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5696B1 -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 - Google Patents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696B1
KR102105696B1 KR1020190178230A KR20190178230A KR102105696B1 KR 102105696 B1 KR102105696 B1 KR 102105696B1 KR 1020190178230 A KR1020190178230 A KR 1020190178230A KR 20190178230 A KR20190178230 A KR 20190178230A KR 102105696 B1 KR102105696 B1 KR 10210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rizontal flow
receiving portion
valve
h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동
Original Assignee
(주)씨디씨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씨뉴매틱 filed Critical (주)씨디씨뉴매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14Plug channel at 90 degrees to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07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442Spindles an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은,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유로(11a)가 형성된 수평유로부(11)와, 상부에 구비되며 수평유로(11a)와 연통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2)와, 수용부(12) 하부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13)가 구비된 밸브본체(10); 밸브본체(10)의 수용부(12)에 내삽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외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키홀이 형성된 삽입고정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되며, 삽입고정부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수평유로(11a)와 연통되어 유체를 수직이동되도록 하거나, 회전에 의해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며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시 하부로 관통형성되어 하단부가 호스 결합부(13)에 결합된 호스와 연통되는 "ㄱ"자형 유로가 구비된 밸브축(20); 내측에 삽입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키가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고, 외측에 밸브본체(10)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0); 회전부(3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40); 밸브본체(10)의 수용부(12)에 삽입되어 수용부(12)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내주연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밸브축(20)의 단턱에 걸려 밸브축(20)이 수용부(1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림(rim)(50); 수평유로부(11)에 구비되며 수평유로부(11)에 배관을 결합되도록 하는 배관 결합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Swivel Nut Attach Type Light Weight Shut-off Valve}
본 발명은 밸브의 내압성을 향상시키고, 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부의 회전에 간섭없이 배관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셧오프밸브는 물 또는 식음료 등의 유체를 이동 및 전달하는 각종 호스배관에 대해 수직되게 연결해주는 부품으로 정수기, 비데기, 냉장고 홈바, 세척기, 식음료기기, 커피머신 등의 다양한 유체관련 산업분야에서 필수적 연결구이다.
이러한 셧오프밸브는 유체를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셧오프밸브를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재로 쓰는 경향이 있다.
종래의 셧오프밸브는 내부에 회전에 의해 유로를 폐쇄하거나 회전에 의해 유로를 개방되도록 하여 유체를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밸브축이 구비되는데, 밸브축을 밸브몸체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밸브몸체에 초음파 용접을 하게 됨으로써 밸브축을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초음파 용접의 용접결함이 발생되는 경우 내압성을 보장하지 못하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밸브축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밸브몸체에 초음파 용접을 통해 고정하게 되므로 밸브축의 불량이나 오조립되는 경우에는 밸브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므로 자원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셧오프밸브와 결합되는 배관은 금속재가 대부분이므로 배관과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는 금속너트를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금속재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구를 사용하여 배관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설치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밸브의 손잡이는 배관 결합부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너트부를 회전시켜 배관을 결합시킬 때 밸브의 손잡이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성을 보장하며 배관과의 결합시 회전손잡이와의 간섭을 방지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조립시나 불량인 경우 밸브몸체로부터 밸브축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는, 전체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부위에 중공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로부터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12)와 연통되며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유로(11a)가 형성된 수평유로부(11)와, 상기 수용부(12)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2)보다 직경이 작으며,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13)가 구비된 밸브본체(10); 상기 밸브본체(10)의 상기 수용부(12)에 내삽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외측에 단턱(21)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키홀(22a)이 형성된 삽입고정부(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되며, 상기 삽입고정부(22)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연통되어 유체를 수직이동되도록 하거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며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시 하부로 관통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호스 결합부(13)에 결합된 호스와 연통되는 "ㄱ"자형 유로(23)가 구비된 밸브축(20); 내측에 상기 삽입고정부(2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키(31a)가 형성된 삽입부(31)가 구비되고, 외측에 상기 밸브본체(10)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0); 상기 회전부(3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40);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12)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된 상기 밸브축(20)의 단턱(21)에 걸려 상기 밸브축(20)이 상기 수용부(1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림(rim)(50); 상기 수평유로부(11)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유로부(11)에 배관을 결합되도록 하는 배관 결합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40)는, 상기 