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990B1 - Variable reflector for angle of beam spread and light projec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ariable reflector for angle of beam spread and light projec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7990B1 KR102107990B1 KR1020190044525A KR20190044525A KR102107990B1 KR 102107990 B1 KR102107990 B1 KR 102107990B1 KR 1020190044525 A KR1020190044525 A KR 1020190044525A KR 20190044525 A KR20190044525 A KR 20190044525A KR 102107990 B1 KR102107990 B1 KR 102107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gle
- reflective
- directivity
- reflector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2143 Ocular discomfor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90 prim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각도의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고, 야간 조명시 눈부심을 없앨 수 있도록 비대칭 반사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넓은 투광 지역에 조도 및 휘도가 높아지도록 한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 및 이를 갖는 투광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은, 일단에 광원이 위치되는 광원 배치구와 타단에 열려있는 광확산 개구 및 광원 배치구에서 광확산 개구 쪽으로 단면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광원반사통로를 갖는 반사경 본체와; 상기 광원반사통로에 배치됨과 동시에 반사경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되어 광축으로부터 지향각도를 형성시키는 제1 반사곡면조절판과;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작시켜 지향각도를 변경시키는 지향각도 조작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adjustment of the directivity angle, may have an asymmetric reflection structure to eliminate glare during night illumination,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so as to increase the illuminance and luminance in a wide light-transmitting area and a floodlight having the same Provides
The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 where a light source is located at one end, a light diffusion opening open at the other end, and a light source reflection whose cross section gradually expands from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 toward the light diffusion opening. A reflector body having a passage; A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disposed on the light source reflection path and hinged to the reflector body to rotate and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to form a directivity angle from the optical ax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angle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at a desired angle to change the angle of directiv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형 반사경 및 이를 갖는 투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향각도의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고, 야간 조명시 눈부심을 없앨 수 있도록 비대칭 반사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넓은 투광 지역에 조도 및 휘도가 높아지도록 한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 및 이를 갖는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eflector and a transmitter having the sam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a variety of directivity angles, can have an asymmetric reflective structure to eliminate glare during night illumination, and increase the illuminance and luminance in a wide light-transmitting area. It relates to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and a transmitter having the same.
우리나라의 경우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이 재정되어 있고, 동법 제4조 빛공해방지계획의 수립에 의해 빛공해방지계획에 대한 개발 및 대책을 수립 시행하도록 명시되어 있다.In Korea,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Light Pollution by Artificial Lighting is financed, and Article 4 of the Act establishes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Plan and establishes and implements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Plan.
현재의 우리나라 투광기 설치 사례를 살펴보면, 투광하여야 할 목적물에 대칭형 투광기를 사용하여 정면으로 투광하게 되어 있어 근본적으로 빛공해를 피할수 없는 현실이다. 이는 주변 야간스포츠 경기장을 살펴보면 흔히 접할수 있다.Looking at the current case of installing a Korean floodlight, it is essentially a reality that light pollution is inevitable because it is projected from the front using a symmetrical floodlight for the object to be flooded. This is often encountered when looking at the surrounding night sports venues.
빛의 오남용으로 인한 1차적인 영향은 눈부심, 창문으로의 침입광, 산란광, 군집조명으로 인한 혼란 등이 있으며 이러한 피해는 조명기구의 설치 시 설치지점, 전등갓의 빛 방사각도(cut-off) 조절 등의 방법으로 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primary effects of misuse of light are glare, intrusion light into the window, scattered light, and confusion caused by crowd lighting, and these damages are caused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lighting fixture and the cut-off of the lamp shade. The damage can be minimized by the following method.
