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512B1 - Aqua shoes - Google Patents
Aqua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9512B1 KR102109512B1 KR1020190022829A KR20190022829A KR102109512B1 KR 102109512 B1 KR102109512 B1 KR 102109512B1 KR 1020190022829 A KR1020190022829 A KR 1020190022829A KR 20190022829 A KR20190022829 A KR 20190022829A KR 102109512 B1 KR102109512 B1 KR 102109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sole
- coupled
- boots
- tongue
- sho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0006 pectoral fin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41 propul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21 foa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QTUBCCKSQIDNK-UHFFFAOYSA-N Isobutene Chemical group CC(C)=C VQTUBCCKSQIDN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9 isopr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8 polypyrro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3 pol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3 reinforcing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8—Bathing shoes ; Aquatic sports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아웃솔(110)과, 상기 이너아웃솔(1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이너갑피(120)와, 상기 이너갑피(1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이너텅(130)과,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이너끈(140)과,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이너벨크로(150)를 포함하는 이너부츠(100); 및 상기 이너아웃솔(110)과 맞닿게 되는 아우터아웃솔(210)과,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이너갑피(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아우터갑피(22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아우터텅(230)을 포함하는 아우터부츠(200);를 포함하는 아쿠아 슈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inner outsole 110 and the inner outsole 110, the inner upper 120 is formed with a wear space therein, and the inner tongue 130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upper 120 ), Inner boots 100 including an inner strap 140 install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inner upper 120 and an inner velcro 15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inner upper 120; And an outer outsole 2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outsole 110, and an outer upper casing 220 coupled to the rim of the outer outsole 210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inner upper 120 is accommodated. And, it relates to the aqua shoes comprising; outer boots 200 including an outer tongue 230 tha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upper (220).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쿠아 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이너부츠, 아우터부츠, 오리발의 3단 구조로 구성되어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이너부츠와 아우터부츠의 접지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너부츠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 수영시 추진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발과의 고정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나 수영시 쉽게 벗겨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qua shoe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composed of a three-stage structure of inner boots, outer boots and flippers, which makes it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maximizes the gripping force of inner boots and outer boots, resulting in slippage during user walking. Thi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water is not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ner boot, so that the propulsive force does not deteriorate when the user swims, and the fixing force with the user's foot is maximized so that it is not easily peeled off when walking or swimming by the user.
일반적으로 신발의 안창은 신발 착용시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보행자의 발을 편안하게 감싸는 동시에 보행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 해소하여 보행의 편안함과 안전성을 제공한다.In general, the insole of a sho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ole when the shoe is worn, and comfortably wraps the foot of a pedestrian and absorbs and absorbs the shock that may occur when walking, thereby providing comfort and safety for walking.
오늘날은 생산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동 여유시간이 증가하여 레저생활이 일반화함과 동시에 스킨스쿠버 다이빙과 같은 해양 레저인구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레저 활동의 장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the free time of labor increases, the generalization of leisure life, while the marine leisure population, such as skin scuba diving, has dramatically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equipment for leisure activit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즉, 레져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바닷가에서 용이한 활동을 유도하는 아쿠아 슈즈의 수요가 증대되고있으며, 이러한 아쿠아 슈즈의 안창은 신발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제작된다.That is, as the leisure culture develops, the demand for aqua shoes to induce easy activities at the beach is increasing, and the insoles of these aqua shoes ar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shoes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roduced.
아쿠아슈즈는 스킨 스쿠버다이빙과 같은 해양레저 활동이나 수영시 발에 착용하는 장비이다.Aqua shoes are equipment worn on the foot when swimming or in marine leisure activities such as skin scuba diving.
이때, 아쿠아슈즈에 오리발을 착용하여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 발을 펴서 전후로 저어가면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obtain propulsion while wearing the flippers on the aqua shoes and spreading the foot while in the water while stirring back and forth.