회전부(3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양측이 상기 회전부(30)의 지름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회전부(30)의 외곽과 동일하게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3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회전시 상기 배관 결합부(6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축(20)에 구비된 상기 "ㄱ"자형 유로(23)가 상기 수평유로(11a)와 연통되어 유체를 수직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용 림(rim)(50)은, 상기 밸브본체(10)의 상기 수용부(12) 내주연에 고정되도록 하는 원주방향과 수직되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외주연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에 삽입시 휘어져 상기 수용부(12) 내주연에 압입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2) 내주연에 고정되도록 하는 로킹 플레이트(5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밸브본체(10)는,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중간부위 외주연에 환형돌기부(14)가 구비되고, 상기 환형돌기부(14) 외측에 이격되고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부위에 결합용 요홈(15)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 결합부(60)는,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평유로부(11)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환형돌기부(14)에 걸리는 걸림부(61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1a) 외측 내주연에는 배관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암나사부(61b)가 형성되고,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외주연에 구비된 너트캡(61)과, 상기 너트캡(61)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용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너트캡의 걸림부가 상기 환형돌기부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캡 고정부(62)와, 상기 너트캡 고정부 및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수평유로(11a)와 상기 너트캡 고정부의 암나사부에 고정된 호스를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캡 고정부의 암나사부에 고정되는 호스에 의해 압착되어 실링하는 실링(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는, 종래에서와 같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밸브축을 밸브몸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삽입만으로 내압성을 보장되도록 고정시키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배관과의 결합시 회전손잡이와의 간섭을 방지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오조립시나 불량인 경우 밸브몸체로부터 밸브축의 분리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고, 분리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를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는, 밸브본체(10); 밸브축(20); 회전부(30); 회전손잡이(40); 이탈방지용 림(rim)(50); 배관 결합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본체(10)는, 전체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본체(10)는, 수평유로부(11)와, 수용부(12)와, 호스 결합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12)는 상부부위에 중공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다. 상기 수용부(12)에는 개구된 상부로 상기 밸브축(2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고정된다.
상기 수평유로부(11)는, 상기 수용부(12)로부터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12)와 연통되며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유로(11a)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 결합부(13)는, 상기 수용부(12)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2)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으며, 호스가 결합된다.
상기 호스 결합부(13)는, 호스결합본체(13a)와, 커버(13b)와, 슬리브(13c)와, 호스용 실링(13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결합본체(13a)는, 중공되며 내측에 호스용 실링(13d)이 거치되는 호스용 실링단턱(13a′)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13b)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호스결합본체(13a)의 내주연 단부부위에 결합고정되며, 내주연 내측단부로부터 중간부위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면(13b′)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13b′)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직경이 동일한 원통면(13b″)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13c)는, 내부에 호스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커버(13b)에 삽입되되 상기 커버(13b)의 원통면(13b″)에 삽입되고 상기 테이퍼면(13b′)과 접하여 상기 커버(13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형걸림돌기(13c′)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걸림돌기(13c′)에는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며 탄성복원되도록 다수의 개구홈(13c″)이 형성되며, 상기 환형걸림돌기(13c′) 내주연에는 삽입된 호스가 고정되도록 탄성걸림편(13c'")이 구비된다.
상기 호스용 실링(13d)는 상기 호스결합본체(13a)의 호스용 실링단턱(13a′)에 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13c)에 삽입고정된 호스와 접하여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축(20)은, 상기 밸브본체(10)의 상기 수용부(12)에 내삽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밸브축(2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외측에 단턱(21)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키홀(22a)이 형성된 삽입고정부(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된다. 상기 밸브축(20)에는 상기 삽입고정부(22)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연통되어 유체를 수직이동되도록 하거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며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시 하부로 관통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호스 결합부(13)에 결합된 호스와 연통되는 "ㄱ"자형 유로(23)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밸브축(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ㄱ"자형 유로(23)가 서로 차단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밸브축(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ㄱ"자형 유로(23)가 서로 연통되어 유체가 수직이동되기 위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며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시 하부로 관통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호스 결합부(13)에 결합된 호스와 연통되는 "ㄱ"자형 유로(23)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수평유로(11a)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ㄱ"자형 유로(23)를 통해 수직되게 유로가 변경되어 배출되게 된다. 상기 "ㄱ"자형 유로(23)를 통해 수직되게 유로가 변경되어 배출된 유체는 상기 호스 결합부(13)에 호스를 통해 유체가 유동되게 된다.