여기서 눈부심은 시야의 밝기 분포나 극도의 밝기 대비 시간대에 적합하지 않은 시각적 조건으로 시각적 불편을 유발하고 물체의 가시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야간에 조명이 필요한 스포츠 경기장 예로, 야구장, 테니스장은 물론이고, 항만이나 교차로 등에 설치되는 LED 조명 시설의 경우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눈부심없는 조명기술이 요구된다.Here, glare causes visual discomfort and decreases the visibility of objects with visual condition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brightness distribution of the field of view or extreme brightness versus time. Therefore, as an example of a sports stadium that requires lighting at night, as well as a baseball field and a tennis court, in the case of a LED lighting facility installed at a port or an intersection, glare-free lighting technology is required to secure visibility.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20742호로서, '비대칭 지향성 배광을 갖는 도로용 눈부심 방지 반사판'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반사판은 광원이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안치부와 ; 상기 광원안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외향반사부와 ; 상기 광원안치부로부터 연장되데 상기 외향반사부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직접 외부로 조사되지 않게 하며, 중단에 내향 반사부가 형성된 직사차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직접 외부로 조사되지 않게 함으로서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0742,'Anti-glare reflector for roads having asymmetric 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has been proposed. This reflecting plate includes a light source placing portion in which a light source is installed; An outward refl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ight source placing portion and reflect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extended from the light source enclosing portion, and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ward reflection portion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not directly irradiated to the outside, and is made of a direct shield portion formed with an inward reflection portion at the middle. This is to prevent glare from the driver of the vehicle by not being irradiated directly to the outside.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최대 확산각이 좁아 넓은 영역을 조명해야 하는 스포츠 경기장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다.However, the background technique is difficult to apply in a sports stadium where the maximum diffusion angle is narrow, and thus a large area needs to be illuminated.
본 발명의 다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31390호로서, '비대칭 형상의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비대칭 형상의 렌즈는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이 관통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곡면들을 관통하는 빛의 배광 각도가 서로 다르며, 적어도 2 이상의 곡면들은 경계선들에 의해 구획되고, 적어도 2 이상의 곡면들은 상기 경계선들을 기준으로 곡률이 서로 다르며, 상기 경계선들은 렌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경계선 및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경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눈부심으로 감소시키고 균제도 및 조명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31390,'Asymmetrical shape lens and street light including the same' has been proposed. Here, the lens of the asymmetric shape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curved surfaces through which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and the light distribution angl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at least two or more curved surfac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at least two curved surfaces are divided by boundary lines , At least two or more curved surfaces have different curvatures based on the boundary lines, and the boundary lines include a first boundary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ns and a second boundary line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s, and glare. It was made to reduce and improve the uniformity and lighting rate.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눈부심을 감소시키고 균제도 및 조명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넓은 영역을 균일하게 조명해야 하는 스포츠 경기장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ackground technology can reduce glare and improve uniformity and illumination rate,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in a sports stadium that needs to uniformly illuminate a large area.
한편, 투광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휘도를 높임과 동시에 목적에 따라 광의 지향각도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15116호로서, '지향각 및 배광분포 조정이 가능한 LED용 조명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발산각을 조정해 줄수 있는 광학렌즈의 위치를 광축방향에서 조정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환경과 요구에 따라 배광패턴이나 LED 단품 모듈의 지향각 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광학렌즈의 회전에 따른 지향각의 조정으로서 반사빛을 투광영역측으로 모두 집광되지 못하여 투광효율이 떨어지고 빛의 눈부심이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ase wher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is increa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rojector is installed, and the angle of directivity of the light needs to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urpose. 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5116, a'lighting system for LEDs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and distribution of light distribution' has been proposed. This allows the position of the optical lens, which can adjust the divergence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to be adjus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alignment angle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or the LED unit modu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demands. However, the background technique is an adjustment of the directing ang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tical lens, so that all of the reflected light is not condensed toward the light-transmitting area, the light-transmitting efficiency decreases and light glare occurs.