이러한 아쿠아 슈즈용 안창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내부에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안창시트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내부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다공성 패드를 적층하여 고정하는 제1단계와, 접착 고정된 안창시트와 다공성 패드를 프레스를 통해 고온에서 가압 성형하여 내부에 다수의 안창 형태의 안창 성형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안창시트와 다공성 패드 내부에 형성된 안창 성형체를 재단하여 완제품인 안창으로 제작하는 제3단계의 공정으로 제작된다.Looking 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se insoles for aqua shoes, the first step of applying a glu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are formed therein and stacking and fixing porous pads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therein; The second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insole molded articles in the inside by pressing and molding the adhesive fixed insole sheet and the porous pad at high temperature through a press, and cutting the insole molded body formed in the insole sheet and the porous pad to complete the product. It is produced by the third step of manufacturing insoles.
하지만, 아쿠아 슈즈의 특성상 상기 다공성 패드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프레스를 통해 고온으로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창시트에 도포된 접착제가 용융되면서 상기 다공성 패드의 구멍을 타고 상부로 올라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안창이 제작되므로, 신발 착용시 안창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제가 착용자의 발바닥 열기에 다시 녹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에 착용의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벗는 과정에서 발바닥에 안창이 붙어 함께 신발에서 이탈되어 신발을 신고 벗는 과정에 매우 불편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aqua shoe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insole sheet melts in the process of press molding at high temperature through a press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porous pad. Since the insole is manufactured in the exposed state, when the shoes are worn, the adhesive exposed outside the insole frequently re-melts in the heat of the sole of the wearer, and in this case, not only causes discomfort of wearing, but also in the process of taking off the sho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insole was attached to the sole of the foot and detached from the shoe, making it very uncomfortable to wear and take off the shoe.
더욱이, 상기 안창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제로 인해 착용자가 신발 착용시 느껴지는 이질감으로 인해 신발의 착용감이 매우 낮아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Moreover, due to the adhesivenes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arer feels very low due to the heterogeneity felt when the shoe is worn.
또한, 프레스를 통해 고온으로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안창시트에 도포된 접착제가 용융되면서 안창시트에 형성되는 배수구멍과 다공성 패드의 구멍을 폐쇄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안창을 통한 원활한 배수 기능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아쿠아 슈즈용 안창으로써의 기능이 상실되어 안창의 사용이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ress-molding to a high temperature through a pres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insole sheet is melted and frequently occurs when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insole sheet and the hole of the porous pad are closed, in this case through the insole. Since it was impossible to expect a smooth drainage function, the function as an insole for aqua shoes was lost,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insole realistically.
이러한 아쿠아슈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862290호는 전면의 일측에 출입 개구가 신발 본체; 및 상기 신발 본체에 결합되는 접철식 오리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접철식 오리발 유닛은 상기 신발 본체 내에 마련되는 유닛 하우징; 상기 유닛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부분이 상기 신발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는 버튼 모듈; 상기 출입 개구에 이웃된 영역에서 상기 신발 본체 내에 고정되는 터널; 및 일측은 상기 유닛 하우징에 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 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널의 내부를 지나 상기 신발 본체의 출입 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오리발용 인출식 핀부(fins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파형 레일이 마련되되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유닛 하우징의 양 측면에서 상기 파형 레일을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파형 레일의 상단부 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블록; 상기 레일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파형 레일 상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판스프링; 상기 레일 블록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버튼 연결부; 상기 버튼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신발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 버튼; 상기 레일 블록의 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유닛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오리발용 인출식 핀부와 연결되는 핀부 연결부; 및 상기 오리발용 인출식 핀부에 결합되어 상기 핀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보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오리발 유닛을 구비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시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qua sho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862290 has a shoe body having an entrance opening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And a foldable flipper unit coupled to the shoe body, wherein the foldable flipper unit includes a unit housing provided in the shoe body; A button modul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unit housing and provided with a portion exposed outside the shoe body; A tunnel fixed in the shoe body in an area adjacent to the entrance opening; And one side is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is connected to the button module,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tunnel and includes a pull-out fin part for flippers that can be selectively slided out through the entrance opening of the shoe body, Corrugated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nit housing, and the button module is elastically slidably moved along the corrugated rails on both sides of the unit housing, and the button modu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of the corrugated rail and the frame Rail block having a rail tha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late spring connected to the rail block and elastically sliding on the corrugated rail; A button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rail block; An operation button coupled to an end of the button connection par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oe body; A pin portion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rail block and connected to a pull-out pin portion for flippers disposed in the unit housing; And a reinforcing pad coupled to the pull-out pin portion for flippers and connected to the pin portion connection portion, to provide a functional shoe having a foldable flipper unit.
