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9790B1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790B1
KR102109790B1 KR1020190113076A KR20190113076A KR102109790B1 KR 102109790 B1 KR102109790 B1 KR 102109790B1 KR 1020190113076 A KR1020190113076 A KR 1020190113076A KR 20190113076 A KR20190113076 A KR 20190113076A KR 102109790 B1 KR102109790 B1 KR 10210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beration
variable
reverberation variable
mode
s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현경
지훈
Original Assignee
음향컨설팅그룹라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음향컨설팅그룹라라(주) filed Critical 음향컨설팅그룹라라(주)
Priority to KR1020190113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90B1/en
Priority to PCT/KR2020/012294 priority patent/WO2021049902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실내공간 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 또는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부 및 상기 잔향 가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잔향 형성부가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잔향 가변부에 구비된 가변 장막은 상기 팽창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adjusts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or compression to vary the reverberation time of sound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I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nd one sid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nd the reverberation forming unit includes expansion means for expanding or compressing a predetermined volume, and the variable membrane provided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s powered from the expans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expanding when supplied.

Description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본 발명은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공간에 위치한 잔향 가변부를 팽창 또는 압축시킴으로써 실내공간에 잔향 시간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that enables variable reverberation time in an indoor space by expanding or compress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located in the indoor space. .

콘서트홀 또는 다목적공연장 등 공연시설의 실내공간의 음질에 영향을 주는 음향 변수 중 하나는 실내음향의 주관적인 구성요소인 잔향감(reverberance)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지표인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이다. 사용자들이 만족할만한 실내공간을 위해서는 적절한 잔향감, 즉 잔향시간이 요구된다. 잔향시간은 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정지했을 때 음에너지량이 60㏈ 감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회화음의 경우 긴 잔향시간은 명료도를 저하시키며, 음악의 경우 회화음보다 긴 잔향시간을 필요로 한다.One of the acoustic variables affecting the sound quality of the indoor space of a performance facility such as a concert hall or multi-purpose performance hall is reverberation time, which is a physical indicator of reverberance, a subjective component of indoor sound. An adequate reverberation feeling, that is, reverberation time, is required for an indoor space that is satisfactory to users. The reverberation time is defined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amount of sound energy to decay by 60 Hz when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is stopped. In general, a long reverberation time decreases intelligibility in the case of a conversation sound, and a reverberation time longer than a conversation sound in the case of music.

잔향시간(reverberation time)은 잔향감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실내공간의 규모, 객석 수, 공연장르 및 공연범위 편성 등에 따라 잔향시간의 적정범위는 달라지는데 , 예를 들어 클래식 음악이 연주되는 공간의 경우 권장되는 잔향 시간은 1.5초~2.3초의 범위이고, 음성정보의 전달이 중요한 공간의 잔향 시간은 0.6초~1.0초의 범위이다.Reverberation time is most closely related to reverberation. The appropriate range of reverberation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the number of seats, the genre of the performance, and the composition of the performance range.For example, in a space where classical music is played, the recommended reverberation time is in the range of 1.5 seconds to 2.3 seconds, and voice information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space where the transmission of is important ranges from 0.6 seconds to 1.0 seconds.

잔향 가변이란, 이와 같이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것을 말하며, 다목적 공연장에서 복수의 용도에 맞게 잔향 가변을 수행하는 것은 공연의 질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고, 강연에서는 보다 명료하게 연사의 목소리가 청중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음질의 향상에 필수적이다.Variable reverberation refers to varying reverb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erforming reverberation for multiple purposes in a multi-purpose venue can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and in the lecture more clearly speaking The voice can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so it is essential for improving sound quality.

하지만 종래에는 잔향 가변을 위해 실내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패널들을 사용목적에 맞게 수동으로 조절하였으며, 패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은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범용성이 낮았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a plurality of panel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was manually adjusted for variable reverber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since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panel takes an expensive cost, versatility was low.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실내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패널들을 제어하여 잔향 가변을 수행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였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verberation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panel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while being inexpensive.

일본 등록특허 JP4782193Japanese registered patent JP478219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목적에 부합하도록 잔향 시간을 가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패널, 잔향 가변부 또는 잔향 가변 모듈을 제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has an object to control a plurality of panels,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or a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so that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varied to meet the purpose of u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는 소정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 또는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부; 및 상기 잔향 가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잔향 형성부가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잔향 가변부에 구비된 가변 장막은 상기 팽창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시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adjusts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or compression to vary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sound generat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nd an expansion mea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to expand or compress the reverberation form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volume, wherein the variable membrane provided o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expands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expans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여기서, 상기 잔향 가변부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변 장막이 둘러싸는 것으로 상기 가변 장막과 용적 또는 부피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용적 또는 부피의 내부에 구비된 흡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support frame for forming a volume or volume with the variable membrane by surrounding the variable membrane;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volume or volume.

또한, 상기 잔향 가변부에 구비된 가변 장막은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riable membrane provided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electroactive polymer (Electroactive polymers) or a ferroelectric material (Ferro-Electric Material).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는 소정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 또는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부; 및 상기 잔향 가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잔향 형성부가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되도록 하는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잔향 가변부는 팽창 시 상기 잔향 가변부의 내부에서 음향 신호 또는 소리에너지가 입사되어 회절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reverberation time of sound generat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by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or compression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for varying the; And an expansion mea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to expand or compress the reverberation forming portion to a predetermined volume, where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is subject to acoustic signal or sound energy enter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when expanded.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diffractive structure.

또, 상기 회절하는 구조는 상기 가변 장막이 팽창하면서 상기 가변 장막의 내부의 격자구조 또는 상기 가변 장막의 내측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ffractive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lattice structure inside the variable membrane or an inner protrusion of the variable membrane while the variable membrane expands.

또한, 소정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 또는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부; 및 상기 잔향 가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잔향 형성부가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잔향 가변부는 양쪽 측면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길이를 따라 굴곡진 부분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adjusts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or compression to vary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sound gener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n expansion mea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to expand or compress the reverberation portion to a predetermined volume, where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has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along a length extending parallel to both sid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 상기 굴곡진 부분은 주름진 형상 또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or a corrugated pipe shape.

아울러, 상기 굴곡진 부분은 아코디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n accordion sha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는 소정의 실내공간에 위치한 다수의 객석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부; 및 상기 잔향 가변부를 각각 제어하여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a plurality of seats locat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reverberation time of sound generated in the predetermined indoor space by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for varying th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by controlling the variable reverberation units,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잔향 가변부는 상기 다수의 객석 등받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Here,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plurality of seats.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모드에 대한 잔향 가변 모듈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잔향 가변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잔향 가변 모듈의 부피의 팽창 또는 압축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set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for a plurality of modes according to a user input;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And operating a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based on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wherein the parameter may include parameters related to expansion or compression of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딥러닝 엔진이 구비되어, 상기 딥러닝 엔진이 복수의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변수와 출력변수로 구성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eep learning engine, the deep learning engine to learn an algorithm for deriving the parameters based on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set consisting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des It is characterized by.

또, 상기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은 입력변수로 홀의 부피, 폭, 너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하는 구조물 관련 학습 데이터와, 음파 또는 음향 신호의 진폭, 주기,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하는 음향 신호 관련 학습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earning data sets are structure-related learning data that are at least one of a volume, width, width, or height of a hole as an input variable, and an acoustic signal that is at least one of amplitude, period, and frequency of a sound wave or sound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related learning data.

또한, 상기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은 출력변수로 상기 잔향 가변부의 용적, 상기 잔향 가변부의 기울기 또는 복수로 구비된 상기 잔향 가변부 사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earning data set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variable is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the slop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or the distance betwe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s provided in plural.

