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920B1 -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 Google Patents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920B1 KR102112920B1 KR1020180065881A KR20180065881A KR102112920B1 KR 102112920 B1 KR102112920 B1 KR 102112920B1 KR 1020180065881 A KR1020180065881 A KR 1020180065881A KR 20180065881 A KR20180065881 A KR 20180065881A KR 102112920 B1 KR102112920 B1 KR 102112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e
- vehicle
- stop line
- intersect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에 관한 것으로, 교차로를 형성하는 차로들 중 어느 하나의 차로에서 다른 차로로, 진입차량이 우회전할 경우, 상기 다른 차로에 정차된 대기차량과 상기 진입차량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차로의 교차지점을 향하는 순방향 차선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순방향 차선의 폭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순방향 차선의 폭을 가로 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진 정지선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선부들 중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가 인도 측의 정지선부보다, 상기 교차지점의 반대방향을 향해 후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when one of the lanes forming the intersection is another lane, when the entry vehicle turns right, the standby vehicle and the entry vehicle stopped in the other lane In order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each other, it is provided separately in the forward lanes toward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on,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and made of a form that crosses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It is made, includ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line portion of the center line side of the stop line portion is disposed rearwar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than the stop line portion of the side of the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차로(사거리)에 정차된 차량들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통해 다른 차로로 진입할 경우, 그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에 정차된 차량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and more specifically, when vehicles stopped at an intersection (crossroad) enter another lane through a left or right turn, a vehicle stopped in the forward lane of the other lane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field, 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with improved structure.
차로(도로)는 차량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산업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국민생활에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차로는 거미줄과 같이 서로 연결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고 교차점을 중심으로 교차로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지역 및 방향으로 차량의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A lane (road) enables vehicles to pass and enables people or cargo to move, which can be said to be a driving force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an essential element for people's lives. These la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like a spider web to exert their functions and form an intersection around the intersection, thereby enabling the flow of vehicles in various regions and directions.
교차로에는 각각의 차로마다 차량 정지선이 표시되어 있고, 그 차로에 정차된 차량들의 원활한 이동(직진,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해 각각의 차로 측에 신호등이 설치된다. At the intersection, a vehicle stop line is marked for each lane, and traffic lights are installed at the sides of each lane for smooth movement (straight, left or right) of vehicles stopped in the lane.
일반적으로 교차로의 각 차로들에 표시된 차량 정지선은, 각각의 차선에 관계없이 직선상 동일한 지점에 직선형태로 표시되어, 하나의 정지선이 여러 개의 차선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 vehicle stop line displayed on each lane of an intersection is displayed in a straight line at the same point in a straight line regardless of each lane, so that one stop line crosses several lanes.
이러한 일반적인 차량 정지선(10)은, 각 차선들(L1)(L2)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차량들의 정차를 유도함으로써, 다른 차로로 우회전하거나 좌회전하려는 진입차량(1a)이, 그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L2)에 정차된 대기차량(1b)에 의해 회전 간섭을 받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도 1의 (a) 참조).The general
아울러 종래의 교차로 차량 정지선(10)은, 다른 차로로 진입하는 대형 진입차량(1a)(버스나 트럭 등의 대형운송수단)의 회전반경에, 대기차량(1b)(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L2)에 정차된 차량)이 위치되게 함으로써, 차량 간의 충돌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도 1의 (b) 참조).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tersection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2064호 「자동차 정지선 예고제 라인」이 있다.As a prior art,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92064 “Automobile Stop Line Notice Li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차로에 정차된 진입차량들이 좌회전을 통해 다른 차로로 진입할 경우, 그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에 정차된 대기차량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대기차량들에 의해 회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ait vehicles stopped in a forward lane of another lane when vehicles entering the intersection turn into another lane through a left turn. It is to provide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that can prevent collision with the vehicle and prevent rotational interference from being generated by the standby vehicle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은, 교차로를 형성하는 차로들 중 어느 하나의 차로에서 다른 차로로, 진입차량이 우회전할 경우, 상기 다른 차로에 정차된 대기차량과 상기 진입차량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정지 표시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차로의 교차지점을 향하는 순방향 차선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순방향 차선의 폭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순방향 차선의 폭을 가로 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진 정지선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one of the lanes forming the intersection is another lane, when the entry vehicle turns right, the vehicle is stopped at the other lane A vehicle stop display unit that prevents a vehicle from entering the vehicle and colliding with each other, and is provided separately in forward lanes toward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on,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It has a; and has a stop line portion formed in a form that crosses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상기 정지선부들 중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는, 인도 측의 정지선부보다, 상기 교차지점의 반대방향을 향해 후방 배치된다.Among the stop line portions, the stop line portion on the center line side is disposed rearwar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point than the stop line portion on the side of the sidewalk.