그러나 종래기술은 신발의 접지력이 취약하여 사용자 도보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ripping force of the shoe is vulnerable to slipping when the user walks.
또한, 종래기술은 신발 내부에 물이 쉽게 유입되어 사용자 수영시 추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shoe and the driving force is reduced when the user swims.
또한, 종래기술은 신발의 고정력이 취약하여 사용자 도보나 수영시 신발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shoe is weak, so that the shoe is easily peeled off when walking or swimming by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너부츠와 아우터부츠의 2단 구조로 구성되어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이너부츠와 아우터부츠의 접지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너부츠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 수영시 추진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발과의 고정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나 수영시 쉽게 벗겨지지 않는 아쿠아 슈즈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stage structure of inner boots and outer boots, which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from occurring, and water is not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ner boot, so the propulsive force does not deteriorate when the user swims, and the holding force with the user's feet is maximized, so that it is not easily peeled off when walking or swimming by the user It is to provide shoes.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는 이너아웃솔(110)과, 상기 이너아웃솔(1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이너갑피(120)와, 상기 이너갑피(1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이너텅(130)과,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이너끈(140)과,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이너벨크로(150)를 포함하는 이너부츠(100); 및 상기 이너아웃솔(110)과 맞닿게 되는 아우터아웃솔(210)과,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이너갑피(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아우터갑피(22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아우터텅(230)을 포함하는 아우터부츠(200);를 포함한다.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하면 전방에 흡착엠보싱(111-1)들이 형성되는 흡착부(111)와, 하면 중앙에 접지엠보싱(112-1)과 접지단차(112-2)들이 형성되는 접지부(112)와, 하면 후방에 마찰단차(113-1)들이 형성되는 마찰부(11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상기 흡착부(111)의 전방에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1웨이브(114)와, 상기 마찰부(113)의 후방에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2웨이브(1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아우터부츠(200)는 상기 아우터갑피(220)가 슬리퍼구조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좌면 일단에 결합되는 아우터띠(24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좌면 타단과 상기 아우터띠(24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아우터버클(250)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또한, 상기 아우터부츠(200)는 상기 아우터버클(250)을 둘러싸서 상기 아우터갑피(220)에 결합되는 아우터고리(260)와, 상기 아우터텅(230)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상부를 모아주는 아우터스트랩(27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의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211)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오리발(30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는 이너부츠와 아우터부츠의 3단 구조로 구성되어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이너부츠와 아우터부츠의 접지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너부츠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 수영시 추진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발과의 고정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나 수영시 쉽게 벗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hree-stage structure of inner boots and outer boots, and is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the gripping force of the inner boots and outer boots is maximized to prevent slipping during user walk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inner boots, so that the propulsive force does not deteriorate when the user swims, and the fixing force with the user's foot is maximized so that it is not easily peeled off when walking or swimming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부츠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부츠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아웃솔을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와 오리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와 오리발을 나타낸 저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qu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b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bo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b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bo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inner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boots and flip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outer boots and