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7702B1 -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02B1
KR102107702B1 KR1020180125695A KR20180125695A KR102107702B1 KR 102107702 B1 KR102107702 B1 KR 102107702B1 KR 1020180125695 A KR1020180125695 A KR 1020180125695A KR 20180125695 A KR20180125695 A KR 20180125695A KR 102107702 B1 KR102107702 B1 KR 10210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unit
wastes
waste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105A (ko
Inventor
고종성
Original Assignee
(주)녹색그린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녹색그린에너지 filed Critical (주)녹색그린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12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1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gra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8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industrial residues and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3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8Cutting, disintegrating, shredding or gr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6Sieving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된 쓰레기류들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류가 이송되는 이송부(200); 쓰레기류 중 비닐봉지류는 이송부 내부에서 터트리도록 하는 분쇄날을 갖는 비닐봉지파쇄부(300); 상기 이송부(200)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쓰레기류에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각 쓰레기의 비중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브로워부(400); 상기 선별브로워부(400)에 의해 선별되는 쓰레기들이 낙하되며 분류, 분리되는 선별분리수용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혼합되어 투입되는 생활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들 중에서 고형체 연료인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조장치측으로 원료를 얻기 위한 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되, 혼합되어 공급되는 각종 쓰레기류에서 펠릿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재료의 특성에 따른 정확한 선별 및 분류 작업이 가능하여, 펠릿 제조장치로 공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선별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펠릿 제조를 위한 양질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각종 쓰레기들 이송 및 비닐봉지의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각종 쓰레기들의 충격 및 충돌 등에 의한 스파크 현상에 의한 화재 발생시 이를 유효하게 제어하여, 소화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쓰레기류의 이송 및 선별 등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쓰레기의 선별 및 분류를 위한 과정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선별 및 분류 작업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조건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Pre-treatment System for Solid Fuel Manufacturing}
본 발명은 고체 연료 등으로 일컬어지는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펠릿 제조장치에 공급되기 위한 원료를 분류 및 선별하기 위한 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지속적인 지구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으며, 화석 연료를 사용함으로 인한 탄소배출권 또한 전 세계적인 관심으로 급부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에너지 및 환경 문제는 과거에도 그 문제의 심각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지적이 현실적으로 표출되고 있어 교토 의정서의 발효에 따라 장래 예측되고 있는 화석연료의 고갈 예상 및 에너지 자원의 확보, 청정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이르렀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각국 정부 및 기업들은 대체 에너지 개발 및 자원 확보에 더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에너지원의 확보는 물론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바, 그 일환 중의 하나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 음식물 쓰레기, 헌옷가지, 인분, 축분등이나 곡물, 농업 부산물 등과 같은 바이오매스 자원이 에너지 및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인류가 오랜동안 식량이나 에너지, 건축자재, 생활 용품 등으로 사용해 온 대표적인 자원이라 할 수 있으나, 이용이 편리하고 값싸게 각종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에 의해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그 인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옥수수나 사탕수수등을 이용하여 에너지원으로 추출, 사용되고 있는 에탄올 공급 부족이 가시화되고 있고, 곡물의 씨앗이나 폐식용유 등을 가공하여 얻게 되는 바이오디젤이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바이오매스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각종 석유화학 기반의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석유나 석탄과 같은 '지하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지상 자원'으로 바이오매스 자원을 꼽을 정도이다.
이와 같은 바이오매스의 종류로는 미생물에서 동식물, 각종 인간 활동의 부산물 또는 쓰레기 등 매우 다양한바 예를 들어 곡물, 목재(폐목재, 벌목 등), 축분, 인분, 음식물 쓰레기, 유기성 하수/폐수 슬러지 등이 대표적인 바이오매스로 볼 수 있으며, 위 종류 중 폐목재등은 연료로 재활용 가능하고, 인분이나 축분등의 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류 등은 주로 비료로 재활용된다.