아울러, 상기 딥러닝 엔진은 상기 잔향 가변부가 설치된 위치 및 모드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상기 학습 데이터 셋을 학습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모드에서 상이한 상기 학습 데이터 셋에 따라 복수의 상기 잔향 가변부를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s the learning data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mode in which the reverberation variable is installed, and the controller differs from the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par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arning data sets in one mo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또한, 상기 딥러닝 엔진은 상기 소정의 공간에서 수신된 음파 또는 음향 신호의 장르 또는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상기 장르 또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ep learning engine is characterized by learning the genre or pattern of the sound wave or sound signal receiv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determining the mode based on the learned genre or pattern.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잔향 가변부를 제어하는 것이 수행 중인 상태에서, 수신된 음향 신호를 기반으로 잔향 시간을 판단한 후 상기 모드에서 허용하는 범위 내에 상기 잔향 시간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잔향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상기 잔향 가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control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s performed in response to one mod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reverberation time based on the received acoustic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verberation time is included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mode. Therefore, the reverberation variable is controll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everberation tim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시스템은 소정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과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 모듈; 상기 잔향 가변 모듈의 팽창과 압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사용자의 입력변수에 따라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도출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잔향 가변 모듈을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되도록 제어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장치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reverberation time of sound generat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by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and compression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for varying th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expansion and compression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And a user terminal that derive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a mode according to a user's input variable and provide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such that the control device expands or compresses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to a predetermined volume. It is characterized by.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시스템은 소정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팽창과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향 가변부를 구비하는 잔향 가변 모듈; 및 사용자의 입력변수에 따라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도출하여 상기 잔향 가변부를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reverberation time of sound generat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by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and compression A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having 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for varying the; And a control device that derive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a mode according to a user's input variable and controls the reverberation variable to be expanded or compressed to a predetermined volume.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everberation variabl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잔향 시간을 사용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은 하나의 실내공간에 복수의 잔향 가변부가 벽체, 객석 의자 및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설치된 복수의 잔향 가변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잔향모드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팽창 및 압축되면서 실내공간의 소리를 흡수, 반사 또는 확산하면서 실내공간의 잔향 시간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실내공간에서 잔향 시간을 조절하여 다양한 목적에 대해 잔향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adjusted to suit the purpose of use. The reverberation variabl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installed in a wall, an audience chair, and a ceiling in one indoor space, and the installed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verberation mode set by the user.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indoor space is adjusted while absorbing, reflecting or diffusing the sound of the indoor space as it expands and compresses. 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reverberation time in one indoor space to adjust the reverberation time for various purposes.

둘째, 잔향모드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은 딥러닝 엔진을 사용하여 복수의 잔향 가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입력되어 있는 학습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딥러닝 엔진이 학습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사용 목적에 따라 잔향모드를 설정할 시 잔향 가변부가 최적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잔향모드에 대한 잔향 가변부의 제어가 용이하여 잔향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Second, it is easy to control the reverberation mode. The reverberation variabl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a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using a deep learning engine. That is, when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s an algorithm for deriving the optimal parameter based on the input learning data set, when the user sets the reverberation mode according to a specific use purpose,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timal parameter.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reverberation time by easil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for the reverberation mode.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음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반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음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반사하여 울림을 크게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잔향 가변부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평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의 반사 및 확산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잔향 가변부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에서 딥러닝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드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에서 딥러닝을 이용하여 특정 모드 안에서 입력변수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제어부가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18은 하나의 모드에서 잔향 시간이 허용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잔향 가변부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도면이다.
도19는 본 발명에서 잔향 가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sound absorption is performed by absorbing sound energy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reflection of sound energy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sound absorption is performed by absorbing sound energy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sound energy to increase ringing.
9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reflection and diffusion of sound energy in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arying reverb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deriving an optimal parameter for each mode using deep learning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optimal parameters for input variables are differently derived in a specific mode using deep learning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a controller determines a mode by using deep learning.
1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finel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verberation tim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in one mode.
19 is a view showing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irrelevant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제1실시예><First Example>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잔향 가변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reverberation variable p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ectional view of a reverberation variab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는 잔향 가변부(100) 및 팽창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nd an expansion means 200.

잔향 가변부(100)는 팽창수단(200)에 의해 팽창 또는 압축되어 내부에 캐비티(cavity)(140)를 형성함으로써,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음(音)의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수행하는 구성이다.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is expanded or compressed by the expansion means 200 to form a cavity 140 therein, thereby perform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of sound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to be.

팽창수단(200)은 잔향 가변부(100)를 팽창 또는 압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팽창수단(200)으로는 에어블로워(210), 전원공급부(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수단(200)이 에어블로워(210)이면 잔향 가변부(100)의 내부에 에어블로워(210)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흡입함으로써 잔향 가변부(100)를 팽창 또는 압축시키고, 팽창수단(200)이 전원공급부이면 잔향 가변부(100)로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잔향 가변부(100)를 팽창 또는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수단(200)은 사용자가 직접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팽창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The expansion means 200 is configured to expand or compress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he expansion means 20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blower 210, a power supply (not shown). Therefore, if the expansion means 200 is the air blower 210,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is expanded or compressed by injecting or inhaling air into the air blower 210 inside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and the expansion means ( If 200) is a power supply unit,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be expanded or compressed by flowing or blocking current to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n addition, the expansion means 200 is also possible to expan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at the user directly pulls on both sides.

여기서, 잔향 가변부(100)는 지지프레임(110), 가변 장막(120) 및 흡음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include a support frame 110, a variable curtain 120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130.

지지프레임(110)은 잔향 가변부(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대략 사각형의 틀로 형성되어 가변 장막(120)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은 강성이 크고 가벼우며, 절연성을 보유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판, 성형 플라스틱 재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10 is configured to form a skeleton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to support the variable curtain 120. The support frame 110 has a large rigidity and lightness,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insulation.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stainless steel, plywood, molded plastic material, and the like.

가변 장막(120)은 팽창과 압축을 통해 음의 흡음, 반사 및 확산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지지프레임(110)을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프레임(110)의 둘레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변 장막(120)은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로 구비되어 팽창수단(200)에 의해 지지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팽창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즉, 팽창수단(200)이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로 형성된 가변 장막(120)은 지지프레임(110)으로부터 부풀어 올라 팽창하게 되고, 반대로 팽창수단(200)이 전류를 차단하면 가변 장막(120)은 압축하게 된다.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은 다른 방향과 크기의 분극(polarization)을 가지는 영역(domain)들이 있는데, 여기서 전기장이 형성될 경우 이 전기장과 방향을 맞추기 위해서 영역들이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로 형성된 물질의 모양이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분극이란 하나의 화합물 내에서 원자들끼리의 결합구조의 특징으로 인해서 (+)극을 띄는 영역과 (-)극을 띄는 영역이 구분되어서 전기장을 띄게 되는 것을 말한다. 흡음 시에는 가변 장막(120)의 내부로 음에너지 또는 음향 신호가 입사되고, 입사된 음에너지가 내부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됨에 따라 흡수될 수 있다.The variable curtain 120 is configured to generate sound absorption, reflection, and diffusion through expansion and compression, and is provided around the support frame 110 in a form surrounding the support frame 110. The variable membrane 120 may be provided with electroactive polymers or ferro-electric material, and expanded or compressed based on the support frame 110 by the expansion means 200. That is, when the expansion means 200 flows a current, the variable membrane 120 formed of electroactive polymers or ferro-electric material swells from the support frame 110 and expands. When the means 200 interrupts the current, the variable curtain 120 is compressed. Electroactive polymers or ferro-electric materials have domains with polarization of different directions and sizes, where regions are created to align with the electric field when an electric field is formed. It will move. Therefore, the shape of a material formed of electroactive polymers or a ferro-electric material changes. Here, polarization means that a region having a (+) pole and a region having a (-) pole are distinguished and exhibit an electric field due to characteristics of a bonding structure between atoms in a compound. At the time of sound absorption, sound energy or sound signals are incident into the variable membrane 120, and the incident sound energy may be absorbed as heat is generated by internal friction.

