 좌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이다.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6, the opening /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1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일측단부가 상기 구동축(121)과 결합된 제 1 로드(13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는 상기 제 2 로드(140)의 일측단부와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제 1 로드(130)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14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상기 제 1 로드(13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14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제 2 로드(140)는 좌측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제 2 로드(140)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면 4각형을 이루는 상기 4절링크(150)는 좌측 상부의 꼭지점이 점점 하향이동되게 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2 로드(140)가 하방으로 더 이동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4절링크(150)의 좌측 상부의 꼭지점이 하향 우측 상부의 꼭지점보다 낮은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동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의 경사각도를 변화시켜 4각형을 이루는 상기 4절링크(150)의 형상을 변화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상기 제 2 로드(14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4절링크(150)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상태는 개폐도어(180)가 절반 개방된 상태이며, 도 7에서와 같다.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로드(140)가 하방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4절링크(150)의 좌측 상부의 꼭지점이 하향 우측 상부의 꼭지점보다 낮은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1 로드(130)가 구동축(121)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로드(130)와 상기 제 2 로드(140)는 일직선을 이루게 되면, 개폐도어(18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는 도 9와 같다.In this state, the
상기 수평방향링크(151)는 일측면 중앙부위가 상기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3 로드(170)의 일측단부는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수직되게 고정되므로,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 3 로드(170)는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 3 로드(170)가 원호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 3 로드(170)에 힌지결합된 상기 개폐도어(180)도 원호운동을 하면서 개폐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e
개폐도어(180)가 폐쇄된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20)에 의해 구동축(1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도어(180)가 절반 열린(또는 절반 닫힌) 도 8의 상태를 거쳐 개폐도어(180)가 개방된 도 7의 상태인 초기상태로 복귀되게 된다.When the driving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구동축(121)이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연장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4절링크(15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작동은 도 6 내지 도 8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9 to 11, the
초기상태는, 도 9에서와 같이, 개폐도어(18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축(121)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4절링크(150)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상태는 개폐도어(180)가 절반 개방된 상태인 도 10의 상태를 거쳐, 개폐도어(180)가 완전히 폐쇄되는 도 11의 상태가 된다.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9,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
반대로, 개폐도어(180)가 폐쇄된 도 11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20)에 의해 구동축(12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개폐도어(180)가 절반 열린(또는 절반 닫힌) 도 10의 상태를 거쳐 개폐도어(180)가 개방된 도 9의 상태인 초기상태로 복귀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개폐도어(180)가 삽입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개폐도어 삽입홈(191)이 구비된 본체(19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2는 개폐도어(180)가 삽입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개폐도어 삽입홈(191)이 구비된 본체(190)를 도시하였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90)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구비된 다수의 브라켓(111)(도 4 및 도 5 참조)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9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FIG. 12 show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90)로부터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게 되면, 고장 및 작동불능시에 유지보수를 위해 지지프레임(110)을 본체(190)로 분리할 수 있으며, 수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10)을 본체(190)로부터 분리하여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한 스피드 게이트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that a pers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o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10 : 지지프레임
120 : 구동모터
121 : 구동축
130 : 제 1 로드
140 : 제 2 로드
150 : 4절링크
151 : 수평방향링크
152 : 수직방향링크
160 : 4절링크 회동고정부
170 : 제 3 로드
180 : 개폐도어
190 : 본체
191 : 개폐도어 삽입홈110: support frame
120: drive motor
121: drive shaft
130: first rod
140: second load
150: Section 4 link
151: Horizontal link
152: Vertical link
160: Section 4 Link Hoedong Government
170: third load
180: open / close door
190: main body
191: Opening / closing door insertion groove
Claims (4)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121)이 구비되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20);
일측 단부가 상기 구동축(121)에 수직되게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1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구동축(121)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 로드(130);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로드(1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1 로드(13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어 상기 제 1 로드(13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 2 로드(140);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수평방향링크(15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수직방향링크(152)가 사각형을 이루며,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각각의 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2 로드(14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로드(140)의 타측단부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의 어느 하나의 힌지결합부위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2 로드(14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4절링크(150);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부위 및 하부부위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일측면 중앙부위와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4절링크 회동고정부(160);
일측단부가 각각의 상기 4절링크(150)의 수평방향링크(151)의 타측면 중앙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4절링크(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 3 로드(170);