상기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는, 상기 중앙선에서부터 상기 인도 측의 순방향 차선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 line portion on the center line side is disposed in an inclined line shape inclined forward toward the forward lane on the side of the side from the center line.
상기 정지선부는, 차로의 순방향 차선에 위치 고정되며 표면에 형광 도료층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진입차량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p line portion is fixed to the forward lane of the lane, the main body having a fluorescent paint layer on the surface; And a pair of insertion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ntry vehicle.
본 발명은 상기 순방향 차선에서 이동하는 상기 진입차량에 임의적인 걸림충격을 전달하여 운전자가 정지선부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한쌍의 경사블럭과, 일측이 상기 경사블럭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경사블럭과 정지선부 간의 걸림공간을 형성시키는 연결리브를 구비한 둔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main body from the bottom, so that the driver can effectively recognize the stop line part by transmitting a random impact shock to the entry vehicle moving in the forward lane. A pair of inclined blocks and a dull portion having a connecting rib connected to the inclined block and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ile the other side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hole to form a locking space between the inclined block and the stop lin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은, 정지선부가 교차로의 교차지점을 향하는 순방향 차선들들에 각각 마련되고 그 순방향 차선의 폭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순방향 차선의 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가 인도 측의 정지선부 보다 교차지점의 반대방향을 향해 후방 배치됨으로써, 교차로에 정차된 진입차량들이 좌회전을 통해 다른 차로로 진입할 경우, 그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에 정차된 대기차량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대기차량들에 의한 회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op line portion is provided in each of the forward lanes facing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width length of the forward lane It has a length and is made in the form of crossing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and the stop line of the center line is arranged rearwar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point than the stop line of the side of India. When entering,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ollisions with standby vehicles stopped in the forward lane of the other lane and preventing rotational interference caused by the standby vehicl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 정지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이 차로의 차선들에 구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Ⅲ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정지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정지선부 및 둔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vehicle stop line.
Figure 2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lanes of the lane.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III of FIG. 2.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op line portion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op line portion and the chin portion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n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이 차로의 차선들에 구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정지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state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n accident is provided in lanes of a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III of FIG. 2, FIG.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op line portion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진입차량(1a)은, 도면들을 기준으로 교차로(T)에 접한 어느 하나의 차로(A)의 순방향 차선(L1)에서 다른 하나의 차로(B)로 우회전하여 진입하려고 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순방향 차선(L1)은 도면들을 기준으로 진입차량(1a)이 이동하는 차선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표시 유닛은, 교차로(T)를 형성하는 차로들 중 어느 하나의 차로에서 다른 차로로, 진입차량(1a)이 우회전할 경우 상기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L2)에 정차된 대기차량(1b)과 상기 진입차량(1a)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정지 표시 유닛에 관한 것으로 정지선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vehicl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of the lanes forming the intersection (T) to another lane, the entry vehicle (1a) When the vehicle is turning right, it relates to a vehicle stop display unit that prevents the
상기 정지선부(100)는, 교차로(T)의 교차지점(T1)을 향하는 순방향 차선(L1)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순방향 차선(L1)의 폭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정지선부(100)는, 순방향 차선(L1)의 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차선들을 이동(주행)하는 진입차량(1a)들의 이동정지를 유도한다. The
상기 정지선부(100)는 순방향 차선(L1)에 각각 마련될 때, 폭 길이를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진입차량(1a)이 각 차선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When each of the