또한, 가변 장막(120)은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이 아니라 공기에 의해 팽창 가능한 재료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어, 얇고 팽창 가능한 플라스틱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가변 장막(120)은 얇고 팽창 가능한 플라스틱 멤브레인으로 구비되고, 가변 장막(120)과 지지프레임(110)으로 형성된 캐비티(140)로 팽창수단(200)이 공기를 주입시키면 가변 장막(120)이 팽창하고, 캐비티(140)로부터 팽창수단(200)이 공기를 흡입하면 가변 장막(120)이 압축된다. 이 때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에어블로워(210)와 잔향 가변부(100)가 연결된 부분에는 밸브(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220)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자동 제어되는 것 모두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ariable membrane 120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that is expandable by air, rather than electroactive polymers or ferro-electric materials. As this material, for example, a thin and expandable plastic membrane can be used. That is, the variable membrane 120 is provided with a thin and expandable plastic membrane, and when the expansion means 200 injects air into the cavity 140 formed of the variable membrane 120 and the support frame 110, the variable membrane 120 The expansion, and when the expansion means 200 sucks air from the cavity 140, the variable membrane 120 is compressed. At this time, a valve 22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blower 210 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re connected to inject air. The valve 220 may be manually controlled, or both electrically and automatically controlled.

흡음재(130)는 지지프레임(110) 내측에 구비되어 흡음 시 흡음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흡음재(130)는 지지프레임(110)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지지프레임(110)의 골격을 따라 외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흡음재(130)의 재료로는 다공질의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멜라민 폼 등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라면 사용이 가능하다.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30 is provided inside the support frame 110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ound absorption during sound absorp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30 may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support frame 110 or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skeleton of the support frame 110. As the material of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30, porous polyester, polyurethane, glass wool, mineral wool, melamine foam and the lik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used common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로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이 흡음되거나, 반사 또는 확산하는 것을 도4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ound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is absorbed, reflected, or diffused by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음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sound absorption is performed by absorbing sound energy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향 가변부(100)는 가변 장막(120)이 팽창한 상태에서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에너지를 흡수(흡음)하여 잔향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가변 장막(120)은 에어블로워(210)가 가변 장막(12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다. 이 때 에어블로워(210)와 잔향 가변부(100) 사이에는 밸브(220)가 마련되어 에어블로워(210)로부터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방식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에어블로워(210)를 조작하여 미세 조절할 수도 있지만, 전자 제어 방식으로 제어부(미도시)에서 원격으로 제어하여 필요한 양으로 주입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가변 장막(120)은 전기 활성 폴리머(Electroactive polymers) 또는 강유전성 물질(Ferro-Electric Material)로 구성되어 전원공급부에 의해 가변 장막(120)으로 전류가 흐를 시 팽창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adjust the reverberation time by absorbing (absorbing) sound energy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in a state where the variable curtain 120 is expanded. The variable membrane 120 may be expanded by the air blower 210 injecting air into the variable membrane 120. At this time, a valve 220 is provided between the air blower 210 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jected from the air blower 210. The method in which the amount of air is adjusted may be finely adjusted by the user manually operating the air blower 210, but may be controlled to be remote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by an electronic control method to be injected in a required amount. In addition, the variable membrane 120 may be made of electroactive polymers (Electroactive polymers) or ferro-electric material (Ferro-Electric Material) may be expanded when the current flows to the variable membrane 120 by the power supply unit.

이처럼 가변 장막(120)이 팽창된 이후에는 실내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에너지가 가변 장막(120) 내부로 입사된다. 즉, 가변 장막(120)과 지지프레임(110)으로 형성된 캐비티(140) 내부로 입사된 음에너지는 가변 장막(120) 내부에서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함에 따라 음향 감쇠 효과가 발생된다. 아울러,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에 구비된 흡음재(130)는 가변 장막(120) 내부로 음에너지가 입사되었을 시 음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음재(130) 내부의 재료와 추가로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흡음 효과는 가변 장막(120)이 팽창하는 것과 더불어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After the variable curtain 120 is expanded as described above, sound energy generated inside the indoor space enters the variable curtain 120. That is, sound energy incident into the cavity 140 formed of the variable curtain 120 and the support frame 110 is generated by the friction generated inside the variable curtain 120, so that an acoustic attenuation effect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absorbs sound energy when the sound energy enters the variable curtain 120 to generate heat by additionally generating friction with the material insid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130 In accordance with this, the sound absorbing effect can be increased with the variable membrane 120 expanding.

이와는 반대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향 가변부(100)는 압축되어 음을 덜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5,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be compressed to absorb or reflect less sound.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반사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reflection of sound energy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장막(120)이 압축하게 되면 가변 장막(120) 내부로 입사되는 음에너지의 양이 적게 되며, 이에 따라 가변 장막(120) 내부에서 마찰되는 음에너지의 양 또한 적게 되어 흡음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 장막(120)이 압축하게 되면 소리를 덜 흡수하게 되므로 실내공간에서 잔향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variable curtain 120 is compressed, the amount of sound energy incident into the variable curtain 120 is reduced,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negative energy frictiond inside the variable curtain 120 is also reduced. Less, the sound absorption effect is reduced. Therefore, when the variable curtain 120 is compressed, the sound is absorbed less, so the reverberation time in the indoor space is increased.

한편, 잔향 가변부(100)는 복수로 연결되어 매트릭스를 형성한 것이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may be connected to form a matrix.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110)이 대략 사각형의 형태로 외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부분과 십자 형태로 내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셀을 형성하고, 형성된 셀에 각각 가변 장막(120)이 설치되어 잔향 가변부(100)를 형성한다. 에어블로워(210) 또는 전원공급부는 잔향 가변부(100)의 각각에 연결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공급관에서 분기하여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frame 110 is divided into a part forming an outer fram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part forming an inner frame in a cross shape to form a cell, and the variable membrane 120 i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ormed cell. It is installed to form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he air blower 210 or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but may als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ranching from one supply pipe.

결과적으로, 잔향 가변부(100)는 4개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잔향 가변부(100)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매트릭스 형태의 잔향 가변부(100)는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가변 장막(120)이 개별적으로 팽창 또는 압축되도록 제어하여 흡음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forms a matrix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y using four as one set, 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n the form of a matrix is a variable curtain 120 included in the matrix )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to be expanded or compressed to perform sound absorption.

또한, 잔향 가변부(100)의 매트릭스는 4개가 아닌 6개 또는 8개 등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각각 팽창하는 정도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흡음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rices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be composed of one set of six or eight, rather than four, so that sound absorption can be performed by differently adjusting the degree of expansion.

<제2실시예><Second Example>

이하에서는 도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를 기반으로 구성된 잔향 가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configured based on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100)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100)는 지지프레임(110), 가변 장막(120) 및 내측 돌출부(150)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10)과 가변 장막(120)은 앞서 제1실시예와 그 역할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a),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support frame 110, the variable curtain 120, and the inner protrusion 150. Here, since the supporting frame 110 and the variable curtain 120 have the same role as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내측 돌출부(150)는 가변 장막(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가변 장막(120)이 팽창할 시 가변 장막(120)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가변 장막(120)의 단면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 돌출부(150)는 음에너지가 가변 장막(120)의 내부로 입사될 시 음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반사 및 확산시킬 수 있다. 즉, 내측 돌출부(150)가 가변 장막(120)과 동일한 재료라면 흡음 성능이 강화되고, 내측 돌출부(150)가 가변 장막(120)과 다른 재료라면 반사 및 확산 성능이 강화된다. 또한, 내측 돌출부(150)는 가변 장막(120)의 내부로 입사된 음에너지를 부딪히게 하여 음에너지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회절시킴으로써 흡음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The inner protrusion 150 is provided inside the variable membrane 120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ariable membrane 120 toward the cross-section center of the variable membrane 120 when the variable membrane 120 expands. The inner protrusion 150 may absorb, reflect, and diffuse the negative energy when the negative energy is incident into the variable membrane 120. That is, if the inner projection 150 is the same material as the variable membrane 120, the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is enhanced, and if the inner projection 150 is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variable membrane 120, the reflection and diffusion performance is enhanced. In addition, the inner protrusion 150 may enhance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by delaying and diffracting the movement of sound energy by colliding the sound energy incident in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curtain 120.

