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339B1 - Drones with hologram fan - Google Patents
Drones with hologram fa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6339B1 KR102106339B1 KR1020180072876A KR20180072876A KR102106339B1 KR 102106339 B1 KR102106339 B1 KR 102106339B1 KR 1020180072876 A KR1020180072876 A KR 1020180072876A KR 20180072876 A KR20180072876 A KR 20180072876A KR 102106339 B1 KR102106339 B1 KR 102106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hologram
- body portion
- hologram fan
- dr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93 hol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6 mem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6—Flying platforms with five or more distinct rotor axes, e.g. octocop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 B64C2201/024—
-
- B64C2201/108—
-
- B64C2201/1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 B64U2101/24—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for use as flying displays, e.g. advertising or billboard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12—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홀로그램 팬이 구비되어 공중에서 3D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하는 드론이 개시된다. 홀로그램 팬을 드론 하부면에 결착시켜 비행 중 회전시킴으로써 공중에서 홀로그램 이미지의 현출이 가능하며, 회전으로 인한 역토크의 발생으로 비행이 불안정해 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면에 역토크를 상쇄하기 위한 상부팬을 구비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비행하며 옥외 광고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drone that is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to realize a 3D hologram image in the air. By attaching the hologram fa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rone and rotating in flight, the hologram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air, and the upper fan for offsetting the reverse torque on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the flight from becoming unstable due to the occurrence of reverse torque due to rotation By rotating it, it can fly stably and perform outdoor adverti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에서 홀로그래피를 이용하여 3D 입체영상을 현출하는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displaying a 3D stereoscopic image using holography in the air.
홀로그래피란, 물체의 3차원적 영상 정보를 사진 필름 등의 감광 매체에 기록한 후, 3차원 영상을 온전히 재생해내는 영상 기록 및 재생법을 말하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만들어진 입체적 시각 정보를 홀로그램이라 한다. Holography refers to a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in which a 3D image is completely reproduced after recording 3D image information of an object on a photosensitive medium such as a photographic film, and a 3D visual information made of a 3D image using these principles Is called a hologram.
홀로그램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신용카드 등의 위조방지를 위해 부착된 반사형 홀로그램은 우리 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홀로그램의 한 예이다.Holograms are used in various fields according to their use. Reflective holograms attached to prevent forgery of credit cards, etc. are an example of a hologram commonly found in our lives.
또한 홀로그램은 평면의 정보를 한 점에 기록하는 것으로서, 창문을 통하여 방안을 들여다보듯이 홀로그램의 작은 조각으로도 전체 홀로그램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매체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영상을 재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화제작도 가능하며, 사람의 골격구조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의학적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 밖에도 건축, 자동차 설계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hologram is used as a storage medium because it can record the information of a plane on one point, and it can reproduce the appearance of the entire hologram even with a small piece of the hologram as if looking through the window. In addition, as research on a method of reproducing a continuous image is mad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film using a hologram, and it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s as it is possible to observe a human skeleton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automobile design.
최근에는 홀로그램을 상품광고 등에 적용하여 대상상품에 대한 입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주고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by applying holograms to product advertisements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n the target product, it creates a positive effect such as visually satisfying the user and stimulating the desire to purchase.
더 나아가 광고의 주 대상이 되는 일반수요자가 3차원 홀로그램을 특수안경이나 조명의 효과 없이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Furthermor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advertisements by allowing general consumers, who are the main targets of advertisements, to come into contact with 3D holograms naturally without the effect of special glasses or lighting.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에는 매장 내부 천장에 일정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led 팬을 설치하여, 분당 600~700회의 회전을 통해 3색 LED에서 나오는 영상을 망막의 잔상기억 효과를 이용하여 사람의 눈에만 홀로그램으로 보이게 하는 장비들도 출시되고 있다.According to these needs, recently, a fan installed on the ceiling inside the store is rotated around a certain axis, and the image from the three-color LED is rotated at 600-700 revolutions per minute using the remnant memory effect of the retina. Equipment that makes holograms appear is also on the market.