본 발명은 지향각도의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고, 야간 조명시 눈부심을 없앨 수 있도록 비대칭 반사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넓은 투광 지역에 조도 및 휘도가 높아지도록 한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 및 이를 갖는 투광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adjustments of the directivity angle, may have an asymmetric reflection structure to eliminate glare during night illumination, and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so as to increase the illuminance and luminance in a wide light-transmitting area and a floodlight hav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을 갖는 투광기는, 일단에 광원이 위치되는 광원 배치구와 타단에 열려있는 광확산 개구 및 광원 배치구에서 광확산 개구 쪽으로 단면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광원반사통로를 갖는 반사경 본체와; 상기 광원반사통로에 배치됨과 동시에 반사경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되어 광축으로부터 지향각도를 형성시키는 제1 반사곡면조절판과;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작시켜 지향각도를 변경시키는 지향각도 조작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nsmitter having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 at which one light source is located and a light diffusion opening open at the other end and a cross section gradually extending from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 toward the light diffusion opening A reflector body having a light source reflection path; A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disposed on the light source reflection path and hinged to the reflector body to rotate and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to form a directivity angle from the optical ax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first angle of the control means for rotating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to a desired angle to change the angle of orientation.
또한, 상기 반사경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힌지축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lector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inge axis is provided.
또한, 상기 지향각도 조작수단은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의 배면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있는 피봇 연결구와; 상기 피봇 연결구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조절축과; 상기 나사조절축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단이 피봇 연결구에 지지되고 타단이 반사경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피봇연결구 압축스프링과; 상기 나사조절축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경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조작 방향에 따라 제1 반사곡면조절판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rectional angle manipulation means includes a pivot connector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A screw adjustment shaft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 connector; A compression spring which is inserted around the screw adjustment shaft,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pivot connec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reflecto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to the screw adjustment shaf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eflector body and the control surface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of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direction.
또한, 상기 지향각도 조작수단은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의 배면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있는 피봇 연결구와; 상기 피봇 연결구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조절축과; 상기 반사경 본체의 외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조절축과 직결되어 회전 구동방향에 따라 제1 반사곡면조절판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지향각도조절용 서보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rectional angle manipulation means includes a pivot connector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A screw adjustment shaft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eflector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servo motor for direct angle adjustment to directly adjust the directivity of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ing direction.
또한, 제1 반사곡면조절판은 제1입사각과 제1반사각을 동일하게 변화시키는 제1접선과 제1법선이 연속되어지도록 하는 반사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eflective curved surface such that the first tangent line and the first normal line continuously changing the first incident angle and the first reflected angle.
또한, 상기 제1반사곡면조절판과 마주하는 쪽에는 비대칭을 이루어 제2입사각과 제2반사각을 동일하게 변화시키면서 제2법선이 기울기가 변화는 제2접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반사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reflective curved surface that is asymmetrically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adjusting plate to change the second incident angle and the second reflective angle while the second normal is continuously inclined along the second tang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is formed.
또한, 상기 광축에 대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가져 상호 대칭을 이루는 제3 및 제4 반사평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reflective plane parts having the sam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o achieve mutual symmetry; further comprising.
또한, 제1반사곡면조절판은 상대적으로 제2 반사곡면부보다 길이가 길어진 반사경로를 갖고, 제1 반사곡면부와 제2반사곡면부에서 출사되어 상호 중첩되는 보강간섭영역이 광축을 중심으로 제1반사곡면조절판 쪽으로 편향되어 나타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has a relatively longer reflection path than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and the reinforcing interference regions emit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overlap each other and are centered around the optical ax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ppears to be deflected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또한, 광축이 광원 배치구의 중심에서 제1반사곡면부보다 제2반사곡면부측으로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광원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is arranged so that the optical axis is positioned closer to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than the first reflective curved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port.
또한, 상기 광원반사통로에는 추가적인 보강간섭을 위해 제2반사곡면부와 제3 및 제4투광평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모서리 반사곡면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 reflection path further includes a pair of corner reflection curved portions formed at corner portions where the second reflection curved portion meets the third and fourth transmissive plane portions for additional reinforcement interferen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을 갖는 투광기는, 열을 흡수 발산시키는 방열핀을 갖는 히트싱크 몸체와; 상기 히트싱크 몸체의 전면에 다수로 배열된 LED 소자를 갖고 설치되는 LED 모듈과; 상기 LED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 몸체측에 복수개로 장착되어진 가변형 반사경과; 상기 히트 싱크 몸체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가변형 반사경의 전면에 배치되어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투광판과; 다수의 열배출공을 갖고 상기 히트 싱크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히트싱크 몸체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or having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ink body having a heat sink fin for absorbing and dissipating heat; An LED module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ink body; A variable reflecto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module and mounted in plurality on the heat sink body side; A front case assemb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ink body; A translucent plat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ariable reflector and coupled to the front case; A rear case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charging holes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sink body; And a hinge bracket hinged to both ends of the heat sink body.