아울러,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장막(120) 내부에는 회절을 위한 구성으로, 내측 돌출부(150)를 대신하여 격자구조(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구조(160)는 가변 장막(120)의 내부 단면적 상으로 보았을 시 가변 장막(120)의 내부 단면적의 둘레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b), the variable curtain 120 has a structure for diffraction, and a lattice structure 160 may be formed in place of the inner protrusion 150. The lattice structure 160 may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one side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riable veil 120 when viewed on the inn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riable veil 120.

도7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가 흡수 또는 흡입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7 that the sound energy is absorbed or sucked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음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sound absorption is performed by absorbing sound energy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향 가변부(100)에서 지지프레임(110)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프레임(110)의 테두리를 따라 가변 장막(1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6의 (a) 및 (b)에 도시된 잔향 가변부(100)는 에어블로워(210)로 공기가 주입될 시 가로로 연장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팽창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to extend substantially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variable curtain 120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support frame 110. Accordingly,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shown in FIGS. 6A and 6B expands in a horizontally extending cylindrical shape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blower 210.

또한, 가변 장막(12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내측 돌출부(150)는 가변 장막(120)이 팽창하는 정도에 따라 각각의 내측 돌출부(150)들이 점차 이격되고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격자구조(160) 또한 가변 장막(120)이 팽창하는 정도에 따라 점차 완전한 격자구조(1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에너지가 가변 장막(120)의 내부로 입사될 시 내측 돌출부(150) 또는 격자구조(160)가 형성된 재료가 가변 장막(120)과 동일한 상태에서는 내측 돌출부(150) 또는 격자구조(160)에 의해 부딪혀 회절됨으로써 흡음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음에너지가 흡수되면 실내공간 의 울림이 감소하여 잔향 시간이 감소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ner protrusions 150 formed inside the variable curtain 120 may be spaced apart and vertically extended to each inner protrusion 150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variable curtain 120, and the grid structure (16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variable membrane 120, the complete lattice structure 160 may be gradually formed. Therefore, when the negative energy is incident into the interior of the variable curtain 120, the inner protrusion 150 or the grid structure 160 is formed in the same material as the variable curtain 120, the inner projection 150 or the grid structure 160 By absorbing and diffracting by,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enhanced. When the sound energy is absorbed, the reverberation time decreases due to a decrease in the echo of the indoor space.

아울러, 도8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가 반사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8 that the sound energy is reflected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를 반사하여 울림을 크게 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sound energy to increase ringin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향 가변부(100)에서 지지프레임(110)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프레임(110)의 테두리를 따라 가변 장막(12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6의 (a) 및 (b)에 도시된 잔향 가변부(100)는 에어블로워(210)로 공기가 주입될 시 가로로 연장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팽창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to extend substantially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variable curtain 120 is installed along the rim of the support frame 110. Accordingly,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shown in FIGS. 6A and 6B expands in a horizontally extending cylindrical shape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blower 210.

또한, 가변 장막(12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내측 돌출부(150)는 가변 장막(120)이 팽창하는 정도에 따라 각각의 내측 돌출부(150)들이 점차 이격되고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격자구조(160) 또한 가변 장막(120)이 팽창하는 정도에 따라 점차 완전한 격자구조(16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에너지가 가변 장막(120)의 내부로 입사될 시 내측 돌출부(150) 또는 격자구조(160)가 형성된 재료가 가변 장막(120)과 상이하다면 음에너지는 내측 돌출부(150) 또는 격자구조(160)에 의해 부딪혀 반사됨으로써 음에너지를 더 확산시키는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음에너지가 확산되면 실내공간의 울림이 증가되어 잔향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ner protrusions 150 formed inside the variable curtain 120 may be spaced apart and vertically extended to each inner protrusion 150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variable curtain 120, and the grid structure (16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variable membrane 120, the complete lattice structure 160 may be gradually formed. Accordingly, when the material in which the inner projection 150 or the lattice structure 160 is formed is different from the variable membrane 120 when the negative energy enters the inside of the variable curtain 120, the negative energy is the inner projection 150 or the lattice structure ( The performance of diffusing the sound energy may be enhanced by being reflected by the collision by 160). When the sound energy diffuses, the reverberation time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resonance of the indoor space.

<제3실시예><Example 3>

이하에서는 도9 내지 도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를 기반으로 구성된 잔향 가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configured based on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잔향 가변부(100)의 사시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100)의 평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는 잔향 가변부(100)와 팽창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9 and 10,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nd an expansion means 200.

잔향 가변부(100)는 팽창 시 대략 육면체 또는 타원구의 형상을 띄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의 잔향 가변부(100)는 양쪽 측면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길이를 따라 굴곡진 부분(170)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면에서 양쪽 측면이 대략 주름진 형상이나 주름관 형상, 또는 아코디언 형상, 또는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 내측면에서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잔향 가변부(100)에서 가변 장막(120)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부틸렌, 폴리비닐 수지,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수지, 예컨대 셀룰로오스 트라이아세테이트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s configured to have an approximately hexahedral or ellipsoidal shape when inflated, and may absorb, reflect, or diffus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170 along a length extending parallel to both sides. That is, both sides on the outer side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orrugated shape, a corrugated pipe shape, an accordion shape, or a bellows shape,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on the inner sid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uter side. The material of the variable membrane 120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is polyest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or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carbonate, polyolefin,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polybutylene, polyvinyl resin, such as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or polyvinyl acetal, cellulose ester resin, such as cellulose triacetate or cellulose acetat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팽창수단(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향 가변부(100)와 연결되어 잔향 가변부(100)를 팽창시키거나 압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팽창수단(200)은 에어블로워(210)를 사용하여 잔향 가변부(100)를 팽창시키거나 압축시킬 수도 있지만, 모터 구동에 의해 잔향 가변부(100)의 양쪽을 잡아당김으로써 팽창시킬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팽창시키거나 압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팽창 또는 압축 시에는 화살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The expansion means 200 is configured to expand or compress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by being connected to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means 200 may expand or compress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using the air blower 210, but may also expand it by pulling both sides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by motor driving.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inflate or compress manually. When expanding or compressing, it may expand or compres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ow.

도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에서 음에너지의 반사 및 확산을 수행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reflection and diffusion of sound energy in a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향 가변부(100)는 팽창수단(200)에 의해 팽창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잔향 가변부(100)가 팽창수단(200)에 의해 팽창을 하게 되면, 가변 장막(120) 내부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다수의 굴곡진 부분(170) 또한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 장막(120) 내부로 입사된 음에너지는 다수의 굴곡진 부분(170)과 충돌함으로써 반사되어 실내공간으로 음에너지가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는 잔향 가변부(100)가 팽창하게 되면, 굴곡진 부분(170)에 의해 음에너지가 반사 및 확산되는 양이 증가됨으로써 실내공간의 잔향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be expanded or compressed by the expansion means 200. Wh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expands by the expansion means 200, as the volume inside the variable curtain 120 increases,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170 also increase in volume. Accordingly, the negative energy incident into the variable curtain 120 may be reflected by colliding with a plurality of curved parts 170, and thus the negative energy may be diffused into the indoor space. Therefore,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expands, the amount of sound energy reflected and diffused by the curved portion 170 increases, so that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indoor space can be increased.