이를 3D 홀로그램 led 팬이라고 한다.(이하 ‘홀로그램 팬’)This is called a 3D hologram led f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hologram fan').
다만 홀로그램 팬은 팬의 지속적인 회전을 요하기 때문에, 특정 장소에 견고히 고정,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 회전상태에서 팬에 작용하는 중력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상에 있는 일반수요자가 광고매체를 올려다 볼 수 있도록 장비의 회전축은 천장에 고정되어 구동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However, since the hologram fan requires constant rotation of the fan, it must be firmly fixed and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s well as minimize the influence of gravity acting on the fan in the rotating state, and the general consumer on the ground will look up at the advertising medium. It was essential that the rotating shaft of the equipment was fixed to the ceiling to be driven.
이러한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홀로그램 팬은 옥외 광고를 수행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았고, 매장 내부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사용되어 왔다.Due to these structural limitations, hologram fans have been undesirable for performing outdoor advertising, and have been used only in limited environments inside a store.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 등 비행체에 홀로그램 팬을 결착시킨다고 하더라도, 홀로그램 팬의 자체 회전에 따른 역토크의 발생으로 공중에서 상기 비행체의 안정적인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a hologram fan is attached to a vehicle such as a drone to solve this problem,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control the vehicle in the air due to the occurrence of reverse torque due to the rotation of the hologram fan.
본 발명은 공중에서 3D 홀로그램 영상을 현출하는 홀로그램 팬을 구비한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having a hologram fan displaying a 3D hologram image in the air.
본 발명은 공중에서 발생하는 역토크를 상쇄하여 비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홀로그램 팬을 구비한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with a hologram fan that improves flight safety by canceling the reverse torque generated in the ai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암;A plurality of arms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상기 몸체부가 비행할 수 있게 상기 암에 결착되는 날개부;A wing portion attached to the arm so that the body portion can fly;
상기 날개부의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A first driving part provided on a rotation axis of the wing part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wing part;
복수개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착되어 회동하며 공중에 3차원 이미지를 현출하는 홀로그램 팬;A hologram fan having a plurality of led elements, rotating on one side of the body, rotating, and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n the air;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운동과 상기 led 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ologram fan and lighting of the led element;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홀로그램 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hologram fan,
상기 홀로그램 팬은, The hologram fan,
상기 몸체부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홈을 통해 상기 몸체부와 탈착가능하게 축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is detachably axially fixed.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구비된 회전축에서 회동하며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역토크를 상쇄하는 역토크발생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 reverse torque generating part that rotates on a rotation axis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axis of the hologram fan and cancels the reverse torqu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hologram fan.
또한, 상기 역토크발생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상부팬;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상부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상부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verse torque generating portion, the upper fan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driving part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power supply part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upper fan; It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pper fan.
본 발명은 드론의 바닥면 중앙에 홀로그램 팬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공중에서 3D 홀로그램 영상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alizing a 3D hologram image in the air by rotating a hologram fan detachably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one and rotating around the axis.
본 발명은 드론 몸체부의 상면에 마련된 상부팬이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역토크를 상쇄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anceling the reverse torqu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hologram fan by rotating the upper fa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one body portion around a certain axis.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의 저면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6은 상부팬이 마련된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ogram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provided with an upper fa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nd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hereof.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It will be described logically according to the drawings below.
