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2779B1 - 멜라민 수지 식기 - Google Patents

멜라민 수지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779B1
KR102112779B1 KR1020180125700A KR20180125700A KR102112779B1 KR 102112779 B1 KR102112779 B1 KR 102112779B1 KR 1020180125700 A KR1020180125700 A KR 1020180125700A KR 20180125700 A KR20180125700 A KR 20180125700A KR 102112779 B1 KR102112779 B1 KR 10211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melamine resin
weight
indu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107A (ko
Inventor
남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더멜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더멜라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더멜라민
Priority to KR102018012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7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7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구성하며,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 펄프 10 ~ 20 중량% 및 유도멤버를 10 내지 15 중량% 만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는 (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멜라민 수지 식기{Melamin Resin crockery}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인덕션을 이용하여 조리 재료를 유도가열시킬 수 있는 멜라민 수지 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접시, 대접, 공기 등의 그릇을 제조하는 용도로 멜라민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멜라민과 포름 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만드는 멜라민 수지가 주된 원료이다.
멜라민은 구조상으로 2,4,6-트리아미노-1,3,4-트리아딘에 해당하고 시아누르(산)아미드라고도 하는데, 소정의 압력하에서 디시안디아미드와 액체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생성된다. 멜라민은 무색의 주상(柱狀) 결정으로 분자량은 126.12, 녹는점은 347℃(분해), 비중은 1.573(14℃)이고 승화성을 지닌다. 뜨거운 물에는 어느 정도 녹으나 찬물·에탄올에는 잘 녹지 않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이러한 멜라민을 포르말린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함께 혼합하고 가열하면 축합반응에 의해서 멜라민수지(樹脂)가 된다. 멜라민수지는 아미노수지의 일종으로서 표면이 딱딱하면서 매끄럽고 난연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멜라민수지를 이용한 식기는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유도가열부가 부재하여 인덕션을 이용하여 가열시킬 수 있는 식기로는 이용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7185호 (2017.02.15)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멜라민 수지 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구성하며,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 펄프 10 ~ 20 중량% 및 유도멤버를 10 내지 15 중량% 만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는 (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구성하며,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 펄프 10 ~ 20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판 형상 또는 코일 형상의 유도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의 재질은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 형성되고,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본체를 형성한 후, 상기 본체가 냉각되기 전에 상기 바닥면 외측에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 결합되고,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 펄프 10 ~ 20 중량% 및 유도멤버를 10 내지 15 중량% 만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는 (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다양한 종류의 인덕션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 후에도 식기의 강성이 유지되며, 식기 자체의 변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멜라민 수지 식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멜라민 수지, 펄프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멜라민 수지는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또는 포르말린)를 1 : 1.5 ~ 3 몰비로 혼합한 후, 알칼리 촉매를 첨가하고 80 ~ 100℃ 부근에서 반응시켜 제조한 멜라민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멜라민 수지는, 멜라민 수지를 원료로 컵, 접시, 대접, 공기 등의 그릇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널리 이용하고 있는 수지이다.
펄프는 예컨대 종이 제조용 펄프로서, 통상적으로 목재로부터 셀롤로오스 이외의 것을 제거하여 제조한다. 펄프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재를 잘게 부수어 칩(chip)을 만든다. 칩을 아황산수소칼슘의 수용액 중에서 130 ~ 160℃의 온도로 약 8시간 동안 쪄서 리그닌, 펜토산, 기타 성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다시 표백 등의 처리를 거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펄프를 아황산 펄프라고 한다. 이것 외에도 가성소다법, 황산소다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황산소다법에 의한 펄프를 그래프트(kraft) 펄프라고 한다. 이밖에 이러한 약품처리를 하지 않고 칩을 갈아 부수어 만든 것도 있는데 이러한 펄프는 쇄목 펄프라고 하며, 리그닌이나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값이 싸기는 하나 변색되기 쉬워 신문용지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펄프는 셀룰로오스의 함유량이 90% 이상되는 종이용 펄프가 바람직하다.
첨가제는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그릇 제조용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100A)는 본체(101), 유도가열부(120), 및 코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도록 바울(Bowl)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에서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110)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첨가제 2 ~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유도가열부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 펄프 10 ~ 20 중량% 및 유도멤버를 10 내지 15 중량% 포함하고, 유도멤버는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도멤버는 분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를 구성하는 멜라민 수지 조성물의 조성과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멜라민 수지 조성물의 조성은 서로 다르다. 멜라민 수지액의 조성비를 줄여 유도가열부의 강성을 높이고, 펄프와 유도멤버와의 접촉을 줄여 멜라민 수지 식기의 변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멜라민 수지액을 55% 미만으로 포함하였을 때, 유도가열부와 본체 사이에 크랙이 발생하였고, 멜라민 수지액을 65% 초과하여 포함하였을 때, 유도가열부의 강성이 현저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한 펄프를 10% 미만으로 포함하였을 때 유도가열부의 강성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펄프를 20% 초과하여 포함하였을 때 유도가열부 표면에서 변색이 현저히 크게 일어났다.
아래는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 결과이다.