본 발명의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을 갖는 투광기에 따르면, 반사경 본체에 힌지 결합된 제1 반사곡면조절판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여 목적에 따른 광 지향각도의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제1반사곡면조절판과 마주하는 쪽에는 비대칭을 이루는 제2 반사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야간 조명시 눈부심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넓은 투광 지역에 조도 및 휘도가 높아지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ojector having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first reflecting surface control plate hinged to the reflector main body, thereby enabling various adjustment of the directivity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purpos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forming an asymmetrical side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glare can be eliminated during night illumination. In addition,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illuminance and luminance are increased in a wide light-transmitting area.
또한, 투광기는 가변형 반사경이 복수개로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투광기에서 서로 다른 여러가지의 지향각도를 동시에 가지고 투광이 이루어져 투과영역이 더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variable reflectors are installe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simultaneously emits light having various different directing angles in one light transmitting unit,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widening the transmission area.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반사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반사경의 지향각도를 각기 15도, 30도, 45도, 60도로 변경하여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 및 6은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반사경이 비대칭구조를 가질 때 나타나는 광확산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을 갖는 투광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투광기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지향각도 조작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반사경의 종단면도.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riable reflecto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ure 1;
4A to 4D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the angle of change of the variable reflectors shown in FIG. 1 changed to 15 degrees, 30 degrees, 45 degrees, and 60 degrees, respectively.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light diffusion path that appears when the variable reflector shown in FIG. 1 has an asymmetric struct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jector having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jector shown in FIG. 7;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fl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rectional angle manipul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반사경(10)은 도 4와 같이 지향각도(θ)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로 지향각도(θ)는 15도, 30도, 45도, 60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지향각도(θ)란 가변형 반사경(10)이 지상에 일정 높이 배치된 상태에서 투광되는 조사각을 의미한다.The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가변형 반사경(10)은 반사경 본체(12),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 및 지향각도를 변경시키는 지향각도 조작수단(20)을 포함한다.1 to 3, the
반사경 본체(12)는 일단에 광원(5)이 위치되는 광원 배치구(12a)와 타단에 열려있는 광확산 개구(12b) 및 광원 배치구(12a)에서 광확산 개구(12b) 쪽으로 단면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광원반사통로(12c)를 갖는다.The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은 광원반사통로(12c)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은 힌지돌기(121a)를 가지고 반사경 본체(12)의 힌지홈(13)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축(H1,H2,H3,H4)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힌지축(H1,H2,H3,H4)은 힌지홈(13)의 개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4개의 힌지홈(13)에 따라 동수의 힌지축(H1,H2,H3,H4)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수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축(H1,H2,H3,H4)은 예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되어 있는 걸침홈에 구성하였으나 홀에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reflective curved
지향각도 조작수단(20)은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작시켜 지향각도를 변경시킨다.The directing angle manipulation means 20 rotates the first reflective curved
일 실시 예의 지향각도 조작수단(20)은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배면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있는 피봇 연결구(201)와, 피봇 연결구(201)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조절축(202)과, 나사조절축(202)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단이 피봇 연결구(201)에 지지되고 타단이 반사경 본체(12)에 지지되어 있는 피봇연결구 압축스프링(204)과, 나사조절축(202)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경 본체(12)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조작 방향에 따라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을 미세 회전시키는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203)을 포함한다. 이때 피봇 연결구(201)는 피봇축 하우징(201a)을 구비하여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배면에 형성된 피봇축(201a)에 피봇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rectional angle manipulation means 20 has a