도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의 저면도이다. 도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2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equipped with a
도1, 도2, 도3 및 도4를 참조할 때, 본원발명의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은, 몸체부(100), 암(110), 날개부(300), 홀로그램 팬(200), 제1제어부(미도시), 제1구동부(310),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1, 2, 3 and 4, the drone equipped with the
몸체부(100)는, 드론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외부와 직접 노출되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일정 이상의 경도와 인장력을 갖추면서도, 공중에서 오랜시간 비행할 수 있고, 용이하게 방향전환,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알루미늄 등 가벼운 금속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만 그 용도나 사용상태에 따라 나무,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PCB, G10 등으로 변경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 적용 될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and use wood,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PCB, G10, etc. according to the use or use condition,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몸체부(100)는 완전한 대칭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드론에 미치는 중력의 중심이 몸체부(100)의 중앙점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비행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외부 두께는 가능한 얇게 구성되되,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홀로그램 팬(200), 제어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내부공간은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air during flight, the outer thickness of the
또한 몸체부(100) 바닥면의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어, 홀로그램 팬(200)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몸체부(100)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의 형태로서 상부팬(151)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상태에 따라 상면을 덮는 쉘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 쉘은 몸체부(100)를 보호하는 기능뿐 아니라 심미적인 목적으로도 디자인될 수 있다. The
쉘은 그 모양에 따라 드론이 좀 더 공기역학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shell can make the drone more aerodynamic depending on its shape.
몸체부(100)는 하부 일측에 랜딩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드론을 손상없이 착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지표면과 잡하는 랜딩기어의 일단은 플라스틱, 메탈 혹은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드론의 쿠션랜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하지만 이 같은 기재가 바퀴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does not preclude the use of wheels.
랜딩기어는 홀로그램 팬(200)과 충돌하지 않도록 암(1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anding gear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야간에도 드론의 위치에 대해 노선을 정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하면에는 LED 혹은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광장치는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route for the position of the drone even at night, the lower surface of the
암(110)은, 몸체부(100)의 일측으로부터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드론에 추력을 제공하는 날개부(300)와 몸체부(100)를 연결한다.
복수개의 암(110)의 길이와 형상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길이나 형상을 달리하더라도 대칭성이 유지되어 비행에 지장이 없는 정도라면 변경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lengths and shapes of the plurality of
암(110)의 개수에 따라 드론의 기능 및 그 명칭에 다소 차이가 있고, 일반적으로 트리콥터(3개), 쿼드콥터(4개), 헥사콥터(6개), 옥토콥터(8개) 등으로 구분된다.Depending on the number of
암(110)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호 대칭적이거나, 대칭되지 않더라도 드론의 무게중심이 몸체부(100)의 중앙에 오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각각의 암(110)은 몸체부(100) 일측과 한 몸체를 이루도록 고정장치를 통해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다. Each
또한, 암(110)을 구성하는 소재는,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견고한 금속류가 바람직하고, 공기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표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암(11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전원부와 제1구동부(310)를 연결하는 전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정돈할 수 있다.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날개부(3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레이드(320)가 회전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프로펠러 형태로서 복수개가 구비되되, 몸체부(100)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회전하도록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암(110)에 고정되어 드론의 비행을 위한 추력을 제공한다.The
하나의 날개부(300)에 구비된 각각의 블레이드(320)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다만, 각각의 날개부(300)는 반드시 그 형상이 동일한 필요는 없고 그 형상에 따라, 연직방향의 추진력 제공 또는 드론의 방향전환 등의 상이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However, each
블레이드(320)의 소재는 적은 동력으로 최대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가벼운 강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이 적합할 것이나, 그 용도에 따라 탄소섬유, 알루미늄, 나무, G10, PCB 등의 소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terial of the
블레이드(320)가 직접 외부와 노출될 수도 있으나, 외부환경으로부터 블레이드(320)를 보호하거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날개부(300)의 일측을 덮는 프롭가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롭가드는 블레이드(320)의 회전에 의한 추력이 손실되지 않도록 일측이 개방되거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통풍이 잘 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날개부(300)는 그 회전축이 중력방향이 되도록 결착되어 회전함이 바람직하나, 암(110)을 일정각도로 틸팅하여도 비행에 지장이 없는 정도라면 회전축 방향은 변경가능하게 적용된다.