멜라민 수지액
의 조성비

54

54

55

55

65

65

66

66

펄프의 조성비

9

21

10

20

10

20

9

21

강성

크랙발생

크랙발생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낮음

낮음

변색으로 발생한 점의 개수

5

36

4

5

3

3

5

31
실험은 조리 재료로 물을 채운 후 물이 끓은 상태가 되도록 인덕션을 이용하여, 100회 반복하여 가열한 후 결과이다. 변색으로 발생한 점의 개수는 유도가열부의 3cm * 3 cm 면적에 발생한 점의 개수이다.
코팅부는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가열부와 조리 재료 사이에 코팅부가 형성된다. 코팅층은 일 예로, 세라믹, 불소 수지 또는 그 외 피가열물질인 조리 재료가 점착되지 않는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소재가 적층되어 겹쳐지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를 구성하는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과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에 펄프 25 ~ 35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3mm 내지 12mm 크기를 갖도록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다.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에 펄프 10 ~ 20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1mm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1차로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와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유도멤버를 10 내지 15 중량%를 혼합한다. 수지 조성물에 첨가제와 함게 혼합되기 전에 유도멤버는 볼밀에서 밀링(milling)한다. 유도멤버의 크기는 0.3 mm 이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고주파로 약 100 ~ 120℃의 온도로 예열시킨 후, 제1 금형에 투입하고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하여 유도가열부를 형성한다.
유도가열부와 약 120 ~ 150℃의 온도로 예열된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2 금형에 투입하고,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식기를 제조한다.
제1 금형은 바닥 형상의 유도 가열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금형은 바울 형상의 식기를 제조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100C)는 본체(301), 유도가열부(320) 및 코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도록 바울(Bowl)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에서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310)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첨가제 2 ~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유도가열부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와 펄프 10 ~ 20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판 또는 코일 형태의 유도멤버(340)를 포함하고, 유도멤버는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코팅부는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즉, 유도가열부와 조리 재료 사이에 코팅부가 형성된다. 코팅층은 일 예로, 세라믹, 불소 수지 또는 그 외 피가열물질인 조리 재료가 점착되지 않는 소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소재가 적층되어 겹쳐지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를 구성하는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과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에 펄프 25 ~ 35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3mm 내지 12mm 크기를 갖도록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다.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에 펄프 10 ~ 20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1mm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1차로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다.
그리고,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고주파로 약 100 ~ 120℃의 온도로 예열시킨 후, 제1 금형에 판 또는 코일 형상의 유도멤버와 함께 투입하고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하여 유도가열부를 형성한다.
유도가열부와 약 120 ~ 150℃의 온도로 예열된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2 금형에 투입하고,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식기를 제조한다.
제1 금형은 바닥 형상의 유도 가열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금형은 바울 형상의 식기를 제조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100D)는 본체(401)와 유도가열부(420)를 포함한다.
본체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도록 바울(Bowl)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는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첨가제 2 ~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본체의 바닥면을 외측에 유도멤버로 이루어진 분말을 도포하여 형성한다. 유도멤버는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도멤버는 분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를 구성하는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에 펄프 25 ~ 35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3mm 내지 12mm 크기를 갖도록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다.
그리고,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고주파로 약 120 ~ 150℃의 온도로 예열시킨 후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1 금형에 투입하고,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하고, 냉각시키기 전에 준비된 유도멤버의 분말을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 도포함으로써 원하는 식기를 제조한다. 유도멤버는 볼밀에서 밀링(milling)된 것으로 준비한다. 유도멤버의 크기는 0.3 mm 이하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는 본체(100B)와 유도가열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는 조리 재료가 수용되도록 바울(Bowl)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는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와 펄프 25 ~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첨가제 2 ~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되도록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유도가열부는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와 펄프 10 ~ 20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되고, 판 또는 코일 형태의 유도멤버를 포함하고, 유도멤버는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멜라민 수지 식기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를 구성하는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과 유도가열부를 구성하는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에 펄프 25 ~ 35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3mm 내지 12mm 크기를 갖도록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다.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반응기에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1 : 1.5 ~ 3 몰비로 섞어 알칼리 촉매하에 80 ~ 100℃로 가열하면서 반응시켜 멜라민 수지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제조된 멜라민 수지액 55 ~ 65 중량%에 펄프 10 ~ 20 중량%를 함침시킨다. 여기서 멜라민 수지액은 용액 상태이며, 펄프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칩 상태이다. 이후, 펄프에 멜라민 수지액이 함침된 것을 스팀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일 예로, 혼합된 결과물을 80 ~ 90℃에서 수분함량 6 ~ 8%가 되도록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되면 마치 팝콘 덩어리들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덩어리들을 1mm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1차로 분쇄한다. 그리고 분쇄된 것에 경화제, 이형제, 착색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다.
그리고, 제2 멜라민 수지 조성물은 고주파로 약 100 ~ 120℃의 온도로 예열시킨 후,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하여 유도가열부를 형성한다.
이후, 예열된 제1 멜라민 수지 조성물을 제2 금형에 투입하여 본체를 형성하고, 150℃ 내지 170℃의 고온에서 가압 성형한다.
그리고, 본체와 유도가열부가 냉각되기 전에 본체의 바닥면에 유도가열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제1 금형은 유도 가열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금형은 바울 형상의 식기를 제조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멜라민 수지 식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4)