상기 제 3 로드(170)의 타측단부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제 3 로드(17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됨으로써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도어(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121)은, 상기 수평방향링크(151)와 상기 수직방향링크(152)로 이루어지는 상기 4절링크(150)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평방향링크(151) 중앙의 수직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개폐도어(180)가 삽입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개폐도어 삽입홈(191)이 구비된 본체(1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게이트.Support frame 110;
A drive motor 120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provided with a drive shaft 121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and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first rod 1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drive shaft 121 and being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drive shaft 12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21;
A second rod 140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d 130 and rotates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rod 130 so that one end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rod 130 );
The two horizontal direction links 151 having the same length and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two vertical direction links 152 install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 a rectangle,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link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d 140 is horizontal so that each end of the 151 and the vertical link 152 is hinged to each other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rod 140. A four-way link 150 which is hinged to one hinge coupling part of the direction link 151 and the vertical direction link 152 and is rotat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rod 140;
One side is fixed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110, respectivel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central part of one side of the horizontal link 151 of each of the four section links 150. A four-way link rotation fixing unit 160 for fixing the horizontal direction link 151 of the link 150 to be rotatable;
A third rod 170, which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each horizontal link 151 of each of the four section links 150 and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our section links 150;
It comprises a; opening and closing door 180 that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rod 17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being rota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third rod 170,
The drive shaft 121 of the drive motor 120 is located inside the four-way link 150 consisting of the horizontal link 151 and the vertical link 152, the horizontal link 151 Is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so as to be located on the vertical extension line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link 151 in a horizontal position,
The support frame 110 is fixed detachably,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8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nsertion groove 191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90; Spe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g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896A KR102113867B1 (en) | 2019-07-23 | 2019-07-23 | Speed G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896A KR102113867B1 (en) | 2019-07-23 | 2019-07-23 | Speed G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3867B1 true KR102113867B1 (en) | 2020-05-21 |
Family
ID=7091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8896A Active KR102113867B1 (en) | 2019-07-23 | 2019-07-23 | Speed G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386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8608B1 (en) * | 2022-03-25 | 2022-09-27 | 송미현 | Access control gate device with T-shaped swivel link |
KR200497724Y1 (en) * | 2023-06-27 | 2024-02-07 | 정석호 | Speed gat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44309A1 (en) * | 1993-09-16 | 1995-03-22 | ITALDIS INDUSTRIA S.p.A. | Device for moving sliding doors |
KR101250395B1 (en) * | 2012-12-26 | 2013-04-05 | 금동숙 | Speed gate |
-
2019
- 2019-07-23 KR KR1020190088896A patent/KR1021138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44309A1 (en) * | 1993-09-16 | 1995-03-22 | ITALDIS INDUSTRIA S.p.A. | Device for moving sliding doors |
KR101250395B1 (en) * | 2012-12-26 | 2013-04-05 | 금동숙 | Speed gat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8608B1 (en) * | 2022-03-25 | 2022-09-27 | 송미현 | Access control gate device with T-shaped swivel link |
KR200497724Y1 (en) * | 2023-06-27 | 2024-02-07 | 정석호 | Speed ga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3867B1 (en) | Speed Gate | |
RU2107017C1 (en) | Device for connecting lift well door with lift cabin door for simultaneous movement (design versions) | |
RU2107653C1 (en) | Device to connect lift cabin door with lift well door | |
KR200468123Y1 (en) | gate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open and close state locking means of gate door | |
CN1072765C (en) | Self-opening entry device for controlled access area | |
KR101612439B1 (en) | Auto Gate for Ticket barrier | |
KR200433623Y1 (en) | Rotating window system with fixed opening angle | |
EP3163008B1 (en) | Automatic sliding and swing gate | |
KR101838243B1 (en) | swing type gate apparatus | |
KR200172105Y1 (en) | A framework which prevent to drop of door having sliding swing function | |
KR200415886Y1 (en) | Turnstile for turnstile | |
KR102112601B1 (en) | Auto Gate | |
KR101071196B1 (en) | Revolving door for two-way entry with separate entrance and exit | |
EP0729539B1 (en) | Door unit with a vertically movable rope-mounted door | |
AU2004203497C1 (en) | A Gate Assembly | |
JPH0726856A (en) | Rising and falling door | |
US180544A (en) | Improvement in doors | |
US1364954A (en) | Closure-operating mechanism | |
KR200246101Y1 (en) | Sliding type automatic door apparatus with opening and shutting function | |
JPS634795Y2 (en) | ||
KR20220033185A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ate | |
US395370A (en) | Gate-hinge | |
US336469A (en) | Gate-hinge | |
US175787A (en) | Improvement in tilting gates | |
US252801A (en) |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7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