반면, 잔향 가변부(100)가 팽창수단(200)에 의해 압축을 하게 되면, 가변 장막(120) 내부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다수의 굴곡진 부분(170) 또한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 장막(120) 내부로 입사된 음에너지는 팽창되었을 때보다 굴곡진 부분(170)과 충돌하는 것이 적게 되어 반사되는 음에너지의 양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 또한 더 적게 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는 잔향 가변부(100)가 압축하게 되면, 굴곡진 부분(170)에 의해 음에너지가 반사 및 확산되는 향이 감소됨으로써 실내공간의 잔향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is compressed by the expansion means 200, the volume inside the variable curtain 120 decreases, and the number of curved portions 170 also decreases. Accordingly, the negative energy incident into the variable curtain 120 is less colliding with the curved portion 170 than when it is expanded, so that the amount of reflected negative energy is reduced, and accordingly, it is diffused into the indoor space. Less. Therefore,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s compressed,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indoor space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aroma in which sound energy is reflected and diffused by the curved portion 170.

<제4실시예><Example 4>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잔향 가변부의 사시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부의 단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장치는 잔향 가변부(1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12 to 13, the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잔향 가변부(100)는 실내공간, 예를 들어 콘서트홀, 또는 다목적 공연장 등의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객석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음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잔향 가변부(100)는 예를 들어 객석 의자의 등받이의 앞면, 뒷면 또는 양쪽 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a plurality of seats located inside an indoor space, for example, a concert hall or a multi-purpose venue, and the sound reverberation time generated in the indoor space is controlled by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It is a configuration to vary.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may be installed on, for example, the front, back, or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audience chair.

제어부(미도시)는 다수의 잔향 가변부(100)를 각각 제어하여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configured to control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respectively.

여기서 잔향 가변부(100)는 예를 들어 타공판(미도시)과 흡음재(미도시)가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잔향 가변부(100)는 2개의 타공판이 연속으로 적층되어 있고, 흡음재는 2개의 타공판 중 하나의 타공판과 적층된다. 타공판에 형성된 구멍으로는 음에너지가 이동할 수 있으며, 음에너지는 타공판의 구멍을 통해 흡음재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어 2개의 타공판의 구멍이 일치하면 흡음재로 음에너지가 흡수되어 흡음 성능이 강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잔향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반면, 2개의 타공판의 구멍이 불일치하면 흡음재로 음에너지가 흡수되지 못하고 타공판에 의해 반사되어 잔향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공판이 구동하는 방식은 타공판이 모터에 연결되어 제어부가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타공판이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a form in which a perforated plate (not shown) and a sound absorbing material (not shown) are stacked. That is,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wo perforated plates are successively stacked, and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is stacked with one perforated plate of the two perforated plates. The negative energy may move to the hole formed in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negative energy may move to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through the hole of the perforated plate. Accordingly, when the holes of the two perforated plates are matched by the control unit, sound energy is absorb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so that the sound absorbing performance can be enhanced, and accordingly,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if the holes of the two perforated plates are inconsistent, the sound energy cannot be absorb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reflected by the perforated plate may increase the reverberation time. In this way the perforated plate is driven, the perforated plate is connected to the motor so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tor so that the perforated plate can be controlled.

흡음재의 재료로는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글라스 울, 미네랄 울, 멜라민 폼 등과 같이 음에너지를 흡수하는 재료라면 사용될 수 있으며, 타공판 또한 가공된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 음에너지를 반사할 수 있는 재료라면 사용이 가능하다.As a material for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ny material that absorbs sound energy such as polyester, polyurethane, glass wool, mineral wool, and melamine foam can be used, and perforated plates can also reflect sound energy such as processed wood, metal, and plastic. Ramen can be used.

결과적으로, 제4실시예에서는 객석 의자의 등받이에 구비된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부가 제어함으로써 객석 점유자가 착석한 자리에서 객석 점유자와 가까운 거리에서 잔향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객석 점유자에게 풍부한 음질을 제공해줄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fourth embodiment, b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at chair,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t a distance close to the seat occupant at the seat occupant se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rich sound quality to the occupant of the audience.

또한, 객석 의자의 등받이 앞면에는 흡읍면(131)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앞면에 흡읍면(131)가 구비됨으로써, 청중은 착석 시 편안하게 앉을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흡음의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n intake surface 13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of the audience chair. By providing the suction surface 131 on the front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audience may sit comfortably when seated, and the effect of sound absorption may be further increased as necessary.

아울러, 잔향 가변부(100)는 객석 의자의 등받이 앞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객석 의자의 등받이 앞면에 추가로 구비되는 흡읍면(131)이 뒷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of the audience chair. In this case, the suction surface 131 which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of the audience chair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ide.

<잔향 가변부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reverberation variable part>

이하에서는 잔향 가변부(100)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will be described.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varying reverb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모드에 대한 잔향 가변 모듈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141>As shown in FIG. 14, initially, parameters related to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for a plurality of modes are set according to a user input. <S141>

복수의 모드는 실내공간의 사용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는 콘서트를 위해 실내공간이 사용될 시 최적의 파라미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모드는 강연을 위해 실내공간이 사용될 시 최적의 파라미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3모드는 뮤지컬을 위해 실내공간이 사용될 시 최적의 파라미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각 모드에서 입력변수에 대응하는 출력변수 또는 최적의 파라미터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ing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the first mode can be set to vary the reverberation time by allowing the optimal parameter to be output when the indoor space is used for the concert, and the second mode is the optimal parameter when the indoor space is used for the lecture.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set to be variable by allowing the to be output, and the third mode can be set to vary the reverberation time by allowing the optimal parameter to be output when the indoor space is used for the musical. That is, in each mode, an output variable corresponding to an input variable or an optimal parameter may be set differently.

여기서, 최적의 파라미터는 입력변수에 대한 잔향 가변부(100) 또는 잔향 가변 모듈의 출력변수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잔향 가변 모듈의 부피의 팽창 또는 압축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timal parameter corresponds to the output variabl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or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for the input variable, and may include parameters related to the expansion or compression of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이후 복수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S142> 즉, 사용자가 실내공간의 특정 사용 목적에 맞게 복수의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드는 콘서트를 위해 실내공간이 사용되는 모드(제1모드), 강연을 위해 실내공간이 사용되는 모드(제2모드), 뮤지컬을 위해 실내공간이 사용되는 모드(제3모드)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사용 목적에 따라 모드의 숫자는 증가될 수 있다.Then,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is selected. <S142> That is, the user selects a plurality of modes according to a specific use purpose of the indoor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a mode in which an indoor space is used for a concert (first mode), a mode in which an indoor space is used for a lecture (second mode), and a mode in which an indoor space is used for a musical (first mode) 3 modes), and the number of modes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various purposes.

마지막으로,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잔향 가변 모듈을 동작시킨다.<S143> 잔향 가변 모듈은 선택된 모드에 기반하여 팽창 또는 압축됨으로써 실내공간의 잔향 시간을 목표하는 시간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Finally,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is operated based on the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S143>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can be varied by expanding or compressing based on the selected mode to a target time.

<설정 관련 딥러닝><Setting-related deep learning>

이하에서는 특정 모드에 대해 입력변수에 대한 출력변수로 최적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학습하여 사용자의 입력변수에 따라 제어부가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ntroller derives the optimum paramete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variable by learning to set the optimal parameter as the output variable for the input variable for a specific mode.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에서 딥러닝을 이용하여 각각의 모드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deriving an optimal parameter for each mode using deep learning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딥러닝 엔진이 구비되어, 딥러닝 엔진이 복수의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변수와 출력변수로 구성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내공간을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여 특정 모드에 대해 입력변수를 입력시키면 제어부는 입력변수에 대하여 학습된 출력변수를 기반으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최적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eep learning engine, so that the deep learning engine derives optimal parameters based on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sets composed of input variables and output variabl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des. You can learn algorithms. Accordingly, when a user inputs an input variable for a specific mode in order to use the indoor space for a specific purpose, the controller derives an optimal parameter based on the output variable learned for the input variable, and based on the derived optimal parameter.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may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전문가는 제1모드에 대해 학습 데이터 셋1을 구성하여 딥러닝 엔진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데이터 셋1은 입력변수로 면적, 높이, 폭 등 구조물 관련 학습 데이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변수에 대한 출력변수로는 잔향 가변부(100)의 부피, 잔향 가변부(100)의 기울기 또는 복수로 구비된 잔향 가변부(100) 사이의 거리 등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실내공간의 면적이 A1, 실내공간의 높이가 B1, 실내공간의 폭이 C1일 때 대응하는 최적 파라미터는 잔향 가변부(100)의 부피가 D1이고, 잔향 가변부(100)의 사이의 거리가 E1으로 저장된다.For example, the user or the expert may configure the learning data set 1 for the first mode and store it in the deep learning engine. The learning data set 1 may include structure-related learning data such as area, height, and width as input variables, and as output variables for the input variables,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nd the slop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lternatively, optimal parameters for a distance betwe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provided in a plurality may be configured. That is, when the area of the indoor space is A1, the height of the indoor space is B1, and the width of the indoor space is C1, the optimal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s D1, and the space betwe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is The distance is stored as E1.