이러한 바이오매스로 통칭되는 것들과, 폐제지슬러지 등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을 이용하여 고체 연료로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탈수과정 또는 건조과정을 거쳐야 되고, 미가공 바이오매스는 소내 내부에 공극율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부피가 커져 수송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 발열양이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류들로 이루어지는 바이오매스를 열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널리 알려진 탄화물 소성 이외에 펠릿 제조기술, 오가라이트 제조기술 등을 들 수 있는데, 펠릿이나 오가리이트는 목질 내부에 함유된 자유수를 증발과정에 의해 탈수되도록 하여 수성성 및 연소성을 향상시키는 압밀 연료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고형화 연료는, 석칸 코크스에 비하여 충분한 발열량을 갖고 있지 않고, 경도 성능에 대하여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주물 제조나 제철에서 석탄 코크스와 혼합 연소할 때 노(爐) 내부의 환경에 견디지 못하고 파괴, 연소되어 대체 코크스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또한 바이오매스 중에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비하여 수분량이 많고, 공극이 커서 고형 연료로서의 이용에 그다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초본계 바이오매스(풀, 해바라기 등)나 식품 폐기물계 바이오매스(비지, 왕겨 등)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바이오매스를 고형화 연료로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지 않아, 이들에 대한 고체 연료 제조를 위한 방법등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하여 등록된 선행특허들 예컨데 특허등록 제 10-1457402 호인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이나, 특허등록 제 10-1562226 호인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등을 제시하여, 폐목재, 헌옥, 폐휴지, 폐합성수지류 등을 이용하여 그 폐기물에 음식물 쓰레기, 뼈, 털, 인분, 축분 등을 혼합하여서 되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을 제공하였다.
이와 다르게, 생활 쓰레기로 분류되는 합성수지계, 폐목자재 등은 전술한 펠릿 형태의 고형화 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될 수 있고, 비닐이나 고철, 유리재질 등은 고형화 연료의 원료로 사용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재활용 쓰레기로 분류된 것들과 목재류 및 빈 병이나 폐기될 유리제품, 합성수지재 등이 혼합되어 폐기물 처리업체에 넘겨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폐기물 처리업체에서는 수거된 생활 쓰레기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생활 쓰레기 또는 산업 폐기물들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수거되는데, 예를들면 생활 쓰레기의 경우 통상 종량제 봉투 등에 담겨져 수거되고, 산업 폐기물 들은 철, 목재, 합성수지재 등 혼합 된 형태로 수거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 중에서, 생활 쓰레기는 종량제 봉투를 먼저 터뜨린 후 내용물을 일일이 분류하여야 하고, 산업 폐기물 형태로 제공되는 쓰레기는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분류하는 작업을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공지된 특허문헌의 경우, 철이나 목재류, 파지류 등을 비중에 따라 브로워 등을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술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생활 쓰레기와 혼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경우 분류 및 선별에 대한 효율성과 정확성이 떨어져 선별된 재료 중 고체 연료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다시 별도의 선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쓰레기가 혼합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마찰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예컨데 종량제 봉투를 터뜨릴 때 생활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동반한 산화성 가스와, 인화성 물질등을 포함하는 쓰레기류등에 의한 상호 마찰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현상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57402 호 (2014. 11. 04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562226 호 (2015. 11. 02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62439 호 (2016. 10. 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혼합되어 투입되는 생활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들 중에서 고형체 연료인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조장치측으로 원료를 얻기 위한 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되어 공급되는 각종 쓰레기류에서 펠릿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재료의 특성에 따른 정확한 선별 및 분류 작업이 가능하여, 펠릿 제조장치로 공급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되어 공급되는 각종 쓰레기들 이송 및 비닐봉지의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각종 쓰레기들의 충격 및 충돌 등에 의한 스파크 현상에 의한 화재 발생시 이를 유효하게 제어, 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거된 쓰레기류들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류가 이송되는 이송부(200);