상기 회전부(30)는, 내측에 상기 삽입고정부(2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키(31a)가 형성된 삽입부(31)가 구비되고, 외측에 상기 밸브본체(10)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손잡이(40)는, 상기 회전부(3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용 림(rim)(50)은,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12)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된 상기 밸브축(20)의 단턱(21)에 걸려 상기 밸브축(20)이 상기 수용부(1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관 결합부(60)는,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일측단부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수평유로부(11)에 배관을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관 결합부(60)는 내주연에 너트형태로 구비되며 내주연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배관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서와 같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밸브축을 밸브몸체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탈방지용 림(rim)(50)에 의해 삽입만으로 밸브축을 밸브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되므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이탈방지용 림(rim)(50)은, 상기 밸브본체(10)의 상기 수용부(12) 내주연에 고정되도록 하는 원주방향과 수직되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외주연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에 삽입시 휘어져 상기 수용부(12) 내주연에 압입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2) 내주연에 고정되도록 하는 로킹 플레이트(51)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용 림(rim)(50)에 구비된 로킹 플레이트에 의해 삽입만으로 내압성을 보장되도록 밸브본체(10)의 수용부(12) 내주연에 고정되게 됨으로써 밸브축(2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로킹 플레이트는 금속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탈방지용 림(rim)의 제조시 인서트사출되도록 하여 일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손잡이(40)는, 상기 회전부(3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양측이 상기 회전부(30)의 지름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회전부(30)의 외곽과 동일하게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3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회전시 상기 배관 결합부(6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축(20)에 구비된 상기 "ㄱ"자형 유로(23)가 상기 수평유로(11a)와 연통되어 유체를 수직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손잡이(40)가 배관 결합부(6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30)를 회전되게 되므로, 배관 결합부(60)와 회전손잡이(40)와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배관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밸브본체(10)는,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중간부위 외주연에 환형돌기부(14)가 구비되고, 상기 환형돌기부(14) 외측에 이격되고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부위에 결합용 요홈(15)이 구비된다.
또, 상기 배관 결합부(60)는,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평유로부(11)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환형돌기부(14)에 걸리는 걸림부(61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1a) 외측 내주연에는 배관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암나사부(61b)가 형성되고,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외주연에 구비된 너트캡(61)과, 상기 너트캡(61)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용 요홈(15)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너트캡(61)의 걸림부(61a)가 상기 환형돌기부(14)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캡 고정부(62)와, 상기 너트캡 고정부(62) 및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수평유로(11a)와 상기 너트캡 고정부(62)의 암나사부에 고정된 호스를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캡 고정부(62)의 암나사부에 고정되는 호스에 의해 압착되어 실링하는 실링(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너트부에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므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의 회전에 의해 배관을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실링(63)이 상기 너트캡 고정부(62) 및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도록 하여 실링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나사 체결에도 확실한 씰링 성능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밸브본체 11: 수평유로부
11a: 수평유로 12: 수용부
13: 호스 결합부 13a: 호스결합본체
13b: 커버 13c: 슬리브
13d: 호스용 실링 14: 환형돌기부
15: 결합용 요홈 20: 밸브축
21: 단턱 22: 삽입고정부
23: "ㄱ"자형 유로 30: 회전부
31: 삽입부 40: 회전손잡이
50: 이탈방지용 림(rim) 51: 로킹 플레이트
60: 배관 결합부 61: 너트캡
61a: 걸림부 61b: 암나사부
62: 너트캡 고정부 63: 실링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체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되며,
    상부부위에 중공되어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로부터 외측으로 수직되게 돌출되고, 상기 수용부(12)와 연통되며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유로(11a)가 형성된 수평유로부(11)와,
    상기 수용부(12)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2)보다 직경이 작으며, 호스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13)가 구비된 밸브본체(10);