flip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shown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s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부츠(100)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부츠(100)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200)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200)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는 이너부츠(100) 및 아우터부츠(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이너부츠(100)는 이너아웃솔(110)과, 상기 이너아웃솔(1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착용공간이 형성되는 이너갑피(120)와, 상기 이너갑피(1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이너텅(130)과,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이너끈(140)과,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는 이너벨크로(150)를 포함한다.The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상기 이너부츠(100)의 하부몸체로서, 사용자의 발바닥과 맞닿게 되며, 원료고무, 보강성 충전제, 가교제와 가교촉진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이너갑피(120)는 상기 이너부츠(100)의 상부몸체로서, 사용자의 발등과 맞닿게 되며, 천연고무(NR ; Natural Rubber), 부타디엔 고무(BR ; Butadiene Rubbe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Styrenebutadiene Rubber), 니트릴고무(NBR ; Nitrile-butadiene Rubber)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무를 기재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의 블렌드한 폴리머를 기재로 하고, 미끄럼 방지 기능에 있어 성능이 뛰어난 부틸고무(isobutylene isoprene rubber(IIR)를 혼합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upper 120 is the upper body of the
상기 이너텅(130)은 상기 이너부츠(100)의 내부몸체로서, 사용자의 발등 일부분과 맞닿게 되며, 상기 이너갑피(120)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너갑피(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이너끈(140)은 상기 이너갑피(120)의 바인더로서,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하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상기 이너갑피(120)를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이너부츠(100)는 상기 이너갑피(120)의 후방에 이너판스프링(16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판스프링(160)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상기 이너벨크로(150)도 상기 이너갑피(120)의 바인더로서, 상기 이너갑피(12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너갑피(120)를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상기 아우터부츠(200)는 상기 이너아웃솔(110)과 맞닿게 되는 아우터아웃솔(210)과,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이너갑피(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아우터갑피(22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아우터텅(230)을 포함한다.The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은 상기 아우터부츠(200)의 하부몸체로서, 폴리아날린(Polyaniline), 폴리파이롤(polypyrrole), 폴리티오핀(polythiophene)의 전도성 고분자 첨가물을 폴리올레핀(polyolefin)계의 EVA(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에 발포제와 가교제 및 충전제 등을 투입하여 발포시킬 때 함께 투입하여 발포시킨 EVA발포체로 구성되어 정전기에 의한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er-out sole 210 is a lower body of the
상기 아우터갑피(220)는 상기 아우터부츠(200)의 상부몸체로서, 합성수지 중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에 유리섬유(grass fiber)와 부직포를 혼합한 복합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upper 220 is an upper body of the
상기 아우터텅(230)은 상기 아우터부츠(200)의 내부몸체로서, 상기 아우터갑피(2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 슈즈는 이너부츠(100), 아우터부츠(200), 오리발(300)의 3단 구조로 구성되어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이너부츠(100)와 아우터부츠(200)의 접지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너부츠(10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 수영시 추진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발과의 고정력이 극대화되어 사용자 도보나 수영시 쉽게 벗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qua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hree-stage structure of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아웃솔(110)을 나타낸 저면도이다.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하면 전방에 흡착엠보싱(111-1)들이 형성되는 흡착부(111)와, 하면 중앙에 접지엠보싱(112-1)과 접지단차(112-2)들이 형성되는 접지부(112)와, 하면 후방에 마찰단차(113-1)들이 형성되는 마찰부(113)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상기 흡착부(111)는 상기 이너아웃솔(110)이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에 밀착될 때, 상기 아우터아우솔에 흡착되어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흡착엠보싱(111-1)은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있는 돌기가 상기 흡착엠보싱(111-1)의 변형폭을 조절한다.The adsorption embossing 111-1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rotrusion in the center adjusts the deformation width of the adsorption embossing 111-1.
상기 접지부(112)는 상기 이너아웃솔(110)이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에 밀착될 때,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에 마찰에 의해 접지되어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상기 접지엠보싱(112-1)은 2개의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있는 돌기가 상기 접지엠보싱(112-1)의 변형폭을 조절한다.The ground embossing 112-1 may be composed of two circles, and a protrusion in the center adjusts the deformation width of the ground embossing 112-1.