따라서 딥러닝 엔진은 다수의 입력변수에 대한 계수값을 변경하여 출력변수인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면서 학습한다. 이렇게 딥러닝 엔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 셋1의 데이터 X1~Xn까지의 개수는 적어도 100개 이상일 수 있다. 이중에서 일부는 검증용과 테스트용 데이터로 생성된다.Therefore,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s while performing an algorithm that derives an optimal parameter that is an output variable by changing the coefficient values for a plurality of input variables. The number of data X1 to Xn of the training data set 1 stored in the deep learning engine may be at least 100 or more. Some of these are generated for verification and test data.

이처럼 딥러닝 엔진이 제1모드에 대해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제2모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n모드에 대해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deep learning engine can learn an algorithm for deriving an optimal parameter for the first mode, and learn an algorithm for deriving the optimal parameter for the second mode, and as a result, derive an optimal parameter for the n-mode. To learn the algorithm.

이후,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모드에 대해 입력변수를 입력하면 딥러닝 엔진이 입력변수에 대해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여 제어부로 정보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팽창수단(200)을 제어하여 잔향 가변부(100)의 팽창 또는 압축을 제어하여 제2모드에서 목표하는 잔향 시간을 달성한다.Then,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n input variable for the second mode, the deep learning engine derives an optimal parameter for the input variable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expands the means 200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expansion or compression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to achieve a target reverberation time in the second mod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학습 데이터 셋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 및 딥러닝 엔진과 연동할 수 있다.The set of learning dat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database may interwork with a control unit and a deep learning engine.

한편, 특정 모드에 대해서 딥러닝 엔진이 학습 데이터 셋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입력변수에 대해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것은 특정 모드 안에서도 서로 조금씩 다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를 도1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s a set of learning data for a specific mode to derive an optimal parameter for a user's input variable. Signals that are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input even within a specific mod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방법에서 딥러닝을 이용하여 특정 모드 안에서 입력변수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를 상이하게 도출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optimal parameters for input variables are differently derived in a specific mode using deep learning in the reverberation variabl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데이터 셋1에는 입력변수로써 신호의 진폭, 주파수, 주기 등이 구성될 수 있고, 입력변수에 대한 출력변수로는 잔향 가변부(100)의 부피, 잔향 가변부(100)의 기울기 또는 복수로 구비된 잔향 가변부(100) 사이의 거리 등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learning data set 1 may include the amplitude, frequency, and period of the signal as input variables, and the output variable for the input variable is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The optimal parameter for the slope of the 100 or the distance betwe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provided in plural may be configured.

만약, 제1모드가 강연과 관련된 모드라면 강연자가 남자일 때와 여자일 때 톤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강연자가 남자일 때와 여자일 때 서로 다른 잔향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하면 실내공간 내부에서 효과적인 음질을 발생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mode is a mode related to lecture, different signals may be received because the tone is different when the lecturer is a man and a woman. Therefore, when the lecturer is a man and a woman, wh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s controlled to vary different reverberation times, effective sound quality can be generated inside the indoor space.

예를 들어 남자일 때는 톤이 낮기 때문에 잔향 시간이 길도록 제어하고, 여자일 때는 톤이 높기 때문에 잔향 시간이 짧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는 학습 데이터 셋을 구성하여 이러한 입력변수와 입력변수에 대응하는 최적 파라미터를 딥러닝 엔진에 저장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딥러닝 엔진이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man has a low tone, the reverberation time is controlled long, and when a woman has a high tone, the reverberation time is controlled short. Accordingly, the expert can train the deep learning engine to derive the optimal parameter by constructing a learning data set and storing and learning the optimal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riable and the input variable in the deep learning engine.

따라서 딥러닝 엔진은 다수의 입력변수에 대한 계수값을 변경하여 출력변수인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면서 학습한다. 이렇게 딥러닝 엔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 셋1의 데이터 V1~Vn까지의 개수는 적어도 100개 이상일 수 있다. 이중에서 일부는 검증용과 테스트용 데이터로 생성된다.Therefore,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s while performing an algorithm that derives an optimal parameter that is an output variable by changing the coefficient values for a plurality of input variables. The number of data V1 to Vn of the training data set 1 stored in the deep learning engine may be at least 100. Some of these are generated for verification and test data.

결과적으로, 특정 모드가 수행중인 상태에서 음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입력변수에 대하여 학습된 출력변수를 기반으로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최적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호는 일정 기간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특정 모드에서 남자 강사의 음성 신호를 3분 내지 5분간 수신한 뒤 이를 입력변수로 하여 딥러닝 엔진이 도출하는 최적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제어부가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an acoustic signal is received while a specific mode is being performed, the control unit derives an optimal parameter based on the output variable learned for the input variable, and controls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ased on the derived optimal parameter. Can be. In this process, the signal may proceed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in a certain period. That is, after receiving the male instructor's voice signal for 3 to 5 minutes in a specific mod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ased on the optimal parameter derived by the deep learning engine using this as an input variable.

또한, 딥러닝 엔진의 학습은 제2모드 및 제3모드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Also, the learning of the deep learning engine may be performed in the second mode and the third mode.

아울러, 설치된 위치가 상이한 다수의 잔향 가변부(100)에서 모드를 상이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내공간의 벽체에 설치된 잔향 가변부(100)는 제1모드로 제어될 수 있고, 천장에 구비된 잔향 가변부(100)는 제2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different modes in the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100 having different installed positions. That is,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indoor space may be controlled in the first mode, 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provided on the ceiling may be controlled in the second mode.

또한, 특정 모드에 관하여 잔향 가변부(100) 마다 학습 데이터 셋을 상이하게 학습하여 각각 딥러닝 엔진이 최적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도 있다. 즉, 실내공간의 벽체에 구비된 잔향 가변부(100)와 천장에 구비된 잔향 가변부(100)가 특정 모드에서 서로 다른 학습 데이터 셋을 학습하고, 사용자의 입력변수에 대해 특정 모드에서 서로 상이하게 제어되어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 deep learning engine may derive an optimal parameter by learning a set of learning data for each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n a specific mode. That is,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provided on the wall of the indoor space and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provided on the ceiling learn different sets of learning data in a specific mode, and differ from each other in a specific mode for a user's input variable. Is controlled to vary the reverberation time.

따라서 학습된 학습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특정 모드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값에 따라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잔향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easily changed b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ccording to a value input by a user for a specific mode based on the learned learning data set.

<모드 결정><Determine mode>

이하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제어부가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mode by using deep learning.

도17은 딥러닝을 활용하여 제어부가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at a controller determines a mode by using deep learning.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실내공간에서 수신되는 음파 또는 신호의 특성을 딥러닝 엔진이 학습한다. 신호의 특성에는 뮤지컬, 음성, 연주 등 다양한 장르와 패턴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 딥러닝 엔진은 이러한 신호의 장르 및 패턴에 대한 정보를 입력변수로 하여 각각의 신호에 대해 어떠한 종류나 유형의 신호인지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학습한다.As shown in FIG. 17, a deep learning engine 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waves or signals received in an indoor space initially. Signal characteristics include information on various genres and patterns such as musicals, voices, and performances.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s an algorithm for deriving what kind or type of signal for each signal using information about the genre and pattern of these signals as input variables.