쓰레기류 중 비닐봉지류는 이송부 내부에서 터트리도록 하는 분쇄날을 갖는 비닐봉지파쇄부(300);
상기 이송부(200)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쓰레기류에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각 쓰레기의 비중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브로워부(400);
상기 선별브로워부(400)에 의해 선별되는 쓰레기들이 낙하되며 분류, 분리되는 선별분리수용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되어 투입되는 생활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들 중에서 고형체 연료인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 제조장치측으로 원료를 얻기 위한 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되, 혼합되어 공급되는 각종 쓰레기류에서 펠릿 연료로 사용되기 위한 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재료의 특성에 따른 정확한 선별 및 분류 작업이 가능하여, 펠릿 제조장치로 공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선별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펠릿 제조를 위한 양질의 원료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되어 공급되는 각종 쓰레기들 이송 및 비닐봉지의 파쇄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각종 쓰레기들의 충격 및 충돌 등에 의한 스파크 현상에 의한 화재 발생시 이를 유효하게 제어하여, 소화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쓰레기류의 이송 및 선별 등의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쓰레기의 선별 및 분류를 위한 과정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선별 및 분류 작업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조건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 시스템의 개괄적 개념도
도 2는 도 1에서의 투입부 및 이송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의한 전처리 시스템에서 선별 분리된 쓰레기류를 다시 선별 분리하는 2차 분리 과정을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송부를 도 1 내지 3에서의 수평 상태로 구성하는 것과는 달리, 수직상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개괄적 개념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전처리 시스템에서 선별 분리된 쓰레기류를 다시 선별 분리하는 2차 분리 과정을 도시한 개괄적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펠릿과 같은 고형화된 고체 연료를 얻기 위한 재료의 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전처리 시스템이란, 통상 수거되는 쓰레기류(일반 쓰레기와 생활 쓰레기 및 산업 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중에서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 원료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와,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각종 쓰레기류들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류가 이송되는 이송부(200), 이송부 내부에서 비닐봉지류를 터트리도록 하는 비닐봉지파쇄부(300),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각 쓰레기의 비중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브로워부(400), 선별되는 쓰레기들이 낙하되며 분류, 분리되는 선별분리수용부(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부(100)에는 수거된 각종 쓰레기류들이 투입된다. 여기서 각종 쓰레기류는 생활 쓰레기나 일반 쓰레기는 물론 산업 쓰레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분리, 선별되는 재료는 펠릿 제조장치로 공급되기 위한 원료에 해당되는 것인바, 종이류, 합성수지재, 목재류 등이 주로 선별될 대상으로 특정된다.
그 이외의 쓰레기류들 예컨데 철, 비닐류, 공병을 포함하는 유리재 등은 재활용으로 분류되어 별도의 재활용 처리장치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송부(200)는 이와 같이 쓰레기류가 투입부(100)에 투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송부(200)는 종래의 경우 통상 외부가 개방되는 컨베이어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송부(200)를 진공 조건을 갖는 것으로 특정한다.