상기 접지단차(112-2)는 지그재그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ground step 112-2 is formed in a zigzag structure, and serves to prevent slipping in the
또한,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상기 흡착부(111)의 전방에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1웨이브(114)와, 상기 마찰부(113)의 후방에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2웨이브(11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웨이브(114)는 유연하게 구부러져서 사용자의 발 전방 부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한다.The
상기 제2웨이브(115)도 유연하게 구부러져서 사용자의 발 후방 부분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한다.The
한편,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상기 접지부(112)의 좌우방향 일측에 상기 접지단차(112-2)와 수직하게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측웨이브(116)가 형성되어 접지력을 좀 더 높일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아우터부츠(200)는 상기 아우터갑피(220)가 슬리퍼구조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좌면 일단에 결합되는 아우터띠(24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좌면 타단과 상기 아우터띠(24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아우터버클(25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아우터띠(240)는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하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아우터버클(250)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하부를 조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우터버클(250)에 관한 구성은 한국등록실용 제20-0351753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레버 돌쩌귀와 클로오 돌쩌귀를 가진 기판과, 복귀 시의 노브가 클로오의 걸림턱 위를 눌러주도록 기판의 레버 돌쩌귀에 레버 스프링과 함께 레버축으로 설치된 견인턱 일체형 래칫 레버와, 스트립의 톱니 잠금용 걸림턱 일체형으로서 클로오 스프링과 함께 클로오축으로 기판의 클로오 돌쩌귀에 설치된 클로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아우터부츠(200)는 상기 아우터버클(250)을 둘러싸서 상기 아우터갑피(220)에 결합되는 아우터고리(260)와, 상기 아우터텅(230)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상부를 모아주는 아우터스트랩(27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아우터고리(260)는 상기 아우터버클(25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아우터버클(250)을 상기 아우터갑피(220)에 좀 더 조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상기 아우터스트랩(270)은 상기 아우터텅(230)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상부를 모아줄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우터스트랩(270)은 한국등록실용 제0480235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하면이 신발(아우터텅(230))의 설포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판상의 바디플레이트; 신발에 형성된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가 내부에 권취되어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조일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길이조절수단으로부터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인출되고, 상기 바디플레이트는, 하면이 상기 설포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폭 방향 중앙부가 상향 만곡되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호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바디플레이트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와이어홀이 상하면을 관통하여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홀을 통하여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을 교차하면서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200)와 오리발(3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부츠(200)와 오리발(300)을 나타낸 저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쿠아 슈즈는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의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211)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오리발(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8 to 9, the aqua shoes may further include
상기 오리발(300)은 사용자가 수중에서 추진력을 얻을 때 도움을 줄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오리발(300)은 카본 섬유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에 각각 왁스 및 이형제를 바른 후 경화시키는 1단계와카본섬유를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 표면에 각각 적층고 비닐을 덮는 2단계와, 상기 2단계를 거쳐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 표면에 비닐이 덮인 상부에 에폭시를 각각 바른 후 가열경화시키는 3단계와, 상기 3단계를 거쳐 제조된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을 몰드에서 각각 분리하는 4단계를 거쳐서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좀 더 상세하게, 먼저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를 준비한다.In more detail, first, the
이때, 몰드는 알루미늄 등 금속재질이다.At this time, the mold is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그리고 상기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에 각각 왁스와 실리콘오일 등의 이형제를 얇게 골고루 발라준다.In addition, a thin layer of release agent such as wax and silicone oil is evenly applied to the
이후 20~30분간 상온에서 경화시킨다.Then, it is cured at room temperature for 20-30 minutes.
이후 카본섬유를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 표면에 각각 적층하는 것으로 카본섬유는 올이 틀어지지 않게 주의하여 표면에 밀착시킨다.Then, carbon fibers are stacked on the
이때, 상기 카본섬유위에 비닐을 씌운후 진공(베큠)호스를 비닐 내부에 넣고 진공펌프로 진공이 되게 내부 공기를 흡입함으로서 비닐 내면이 상기 카본섬유 표면에 잘 밀착되게 하는 진공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covering the carbon fiber with a vinyl, vacuum (Ben) put the vacuum inside the vacuum pump to suck the inside air to be vacuum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vacuum compression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vinyl adheres well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fiber. can do.