  1.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구성하며,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 펄프 25 ~ 35 중량% 및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의 멜라민 수지액의 중량%에 비해 상기 유도가열부의 멜라민 수지액은 보다 적은 중량%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펄프를 10 ~ 20 중량% 만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1 금형을 통해 성형한 뒤, 제2 금형에 상기 유도가열부와 상기 조성물을 투입한 후 가압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는 (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수지 식기.
  2.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구성하며,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가열부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은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 펄프 25 ~ 35 중량% 및 첨가제 2 ~ 5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은 통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제외한 부분의 멜라민 수지액의 중량%에 비해 상기 유도가열부의 멜라민 수지액은 보다 적은 중량%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펄프를 10 ~ 20 중량% 만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유도가열부를 제1 금형을 통해 성형한 뒤, 제2 금형에 상기 유도가열부와 상기 조성물을 투입한 후 가압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판 형상 또는 코일 형상의 유도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의 재질은 철(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수지 식기.
  3. 삭제
  4. 조리 재료가 수용되는 바울 형태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 외측에 결합되고, 인덕션으로부터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도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멜라민 수지액 60 ~ 70 중량%, 펄프 25 ~ 35 중량% 및 첨가제 2 ~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멜라민 수지액의 중량%에 비해 상기 유도가열부의 멜라민 수지액은 보다 적은 중량%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펄프를 10 ~ 20 중량% 만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유도가열부는 서로 다른 금형들을 통해 고온 가압 성형으로 형성된 후, 냉각되기 전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상기 유도가열부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유도가열부는 유도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멤버는 (Fe)계 소재, 철(Fe)계 합금, 자성체 또는 전도성을 갖는 세라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 수지 식기.