상기 정지선부(100)들 중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110)는 인도측의 정지선부(120) 보다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중앙선 측의 순방향 차선(L11)에 위치한 진입차량(1a)이 인도 측의 순방향 차선(L12)에 위치한 진입차량(1a) 보다 후방에 정지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은 교차지점(T1)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입차량(1a)의 주행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을 가리킨다. Among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은, 정지선부(100)가 교차로의 교차지점을 향하는 순방향 차선들(L1)들에 각각 마련되고 그 순방향 차선(L1)의 폭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순방향 차선(L1)의 폭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110)가 인도 측의 정지선부(120) 보다 교차지점(T1)의 반대방향을 향해 후방 배치됨으로써, 교차로에 정차된 진입차량(1a)들이 좌회전을 통해 다른 차로로 진입할 경우, 그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L2)에 정차된 대기차량(1b)들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대기차량(1b)들에 의한 회전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forward lanes L1, each of which is a
한편, 상기 정지선부(100)들 중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110)는, 상기 중앙선(20)에서부터 상기 인도 측의 순방향 차선(L12)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지선부(100)는 중앙선(20)부터 인도 측 차선까지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선 형태로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여기서 전방은, 순방향 차선(L1)에서 진입차량(1a)이 주행방향 즉, 교차지점(T1)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 the fron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상기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110)가, 전방을 향해 중앙선(20)에서부터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중앙선(20)측의 순방향 차선(L11)인 1차선에서 주행 중인 진입차량(1a)이, 그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110)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어느 하나의 차로(A)에서 회전하여 다른 하나의 차로(다른 차로)(B)로 진입할 때,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L2)에 정차된 대기차량(1b)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The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정지선부(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바(bar) 형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지선부(100)는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110)와 인도 측의 정지선부(120)를 서로 연결하는 구분라인부(150)을 구비함으로써, 중앙선 측의 순방향 차선(L11)과 인도 측의 순방향 차선(L12)을 효과적으로 구분시켜 준다. The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을 설명하고자 한다. 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n accid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정지선부 및 둔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op line portion and the chin portion employ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정지선부(1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고, 둔턱부(2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ccid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in configuration to mos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정지선부(100)는 본체(130) 및 삽입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본체(130)는, 차로의 순방향 차선(L1)에 위치 고정되며 표면에 형광 도료층(P)을 구비함으로써,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이 정지선부(100)를 주간 및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형광 도료층(P)은, 본체(130)의 외부에 페인팅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패턴으로 구비 가능하다. The
상기 본체(130)는 고무소재, 플라스틱소재 등과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로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본체(130)의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상기 삽입홀(140)은, 상기 순방향 차선(L1)을 주행하는 진입차량(1a)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130)의 양측에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홀(140)은, 본체(130)에 형성되고 체결부재(160)가 끼워지는 체결구멍(170)에 의해 그 본체(130)의 상부와도 소통될 수 있다. The
상기 둔턱부(200)는, 경사블럭(201)과 연결리브(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블럭(201)은 한쌍으로 이루어져 본체(1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130)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이 정지선부(100)를 지나갈때 그 차량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The
상기 둔턱부(200)의 연결리브(202)는, 일측이 상기 경사블럭(20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홀(140)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13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경사블럭(201)과 정지선부(100) 간의 걸림공간(203)을 형성시킨다.(도 6의 (b) 참조)The connecting
상기 둔턱부(200)의 경사블럭(201)은, 연결리브(202)가 삽입홀(140)에 모두 인입된 경우 본체(130)와 서로 밀착된다. 이때, 체결부재(160)는 본체(130)의 체결구멍(170)에 끼워진 후, 그 연결리브(202)에서 이격되게 형성된 위치조절구멍(204)에 끼워짐으로써, 정지선부(100)와 둔턱부(200) 간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6의 (a) 참조)The
상기 정지선부(100)와 둔턱부(200)가 서로 밀찰된 경우, 상기 둔턱부(200)는 상기 진입차량(1a)이 정지선부(100)를 넘을 때 경사진 면을 타로 지나가도록 하여 그 진입차량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When the
한편, 둔턱부(200)의 경사블럭(201)은, 연결리브(202)가 삽입홀(140)에서 외측으로 기설정된 범위 만큼 인출된 경우, 본체(130)와 이격되어 걸림공간(203)을 형성시킨다. 이때 체결부재(160)는 상기 체결구멍(170)에 끼워진 후, 연결리브의 타측단부와 가장 인접한 위치조절구멍(204)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걸림공간(203)을 유지시킨다. (도 6의 (b) 참조)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는 정지선부(100)의 본체(130)에 삽입홀(140)을 구비하고, 그 본체(130)의 양측에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둔턱부(200)의 경사블럭(201)이 배치되며, 연결리브(202)에 의해 경사블럭(201)이 본체(130)의 외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걸림공간(203)을 형성시킴으로써, 정지선부(100)를 지나가는 진입차량(1a)의 바퀴가 그 걸림공간(203)에 일시적으로 인입되게 하여 그 진입차량에 걸림충격을 임의적으로 전달하여 운전자가 상기 정지선부(100)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developments can be mad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o.