따라서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203)을 일방향으로 회전조작시켜 피봇 연결구(201)를 전진시키면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이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지향 각도가 작아진다. 이와 반대로 조작핸들(203)을 타방향으로 회전조작시켜 피봇 연결구(201)를 후퇴시키면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이 힌지축(H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 지향 각도가 커진다. Therefore, when the
이와 같이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203)의 회전 조작방향에 따라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다양한 지향 각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반사경(10)이 설치된 높이 위치에 따라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203)의 회전 조작으로 멀리 사라지는 반사광을 줄일 수 있어 광효율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directional angles of the first reflective curved
여기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은 제1입사각(α1)과 제1반사각(β1)을 동일하게 변화시키는 제1접선(T1)과 제1법선(N1)이 연속되어지도록 하는 반사곡면을 가질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reflective
또한, 제1반사곡면조절판(121)과 마주하는 쪽에는 비대칭을 이루어 제2입사각(α2)과 제2반사각(β2)을 동일하게 변화시키면서 제2법선(N2)이 기울기가 변화는 제2접선(T2)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반사곡면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곡면부(122)에는 표면에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되어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반사곡면조절판(121)은 상대적으로 제2 반사곡면부(122)보다 길이가 길어진 반사경로를 갖고, 제1 반사곡면부(121)와 제2반사곡면부(122)에서 출사되어 상호 중첩되는 보강간섭영역(OL)이 광축(X)을 중심으로 제1반사곡면조절판(121) 쪽으로 편향되어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축(X)이 광원 배치구(12a)의 중심(O)에서 제1반사곡면부(121)보다 제2반사곡면부(122)측으로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광원(5)을 배치되도록 하여 투광이 더 멀리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tangential line in which the slope of the second normal line N2 changes while the second incident angle α2 and the second reflected angle β2 are changed by forming an asymmetry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reflective
또한, 광축(X)에 대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가져 상호 대칭을 이루는 제3 및 제4 반사평면부(123,1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ird and fourth
또한, 광원반사통로(12c)에는 추가적인 보강간섭을 위해 제2반사곡면부(122)와 제3 및 제4투광평면부(123,124)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모서리 반사곡면부(132,132)를 더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edge reflection curved
이와 같이 구성된 가변형 반사경(10)을 갖는 투광기(100)의 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One form of the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투광기(100)는 열을 흡수 발산시키는 방열핀(201)을 갖는 히트싱크 몸체(20)와, 히트싱크 몸체(20)의 전면에 다수로 배열된 LED 소자(221)를 갖고 설치되는 LED 모듈(22)과, LED 모듈(22)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 몸체(20)측에 하나 이상으로 장착되어진 가변형 반사경(10)과, 히트 싱크 몸체(20)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론트 케이스(24)와, 가변형 반사경(10)의 전면에 배치되어 프론트 케이스(24)에 결합되어 있는 투광판(26)과, 다수의 열배출공(281)을 갖고 상기 히트 싱크 몸체(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28)와, 히트싱크 몸체(20)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케이스(24)과 투광판(26)의 사이에는 수밀을 위해 실리콘 가스켓(25)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7 and 8,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투광기(100)에는 가변형 반사경(10)이 적용되어져 다양한 지향 각도를 얻을 수 있어 빛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반사곡면조절판(121)과 마주하는 쪽에는 비대칭을 이루는 제2 반사곡면부(122)가 구비된 경우 야간에 조명시 눈부심이 없어야 하는 스포츠 경기장, 항만, 공항, 교차로 등에 유용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특히, 투광기(100)는 가변형 반사경(10)이 복수개로 설치됨으로써 예로 도 7과 같이 4개가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투광기(100)에서 서로 다른 4가지의 지향각도를 동시에 가지고 투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투과영역이 더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한편, 본 발명의 가변형 반사경(10)에 적용되는 지향각도 조작수단(20)은 도 9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배면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있는 피봇 연결구(201)와, 피봇 연결구(201)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조절축(202)과, 반사경 본체(12)의 외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나사조절축(202)과 직결되어 회전 구동방향에 따라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지향각도조절용 서보모터(M)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recting angle manipulation means 20 applied to the
여기서, 나사조절축(202)은 지향각도조절용 서보모터(M)의 구동축에 일체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따라서 지향각도조절용 서보모터(M)의 구동축을 회전 제어함으로써 피봇 연결구(201)의 진퇴 운동이 유도되고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지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by rotating and controlling the drive shaft of the servo motor M for directing angle adjustmen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so far,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ed and modified inventions, but is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10: 가변형 반사경