KR1020180125700A 2018-10-22 2018-10-22 멜라민 수지 식기 Active KR10211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00A KR102112779B1 (ko) 2018-10-22 2018-10-22 멜라민 수지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700A KR102112779B1 (ko) 2018-10-22 2018-10-22 멜라민 수지 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07A KR20200045107A (ko) 2020-05-04
KR102112779B1 true KR102112779B1 (ko) 2020-05-19

Family

ID=7073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700A Active KR102112779B1 (ko) 2018-10-22 2018-10-22 멜라민 수지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7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662B1 (ko) * 2023-08-16 2024-05-31 월포스 주식회사 멜라민 수지 성형재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029A (ja) * 2002-04-01 2003-10-14 Noritake Co Ltd 電磁調理器用樹脂容器
JP2014113222A (ja) 2012-12-06 2014-06-26 Shinano Kagaku Kogyo Kk 食器及び食器用加熱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593A (ko) * 2011-11-22 2013-05-30 정명주 입체무늬가 형성되는 인덕션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762946B1 (ko) * 2015-07-17 2017-07-28 주식회사 이더멜라민 대리석 문양을 구비하는 멜라민 수지 식기, 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혼합 멜라민 수지 조성물
KR101707185B1 (ko) 2016-02-29 2017-02-15 김학규 인덕션용 회전 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029A (ja) * 2002-04-01 2003-10-14 Noritake Co Ltd 電磁調理器用樹脂容器
JP2014113222A (ja) 2012-12-06 2014-06-26 Shinano Kagaku Kogyo Kk 食器及び食器用加熱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662B1 (ko) * 2023-08-16 2024-05-31 월포스 주식회사 멜라민 수지 성형재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07A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946B1 (ko) 대리석 문양을 구비하는 멜라민 수지 식기, 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혼합 멜라민 수지 조성물
EP2310433B1 (en) Storage stable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112779B1 (ko) 멜라민 수지 식기
JP6905942B2 (ja) リグニンの反応性を増大させるための方法、前記リグニン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前記樹脂組成物の使用
CN106363760A (zh) 采用防虫防霉复合脲醛树脂生产刨花板的方法
JP2004352978A (ja) バイオマス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バイオマス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材料
US3392082A (en) Modified melamine-formaldehyde resins modified with tris (2-hydroxyalkyl)isocyanurates and laminates made therewith
KR101017870B1 (ko) 중밀도섬유판 제조용 멜라민-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접착제의 제조방법
CA3017402C (en) Formaldehyde-free wood binder
CN105856379A (zh) 环保型高强度木质纤维素板及其制备方法
JPH10305409A (ja) イネ科植物リグニンを使用したボードとその製造方法
CN104086730A (zh) 制备环保人造板用改性脲醛胶的两步法
CN103756608A (zh) 一种高频热压胶粘剂
KR101554915B1 (ko) 그릇 제조용 멜라민 목분 수지 조성물 제조 방법 및 멜라민 목분 수지 그릇 제조 방법
US344299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hipboards
US3044973A (en) Molding composition comprising melamine formaldehyde resin and monomethylol melamine, and cured product thereof
CN104015458A (zh) 一种高强氨基smc改性模塑料的制备方法
KR102127665B1 (ko) 멜라민 식기의 세라믹 코팅 방법
KR20240030124A (ko) 음각 무늬를 구비한 논슬립 멜라민 수지 식기의 제조방법
KR20150085302A (ko) 멜라민 목분 수지 조성물
KR100984800B1 (ko) 수지형 경화제
US2665260A (en) Preparation of infusible resins of superior toughness and flexibility from a ketodiguanamine and formaldehyde
CN109227863A (zh) 混合纤维板及其制造方法
ES2231171T3 (es) Metodo para la preparacion de polimeros.
JP2004352982A (ja) メラミン系樹脂成形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