    상기 밸브본체(10)의 상기 수용부(12)에 내삽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외측에 단턱(21)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키홀(22a)이 형성된 삽입고정부(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형성되며, 상기 삽입고정부(22)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연통되어 유체를 수직이동되도록 하거나,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로(11a)와 차단되도록 하며 외주연에서 중앙으로 관통 형성되고 다시 하부로 관통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호스 결합부(13)에 결합된 호스와 연통되는 "ㄱ"자형 유로(23)가 구비된 밸브축(20);
    내측에 상기 삽입고정부(2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키(31a)가 형성된 삽입부(31)가 구비되고, 외측에 상기 밸브본체(10)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0);
    상기 회전부(3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손잡이(40);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12)의 내주연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된 상기 밸브축(20)의 단턱(21)에 걸려 상기 밸브축(20)이 상기 수용부(12)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림(rim)(50);
    상기 수평유로부(11)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유로부(11)에 배관을 결합되도록 하는 배관 결합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본체(10)는,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중간부위 외주연에 환형돌기부(14)가 구비되고, 상기 환형돌기부(14) 외측에 이격되고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부위에 결합용 요홈(15)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 결합부(60)는,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평유로부(11)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환형돌기부(14)에 걸리는 걸림부(61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1a) 외측 내주연에는 배관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결합되도록 하는 암나사부(61b)가 형성되고,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외주연에 구비된 너트캡(61)과,
    상기 너트캡(61)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용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너트캡의 걸림부가 상기 환형돌기부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캡 고정부(62)와,
    상기 너트캡 고정부 및 상기 수평유로부(1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수평유로부(11)의 수평유로(11a)와 상기 너트캡 고정부의 암나사부에 고정된 호스를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캡 고정부의 암나사부에 고정되는 호스에 의해 압착되어 실링하는 실링(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
KR1020190178230A 2018-12-28 2019-12-30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 Active KR102105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72171 2018-12-28
KR1020180172171 201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696B1 true KR102105696B1 (ko) 2020-05-07

Family

ID=7073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230A Active KR102105696B1 (ko) 2018-12-28 2019-12-30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208A (ko) * 2021-08-25 2023-03-06 (주)씨디씨뉴매틱 나사변환기능을 갖는 경량 앵글 스톱 어댑터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676A (ko) * 1998-12-23 2000-04-06 최민철 정수기용 배관 콕밸브
KR20010106355A (ko) * 2001-10-29 2001-11-29 김경기 파이프용 슬라이드식 차단밸브
KR20130006561U (ko) * 2012-05-04 2013-11-13 하미경 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676A (ko) * 1998-12-23 2000-04-06 최민철 정수기용 배관 콕밸브
KR20010106355A (ko) * 2001-10-29 2001-11-29 김경기 파이프용 슬라이드식 차단밸브
KR20130006561U (ko) * 2012-05-04 2013-11-13 하미경 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208A (ko) * 2021-08-25 2023-03-06 (주)씨디씨뉴매틱 나사변환기능을 갖는 경량 앵글 스톱 어댑터 밸브
KR102593752B1 (ko) 2021-08-25 2023-10-25 (주)씨디씨뉴매틱 나사변환기능을 갖는 경량 앵글 스톱 어댑터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4310C (en) Flowline flapper valve
US4511120A (en) Plastic service valve
KR200461753Y1 (ko) 회전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용 연결 조인트
US20120132839A1 (en) Needle valve
KR102105696B1 (ko) 스위블 너트 부착형 경량 셧오프밸브
NO20141497A1 (no) Tetningsarrangement for en slagkopling, samt en metallpakning og et mottaksparti for bruk i nevnte tetningsarrangement
US20160348800A1 (en) Lining for mechanical joints
JP5073511B2 (ja) 逆止弁
US9260840B2 (en) Main valve for dry barrel fire hydrant
WO2017180307A1 (en) Check valve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KR101509645B1 (ko) 수전 연결기구 및 이를 갖는 수전 연결기구 어셈블리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101973260B1 (ko) 회전 가능한 고압 호스용 연결 조인트
US4488741A (en) Compression coupling for service valve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CN204083577U (zh) 水管接头组件及热水机
US2165639A (en) Valve
CN111828648B (zh) 旋转式截止阀
CN220185843U (zh) 放水阀
JP7409657B2 (ja) 吸排気弁ユニット
KR200459564Y1 (ko) 보일러 배관용 볼밸브
KR101582312B1 (ko) 배관 이음 밸브
KR200389223Y1 (ko) 관 연결 구조
RU202306U1 (ru) Приварной фитинг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