12: 반사경 몸체
121: 제1 반사곡면조절판
122: 제2 반사곡면부
123: 제3 반사평면부
124: 제4 반사평면부
132: 모서리 반사곡면부
141: 제1 정착판
142: 제2 정착판
20: 지향각도 조작수단
201: 피봇 연결구
202: 나사조절축
203: 피봇연결구 압축스프링
204: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
M: 지향각도조절용 서보모터10: variable reflector
12: reflector body
121: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122: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123: third reflective plane
124: fourth reflection plane
132: corner reflection curved portion
141: first fixing plate
142: second fixing plate
20: Direction angle manipulation means
201: pivot connector
202: screw adjustment shaft
203: pivot connector compression spring
204: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operation handle
M: Servo motor for directing angle adjustment
Claims (11)
일단에 광원(5)이 위치되는 광원 배치구(12a)와 타단에 열려있는 광확산 개구(12b) 및 광원 배치구(12a)에서 광확산 개구(12b) 쪽으로 단면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광원반사통로(12c)를 갖는 반사경 본체(12)와; 상기 광원반사통로(12c)에 배치됨과 동시에 반사경 본체(12)에 힌지 결합되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되어 광축(X)으로부터 지향각도를 형성시키는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과;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 조작시켜 지향각도를 변경시키는 지향각도 조작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 본체(12)에는 하나 이상의 힌지축(H1,H2,H3,H4)이 구비되며,
상기 지향각도 조작수단(20)은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배면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있는 피봇 연결구(201)와; 상기 피봇 연결구(201)의 타단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조절축(202)과; 상기 나사조절축(202)의 둘레에 삽입되어 일단이 피봇 연결구(201)에 지지되고 타단이 반사경 본체(12)에 지지되어 있는 피봇연결구 압축스프링(204)과; 상기 나사조절축(202)에 고정되어 상기 반사경 본체(12)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조작 방향에 따라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반사곡면조절판 조작핸들(20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In the variable reflector 10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The light source reflection passage 12a which is located at one end and the light diffusion opening 12b open at the other end and the light source reflection passage whose cross section gradually extends from the light source placement hole 12a toward the light diffusion opening 12b A reflector body 12 having (12c); A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121 disposed at the light source reflection path 12c and hinged to the reflector body 12 and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to form a directivity angle from the optical axis X; Includes; the directional angle manipulation means 20 for changing the directional angle by rotating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121 at a desired angle.
The reflector body 12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hinge shafts (H1, H2, H3, H4),
The directing angle manipulation means 20
A pivot connector 201 having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121; A screw adjustment shaft 202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pivot connector 201; A pivot connector compression spring 204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pivot connector 201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reflector body 12 by being inserted around the screw adjustment shaft 202; A reflection surface adjustment plate operation handle 203 which is fixed to the screw adjustment shaft 202 and is disposed outside the reflector body 12 and adjusts the directivity of the first reflection surface adjustment plate 121 accord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direction; Variable reflector for directivity adjustm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제1 반사곡면조절판(121)은 제1입사각(α1)과 제1반사각(β1)을 동일하게 변화시키는 제1접선(T1)과 제1법선(N1)이 연속되어지도록 하는 반사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121 has a reflective curved surface such that the first tangent T1 and the first normal N1 continuously changing the first incident angle α1 and the first reflected angle β1 are the same.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반사곡면조절판(121)과 마주하는 쪽에는 비대칭을 이루어 제2입사각(α2)과 제2반사각(β2)을 동일하게 변화시키면서 제2법선(N2)이 기울기가 변화는 제2접선(T2)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반사곡면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tangent line in which the slope of the second normal (N2) changes while the second incident angle (α2) and the second reflected angle (β2) are changed by forming an asymmetry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121 (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122 is formed to be continuously made along T2).