또한, 방향조절, 고도조절을 위해 결합되는 날개부(300)의 회전축을 달리하거나, 비행 도중 전기에너지를 통해 기계적으로 회전축을 변경하도록 하는 구성도 충분히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ary the rotational axis of the
홀로그램 팬(200)은, 팬(201), 제1구동축(203), 받침몸체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홀로그램 팬(200)은 몸체부(100)의 일측에 결착되어 제1구동축(203)을 중심으로 팬(201)을 회전시키며, 팬(201)에 구비된 발광체를 통해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LED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The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0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홈에 탈착가능하게 결착된다.Preferably, the
팬(201)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된 제1구동축(203)은 받침몸체부(205)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룬다.The
몸체부(100)에 형성된 홈에 받침몸체부(205)가 수납되고, 제1구동축(203)의 일부와 팬(201)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팬(201)의 회전운동으로 인한 진동을 방지하고, 받침몸체를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결착시키기 위해, 받침몸체부(205)를 연직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홈을 밀폐할 수 있고, 받침모체부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수단(1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vibration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상기 고정부재나 가압수단(101)이 받침몸체부(205) 및 몸체부(100)에 완전히 밀착되게 하기 위해 댐퍼(미도시)를 이용해 몰딩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or the
제1제어부는 홀로그램 팬(200)의 구동과 발광체의 점등을 제어한다.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제1제어부는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납되되 외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홀로그램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팬(201)의 회전속도 또는 LED 광도 및 점등 등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receive electrical energy.
제1구동부(310)는 날개부(300) 일측에 구비되어 날개부(300)를 회전시킴으로써 드론의 비행을 위한 추력을 제공한다. The
날개부(300)의 회전축방향에 구비되어 날개부(300)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회전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여 베벨기어 등을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 또한 배제할 것은 아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홀로그램 팬(200) 등이 수납된 중량의 몸체부(100)를 부양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벼우면서 출력이 높은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Considering that the
또한,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can operate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외부와 직접 노출될 경우, 비행 중 눈이나 비의 영향으로 합선 등이 될 여지가 있으므로 상면 및 측면을 팩킹할 수 있는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When exposed directly to the outside, it may be appropriate to be housed in a housing that can pack the top and side surfaces, as there is a possibility of short circuits due to snow or rain during flight.
다만 장시간 사용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을 사용하여 통풍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prevent overheating due to prolonged use, ventilation may be possible using a housing with an open lower portion.
전원부는 비행시간 동안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고, 홀로그램 팬(200), 상부팬(151) 등을 동작시켜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충분한 용량을 가진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It will be appropriate to use a battery having a sufficient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ower supply unit needs to provide the necessary power during the flight time and that the
리튬 폴리머 배터리 (Li-Po, Lithium Polymer) 를 이용하는 것이 무게 및 전기용량을 고려할 때 바람직할 것이다. 착탈 가능하게 몸체부(100) 내부에 설치하여, 방전시 재충전을 위해 교환하게 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o use a lithium polymer battery (Li-Po, Lithium Polymer) when considering weight and electric capacity. 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도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drone equipped with a
도5를 참고할 때, 본원발명의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은, 몸체부(100)의 일측에 홀로그램 팬(200)의 받침몸체부(205)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은 몸체부(100)의 하면 중앙으로 연장되어 외부와 노출될 수 있다.5, the drone equipped with the
이 공간을 아래로부터 밀폐하고 있는 고정부재를 제거하고, 홀로그램 팬(200)의 받침몸체부(205)를 결착시킨 후, 다시 고정부재를 덮고 볼트 등을 사용해 홀로그램 팬(200)을 연직지지 할 수 있다. 이 때, 홀로그램 팬(200)의 받침몸체로부터 제1제어부 및 전원부와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금속단자를 상기 공간 내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removing the fixing member sealing the space from below, and attaching the supporting
받침몸체부(205)가 수납되는 공간의 측면에는 가압수단(101)이 마련되어 받침몸체부(205)를 2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가압수단(101)과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수단(101)과 받침몸체부(205)의 접면을 에두르는 탄성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ssing means 101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pace in which the supporting
가압수단(101)으로서 전원부를 이용하는 것도 공간활용 면에서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power supply unit as the pressing means 101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다만 이 같은 고정구조가 강제되는 것은 아니고, 홀로그램 팬(200)을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착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든 변경가능하게 적용된다.However, such a fixed structure is not enforced, and any structure that is desirable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도6은 역토크발생부(150)가 마련된 홀로그램 팬(200)이 구비된 드론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토크발생부(150)의 사시도이다.6 is a plan view of a drone equipped with a
도6 및 도7을 참고할 때, 본원발명의 몸체부(100)는 상면에 마련된 역토크발생부(150)는 상부팬(151), 제2구동부(160),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역토크발생부는 몸체부에 형성된 상부홈(105)에 수납될 수 있다.6 and 7, the
상부팬(151)은 몸체부(10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구비되며, 몸체부(100)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막대형상일 수 있다.The
다만 이러한 형상이 강제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한 토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회전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 적용된다.However, this shape is not forced, and any configuration is applied as long as it is a rotating body capable of continuously generating a constant torque.