이후 에폭시와, 경화재(에폭시 경화재)가 섞인 혼합액을 상기 2단계를 거쳐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 표면에 비닐이 덮인 상부에 각각 에폭시를 함침후 가열경화를 시키는 것으로 핫플레이트 또는 오븐에서 120 내지 130도로 가열경화시킨다.Subsequently, the epoxy and the curing agent (epoxy curing agent) are mixed with the mixed solution through the above two steps to impregnate the epoxy on the top of the plastic cover on the
이때, 에폭시와 경화재의 비율은 중량비로 5대 1이 적정하다.At this time, the ratio of the epoxy to the curing material is 5 to 1 by weight ratio.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몰드를 몰드에서 각각 분리한후 발등안쪽 발등살이 닿는 부위에 마찰에 의한 찰과상을 입을수 있으므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인 네오플렌 발포고무를 덧붙여 발등쿠션감을 줌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이 느껴지도록 하고 서로 순간접착제로 접착한후 테두리를 절단하고 사포로 마감질을 한다.After separating the
이후 오리발(300) 블레이드와 발등 각각에 결합구멍을 회전톱날을 사용하여 뚫은 후 상기 결합구멍에 벨크로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한다. 통상 각각 2개의 구멍을 뚫어서 포갠 후, 벨크로의 끝단은 한 개의 구멍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한 뒤 다른 구멍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통과한 후 결속한다. 상기 결합구멍은 결합이 편리하게 발끝에서 발목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면 부위에는 홈이 파여 있어서, 상기 벨크로가 접결합된 후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전후로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Subsequently, each of the
이때, 발등이 블레이드의 위로 올라오게 결합한다.At this time, the instep is joined so that it rises above the blade.
한편, 블레이드는 물갈퀴가 끝단에 형성되고 발끝에서 발목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한 것으로 전체적형상이 오리발(300)형상이며, 발등은 원통을 반으로 쪼갠 모양에 특히 좌우 양변에 접착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판은 하면이 블레이드 상면에 에폭시본드 접착제에 의해 접착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is formed on the tip of the webbed and narrowed in width from the tiptoe to the ankle. The overall shape is the
다른 예로서, 상기 발등 접착판에 대응되는 블레이드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접착판용 장공을 뚫고 상기 접착판 끝단을 삽입한 후 바깥방향으로 꺽어서 상면을 블레이드 하부면에 순간접착제로 접합하면 된다. 접착판용 장공의 길이를 충분히 접착판 길이보다 크게 하여 접착판을 접착판용 장공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발등이 프레이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을 조정할 수 있다. 곧 발 길이가 조금 더 길거나 짧을 경우 상기 발등이 위치하는 부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a long hole for the adhesive plate is dri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t the blad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ep adhesive plate, the end of the adhesive plate is inserted, and then bent outward to bond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lade with an instant adhesiv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ong hole for the adhesive plate to be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adhesive plate, the portion in which the instep is located on the Freu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dhesive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for the adhesive plate. In other words, if the foot length is slightly longer or shorter, the part where the instep is located is properly adjusted.