이후 실내공간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딥러닝 엔진은 해당 신호를 분석하여 장르 및 패턴을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된 신호와 대응하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a signal is received in the indoor space, the deep learning engine may analyze the signal to identify a genre and pattern, and determine a m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ed signal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모드를 결정한 이후에는 제어부에 해당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제어부는 수신한 모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하여 해당 모드에 대한 잔향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After the mode is determin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mod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mode to change the reverberation time for the corresponding mode.

이처럼 딥러닝 엔진이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적으로 유용한 모드를 도출하여 제어부라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잔향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When the deep learning engine receives the signal,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easily var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b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as a control unit by automatically deriving a useful mode.

<모드 미세 조정><Mode fine adjustment>

이하에서는 하나의 모드에서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하는 상태에서 현재 잔향 시간이 해당 모드에서 허용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주기적으로 잔향 가변부(100)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finely adjust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y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reverberation tim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in a corresponding mode while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n one mode will be described. .

도18은 하나의 모드에서 잔향 시간이 허용범위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잔향 가변부(100)를 미세하게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도면이다.1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finel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verberation time is within an allowable range in one mode.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특정 모드에서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부가 제어하여 실내공간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특정 주기마다 제어부는 실내공간에서 해당 모드에서 발생하는 잔향 시간 t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t를 판단하여 잔향 시간이 해당 모드의 잔향 시간에 대한 허용범위 또는 기준 범위인 t1에서 t2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8,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indoor space is varied by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in a specific mode. In this stat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reverberation time t occurring in the corresponding mode in the indoor space every specific period. That i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 to determine whether the reverberation time is between an allowable range or a reference range t1 to t2 for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mode.

만약 t가 t1보다 작다면 이는 잔향 시간이 해당 모드에서 충분한 잔향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이므로 제어부는 잔향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잔향 가변부(100)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향 가변부(100)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잔향 가변부(100)가 흡수하는 음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다.If t is less than t1, since the reverberation time has not secured sufficient reverberation time in the corresponding mode,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y increasing the reverberation time. For example,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he amount of sound energy absorbed by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is reduced.

반면, t가 t2보다 크다면 이는 잔향 시간이 해당 모드에서 불필요하게 증가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잔향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잔향 가변부(100)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향 가변부(100)의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잔향 가변부(100)가 흡수하는 음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 is greater than t2, since the reverberation time is unnecessarily increased in the corresponding mode,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by reducing the reverberation time.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the amount of sound energy absorbed by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00 is increased.

여기서, t1과 t2의 값은 메모리로부터 로딩되는 값이며,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values of t1 and t2 are values loaded from the memory,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mode in which reverberation time is varied.

또한, t가 t1과 t2 사이에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는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하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여 잔향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 is included between t1 and t2, the control unit may maintain the current state without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to maintain the reverberation time.

이처럼 하나의 특정 모드에서 잔향 시간을 주기적으로 판단하여 미세하게 잔향 가변부(100)를 조정하는 것은 모드에서 잔향 시간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As described above, the reverberation time is periodically determined in one specific mode to finely adjust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to help maintain the reverberation time in the mode.

<객석 수에 따른 잔향 가변부 제어><Control of variable reverbe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ats>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객석 의자의 수에 따라 잔향 가변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ats.

객석 의자의 수는 객석 의자에 구비된 잔향 가변부가 하나씩 구비되기 때문에 객석 의자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어부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측정 음원을 복수의 스피커로 발생시키고, 복수의 마이크로 복수의 스피커에서 발생시키는 음을 검출하며, 검출된 음을 기반으로 음장에 존재하는 객석 수를 판단하는 것이다. The number of seat chairs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seat chairs because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provided in the seat chair is provided one by one. Therefore,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measurement sound source that generates a signal to a plurality of speakers, detects sounds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seats in the sound field based on the detected sound.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피커에서 발생된 음은 객석 의자에 마련된 잔향 가변부(100)에 의해 일부 흡수되어 최초에 발생된 음의 주파수 특성과는 다를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검출된 음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객석 의자의 수를 감지하고, 객석 의자의 수의 범위에 따라 잔향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ound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speakers may b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sound initially generated by being partially absorbed by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provided in the audience chai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detecte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to detect the number of seats, and correct the reverb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number of seats.

즉, 객석 의자의 수의 범위에 따라 객석 의자의 수가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고, 객석 의자의 수에 따라 같은 모드더라도 잔향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다. 객석 의자의 수가 적으면 청중이 적은 것이기 때문에 잔향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잔향 가변부를 제어하고, 객석의자의 수가 많으면 청중이 많은 것이기 때문에 잔향 시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seats is large or small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number of seats, and the reverberation time is adjusted even in the same mo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ats. If the number of seats is small, the audience is small, so the reverberation variable is controlled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reverberation time. If the number of seats is large,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controll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reverberation time.

또한, 잔향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폭은 객석의 수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객석 의자의 수가 100개~200개이면 0.1초 감소, 객석 의자의 수가 200개~300개이면 0.3초 감소와 같이 객석 의자의 수와 대응하여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도록 잔향 가변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everberation tim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ats. That is,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100 changes the reverberation time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seats, such as a decrease of 0.1 second when the number of seats is 100 to 200, and a decrease of 0.3 when the number of seats is 200 to 300.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은 객석 의자의 수의 범위 및 대응되는 잔향 시간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The range of the number of such seats and the corresponding reverberation time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잔향 가변 시스템 구조><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structure>

이하에서는 잔향 가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19는 본 발명에서 잔향 가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향 가변 시스템은 잔향 가변 모듈,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19, the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and a control device.

잔향 가변 모듈은 실내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고, 팽창과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and by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and compression,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sound generated inside the predetermined space can be varied.

제어장치는 잔향 가변 모듈의 팽창과 압축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can control expansion and compression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이와 같은 잔향 가변 시스템은 제어장치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는 딥러닝 엔진으로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방법을 모드에 따라 잔향 가변 모듈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거나, 잔향 시간을 판단하여 잔향 가변부(100)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다.In such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the control device can perform parallel software control as well as hardware control.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hardware-controls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softwar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data learned by the deep learning engine to change the reverberation time or determines the reverberation time to determine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t is to finely adjust (100).

그러나 제어장치가 소프트웨어적인 제어와 하드웨어적인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시 시스템에 부하가 가중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잔향 가변 시스템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제어는 제어장치가 담당하고, 소프트웨어적인 제어는 사용자 단말이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control device performs both software control and hardware control at the same time, the load on the system may be increased, which may affect the lif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Therefore, if necessary, hardware control can be performed by a control device, and software control can b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변수에 따라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도출하여 제어장치가 잔향 가변 모듈을 소정의 부피로 팽창 또는 압축되도록 제어하게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서버와 통신하여 서버에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로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er terminal derives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mode according to a user's input variable and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reverberation variable module to expand or compress to a predetermined volume. It is possible for such a user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a server and load learning data stored in the server.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잔향 가변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가변 장막
130 : 흡음재
131 : 흡음면
140 : 캐비티
150 : 내측 돌출부
160 : 격자구조
170 : 굴곡진 부분
200 : 팽창수단
210 : 에어블로워
220 : 밸브
100: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110: support frame
120: variable curtain
130: sound absorbing material
131: sound absorbing surface
140: cavity
150: inner protrusion
160: grid structure
170: curved part
200: expansion means
210: air blower
220: valve

Claims (19)