또한 상부팬(151)의 회전반경을 따라 측면을 에두르는 격벽(155)이 형성되어, 상부팬(151)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In addition, a
상부팬(151)의 형상 및 질량에 의해 결정된 관성 모멘트 값에 대하여 각속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홀로그램 팬(200)의 회전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역토크에 대응되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ngular velocity with respect to the inertia moment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and mass of the
제2구동축(163)은 제1구동축(203)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홀로그램 팬(20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 토크와 크기가 동일하고 방향이 반대인 토크를 발생시켜 몸체부(100)가 역토크에 의해 요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상부팬(151)은 별도로 마련된 제2구동부(160)에 의해 가동된다.The
제2구동부(160)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고, 제2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홀로그램 팬(200)에 의해 발생한 토크 값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The
제2제어부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역토크발생부(150)와 반드시 인접하여 설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제2제어부는 제1제어부로부터 홀로그램 팬(200)의 회전운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제1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f the second control unit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t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adjacent to the reverse
몸체부(100)의 상면은 개방되어 상부팬(151)이 외부와 노출될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부커버(미도시) 등을 통해 밀폐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100 : 몸체부 101 : 가압수단
105 : 상부홈 110 : 암
150 : 역토크발생부 151 : 상부팬
155 : 격벽 160 : 제2구동부
163 : 제2구동축 200 : 홀로그램 팬
201 : 팬 203 : 제1구동축
205 : 받침몸체부 300 : 날개부
310 : 제1구동부 320 : 블레이드 100: body portion 101: pressing means
105: upper groove 110: arm
150: reverse torque generating unit 151: upper fan
155: bulkhead 160: second driving unit
163: 2nd drive shaft 200: hologram fan
201: Fan 203: 1st drive shaft
205: base body 300: wing
310: first driving unit 320: blade
Claims (3)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암;
상기 몸체부가 비행할 수 있게 상기 암에 결착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회전축상에 구비되어, 상기 날개부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복수개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착되어 회동하며 공중에 3차원 이미지를 현출하는 홀로그램 팬;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운동과 상기 led 소자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홀로그램 팬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구비된 회전축에서 회동하며, 상기 홀로그램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역토크를 상쇄하는 역토크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 팬은,
상기 몸체부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홈을 통해 상기 몸체부와 탈착가능하게 축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
Body part;
A plurality of arms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 wing portion attached to the arm so that the body portion can fly;
A first driving part provided on a rotation axis of the wing part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wing part;
A hologram fan having a plurality of led elements, rotating on one side of the body, rotating, and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image in the air;
A first control unit controll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ologram fan and lighting of the led element;
It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hologram fan,
The body portion,
It includes a reverse torque generating part that rotates on a rotation axis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axis of the hologram fan, and cancels the reverse torqu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hologram fan.
The hologram fan,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axially fixed detachably with the body portion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center.