T : 교차로 T1: 교차지점
L1: 순방향 차선 L11 : 중앙선 측의 순방향 차선
L12 : 인도 측의 순방향 차선 L2: 다른 차로의 순방향 차선
100: 정지선부 110: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
120: 인도 측의 정지선부 130: 본체
P: 형광 도료층 140: 삽입홀
150: 구분라인부 160: 체결부재
170: 체결구멍 20: 중앙선
200: 둔턱부 201: 경사블럭
202: 연결리브 203: 걸림공간T: Intersection T1: Intersection
L1: Forward lane L11: Forward lane on the center line
L12: Forward lane on side of India L2: Forward lane on other lanes
100: stop line 110: stop line portion of the center line side
120: side stop of the side of the side 130: body
P: fluorescent paint layer 140: insertion hole
150: division line 160: fastening member
170: fastening hole 20: center line
200: blunt portion 201: oblique block
202: Connecting rib 203: Hanging space
Claims (4)
상기 교차로의 교차지점을 향하는 순방향 차선들에 개별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순방향 차선의 폭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순방향 차선의 폭을 가로 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진 정지선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선부들 중 중앙선 측의 정지선부는, 인도 측의 정지선부보다, 상기 교차지점의 반대방향을 향해 후방 배치되며,
상기 정지선부는, 차로의 순방향 차선에 위치 고정되며 표면에 형광 도료층을 구비한 본체; 및 상기 진입차량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순방향 차선에서 이동하는 상기 진입차량에 임의적인 걸림충격을 전달하여 운전자가 정지선부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바닥에서 상기 본체를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한쌍의 경사블럭과, 일측이 상기 경사블럭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경사블럭과 정지선부 간의 걸림공간을 형성시키는 연결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리브에는 상기 걸림공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위치조절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둔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정지 표시 유닛.When a vehicle turns right from one of the lanes forming an intersection to another lane, 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waiting vehicle stopped in the other lane from colliding with the other vehicle. About,
It is provided separately; provided in the forward lanes toward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on, the stop line parts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and having a shape crossing the width of the forward lane; Among the parts, the stop line portion on the center line side is disposed rearwar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tersection point, than the stop line portion on the side of the side,
The stop line portion is fixed to the forward lane of the lane, the main body having a fluorescent paint layer on the surface; And a pair of insertion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ntry vehicle.
A pair of slope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inclined upward from the floor toward the main body so that the driver can effectively recognize the stop line part by transmitting an arbitrary stopping shock to the entering vehicle moving in the forward lane. A block and a connecting rib that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block and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ile the other side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hole to form a locking space between the inclined block and the stop line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rib has the Vehicle stop display unit for preventing an acciden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a chin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ment holes to be able to adjust the width of the locking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881A KR102112920B1 (en) | 2018-06-08 | 2018-06-08 |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881A KR102112920B1 (en) | 2018-06-08 | 2018-06-08 |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9438A KR20190139438A (en) | 2019-12-18 |
KR102112920B1 true KR102112920B1 (en) | 2020-05-19 |
Family
ID=6905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5881A Active KR102112920B1 (en) | 2018-06-08 | 2018-06-08 |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92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5391A (en) | 2021-12-07 | 2023-06-14 |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08781B (en) * | 2022-03-01 | 2024-09-20 | 深圳市交通运输局龙华管理局 | Vehicle type safety traffic sign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34301C (en) * | 2004-02-16 | 2007-08-29 | 姚东川 | Apparatus for changing traffic administration pattern at present crossroads and its us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2778Y1 (en) * | 1990-06-11 | 1993-05-21 |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 Input impedance testing circuit of amplifier |
KR101083285B1 (en) * | 2009-12-17 | 2011-11-14 | 안재영 | A assembly-typed grooving block and method to execute that |
-
2018
- 2018-06-08 KR KR1020180065881A patent/KR10211292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34301C (en) * | 2004-02-16 | 2007-08-29 | 姚东川 | Apparatus for changing traffic administration pattern at present crossroads and its using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5391A (en) | 2021-12-07 | 2023-06-14 |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 System for preventing car accid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9438A (en) | 2019-1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33682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when changing lanes, and motor vehicle | |
KR102112920B1 (en) | Stop line display unit for accident prevention | |
KR200481643Y1 (en) | Car sensing device for intersection | |
JP3842252B2 (en) | Traffic control system | |
KR102533487B1 (en) | Traffic signal lamp system | |
JP2990657B2 (en) | Passage device for traveling vehicles | |
JP4891974B2 (en) | Traffic control system | |
KR20200101589A (en) | FeatureFire Road | |
KR100703957B1 (en) | Virtual speed bump using optical illusion | |
JP2004360369A (en) | Pedestrian crossing | |
KR101243351B1 (en) | Road Having A Reflective Colored Groove | |
KR20120098408A (en) | Overspeed prevention structuer for traffic safety in school zone or lowspeed zone | |
CN205088597U (en) | Road operation scene protection ware | |
JP4112565B2 (en) | A mat with ridges to warn automobiles of entering the road entry prohibited area | |
DE102005008266A1 (en) | Dynamic control of the motion of a road vehicle, using sensors that detect accident causing objects to the side of the vehicles | |
TWI821145B (en) | A curve warning system | |
KR200428823Y1 (en) | Road safety fence for vehicle guidance | |
KR101130852B1 (en) | An exclusive bus lane with rasied trackage | |
KR20240000700U (en) | Front side mirror | |
KR200391883Y1 (en) | The load lane regulation block | |
KR101256872B1 (en) | Median strip for road | |
KR20240168534A (en) | non-signalized intersection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gobo lights | |
KR0158331B1 (en) | Bus with stop signal means | |
KR102190895B1 (en) | Grooving system for road facility warning | |
KR20240018136A (en) | The safety gate apparatus for crosswal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