진공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은 진공 확보를 위한 공지의 수단에 의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00)는 관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그 외곽을 에워싸는 덕트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송부(200)의 양단측으로 각각 제1,2진공댐퍼(220,23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는 수직상으로 구성되거나 수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이송부(200)는 도면에서 보듯이, 그 내부에 이송컨베이어(2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실시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10)는 2 개의 분리된 제1이송컨베이어(211)와 제2이송컨베이어(212)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2이송컨베이어(211,212)로 구분하는 것은, 후술하게 되는 비닐봉지파쇄부(3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닐봉지파쇄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200)에서 제1,2이송컨베이어(211,212) 사이에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하로 2개의 회전날 즉 상부회전날(310)과 하부회전날(320)을 제1이송컨베이어(211) 단부측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생활 쓰레기 및 비닐봉지 등에 수용되어 투여되는 각종 쓰레기 등이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되어 이송부(200) 내부의 이송컨베이어(210) 중 제1이송컨베이어(211)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비닐봉지파쇄부(300)를 구성하는 상하부회전날(310,320)을 통과할 때, 각종 쓰레기 중 생활 쓰레기 등이 수용되어 통과되는 비닐봉지를 파쇄하여 그 내부 수용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닐봉지에 수용되어 있던 내부 수용물(일반 쓰레기)들이 상하부회전날(310,320)에 의해 파쇄되어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제1이송컨베이어(211) 단부측에서 제2이송컨베이어(212)측으로 낙하 안착되어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비닐봉지가 이송되며 전술한 상하부회전날(310,320)을 구성하는 비닐봉지파쇄부(300)에서 파쇄되며 뜯겨질 때 또는 이송부(200)를 통과하는 다양한 쓰레기류들 중 금속재 및 파지 등이 함께 혼합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서로의 마찰 현상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특히 금속류나 구멍이 천공되지 않고 버려진 가스용기 등과 종이류 등이 함께 혼합 이송되는 과정에서, 전술한 비닐봉지파쇄부(300)의 작동에 따라 비닐봉지 내부에 수용되어 부패된 상태에 있는 내용물로부터 발생된 가스 등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스파크의 발생 등에 의해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200)를 통과하는 과정 또는 비닐봉지가 뜯어지는 과정에서 스파크 현상에 의한 화재 발생시 이를 즉각 소화(消火) 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개괄적인 도 1에 의한 것과 같이, 소화전(240)을 이송부(200)의 내부 상측 부위에 설치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블어 상기 소화전(240)의 작동 유무를 결정하기 위하여, 화재 감지 가능한 센서(2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250)는 제연센서 또는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혹은 두 센서를 모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선별브로워부(400)는 전술한 상기 이송부(200)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쓰레기류에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각 쓰레기의 비중에 따라 선별되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송부(200)를 단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쓰레기류들은 생활쓰레기, 폐목재, 폐지, 합성수지재, 고철, 병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쓰레기류들의 질량 및 비중등은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부(200)의 하단측에 선별브로워부(400)를 설치하여, 전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고압의 공기가 브로워를 포함하는 선별브로워부(400)에 의해 공급될 때, 이송부(200)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다양한 쓰레기류 중에서 비교적 비중이 높은 쓰레기들 예컨데 고철이나 돌 등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낙하되고 이어서 목재류나 공병이 그 다음으로 가까운 거리에, 합성수지 및 폐지 등의 수순으로 날려지며 선별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면에서 선별브로워부(400) 전방측으로 각각 구성되는 선별분리수용부(500)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선별분리수용부(500)는 다수의 수용박스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선별분리수용부(500)에서 1차 선별된 쓰레기들은 완벽한 선별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즉 선별브로워부(400)를 통하여 비중에 따라 고압의 공기에 의해 날려지며 선별분리수용부(500)측에 각각 수용된다 하더라도 각각의 선별분리수용부(500)에는 다소 혼합된 형태의 쓰레기들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데 선별분리수용부(500)의 다수 수용박스(1,2,3,4) 중 최선단측의 수용박스(1)에는 비중이 높은 고철이나 돌 등이 수용되어야 하지만 공병 등이 수용될 수 있고, 그 다음의 수용박스(2)에는 