상기 역토크발생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상부팬;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상부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
상기 상부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팬이 구비된 드론.According to claim 1,
The reverse torque generating unit,
An upper fan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second driving part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power supply part and providing rotational power to the upper fan;
Drone equipped with a hologram fan including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upper fa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876A KR102106339B1 (en) | 2018-06-25 | 2018-06-25 | Drones with hologram fa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876A KR102106339B1 (en) | 2018-06-25 | 2018-06-25 | Drones with hologram fa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717A KR20200000717A (en) | 2020-01-03 |
KR102106339B1 true KR102106339B1 (en) | 2020-05-04 |
Family
ID=6915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2876A Active KR102106339B1 (en) | 2018-06-25 | 2018-06-25 | Drones with hologram fa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63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000032951A1 (en) * | 2020-12-31 | 2022-07-01 | Capurso Azienda Casearia S R L | INFORMATIONAL HOLOGRAPHIC FAN FOR THE SANITIZATION OF MACHINERY AND RELATED METHOD OF USE |
CN112659808A (en) * | 2021-01-14 | 2021-04-16 | 冯亚会 | Wheel without hub |
KR102299840B1 (en) * | 2021-03-31 | 2021-09-10 | 주식회사 드론고 | Drone for performances capable of reproducing holographic images |
KR102597619B1 (en) * | 2021-04-02 | 2023-11-10 |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 Drone for advertisement using light-emitting diode persistence of vision |
US11688312B2 (en) * | 2021-08-30 | 2023-06-27 | Drone Aerial Services, Llc | Suspended system with orientation contro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55287A1 (en) * | 2006-09-06 | 2008-03-06 |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 Repeatably displaceable emanating element display |
WO2015199535A1 (en) * | 2014-06-23 | 2015-12-30 | Kales Jolanda Jacoba Maria | Drone, method and systems for airborne visualiz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5348A (en) | 2016-11-17 | 2018-05-25 | 최윤진 | Outdoor advertising system |
-
2018
- 2018-06-25 KR KR1020180072876A patent/KR1021063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55287A1 (en) * | 2006-09-06 | 2008-03-06 |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 Repeatably displaceable emanating element display |
WO2015199535A1 (en) * | 2014-06-23 | 2015-12-30 | Kales Jolanda Jacoba Maria | Drone, method and systems for airborne visualiz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717A (en) | 2020-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6339B1 (en) | Drones with hologram fan | |
US4680815A (en) | Solar powered headwear fan | |
US5146702A (en) | Display having an electric motor for simulating a flying object | |
ES2915064T3 (en) | unmanned flying device | |
US4161843A (en) | Electrically powered toy aircraft | |
CN105035318A (en) |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 |
CN205131639U (en) |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multiple rotor wings | |
US8460119B2 (en) | Combination for passing an object through a three dimensional true color image | |
WO2005052898A2 (en) | Device provided with a wind surface | |
US20040105256A1 (en) | Virtual color generating windmills, spinners, and ornamental devices powered by solar or wind energy | |
CN111114768A (en) | Unmanned helicopter with protective function | |
US6131318A (en) | Aquarium-used toy structure | |
US6373521B1 (en) | Aircraft incident surveillance system | |
US20160211682A1 (en) | Plug-In AC Outlet Electric Device Has Replaceable Rechargeable Battery | |
US20090013983A1 (en) | Disk launching apparatus and methods | |
CN205044947U (en) | Aircraft | |
Audronis | Building Multicopter Video Drones | |
KR102597619B1 (en) | Drone for advertisement using light-emitting diode persistence of vision | |
AU714378B2 (en) | Toy aircraft, flyable by remote guidance in a closed area, particularly in a room | |
KR101047068B1 (en) | Bird fighting device | |
KR20120006814A (en) | Bird fighting device | |
US20150082921A1 (en) | Robotic Sign Waving Device | |
JPH09131467A (en) | Automatic rotary top and top device | |
CN216554198U (en) | Protection warning indicator for electric power construction | |
CN210391576U (en) | Content display device install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