그리고 블레이드는 미끄럼방지 목적으로 뒷꿈치와 발바닥 중간부위에 네오플렌 발포고무를 순간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And, for the purpose of anti-slip, the blade can bond neoprene foam rubber to the middle part of the heel and sole with an instant adhesiv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cope of application i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0 : 이너부츠
110 : 이너아웃솔
111 : 흡착부
111-1 : 흡착엠보싱
112 : 접지부
112-1 : 접지엠보싱
112-2 : 접지단차
113 : 마찰부
113-1 : 마찰단차
114 : 제1웨이브
115 : 제2웨이브
116 : 측웨이브
120 : 이너갑피
130 : 이너텅
140 : 이너끈
150 : 이너벨크로
160 : 이너판스프링
200 : 아우터부츠
210 : 아우터아웃솔
211 : 슬라이드
220 : 아우터갑피
230 : 아우터텅
240 : 아우터띠
250 : 아우터버클
260 : 아우터고리
270 : 아우터스트랩
300 : 오리발100: inner boots
110: inner outsole
111: adsorption unit
111-1: Adsorption embossing
112: ground
112-1: Ground embossing
112-2: Ground level
113: friction part
113-1: Friction step
114: first wave
115: second wave
116: side wave
120: inner upper
130: inner tongue
140: inner string
150: Inner Velcro
160: inner spring
200: outer boots
210: outer outsole
211: Slide
220: outer upper
230: outer tongue
240: outer belt
250: outer buckle
260: outer ring
270: outer strap
300: flippers
Claims (6)
상기 이너아웃솔(110)과 맞닿게 되는 아우터아웃솔(210)과, 상기 아우터아웃솔(2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이너갑피(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아우터갑피(22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내면에 결합되는 아우터텅(230)을 포함하는 아우터부츠(20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아웃솔(110)은
하면 전방에 흡착엠보싱(111-1)들이 형성되는 흡착부(111)와,
하면 중앙에 접지엠보싱(112-1)과 접지단차(112-2)들이 형성되는 접지부(112)와,
하면 후방에 마찰단차(113-1)들이 형성되는 마찰부(113)를 포함하는 아쿠아 슈즈.
Inner outsole 110, the inner upper sole 120 is coupled to the rim of the inner outsole 110 to form a wearing space therein, and the inner tongue 13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upper 120, Inner boots 100 including an inner strap 140 installed on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inner upper 120 and an inner velcro 150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inner upper 120; And
The outer-outsole 2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outsole 110 and the outer-shell 220 that is coupled to the rim of the outer-outsole 210 to form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inner upper 120 is accommodated. , Outer boots 200 including an outer tongue 230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upper 220; includes,
The inner outsole 110 is
When the adsorption embossing (111-1) is formed in front of the suction unit 111,
When the ground embossing (112-1) and the grounding step (11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round portion 112,
Aqua shoes comprising a friction portion 113, the friction step 113-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상기 흡착부(111)의 전방에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1웨이브(114)와,
상기 마찰부(113)의 후방에 웨이브진 구조로 형성되는 제2웨이브(115)를 포함하는 아쿠아 슈즈.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outsole 110 is
The first wave 114 is formed in a wave structure in front of the adsorption unit 111,
Aqua shoes comprising a second wave 115 formed in a waved structure on the rear of the friction portion (113).
상기 아우터갑피(220)가 슬리퍼구조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좌면 일단에 결합되는 아우터띠(240)와,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좌면 타단과 상기 아우터띠(24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아우터버클(250)을 포함하는 아쿠아 슈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ot 200 is
The outer upper 220 is formed of a slipper structure,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trip 240 of the left surface of the outer upper 220,
Aqua shoes comprising an outer buckle (250)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240) with the other end of the outer shell (240).
상기 아우터버클(250)을 둘러싸서 상기 아우터갑피(220)에 결합되는 아우터고리(260)와,
상기 아우터텅(230)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갑피(220)의 상부를 모아주는 아우터스트랩(270)을 포함하는 아쿠아 슈즈.