공병이나 목재류 등 비중이 비슷한 쓰레기군들이 수용되어야 하나 폐지 중 책자 형태의 경우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완전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은 쓰레기들을 고체연료 제조장치측으로 공급하는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 3 또는 도 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선별분리수용부(500)를 통하여 각각 선별되는 다수의 수용박스(1,2,3,4) 중 최후단의 수용박스(4)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박스(1,2,3)의 하단부를 통하여 다시 각 수용된 쓰레기들이 배출되도록 하여 그 하단으로 연결되는 제2이송부(600)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부(600)의 단부측 하단으로 제2선별브로워부(700)를 각각 구비하여, 각 수용박스(1,2,3) 하단을 통하여 배출되며 제2이송부(600)를 따라 이송되는 각 쓰레기들을 다시 각각 구비되는 제2선별브로워부(700)에 의해 선별되어 상기 제2이송부(600) 전방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용박스(1a~1c,2a~2c,3a~3c)를 구비하는 각각의 제2선별분리수용부(800)에 의해 선별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상기 제2이송부(600)는 도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선별분리수용부(500)의 각 수용박스(1,2,3,4) 중 수용박스(1,2,3)의 하단부와 각각 개별 연결되어 있어, 이들 수용박스(1,2,3)에 수용되는 쓰레기들이 각각의 제2이송부(600)를 통해 이송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각 수용박스(1,2,3)에 수용된 쓰레기들 예컨데 수용박스(1)에는 주로 돌과 고철 등이 수용되어야 하나, 목재류나 두꺼운 폐지등이 수용될 수 있고, 수용박스(2)에는 목재류 및 공병등이 수용되어야 하나 이와 달리 비교적 무게가 덜나가는 고철이나 두꺼운 폐지 등이 수용될 수 있고, 수용박스(3)에는 주로 페트병이나 합성수지재 등이 수용되어야 하나 가벼운 고철이나 폐지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불완전하게 분리된 쓰레기들을 다시 선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구성을 갖추게 되며, 선별분리수용부(500)의 각 수용박스(1~4) 중 폐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박스(4)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박스(1~3) 하단으로 연결된 제2이송부(600)를 통해 이송되는 쓰레기들을 그 제2이송부(600) 단부측에 구비되는 제2선별브로워부(700)의 고압 공기 제공에 의해 다시 쓰레기들이 선별 분리된다.
이와 같이 선별, 분리되는 쓰레기는 앞서 전술한 선별분리수용부(500) 보다 비교적 정확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2차로 선별 분리되기 위해 이송되는 쓰레기들을 세척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2이송부(600) 또는 제2선별분리수용부(800)상방측에 별도의 세척부(900)를 구성하여, 선별되는 쓰레기를 세척하므로서 후처리시 별도의 세척 과정이 불필요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예는 이송부(200)가 수평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송부(200)를 수직상으로 배치하여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처리 시스템을 통하여 선별되는 쓰레기들 중, 폐목이나 합성수지류 및 폐지 등은 바로 수거하여 펠릿 등의 고형화된 고체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고체연료 제조장치측으로 공급되어, 고체 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활용 가능하게 된다.
고체 연료를 제조하기 위해 공급되는 본 발명을 거친 원료는 세척 된 상태임은 물론이거니와, 고체 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재료 이외에는 불순물등이 섞이지 않은 신뢰성 높은 펠릿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투입부 200; 이송부
210; 이송컨베이어 211; 제1이송컨베이어
212; 제2이송컨베이어 220; 제1진공댐퍼
230; 제2진공댐퍼 240; 소화전
250; 센서 300; 비닐봉지파쇄부
310; 상부회전날 320; 하부회전날
400; 선별브로워부 500; 선별분리수용부
600; 제2이송부 700; 제2선별브로워부
800; 제2선별분리수용부 900; 세척부

Claims (8)

  1. 수거된 쓰레기류들이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쓰레기류가 이송되는 이송부(200);
    쓰레기류 중 비닐봉지류는 이송부 내부에서 터트리도록 하는 분쇄날을 갖는 비닐봉지파쇄부(300);
    상기 이송부(200)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쓰레기류에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각 쓰레기의 비중에 따라 각각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브로워부(400);
    상기 선별브로워부(400)에 의해 선별되는 쓰레기들이 낙하되며 분류, 분리되는 다수의 수용박스(1,2,3,4)를 갖는 선별분리수용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분리수용부(500)를 통하여 각각 선별되는 다수의 수용박스(1,2,3,4) 중 최후단의 수용박스(4)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박스(1,2,3)의 하단부를 통하여 다시 각 수용된 쓰레기들이 배출되도록 하여 그 하단으로 연결되는 제2이송부(600)를 통하여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이송부(600)의 단부측 하단으로 제2선별브로워부(700)를 각각 구비하여, 각 수용박스(1,2,3) 하단을 통하여 배출되며 제2이송부(600)를 따라 이송되는 각 쓰레기들을 다시 각각 구비되는 제2선별브로워부(700)에 의해 선별되어 상기 제2이송부(600) 전방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수용박스(1a~1c,2a~2c,3a~3c)를 구비하는 각각의 제2선별분리수용부(800)에 의해 선별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600) 또는 제2선별분리수용부(800)상방측에 별도의 세척부(900)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KR1020180125695A 2018-10-22 2018-10-22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210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695A KR102107702B1 (ko) 2018-10-22 2018-10-22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695A KR102107702B1 (ko) 2018-10-22 2018-10-22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05A KR20200045105A (ko) 2020-05-04