소정의 실내공간에 설치되며 팽창 또는 압축을 통해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실내공간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의 잔향 시간을 가변시키는 잔향 가변부; 및
상기 잔향 가변부를 제어하여 흡음, 반사 또는 확산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딥러닝 엔진이 구비되어, 상기 딥러닝 엔진이 복수의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변수와 출력변수로 구성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파라미터를 도출하여 상기 잔향 가변부가 제어되도록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rough expansion or compression to vary a reverberation time of sound generated inside the predetermined indoor space; And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sound absorption, reflection or diffusion,
The control unit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in which at least one deep learning engine is provided and the deep learning engine derives parameters based on a plurality of learning data sets composed of input and output variabl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des to control the reverberation variable unit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은
입력변수로 실내공간의 부피, 폭, 너비 또는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는 구조물 관련 학습 데이터와,
음파 또는 음향 신호의 진폭, 주기,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는 음향 신호 관련 학습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training data sets
Structure-related learning data that is at least one of the volume, width, width or height of the indoor space as an input variable,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earning data related to an acoustic signal that is at least one of an amplitude, a period, and a frequency of an acoustic wave or an acoustic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 데이터 셋은
출력변수로 상기 잔향 가변부의 용적, 상기 잔향 가변부의 기울기 또는 복수로 구비된 상기 잔향 가변부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training data sets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comprising an output variable as a volum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a slope of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 or a distance between the reverberation variable portions provided in plur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엔진은
상기 잔향 가변부가 설치된 위치 및 모드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상기 학습 데이터 셋을 학습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모드에서 상이한 상기 데이터 셋에 따라 복수의 잔향 가변부를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ep learning engine
The learning data set is learn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location and a mode in which the reverberation variable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verberation variable units are controll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data sets in one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 엔진은
상기 소정의 실내공간에서 수신된 음파 또는 음향 신호의 장르 또는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상기 장르 또는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ep learning engine
Learning the genre or pattern of the sound wave or sound signal received in the predetermined indoor space,
A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mode based on the learned genre or patter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잔향 가변부를 제어하는 것이 수행 중인 상태에서,
수신된 음향신호를 기반으로 잔향 시간을 판단한 후에 상기 모드에서 허용하는 범위 내에 상기 잔향 시간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잔향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상기 잔향 가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controlling the reverberation variable corresponding to one mode is being performed,
After determining the reverberation time based on the received acoustic signal, the reverberation varia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beration variable is controll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reverberation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reverberation time is included within a range allowed in the mode.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동되어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향 가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verberation variable system further comprises a user terminal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to provide a control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13076A 2019-09-11 2019-09-11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Active KR1021097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76A KR102109790B1 (en) 2019-09-11 2019-09-11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PCT/KR2020/012294 WO2021049902A1 (en) 2019-09-11 2020-09-11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076A KR102109790B1 (en) 2019-09-11 2019-09-11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868A Division KR20210031351A (en) 2020-02-13 2020-02-13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790B1 true KR102109790B1 (en) 2020-05-13

Family

ID=7072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76A Active KR102109790B1 (en) 2019-09-11 2019-09-11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9790B1 (en)
WO (1) WO202104990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902A1 (en) * 2019-09-11 2021-03-18 주식회사 엘티에스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250082917A (en) 2023-11-30 2025-06-09 주식회사 엠박스 Implementation System of Audio Reverberation for Spatial Acoustic Rendering Using Sound Field Data Analysis and Sound Ray Trac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Audio Reverberation There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13952A (en) * 2022-10-27 2023-01-17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Reverberation time control system and method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313A (en) * 1910-06-28 1912-06-04 George L Williams Measuring-machine.
JPS6111199U (en) * 1984-06-25 1986-01-23 松下電工株式会社 Acoustic adjustment member
JPH05143081A (en) * 1991-11-25 1993-06-11 Shigeo Hase Variable sound absorbers for chairs and interiors in the hall
KR20030092306A (en) * 2002-05-29 2003-12-06 전환표 A Control Module Of An Indoor Reverberation And Control Device Of The Control Module
KR20050008477A (en) * 2003-07-15 2005-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Generating and Consuming Audio scene for processing reverberation sound
JP2008545900A (en) * 2005-05-13 2008-12-18 ラルセン、ニールス、ヴェルナー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hanging reverberation time in space
JP2009086481A (en) * 2007-10-02 2009-04-23 Pioneer Electronic Corp Sound device, reverberations-adding method, reverberations-ad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055272A (en) * 2013-09-18 2016-05-17 상뜨르 나시오날 드 라 리쉐르쉐 샹띠피끄 A wave shaping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d a system
KR20180069299A (en) * 2016-12-15 2018-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Reverberation Time based on Multi-Channel Microphone using Deep Neura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790B1 (en) * 2019-09-11 2020-05-13 음향컨설팅그룹라라(주)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313A (en) * 1910-06-28 1912-06-04 George L Williams Measuring-machine.
JPS6111199U (en) * 1984-06-25 1986-01-23 松下電工株式会社 Acoustic adjustment member
JPH05143081A (en) * 1991-11-25 1993-06-11 Shigeo Hase Variable sound absorbers for chairs and interiors in the hall
KR20030092306A (en) * 2002-05-29 2003-12-06 전환표 A Control Module Of An Indoor Reverberation And Control Device Of The Control Module
KR20050008477A (en) * 2003-07-15 2005-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Generating and Consuming Audio scene for processing reverberation sound
JP2008545900A (en) * 2005-05-13 2008-12-18 ラルセン、ニールス、ヴェルナー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hanging reverberation time in space
JP4782193B2 (en) 2005-05-13 2011-09-28 ラルセン、ニールス、ヴェルナー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hanging reverberation time in space
JP2009086481A (en) * 2007-10-02 2009-04-23 Pioneer Electronic Corp Sound device, reverberations-adding method, reverberations-ad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055272A (en) * 2013-09-18 2016-05-17 상뜨르 나시오날 드 라 리쉐르쉐 샹띠피끄 A wave shaping device, an electronic device, and a system
KR20180069299A (en) * 2016-12-15 2018-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Reverberation Time based on Multi-Channel Microphone using Deep Neural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902A1 (en) * 2019-09-11 2021-03-18 주식회사 엘티에스 Reverberation vari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250082917A (en) 2023-11-30 2025-06-09 주식회사 엠박스 Implementation System of Audio Reverberation for Spatial Acoustic Rendering Using Sound Field Data Analysis and Sound Ray Trac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Audio Reverberation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902A1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790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CN102984621B (en) Sound adjusting method, sound field adjusting system
JP5326472B2 (en) Sound absorption structure
EP3592911B1 (en) Variable acoustic technology for rooms
Postma et al. An archeoacoustic study of the history of the Palais du Trocadero (1878–1937)
CN116490399A (en) Headrest equipped with speaker and associated seat
CN109155126A (en) Sound equipment wall component and/or its manufacturing method with active noise destructive characteristics and/or utilize method
US5579614A (en) Acoustical system, a part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210153255A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in multi-purpose space
KR101765993B1 (en) Variable Reverberator with Frequency Selection and Diffusor
KR20220078239A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in multi-purpose space
KR20210153257A (en) Variable reverbe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ing electro-active polymer
KR20210031351A (en) System for variable reverberation
WO1996028949A1 (en) Loudspeaker
Gilford The acoustic design of talks studios and listening rooms
Adelman-Larsen et al. On a variable broadband absorption product and acceptable tolerances of reverberation times in halls for amplified music
JP2011058188A (en) Sound room
KR102023366B1 (en) Sound absorbing sandwich panel
JP5167164B2 (en) Acoustic diffuser and acoustic diffusion method
GB2363364A (en) Acoustically absorptive panel
WO2003002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ication of an acoustic environment
CN201172899Y (en) Wood-grille silencer
Toole Audio–Science in the Service of Art
Nagatomo et al. Variable reflection acoustic wall system by active sound radiation
Adelman-Larsen et al. A survey of reverberation times in 50 European venues presenting pop & rock conce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