According to claim 4, The outer boots 200 are
An outer ring 260 that surrounds the outer buckle 250 and is coupled to the outer upper 220;
Aqua shoes including an outer strap (270)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tongue 230 to collect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upper (2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829A KR102109512B1 (en) | 2019-02-27 | 2019-02-27 | Aqua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2829A KR102109512B1 (en) | 2019-02-27 | 2019-02-27 | Aqua sho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9512B1 true KR102109512B1 (en) | 2020-05-12 |
Family
ID=7067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829A Active KR102109512B1 (en) | 2019-02-27 | 2019-02-27 | Aqua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951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9117B1 (en) * | 2024-08-19 | 2024-10-16 | 신재훈 | Freediving long fins with depth measurement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597Y1 (en) * | 2004-04-26 | 2004-07-07 | 김지현 | A shoes with easiness for put on and take off |
JP2007050157A (en) * | 2005-08-19 | 2007-03-01 | Mizuno Corp | Shoe |
KR20090076502A (en) * | 2008-01-09 | 2009-07-13 | 이상도 | Waterproof shoe having moisture permeation and shock absorp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
JP2011529723A (en) * | 2008-07-30 | 2011-12-15 | フィニーズ エルエルシー | Hybrid water sports footwear |
JP3196328U (en) * | 2014-12-19 | 2015-03-05 | 株式会社キタヤマ | shoes |
KR20160129549A (en) * | 2015-04-30 | 2016-11-09 | 주식회사 에이로 | Antistatic shoes |
KR20170033282A (en) * | 2017-02-20 | 2017-03-24 | (주)이너스코리아 | assemblable shoes |
JP2018505033A (en) * | 2015-02-17 | 2018-02-22 | ジーティーエス グローバ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Aqua shoes with anti-slip structure |
KR101862290B1 (en) | 2018-01-12 | 2018-05-29 | 양진영 | Functional shoes with Swimming fins unit |
-
2019
- 2019-02-27 KR KR1020190022829A patent/KR1021095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597Y1 (en) * | 2004-04-26 | 2004-07-07 | 김지현 | A shoes with easiness for put on and take off |
JP2007050157A (en) * | 2005-08-19 | 2007-03-01 | Mizuno Corp | Shoe |
KR20090076502A (en) * | 2008-01-09 | 2009-07-13 | 이상도 | Waterproof shoe having moisture permeation and shock absorp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
JP2011529723A (en) * | 2008-07-30 | 2011-12-15 | フィニーズ エルエルシー | Hybrid water sports footwear |
JP3196328U (en) * | 2014-12-19 | 2015-03-05 | 株式会社キタヤマ | shoes |
JP2018505033A (en) * | 2015-02-17 | 2018-02-22 | ジーティーエス グローバ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Aqua shoes with anti-slip structure |
KR20160129549A (en) * | 2015-04-30 | 2016-11-09 | 주식회사 에이로 | Antistatic shoes |
KR20170033282A (en) * | 2017-02-20 | 2017-03-24 | (주)이너스코리아 | assemblable shoes |
KR101862290B1 (en) | 2018-01-12 | 2018-05-29 | 양진영 | Functional shoes with Swimming fins uni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9117B1 (en) * | 2024-08-19 | 2024-10-16 | 신재훈 | Freediving long fins with depth measur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78325A (en) | Clog type shoe with a drawstring | |
US8516721B2 (en) | Articles of footwear | |
US3978596A (en) | Sand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7249425B2 (en) | Shoe sole having soft cushioning device | |
US11589638B2 (en) | Outsole and shoe | |
KR102109512B1 (en) | Aqua shoes | |
KR101179124B1 (en) | The shoes without adhesives | |
KR101775794B1 (en) | Producing method of flippers including carbon fiber | |
CN111109757B (en) | Novel massage sho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
JP3152462U (en) | Shoe sole | |
CN221813339U (en) | Safety boots with high temperature resistant rubber sole | |
US20200037706A1 (en) | Heat Shield Shoe Device | |
KR200418392Y1 (en) | Auxiliary shoe sole | |
US1315482A (en) | Nobt-slip pneumatic tread | |
JPH0136362B2 (en) | ||
JPH10155502A (en) | Slippers | |
KR101759164B1 (en) | footwear | |
CN212877905U (en) | Foamed rubber sole of leisure shoe | |
CN212036280U (en) | Portable anti-skid sole | |
CN215958567U (en) | Effectual sports shoes of ventilative antiskid | |
CN212994832U (en) | Special rubber overshoes of anti-drop construction | |
CN214230102U (en) | Tourist shoe capable of being worn in four seasons | |
CN221902605U (en) | Sole of sports shoes | |
KR200401126Y1 (en) | Mid sole for mountain climbing boots | |
CN213604750U (en) | Waterproof leisure leather shoes of lightly walk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