상기 광축(X)에 대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가져 상호 대칭을 이루는 제3 및 제4 반사평면부(123,12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and fourth reflective plane parts 123 and 124 having the sam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X to form mutual symmetry; and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상기 제1반사곡면조절판(121)은 상대적으로 제2 반사곡면부(122)보다 길이가 길어진 반사경로를 갖고, 제1반사곡면조절판(121)과 제2반사곡면부(122)에서 출사되어 상호 중첩되는 보강간섭영역(OL)이 광축(X)을 중심으로 제1반사곡면조절판(121) 쪽으로 편향되어 나타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121 has a relatively longer reflection path than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surface portion 122, and is emitted from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121 and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surface portion 122 to mutually A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angle of orie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lapping reinforcing interference region (OL) is deflected toward the first reflective surface control plate 121 around the optical axis (X).
광축(X)이 광원 배치구(12a)의 중심(O)에서 제1반사곡면조절판(121)보다 제2반사곡면부(122)측으로 더 가까이 위치되도록 광원(5)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The method of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ource (5) is arranged such that the optical axis (X) is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reflective curved portion (122) than the first reflective curved surface control plate (121) at the center (O) of the light source arrangement (12a) Variable reflector for directing angle adjustment.
상기 광원반사통로(12c)에는 추가적인 보강간섭을 위해 제2반사곡면부(122)와 제3 및 제4 반사평면부(123,124)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한 쌍의 모서리 반사곡면부(132,132);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reflection path 12c includes a pair of corner reflection curved portions 132 and 132 formed at corner portions where the second reflection curved portion 122 and the third and fourth reflective plane portions 123 and 124 meet for additional reinforcement interference; Variable reflector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ang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히트싱크 몸체(20)의 전면에 다수로 배열된 LED 소자(221)를 갖고 설치되는 LED 모듈(22)과;
상기 LED 모듈(22)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 몸체(20)측에 복수개로 장착되어진 청구항 제1항의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10)과;
상기 히트 싱크 몸체(20)의 전면에 조립되는 프론트 케이스(24)와;
상기 가변형 반사경(10)의 전면에 배치되어 프론트 케이스(24)에 결합되어 있는 투광판(26)과;
다수의 열배출공(281)을 갖고 상기 히트 싱크 몸체(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28)와;
상기 히트싱크 몸체(20)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향각도 조절을 위한 가변형 반사경을 갖는 투광기.A heat sink body 20 having a heat dissipation fin 201 that absorbs and dissipates heat;
An LED module 22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221 arranged in front of the heat sink body 20;
A variable reflector (10) for adjusting the directivity of claim 1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module (22) and mounted in plurality on the heat sink body (20) side;
A front case 24 assemb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sink body 20;
A translucent plate 26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ariable reflector 10 and coupled to the front case 24;
A rear case 28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charging holes 281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sink body 20;
And a hinge bracket 30 hinged to both ends of the heat sink body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525A KR102107990B1 (en) | 2019-04-16 | 2019-04-16 | Variable reflector for angle of beam spread and light projecto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4525A KR102107990B1 (en) | 2019-04-16 | 2019-04-16 | Variable reflector for angle of beam spread and light projecto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7990B1 true KR102107990B1 (en) | 2020-06-04 |
Family
ID=7108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4525A Expired - Fee Related KR102107990B1 (en) | 2019-04-16 | 2019-04-16 | Variable reflector for angle of beam spread and light projecto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7990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116B1 (en) | 2006-04-05 | 2008-03-20 | 한국광기술원 | LED lighting system with adjustable directivity and light distribution |