KR102107702B1 true KR102107702B1 (ko) 2020-05-07

Family

ID=7073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695A Expired - Fee Related KR102107702B1 (ko) 2018-10-22 2018-10-22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255B1 (ko) * 2020-07-21 2021-12-29 배석진 석유화학제품폐기물을 이용하는 분말재생연료 제조방법 및 그 분말재생연료용 가연성분말 생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1385A (ja) * 2010-04-19 2011-12-01 Panasonic Corp 燃料ペレット、燃料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376085B1 (ko) * 2013-12-23 2014-03-19 (주) 쓰리샤인 폐깔집을 이용한 케이지 자동세척 및 건조장치
KR101785217B1 (ko) 2016-07-21 2017-11-10 권수길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연료화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790B1 (ko) * 1998-12-01 2001-05-02 김종석 일반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 제조 시스템
KR101071235B1 (ko) * 2009-03-06 2011-10-10 서흥인테크(주)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KR101457402B1 (ko) 2013-03-29 2014-11-04 고종성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KR101562226B1 (ko) 2014-09-25 2015-11-02 고종성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60093751A (ko) * 2015-01-29 2016-08-09 고종성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전처리장치
KR101662439B1 (ko) 2015-04-10 2016-10-06 고종성 바이오매스에 폐유와 벙커씨유를 이용하여 건조, 분사 코팅 후 제조하게 되는 펠릿 제조방법 및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1385A (ja) * 2010-04-19 2011-12-01 Panasonic Corp 燃料ペレット、燃料ペレッ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376085B1 (ko) * 2013-12-23 2014-03-19 (주) 쓰리샤인 폐깔집을 이용한 케이지 자동세척 및 건조장치
KR101785217B1 (ko) 2016-07-21 2017-11-10 권수길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연료화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105A (ko) 202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8642C (en) Conversion of municipal solid waste to high fuel value
TW460338B (en) Waste materials recycling method and apparatus
BR112014004919B1 (pt) Sistema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de resíduos sólidos mistos
US6279748B1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 recycling of household waste
Arina et al.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ly sorted municipal wastes and their suitability for production of refuse derived fuel
CN103846271A (zh) 城市固体废弃物联合厌氧发酵生产工艺
KR102107702B1 (ko) 고체연료 제조장치의 전처리 시스템
US11890656B2 (en) Process for recovering organics from material recovery facility fines
JP3562092B2 (ja) 一般ゴミの固形燃料化方法
KR20160093751A (ko)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전처리장치
CN103111353A (zh) 城市生活垃圾分选处理设备
KR20220033374A (ko) 효율적인 폐기물 선별방법
CA322331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processing of mixed waste
US6655530B2 (en) Method of recycling household waste
CN105457992A (zh) 生活垃圾处理方法及处理设备
BR102022021285A2 (pt) Usina de combustível sólido derivado de resíduos sólidos urbanos
JPH09157670A (ja) 一般ゴミの固形燃料化方法
Boutsen et al. Report on best available 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RDF from the municipal waste streams
Montejo et al. Energy recovery of reject frac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resulting from the mechanical-biological treatment plants
Pekdur Autonomous Solid Waste Separation System Design
HK1201491B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ixed soli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