JP2008130393A (en) * | 2006-11-21 | 2008-06-05 | Solar Wind Technologies Ltd |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system |
KR100920742B1 (en) | 2007-03-19 | 2009-10-0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Anti-glare reflector with unsymmetrical 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for road |
KR100959511B1 (en) * | 2009-07-15 | 2010-05-27 | 주식회사 네브레이코리아 |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symmetrical reflector and condenser lens |
KR20100116628A (en) * | 2008-02-06 | 2010-11-01 |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 Lighting module, lamp and lighting method |
KR101265162B1 (en) * | 2012-11-30 | 2013-05-27 | 한빔 주식회사 | Led street lamp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angle |
KR20140085921A (en) * | 2012-12-28 | 2014-07-08 | 이주일 | lamp assembly with controller for reflection angle |
KR101531390B1 (en) | 2011-08-30 | 2015-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symmetric type lens and street lamp comprising the same |
KR20160124510A (en) * | 2015-04-20 | 2016-10-28 | (주) 나노크래프트 | Lighting device for adjusting angle of lampshade |
-
2019
- 2019-04-16 KR KR1020190044525A patent/KR1021079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116B1 (en) | 2006-04-05 | 2008-03-20 | 한국광기술원 | LED lighting system with adjustable directivity and light distribution |
JP2008130393A (en) * | 2006-11-21 | 2008-06-05 | Solar Wind Technologies Ltd |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system |
KR100920742B1 (en) | 2007-03-19 | 2009-10-0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Anti-glare reflector with unsymmetrical 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for road |
KR20100116628A (en) * | 2008-02-06 | 2010-11-01 | 오스람 게젤샤프트 미트 베쉬랭크터 하프퉁 | Lighting module, lamp and lighting method |
KR100959511B1 (en) * | 2009-07-15 | 2010-05-27 | 주식회사 네브레이코리아 | Illumination system including asymmetrical reflector and condenser lens |
KR101531390B1 (en) | 2011-08-30 | 2015-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symmetric type lens and street lamp comprising the same |
KR101265162B1 (en) * | 2012-11-30 | 2013-05-27 | 한빔 주식회사 | Led street lamp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angle |
KR20140085921A (en) * | 2012-12-28 | 2014-07-08 | 이주일 | lamp assembly with controller for reflection angle |
KR20160124510A (en) * | 2015-04-20 | 2016-10-28 | (주) 나노크래프트 | Lighting device for adjusting angle of lampshad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382247B (en) | Vehicle lamp unit | |
JP6581588B2 (en) | Vehicle headlamp | |
US8556480B2 (en) | Vehicle headlight | |
RU2459142C1 (en) | Street lamp based on light diodes | |
RU2562041C2 (en) |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fitting | |
JP5542130B2 (en) | Light-emitting system that produces a beam with adjustable width | |
CN110785604A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 LED illumination | |
KR102030931B1 (en) | Glare-free asymmetry flood light reflector and lamp using the same | |
KR20090104589A (en) | Radial Adjustable Spotlights | |
KR102143138B1 (en) | LED Lightning Device Having Reflector Structure for Intensive and Uniform Light Distribution Control | |
CN109488994B (en) | Lighting module for lighting and/or signalling of a motor vehicle | |
KR102107990B1 (en) | Variable reflector for angle of beam spread and light projector having the same | |
CN114110534A (en) | Reflecting assembly, reflecting light source device and lamp | |
JP6290549B2 (en) | Variable illumination direction LED lighting fixture | |
TWI752892B (en) | Pedestrian crossing lighting device | |
JP7163535B2 (en) |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surfaces | |
KR101744135B1 (en) | LED luminaires with preventing light pollution and controlling Lighting Zone | |
TWI582335B (en) | Lights | |
KR101959804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1477283B1 (en) | Led lens with funtion of improving lighting illumination and controlling light radiation angle | |
KR102166854B1 (en) | Head lamp for vehicles | |
JP5723985B2 (en) | Lighting module with optimized radiation, especially for road lighting | |
CN113251384A (en) | Light collimating assembly and light emitting device | |
TWI852758B (en) | Illumination device for lighting pedestrian crossing | |
KR102158006B1 (en) | Ligh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